[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3172Y1 - 노트북 어댑터 - Google Patents

노트북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172Y1
KR200343172Y1 KR20-2003-0035975U KR20030035975U KR200343172Y1 KR 200343172 Y1 KR200343172 Y1 KR 200343172Y1 KR 20030035975 U KR20030035975 U KR 20030035975U KR 200343172 Y1 KR200343172 Y1 KR 200343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dapter
switch
plug
input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길
Original Assignee
박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길 filed Critical 박명길
Priority to KR20-2003-0035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17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electrically-heated ligh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어댑터로서 차량용 전원과 일반전원의 사용이 가능한 노트북 어뎁터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하나의 어뎁터 케이스와 출력케이블을 공유하여 각 전기절환부가 설치되고, 이 어뎁터에 전원입력부인 일반전원용 플러그에 결합되는 시가잭이 마련되며, 별도의 스위치를 통해 일반전원과 차량전원을 구별하여 노트북용 전기로 절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더욱 발전되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선택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가잭과 플러그와의 결합과 연동되는 스위치가 마련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노트북 어댑터{Adapter for Notebook-Computer}
본 고안은 노트북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어뎁터로부터 일반 가정전원과 차량 시가잭으로부터 차량전원의 이용이 가능한 노트북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은 휴대를 위하여 발전된 퍼스털 컴퓨터로, 그 전원은 충전지 또는 각 사용처로부터의 전원공급원에 의존하고 있다.
이때, 각 사용처는 AC 220V 일반전원공급원을 의미하며, 각 사용처에서의 전원공급을 위해 어댑터(1)를 휴대하게 되며, 어뎁터를 통해 예를 들어 DC 19V 의 노트북 사용전력이 출력된다.
상기 어뎁터(1)는 케이스(2)에 내장된 정류부 또는 일반전원 절환부(3)을 위시하여 연결잭(4)을 포함한 노트북으로의 출력케이블인 전원출력라인(5) 및 플러그(6)를 포함한 입력케이블인 전원입력라인(7)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그 용도와 기능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용 컴퓨터인 노트북의 사용빈도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이동수단인 차량으로부터 그 전원공급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가 라이터 소켓으로부터 노트북으로의 전원공급이 가능한 어댑터(8)가 공연실시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된 AC/DC 19V 출력을 위한 일반전원 어뎁터와는 달리 시가잭(9)으로부터 차량의 DC 12V를 전환하기 위해 DC/DC 19V 출력을 위하여 차량전원 어뎁터(8)가 별물로 제작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차량이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는 현재에서 노트북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된 어뎁터(1)(8)를 별도로 휴대하는 것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번거롭다는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즉, 상기된 바와 같이 노트북은 본래 휴대를 위해 개발된 것이지만, 이것의 전원공급을 위한 어뎁터가 일반전원용과 차량전원으로 구별되고, 이것이 사용에 따라 별도로 또는 모두 휴대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다.
물론, 이러한 일반전원과 차량전원을 모두 이용하기 위한 어댑터가 안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듀얼 입력 모드를 가지는 휴대폰 충전 장치(출원번호 20-1998-0026671)는 예시도면 도 1 과 같이 충전전압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연결잭을 가지는 휴대폰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가정용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가지며 그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소정 레벨의 충전전압을 제 1 출력 커넥터로 출력하는 전원 어뎁터와, 차량의 시가 라이터 소켓에 삽입되는 시가잭을 가지며 그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레귤레이팅하여 소정레벨의 충전전압을 제2출력 커넥터로 출력하는 시가잭 레귤레이터와, 일측에 상기 휴대폰의 커넥에 연결되는 인테페이스 연결잭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제1 및 제2출력 커넥터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기를 가지는 전원 인터페이스 케이블 커넥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뎁터는 노트북에 바로 적용되기 곤란한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즉, 상기된 사용자의 불편함은 케이블과 어뎁터 본체의 크기에 따른 휴대와 수납의 불편함이며, 일반전원 어뎁터나 차량 전원 어뎁터 양자를 휴대수납하기가불편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어뎁터는 비록 출력 케이블을 공유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노트북으로의 적용시 별도의 어뎁터 본체가 따로 휴대되고 수납되어야 하므로, 기존에 모두 휴대하는 것과 별반 차이가 없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어댑터로서 차량용 전원과 일반전원의 사용이 가능한 노트북 어뎁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하나의 어뎁터에 전기절환부가 공용되고, 이 어뎁터에 전원입력부인 일반전원용 플러그에 결합되는 시가잭이 마련되며, 별도의 스위치를 통해 일반전원과 차량전원을 구별하여 노트북용 전기로 절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더욱 발전되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선택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가잭과 플러그와의 결합과 연동되는 스위치가 마련되도록 한 것이다.
도 1a 는 종래 어뎁터를 나타낸 외관 설명도,
도 1b 는 종래 어뎁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 는 전원 선택이 가능한 종래 어뎁터를 나타낸 개념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어뎁터의 일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어뎁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케이스, 3 - 일반전원 절환부,
4 - 연결잭, 5 - 전원출력라인,
6 - 플러그, 7 - 전원입력라인,
10 - 연결몸체, 12 - 시가잭,
14 - 차량전원 절환부, 16 - 스위치,
18 - 일반전원 입력라인, 20 - 차량전원 입력라인,
22 - 복귀스프링, 24 - 누름부,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예시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어뎁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본 고안은 일반전원 플러그(6)가 구비된 전원입력라인(7)을 차량전원 입력라인으로 공용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6)와 접속되는 연결몸체(10)가 일체로 형성된 시가잭(12)과: 하나의 케이스(2) 내부에 배열되며 공용된 전원출력라인(5)을 갖음과 더불어 상기 전원입력라인(7)으로 분지되어 일반전원을 노트북 사용전원으로 절환하는 일반전원 절환부(3)와 차량전원을 노트북 사용전원으로 절환하는 차량전원 절환부(14)와: 이 일반전원 절환부(3)와 차량전원 절환부(14)로의 전원입력이 선택되게 상기 전원 입력라인(7)의 분지점과 각 전원입력라인(18)(20)에 매개된 스위치(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어뎁터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전원인 일반전원과 차량전원으로부터 노트북 사용전원으로의 절환이 가능한 노트북 어뎁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하나의 어뎁터 케이스(2)에 일반전원 절환부(3)와 차량전원 절환부(14)를 공유시킨 것이며, 스위치(16)를 통해 전원 조건에 따라 절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입력케이블인 전원입력라인(7)은 일반전원용 플러그(6)가 장착된 것을 기본으로 하고, 이 플러그(6)가 차량전원과 접속될 수 있도록, 플럭그연결몸체(10)가 일체화된 시가잭(12)을 마련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반전원 사용시 스위치(16)로부터 일반전원 입력라인(18)을 선택하면 일반전원 절환부(3)가 AC 220V를 노트북용 DC로 절환시켜 출력케이블로 출력시키게 되며, 차량전원 사용시 스위치를 통해 차량전원 입력라인(20)을 선택하게되면 차량전원 절환부(14)가 DC 12V를 노트북용 DC로 절환시켜 공용된 출력케이블로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6)는 케이스(2)에 마련됨이 일반적일 것이다.
한편, 하나의 케이스(2)에서 공용된 각 절환부의 선택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스위치(16) 조작 오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것이 번거로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일반전원과 차량전원 중 어느 하나의 전원사용을 조건으로 하여, 다른 전원을 사용할 때 자동으로 전원입력라인이 전환될 것이 요구된다.
즉, 시가잭(12)과 플러그(6)의 미접속시에는 일반전원 입력라인이 선택되도록 하고, 시가잭(12)과 플러그(6)의 접속시에는 차량전원 입력라인이 선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스위치(16) 조작의 오류를 방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예시도면 도 4 와 같이, 스위치(16)는 일반전원 입력라인(18) 측으로 복귀스프링(22)이 포함된 항시접점누름스위치로 마련되고, 이 스위치(16)의 누름에 다른 차량전원 입력라인(20)의 선택이 시가잭(12)과 플러그(6)의 결합에 의해 연동되도록 상기 플러그(6)가 케이스(2)에 고정 돌출 장착됨과 더불어, 이 플러그(6)의 측부에 시가잭(2)과의 결합시 누름이 수행되게스위치(16)의 누름부(24)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플러그(6)와 시가잭(12)이 결합되지 않았을 때는 복귀스프링(22)에 의해 스위치(16)가 항시 일반전원 입력라인(18)과 접속되어 있게되며, 시가잭(12)과 플러그(6)를 결합하게 되면 시가잭(12)이 누름부(24)를 누르게되고 이에 의해 스위치(16)가 일반전원 입력라인(18)과 단락됨과 동시에 차량전원 입력라인(20)과 접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시가잭(12)을 플러그(6)에서 탈거하면 복귀스프링(22)에 의해 다시 일반전원 입력라인(18)이 선택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스위치(16)의 직접 조작이 필요없이, 전원을 선택하기 위하여 플러그(6)를 사용하느냐 시가잭(12)을 사용하느냐에 연동되어 각 절환부로의 전원입력라인이 선택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항시접점방식 누름 스위치(16)는 케이스(2) 내부에 은폐되고, 시가잭(12)에는 케이스(2)에 삽입되면서 스위치(16)의 누름부(24)를 작동시키는 별도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누름부(24)가 케이스(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었을 경우, 시가잭(12)이 결합되지 않은 일반전원 사용시에 케이스(2)가 바닥면에 눌려지게 되면 누름부(24)에 의해 차량전원이 선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플러그 몸체에 누름 스위치를 배치하고 이것이 시각잭과 연동되도록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역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플러그가 어뎁터 케이스에 고정 돌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케이스 몸체와 타물체와 접촉에 따른 사용의 불편함이 케이블 길이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반면, 플러그 몸체로의 누름 스위치 구비에 따른 플러그 몸체의 부피 증가가 뒤따르고, 이 플러그 자체가 입력라인의 분지점이므로, 각 절환부로의 전원입력라인인 케이블이 하나에 각각 마련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별도의 입력케이블이 필요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어뎁터가 서로 다른 전원인 일반전원과 차량전원을 감당하므로, 그 사용과 휴대가 편리해 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반전원 플러그(6)가 구비된 전원입력라인(7)을 차량전원 입력라인으로 공용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6)와 접속되는 연결몸체(10)가 일체로 형성된 시가잭(12)과: 하나의 케이스(2) 내부에 배열되며 공용된 전원출력라인(5)을 갖음과 더불어 상기 전원입력라인(7)으로 분지되어 일반전원을 노트북 사용전원으로 절환하는 일반전원 절환부(3)와 차량전원을 노트북 사용전원으로 절환하는 차량전원 절환부(14)와: 이 일반전원 절환부(3)와 차량전원 절환부(14)로의 전원입력이 선택되게 상기 전원 입력라인(7)의 분지점과 각 전원입력라인(18)(20)에 매개된 스위치(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어뎁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스위치(16)는 일반전원 입력라인(18) 측으로 복귀스프링(22)이 포함된 항시접점누름스위치로 마련되고, 이 스위치(16)의 누름에 다른 차량전원 입력라인(20)의 선택이 시가잭(12)과 플러그(6)의 결합에 의해 연동되도록 상기 플러그(6)가 케이스(2)에 고정 돌출 장착됨과 더불어, 이 플러그(6)의 측부에 시가잭(2)과의 결합시 누름이 수행되게 스위치(16)의 누름부(24)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어뎁터.
KR20-2003-0035975U 2003-11-18 2003-11-18 노트북 어댑터 Expired - Fee Related KR200343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975U KR200343172Y1 (ko) 2003-11-18 2003-11-18 노트북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975U KR200343172Y1 (ko) 2003-11-18 2003-11-18 노트북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172Y1 true KR200343172Y1 (ko) 2004-03-02

Family

ID=4942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97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3172Y1 (ko) 2003-11-18 2003-11-18 노트북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1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37Y1 (ko) * 2010-11-23 2012-06-18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시거잭과 어댑터 겸용의 전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37Y1 (ko) * 2010-11-23 2012-06-18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시거잭과 어댑터 겸용의 전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2420B2 (en) Universal serial bus voltage transformer
US6774603B2 (en) Multi-function charger
USRE41675E1 (en) Power charging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US6188201B1 (en) Device for converting direct current input into multiple voltage outputs
US6548755B2 (en) Power supply adapter with foldable plug
US20020147036A1 (en) Auxiliary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phone
US20120256484A1 (en) Computer adapter with power outlet and replaceable and rechargeable battery, wireless card, and transceiver
US7367846B1 (en) Multi-function power adaptor
US7422473B2 (en) Power adapter cable with commonly configured interfaces
US20020127898A1 (en) Connector having foldable plug and submerged plug
US20080137386A1 (en) Portable power supply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c or dc input power
US20070263366A1 (en) Multipurpose input plug assembly and power adapter having the same
WO2006078639A2 (en) Systems for powering peripheral devices
US20080174270A1 (en) Integrated battery and charger for laptop computer
KR200343172Y1 (ko) 노트북 어댑터
US7435141B2 (en) Connector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owering a set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20060007147A1 (en) Wireless mouse with multiple charging modes
GB2468930A (en) Power supply with a detachable USB hub.
US8605340B2 (en) Scanner
KR200370928Y1 (ko) 시가라이터 소켓 내장형 전원 어댑터
CN201655923U (zh) 可更换插接头的可携式电子装置充电模块
KR102743057B1 (ko) 전동공구 배터리의 연결용 젠더 장치
KR100726014B1 (ko) 통합형 어댑터
US11050199B1 (en) AC adapter with tethered removable plug
KR100436005B1 (ko) 개인 휴대 단말기의 확장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11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11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