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005Y1 - 이중도어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이중도어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0005Y1 KR200340005Y1 KR20-2003-0032076U KR20030032076U KR200340005Y1 KR 200340005 Y1 KR200340005 Y1 KR 200340005Y1 KR 20030032076 U KR20030032076 U KR 20030032076U KR 200340005 Y1 KR200340005 Y1 KR 20034000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guide member
- doors
- furniture
- coup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8—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winging wing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도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1 회전축선과 평행한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도어와 마주보는 제2 도어 사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선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도어에 연결되는 이동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이중도어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안내부재는 휘어질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두 도어의 열림에 의해 도어 사이의 거리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길이방향 한쪽 끝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와 상기 이동결합부재는 상기 두 도어의 열림에 의해 상기 도어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적응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는 가구의 도어이며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가구에 빌트인 형식으로 장착되는 전자제품의 도어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중도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빌트인 형식으로 설치되어 내부에 위치하는 가전제품의 도어와 외부에 위치하는 가구의 도어를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을 그 크기에 맞게 제작된 가구에 빌트인(built-in) 형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면 보기 좋으며 사용하기 편리하다. 이때 가전제품의 도어가 가구 중간에 노출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곳에서 생산되는 가전제품의 색상과 가구의 색상이 맞지 않을 때가 많다. 이와 같이 색상이 맞지 않는 경우 가전제품의 도어와 주위 가구의 색상이 달라 미관상 좋지 않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구에 빌트인 형식으로 사용되는 가전제품의 도어와 상기 가전제품을 가리는 가구의 외부도어를 함께 조작할 수 있도록 두 도어를 연결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된 도어를 각각 구비하는 가구와 가구 안에 수용된 냉장고의 사시도로서, 두 도어가 함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안내부재와 안내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의 사시도
도3은 도1에서 가구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냉장고가 보이도록 가구의 측판을 제거하여 도시한 도면
도4의 (a)는 도1에서 가구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b)는 가구의 도어가 약간 열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냉장고가 보이도록 가구의 상판을 제거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구 20 : 냉장고
30 : 안내부재 32 : 레일부
34 : 받침리브 50 : 결합부재
52 : 결합홈 100 : 제1 회전축선
120 : 제2 회전축선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1 회전축선과 평행한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도어와 마주보는 제2 도어 사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선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도어에 연결되는 이동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이중도어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안내부재는 휘어질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두 도어의 열림에 의해 도어 사이의 거리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길이방향 한쪽 끝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와 상기 이동결합부재는 상기 두 도어의 열림에 의해 상기 도어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적응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는 가구의 도어이며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가구에 빌트인 형식으로 장착되는 전자제품의 도어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가구(10) 내에 화장품 냉장고와 같은 소형 냉장고(20)가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냉장고를 보통 빌트인(built-in) 형식의 냉장고라 한다. 가구(10)는 상부에 마련되는 냉장고 수납부(12)와, 하부에 마련되는 서랍(14)을 구비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가구는 이러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1,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냉장고 수납부(12)는 바닥(121)과, 두 측판(122)과, 상판(123)과, 후판(124)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16)과, 개방된 전면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제1 도어(18)를 구비한다. 제1 도어(18)의 일측은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연장된 제1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도어(18)는 수납공간(16)을 향하는 면에설치된 안내부재(30)를 구비한다.
도1 내지 도4를 구비하면, 안내부재(30)는 제1 회전축선(100)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레일부(32)와, 두 개의 받침리브(34)를 구비한다. 레일부(32)는 길다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서, 전면(321)은 냉장고(20)의 제2 도어(22) 쪽을 향하고 받침리브(34)가 형성된 후면(322)은 가구(20)의 제1 도어(18) 쪽을 향해 있다. 레일부(32)에 후술하는 결합부재(50)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레일부(32)의 길이방향 한쪽 끝에는 결합나사못(60)이 끼워지는 두 개의 결합구멍(323)이 마련된다. 결합구멍(323)의 입구 쪽(레일부(32)의 전면(321) 쪽)은 결합나사못(60)의 머리가 들어가도록 확장되어 형성된다. 레일부(32)의 후면(322)에는 결합구멍(323)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돌출된 두 받침리브(34)가 형성된다. 받침리브(34)의 끝은 제1 도어(18)에 접한다. 두 결합나사못(60)이 레일부(32)의 두 결합구멍(323)으로 각각 끼워져 제1 도어(18)에 결합된다. 두 결합나사못(60)에 의해 안내부재(30)는 제1 도어(18)에 고정되는데, 두 결합나사(60)에 의한 고정부분이 제1 회전축선(100)으로부터 먼 쪽에 오도록 안내부재(30)가 고정된다. 두 받침리브(34)에 의해 레일부(32)는 제1 도어(18) 안쪽 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후술하는 결합부재(50)가 끼워질 수 있는 여유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안내부재는 외부의 힘에 의해 약간 휘어질 수 있으며, 그 힘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나사못(60)에 의해 제1 도어(18)와 단단하게 고정된 한쪽 끝 부분을 기준으로 다른 부분은 외팔보와 같은 구조가 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휘어져서 제1 도어(18)로부터 더욱 이격될 수 있고, 그 힘이 사라지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된다. 이것은 가구(10)의 제1 도어(18)와 냉장고(20)의 제2 도어(22)가 같이 회전하면서 두 도어(18, 22) 사이의 거리가 조금씩 변하게 되는데, 이것에 적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상기 기술내용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1,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가구(10)의 수납공간(16)에 냉장고(20)가 수납된다. 냉장고(20)는 본체(21)와, 본체(21)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연장된 제2 회전축선(1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도어(22)를 구비한다. 제2 회전축선(120)은 가구(10)의 제1 회전축선(100)과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도어(22)에는 바깥쪽 면에 설치된 결합부재(50)가 고정된다.
다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결합부재(50)는 사각형의 부재로서, 안내부재(30)의 레일부(32)에 끼워지는 대체로 "T"자 형의 결합홈(52)을 구비한다. 즉, 결합홈(52)은 제1, 제2 연장걸림부(58, 59)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제2 안내홈(56, 57)이 마련된다. 결합홈(52)의 바닥면(52)은 레일부(32)의 전면(321)과 마주한다. 결합홈(52)의 제1, 제2 안내홈(56, 57)에는 각각 레일부(32)의 상부(325) 및 하부(326)가 끼워진다. 결합홈(52)의 제1, 제2 연장걸림부(58, 59)는 각각 레일부(32)의 상부 및 하부에 걸려 결합부재(50)는 레일부(32)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결합부재(50)의 상부와 하부에는 결합나사못(70)이 끼워지는 결합구멍(53)이 마련된다. 결합구멍(53)의 입구 쪽(결합홈(52)이 형성된 면 쪽)은 결합나사못(70)의 머리가 들어가도록 확장되어 있다. 결합나사못(70)이 결합구멍(53)으로 끼워져냉장고(20)의 제2 도어(22)에 결합된다. 결합나사못(70)에 의해 결합부재(50)는 냉장고(20)의 제2 도어(22)에 고정된다. 결합부재(50)의 결합홈(52)이 안내부재(30)의 레일부(32)에 끼워지고 결합부재(50)는 안내부재(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제 도1,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와 도4의 (a)를 참조하면, 가구(10)의 제1 도어(18)와 냉장고(20)의 제2 도어(22)가 함께 닫혀 있다. 제1 도어(18)와 제2 도어(22)는 제1 도어(18)에 설치된 안내부재(30)와 제2 도어(22)에 설치된 결합부재(5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안내부재(30)의 받침리브(34)는 모두 제1 도어(18)에 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가구(10)의 제1 도어(18)를 열면 냉장고(20)의 제2 도어(22)도 함께 회전하면서 열리게 된다. 이것이 도4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4의 (b)를 참조하면, 결합부재(50)가 안내부재(30)에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도어(18)가 회전함에 따라 제2 도어(22)도 함께 회전하면서 열리게 된다. 제1 도어(18)와 제2 도어(22)가 열리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면서 제2 도어(22)는 안내부재(30)의 연장방향을 따라 회전축방향으로 제1 도어(18)에 대하여 상대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대이동은 결합부재(50)가 안내부재(30)에 대하여 직선이동이 가능하므로 제1 도어(18)와 제2 도어(22)가 함께 회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또한, 제1, 제2 도어(18, 22)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두 도어(18, 22) 사이의 거리가 약간 벌어질 수 있다. 이러한 두 도어(18, 22) 사이의 거리 변화는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30)가 제2 도어(22) 쪽으로어느 정도 휘어지므로 제1, 제2 도어(18, 22)가 함께 회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휘어졌던 안내부재(30)는 탄성에 의해 도어를 닫으면 다시 원상태로 회복하게 된다. 즉, 제1 도어(18)와 제2 도어(22)가 함께 회전함에 따라 그 거리와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게 되는데, 거리의 변화는 안내부재(30)의 탄성에 의한 휘어짐에 의해 적응되며, 상대적 위치 변화는 그 위치변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결합부재(50)와 안내부재(30)에 의해 적응된다. 외부의 제1 도어(18)만 열고 닫음으로써 동시에 내부의 제2 도어(22)를 무리 없이 열고 닫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내부재(30)가 외부의 제1 도어(18)에 결합되고, 결합부재(50)가 내부의 제2 도어(22)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안내부재(30)가 내부의 제2 도어(22)에 결합되고, 결합부재(50)가 외부의 제1 도어(18)에 결합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내부재(30)가 휘어져 두 도어 사이의 거리변화에 적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거리변화에 적응하는 기구는 이러한 수단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장품 냉장고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빌트인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모든 물품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가구 신발장 내에 빌트인 형식으로 설치되는 신발 살균 건조기와 같은 장치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따르면 앞서서 기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의 도어와 내부의 도어가 서로 상대적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한 안내부재와 결합부재로 연결되고 안내부재가 탄성에 의해 휘어질 수 있으므로 두 도어가 함께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전제품을 빌트인 형식으로 가구에 설치하고 가구의 도어와 가전제품의 도어를 연결함으로써 외부의 가구 도어만의 조작으로 가전제품의 도어를 함께 열고 닫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안내부재가 적당히 휘어질 수 있으므로 안에 수용되는 가전제품의 설치위치에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도어와,상기 제1 회전축선과 평행한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도어와 마주보는 제2 도어 사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상기 제1 도어와 제2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선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재와,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도어에 연결되는 이동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이중도어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휘어질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두 도어의 열림에 의해 도어 사이의 거리변화에 적응하는 이중도어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길이방향 한쪽 끝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도어에 결합되는 이중도어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와 상기 이동결합부재는 상기 두 도어의 열림에 의해 상기 도어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적응하는 구조의 이중도어 연결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가구의 도어이며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가구에 빌트인 형식으로 장착되는 전자제품의 도어인 이중도어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2076U KR200340005Y1 (ko) | 2003-10-13 | 2003-10-13 | 이중도어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2076U KR200340005Y1 (ko) | 2003-10-13 | 2003-10-13 | 이중도어 연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0005Y1 true KR200340005Y1 (ko) | 2004-01-28 |
Family
ID=4934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2076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0005Y1 (ko) | 2003-10-13 | 2003-10-13 | 이중도어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0005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5014B1 (ko) * | 2010-07-14 | 2013-02-21 | 주식회사 파세코 | 의류 건조기용 도어장치 |
KR101240420B1 (ko) | 2010-12-14 | 2013-03-13 | 김형준 | 압력배제형 도어 |
WO2017104974A1 (ko) * | 2015-12-17 | 2017-06-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180003009U (ko) | 2017-04-11 | 2018-10-19 | 이헌 |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
-
2003
- 2003-10-13 KR KR20-2003-0032076U patent/KR200340005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5014B1 (ko) * | 2010-07-14 | 2013-02-21 | 주식회사 파세코 | 의류 건조기용 도어장치 |
KR101240420B1 (ko) | 2010-12-14 | 2013-03-13 | 김형준 | 압력배제형 도어 |
WO2017104974A1 (ko) * | 2015-12-17 | 2017-06-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US10054360B2 (en) | 2015-12-17 | 2018-08-21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KR20180003009U (ko) | 2017-04-11 | 2018-10-19 | 이헌 |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
KR200488836Y1 (ko) * | 2017-04-11 | 2019-03-27 | 이헌 | 이중 여닫이문의 연동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304008B (zh) | 对开门冰箱 | |
CN112282540A (zh) | 带有活动板的冰箱 | |
KR19990064086A (ko) | 냉장고용 온도제어장치 | |
KR20160016248A (ko) | 식기세척기 | |
KR102258640B1 (ko) | 팬 장치 | |
CN112282545A (zh) | 冰箱 | |
KR200340005Y1 (ko) | 이중도어 연결구조 | |
KR200442481Y1 (ko) | 전기 콘트롤박스용 이중문 | |
CN106642964A (zh) | 抽屉组件及具有该抽屉组件的冰箱 | |
CN112282549A (zh) | 带有关门抓紧结构的冰箱 | |
KR100575226B1 (ko) | 냉장고용 도어개방장치 | |
TWI863176B (zh) | 用於使傢俱部件運動的驅動設備、用於將驅動設備固定在傢俱部件上的固定元件、驅動單元、傢俱部件運動單元及傢俱 | |
CN219864586U (zh) | 一种采用内铰链结构的电器 | |
KR20030065739A (ko) |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 |
CN221430995U (zh) | 阻尼铰链机构、门箱设备以及水槽式洗碗机 | |
CN222391217U (zh) | 悬停机构及冰箱 | |
KR200246392Y1 (ko) | 콘트롤 패널 도어의 개폐구조 | |
KR200272034Y1 (ko) | 가구용 힌지 스프링 | |
KR100520811B1 (ko) | 다중캠 힌지장치 | |
KR20020069982A (ko) | 다 방향 도어 | |
KR200202532Y1 (ko) | 탈부착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 힌지 | |
KR20010029798A (ko) | 가구류 경첩의 보호커버 | |
KR0121588Y1 (ko) | 2중 동작 노브 | |
KR20060132392A (ko) | 냉장고 | |
JP2001275767A (ja) | キャビネ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1013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401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101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