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41755Y1 - 탁상용 액자 - Google Patents

탁상용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755Y1
KR200341755Y1 KR20-2003-0030169U KR20030030169U KR200341755Y1 KR 200341755 Y1 KR200341755 Y1 KR 200341755Y1 KR 20030030169 U KR20030030169 U KR 20030030169U KR 200341755 Y1 KR200341755 Y1 KR 200341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cture
matrix
plate
deskto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식
Original Assignee
김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식 filed Critical 김정식
Priority to KR20-2003-0030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75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탁상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아크릴 또는 크리스탈 유리 소재이며, 별도의 받침대 없이 평면에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다양한 종단면을 가지는 입체 도형의 모체를 형성하고, 상기 모체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절단하여 형성된 전판과 후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제작이 매우 용이하고, 사진이 부각되며, 식상해진 사진을 교체하기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일반적인 액자와는 달리 입체적으로 사진을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탁상용 액자{Table frame}
본 고안은 탁상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프레임이나사진 고정구 및 받침대 없이 복수개의 아크릴 또는 크리스탈 유리판으로만 이루어진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상용 액자는 목재나 금속재의 프레임에, 유리나 아크릴 등의 투명판을 전방에 설치하고, 배면에는 사진이나 그림을 지지하는 사진고정판을 끼워 넣은 다음 사진고정판의 이탈을 방지하고 사진이나 그림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프레임 뒷면에 부착된 다수개의 고정편을 이용하여 사진고정판을 고정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액자를 탁상에 올려 놓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받침대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들 탁상용 액자는 프레임과 투명판이 각각 재질과 색상이 다르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진을 부각시키지 못하였으며, 액자를 받쳐주는 받침대가 불안정하여 작은 충격이나 흔들림에도 쉽게 넘어져 유리가 깨지는 일이 빈번하고, 사진 교체가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아니하여 액자의 일면(일반적으로 정면)에만 사진 또는 그림을 게재하고 감상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식상감을 주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대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16436호에 탁상용 액자에 대하여 제시된 바 있으며, 그 구성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스탈 강화 판유리로 이루어지는 액자 본체(1) 배면에 사진의 테두리를 이루는 초자인쇄층(2)을 형성한 후 그 표면에 사진고정틀(3)을 부착하고, 상기 고정틀(3)에는 사진고정판(4)과 이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5)을 형성하며, 상기한 액자 본체는 판유리로 된 받침판(6) 상에 경사지게 부착하여 이루어져 있었다. 이에 따르면 액자본체와 받침판이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적으로 깨끗하고 투명한 크리스탈 유리의 장점이 돋보이고, 종래의 액자보다 받침판의 접지력이 높아 안정감이 있는 등 다소 개선된 점이 있었다. 그러나 사진고정틀과 클립, 받침판 등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사진을 교체하기가 번거로우며, 입체적이지 아니하여 액자의 일면에서만 사진을 감상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프레임과 사진고정구 없이 사진을 고정하여 손쉽게 사진을 교체할 수 있고, 별도의 받침대를 구성하지 아니하고도 모체 자체의 접지력이 높아 쉽게 넘어지지 않는 안정된 탁상용 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진이 부각되고 정면뿐 아니라 배면과 상면 등에서도 입체적으로 사진 감상이 가능한 탁상용 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실시예들을 복수개 조합하여 사용한 상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 내지 도 4d는 도 4a에 나타난 실시예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한 상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종래 탁상용 액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모체 200: 전판
300: 후판 400: 밑면
500: 절단면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탁상용 액자의 구성은 아크릴 또는 크리스탈 유리 소재이며, 별도의 받침대 없이 평면에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다양한 종단면을 가지는 입체 도형의 모체를 형성하고;
상기 모체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절단하여 형성된 전판과 후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탁상용 액자에 있어서, 상기 모체의 종단면이 정사각형 또는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탁상용 액자의 다른 구성은 아크릴 또는 크리스탈 유리 소재이며 별도의 받침판 없이 평면에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종단면이 원형인 입체 도형의 모체를 형성하고;
상기 모체가 유동하지 않고 안착될 수 있도록 밑면은 수평으로 절단되어 있으며;
상기 모체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절단하여 형성된 전판과 후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탁상용 액자에 있어서, 상기 모체의 정면 또는 배면이 반구와 같이 곡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탁상용 액자의 또 다른 구성은 아크릴 또는 크리스탈 유리 소재이며, 별도의 받침판 없이 평면에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다양한 종단면을 가지는 입체 도형의 모체를 형성하고;
상기 모체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번 이상 절단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크릴 또는 크리스탈 유리 소재의 모체(100)와, 상기 모체(100)를 수직으로 종단하여 형성된 전판(200)과 후판(300)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것은 여타의 요소나 장식에 의한 산만함을 제거하여 사진만을 부각시키고, 돋보이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모체(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는바, 이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받침대를 구성요소에 포함하지 아니하는 대신 모체 자체가 받침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두께가 너무 얇다면 접지력과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모체(100)의 두께는 제작비용과 안정성을 감안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전판(200)과 후판(300)의 절단면(500)에, 이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사진을 부착(삽입)하고 상기 전판(200)과 후판(300)을 밀착시키면 본 고안에 의한 액자는 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액자는 구성요소를 최소화하면서 사진을 게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액자는 그 구성의 특성상 입체적으로 사진감상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절단면(500)에 사진을 부착할 때 사진의 뒷면을 서로 대향하여 개재한다면 액자의 정면뿐 아니라 배면에서도 사진을 감상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모체(100)의 하면에도 사진을 게재할 수 있는 바, 결과적으로 각각 정면과 배면 및 상면에서도 서로 다른 사진을 감상할 수 있으며, 빛의 굴절에 의하여 다양한 상을 감상할 수 있는 입체적인 액자가 된다.
도 1b는 상기 도 1a에 도시된 모체(100)를 절단함에 있어, 수직이 아닌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하여 형성된 탁상용 액자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 탁상용 액자도 받침대의 길이를 프레임에 비하여 약간 짧게 구성하여 온 것과 같은 취지로서, 액자를 책상 등에 게재하는 경우에 액자의 위치가 눈높이 보다 하방에있기 때문에 사진을 정면에서 바라볼 수 없으므로 약간의 기울임을 준 것이다. 따라서 절단면(500)을 경사지게 하여 사진을 게재한다면 사진 감상에 완전함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빛의 굴절에 의한 다양한 상을 감상할 수 있다.
도 1c는 도 1a, 도 1b와 달리 모체(100)의 높이가 밑면의 가로, 세로보다 큰 직육면체이고, 양 밑면의 대각선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액자보다 한층 입체적인 감상이 가능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면(500)에 두장의 사진을 게재하고 전판(200)과 후판(300)을 밀착시키면 네개의 옆면에서 사진 감상이 모두 가능하고 역시 하면에 사진을 게재하여 상면에서도 감상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5면에서 사진을 감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이용하여 전판 또는 후판에, 내부에 폐구부와 상면에 개구부를 가지는 길다란 홀을 형성한다면 그 홀에 물을 수용하고 한두송이의 생화를 꽂아 화병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복수개 조합하여 사용한 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액자를 탁상이나 선반 위에 조합하여 배치 한다면 더욱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a는 상기 모체(100)가 전체적으로는 종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밑면(400)은 수평으로 절단되어 있는 상기 탁상용 액자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모체의 밑면(400)을 수평으로 절단한 것은 상기 모체(100)를완전한 원통형으로 구성하였을 때 액자가 책상 등을 회전하면서 굴러 다닌다거나 바닥으로 떨어져 액자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고 평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밑면(400)을 수평으로 절단하여 평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면 본 고안에 의한 탁상용 액자는 그 모체(100)의 종단면이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 3a처럼 원형이나 더 나아가 하트모양, 별모양 등 매우 다양한 입체 도형에 응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3b는 상기 도 3a에 나타난 모체(100)의 정면 또는 배면이 반구와 같이 곡면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곡면이 형성된 상기 전판(200) 또는 후판(300)은 볼록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비록 작은 사진을 게재한 경우에도 실제보다 확대되고 굴곡된 상을 감상할 수 있어 상기 실시예들과 또 다른 느낌으로 사진을 감상할 수 있으며, 또한 일면이 반구로 형성된 전판(200) 또는 후판(300)을 타측과 분리하여 글씨가 씌여져 있는 지면 위에 올려 놓으면 마치 돋보기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므로 평소에는 책상 위에 액자로 활용하다가 필요한 경우에 돋보기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a는 별도의 받침판이 없이 평면에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다양한 종단면을 가지는 입체 도형의 모체(100)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동일하다. 그러나 모체(100)를 절단함에 있어 세번 이상 절단하여 전판과 후판이 아닌 복수개의 아크릴 또는 크리스탈 유리 소재의 판을 형성한다는 점과 이에 따라 절단면(500)이 복수개가 형성되므로 두장의 사진을 절단면에 게재할 때 같은면에 서로 접촉하여 게재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게재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위의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도면에 나타난 것은 상기 모체를 4등분하였으나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 또한 다양하고도 흥미로운 시각적 효과를 연출하기 위한 구성이며 이에 대하여는 도 4b 내지 도 4d에 나타나 있다. 즉,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판의 측면을 동일 평면에 두지 아니하고 둘쭉날쭉하게 배치 할 수도 있고, 도 4c나 도 4d 처럼 배치하여 각각의 절단면(500)에 두장씩의 사진을 게재하여 많은 사진을 게재하고 감상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프레임과 사진고정구 및 받침대가 없이 다양한 형상의 모체와 상기 모체를 적정한 각도를 가지고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전판과 후판 또는 수개의 판들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과정이 매우 간단하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프레임과 사진고정구에 의한 고정이 아니라 모체의 전판과 후판의 밀착으로 사진을 고정하므로 탁상에 위치하였을 경우에 매우 깔끔하고 사진을 부각시킬 수 있으며, 사진을 교체하기가 매우 용이하여 식상해진 사진을 때때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받침대를 구성하지 아니하여도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밑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모체 자체의 접지력이 매우 높아 안정적으로 탁상이나 선반 등에 게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일반적인 액자와 달리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판과 후판사이에 두 장의 사진을 게재할 수 있고, 하면에도 게재할 수 있어 각각 정면과 배면 및 상면에서도 사진을 감상할 수 있으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된 경우에는 굴절에 의해 흥미로운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모체를 가진 수개의 액자를 적정한 위치에 상호 조합하여 게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아크릴 또는 크리스탈 유리 소재이며, 별도의 받침대 없이 평면에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다양한 종단면을 가지는 입체 도형의 모체를 형성하고;
    상기 모체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절단하여 형성된 전판과 후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의 종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탁상용 액자.
  3. 아크릴 또는 크리스탈 유리 소재이며 별도의 받침판 없이 평면에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종단면이 원형인 입체 도형의 모체를 형성하고;
    상기 모체가 유동하지 않고 안착될 수 있도록 밑면은 수평으로 절단되어 있으며;
    상기 모체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절단하여 형성된 전판과 후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액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의 정면 또는 배면이 반구와 같이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탁상용 액자.
  5. 아크릴 또는 크리스탈 유리 소재이며, 별도의 받침판 없이 평면에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다양한 종단면을 가지는 입체 도형의 모체를 형성하고;
    상기 모체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번 이상 절단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액자.
KR20-2003-0030169U 2003-09-24 2003-09-24 탁상용 액자 Expired - Fee Related KR200341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169U KR200341755Y1 (ko) 2003-09-24 2003-09-24 탁상용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169U KR200341755Y1 (ko) 2003-09-24 2003-09-24 탁상용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755Y1 true KR200341755Y1 (ko) 2004-02-14

Family

ID=4942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169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1755Y1 (ko) 2003-09-24 2003-09-24 탁상용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7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995A (ko) 2020-01-31 2021-08-10 이수화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
KR20220167478A (ko) 2021-06-14 2022-12-21 이수화 조명기능을 갖는 탁상용 장식물
KR20240160773A (ko) 2023-05-03 2024-11-12 주식회사 이스턴에디션 조명기능을 구비한 탁상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995A (ko) 2020-01-31 2021-08-10 이수화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
KR20220167478A (ko) 2021-06-14 2022-12-21 이수화 조명기능을 갖는 탁상용 장식물
KR20240160773A (ko) 2023-05-03 2024-11-12 주식회사 이스턴에디션 조명기능을 구비한 탁상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47785A1 (en) Multiple Frame Topology System
JPH0730826U (ja) 物品立て掛け具
US5040800A (en) Vertical perspective game apparatus
US20100050491A1 (en) Themed picture plaque
US6385886B1 (en) Stacking photo frame structure
KR200341755Y1 (ko) 탁상용 액자
US10295130B1 (en) Frame support for handmade paper crafts and lanterns
US200502355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works of art
US7237683B1 (en) Display device for coins, medals and medallions
US20080006182A1 (en) Display table
US6029936A (en) Decorative fishbowl stand
KR20200088105A (ko) 디퓨저 자석 액자
JP2020074711A (ja) フラワーディスプレイ用具
JP3243508U (ja) 缶バッジスタンド
CN201041597Y (zh) 360度幻像仪
KR200185080Y1 (ko) 탁상용 회전식 입체형 액자
CN205523305U (zh) 一种插花装置
CN214510490U (zh) 一种利于提升观赏效果和体验效果的通用展台
US20220301465A1 (en) Tabletop Advertising Stand with Integrated Magnifying View Port
CN213696415U (zh) 一种双面用立体相框
KR200318336Y1 (ko) 인형이 부설되는 액자
CN210407831U (zh) 一种壁挂式植物标本艺术展览框
JP6951748B2 (ja) 額縁用フレームを利用した台座用フレーム及び陳列用台座
US5752468A (en) Decorative aquarium screen
KR101548641B1 (ko) 큐브 액자형 장식물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92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9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0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1110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3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