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38770Y1 - 이중 누분 방지 구조를 가진 분말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누분 방지 구조를 가진 분말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770Y1
KR200338770Y1 KR20-2003-0027800U KR20030027800U KR200338770Y1 KR 200338770 Y1 KR200338770 Y1 KR 200338770Y1 KR 20030027800 U KR20030027800 U KR 20030027800U KR 200338770 Y1 KR200338770 Y1 KR 200338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ntainer
opening
cap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태
Original Assignee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프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7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7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7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분말 수용부(210), 분말 수용부(210)의 개구부(211)의 개구에 끼워 맞춤되는 패킹(220), 분말 수용부(210)의 개구부(211)와 나사 결합되는 원형 평면 단면 모양의 내캡(230) 및 분말 수용부(210)의 걸림돌기(212)에 단턱(252)이 결합됨으로써 분말 수용부에 결합되는 외캡(2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말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분말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해 종래의 분말 화장품 용기에 플라스틱 패킹 및 퍼프 수용 공간을 갖는 내캡을 추가함으로써 분말 미세화 기술의 발전에 따른 미세 분말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내캡에 분말을 덜어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소비자의 사용성도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누분 방지 구조를 가진 분말 화장품 용기{Container for powdery cosmetics having double structure for preventing leak of powder}
본 고안은 분말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분말상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를 가진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분말 수용부(210), 분말 수용부(210)의 개구부(211)의 개구에 끼워 맞춤되는 패킹(220), 분말 수용부(210)의 개구부(211)와 나사 결합되는 원형 평면 단면 모양의 내캡(230) 및 분말 수용부(210)의 걸림돌기(212)에 단턱(252)이 결합됨으로써 분말 수용부에 결합되는 외캡(2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말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분말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분야에서 분말의 미세화는, 기능성을 갖는 새로운 화장품 성분의 개발 및 응용과 더불어 가장 중시되는 기술의 한가지로써, 분말 미세화 기술의 발전, 특히 나노기술(NT:nanotechnology)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분말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개발도 또한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72671호는 파우더형 화장품을 수장한 트레이의 상향으로 비산 방지 메시가 안치되며 비산 방지 메시의 상부에 퍼프가 안치된 파우더형 화장품 용기와 힌지로 개폐되는 뚜껑으로 구성된 파우더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트레이의 일측 상단 표면에 힌지편을 형성하여 비산 방지 메시의 저부에 충적된 파우더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비산 방지메시의 상부면과 밀착된 일측에 힌지편이 형성된 파우더 유출 방지 캡과 힌지 결합한 구조와 유출 방지캡과 트레이의 접촉 부분에 고무소재를 갖는 밀폐 패킹 또는 밀폐막을 부착시킨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파우더와 퍼프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파우더가 퍼프의 일측면에 다량 흡착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파우더가 용기 내부에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사용상 간편하고 용기 내부 곳곳에 파우더가 흩어져 용기를 더럽히는 제반 단점을 미연에 예방 할 수 있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50798호는 일측의 힌지부에 의해 수납부가 형성된 몸체와 내측면에 거울이 부착된 덮개가 열고 닫혀질 수 있도록 형성된 화장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는 화장분말 및 퍼프가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저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내경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경면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화장분 용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구조에 의해 화장분 용기에 수납되어 있는 화장분말이 화장분 용기의 외부로 이탈되어 분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사용상의 청결성과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24632호는 화장품을 수납하는 본체와, 커버 및 화장도구를 수납하는 파렛트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결합부 상단에는 외측면을 따라 단차진 결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렛트의 상단에는 외측면을 따라상기 결합부의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역 'U'자형의 결합괘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부를 따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게 결합하여 이루어진 기밀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구조에 의해 본체의 상부 결합부로 파렛트의 상단이 역 'U'자 형대로 감싸도록 결합되면서 내부의 화장품 분말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화장품 케이스는 물론 화장품 케이스를 보관하는 가방의 청결성을 확보하게 됨은 물론, 화장품의 로스를 방지하여 경제적이게 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분말 화장품 용기들이 분말의 미세화 기술의 발전에 따른 나노 크기를 갖는 미세 분말의 누출을 방지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나노 크기의 미세 분말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구조의 분말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도 1은 종래의 분말용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분말 누출 방지 구조의 분말 화장품 용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분말 누출 방지 구조의 분말 화장품 용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분말 누출 방지 구조의 분말 화장품 용기의 일 실시예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210 : 분말 수용부 211 : 개구부
212 : 걸림돌기 214 : 숫나사
130 : 파렛트
220 : 패킹 221 : 플랜지
223 : 구멍 224 : 필름
230 : 내캡 231 : 암나사
232 : 오-링 233 : 요철
234 : 내부 원통 235 : 외부 원통
150, 250 : 외캡 252 : 단턱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분말 화장품 용기의 캡을 외캡과 내캡으로 나누고, 나사식으로 돌려서 탈착하는 방식의, 파우더의 소분 보관 및 화장 도구, 예를 들어, 퍼프의 보관소 역할을 하는 파렛트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내캡과 그 내캡의 하부에는 누분을 방지하는 패킹을 장착함으로써 나노 크기의 미세 분말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즉, 본 고안은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분말 수용부(210), 분말 수용부(210)의 개구부(211)의 개구에 끼워 맞춤되는 패킹(220), 분말 수용부(210)의 개구부(211)와 나사 결합되는 원형 평면 단면 모양의 내캡(230) 및 분말 수용부(210)의 걸림돌기(212)에 단턱(252)이 결합됨으로써 분말 수용부에 결합되는 외캡(2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말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분말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것은 본 고안을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한정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해석되고 한정되어야 한다.
먼저, 도 1은 종래의 분말 화장품 용기에서, 분말용 화장품 용기의 누출 방지 구조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면, 분말 수용부(110)의 개구부(112)에 화장용 퍼프(140)를 수용할 수 있는 파렛트(130)를 삽입하여 조립하고 그 위에 걸림돌기(121)가 내측에 형성된 캡(120)을 분말 수용부(110)의 개구부에 조립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는 점점 더 미세화되어 가고 있는 화장품 분말 입자의 누출을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본 고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분말 누출 방지용 분말 화장품 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분말 누출 방지용 분말 화장품 용기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예시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분말 누출 방지용 분말 화장품 용기는 크게 아래에서부터 분말 수용부(210), 패킹(220), 내캡(230) 및 외캡(250)을 순차적으로 조립한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 이들 각 구성 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의 일부를 이루는 하부 구조, 즉, 분말 수용부(210)는 화장품 업계 및 그 용기를 제조하는 업체에서 통상적으로 제조 및 사용되는 임의의 형태일 수 있고, 용기의 칫수(dimension)도 수납되는 분말 또는 케익의 양과 형상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으며, 외부 형상 또한 전체적으로 원기둥, 사각기둥, 육각기둥 등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각 모서리는 각진 형태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안전이나 미관상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rounding)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개구부(211)의 형상은 필수적으로 원형 평면 단면 모양을 가져야 하고, 내캡(230)을 조립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개구부(211)의 외주연에는 숫나사(214))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 숫나사(214))는 내캡(230)에 형성된 암나사(231)와 상호 나사 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개구부(211)의 내주연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내캡(230)의 외주연에 숫나사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패킹(220)을 장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전자가 바람직하다.
원형 개구부(211)의 내경은 사용되는 퍼프(240)의 크기, 패킹(220)의 두께, 내캡(230)의 크기, 외캡(250)의 두께 및 분말 수용부(210)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개구부(211)의 높이도 적절히 조정될 수 있으나, 5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mm 정도가 적당하다.
개구부(211) 및 내캡(230)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높이, 피치 등도 통상의 기준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나사도 연속적으로 한줄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여러개, 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의 나사를 병렬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방식으로 나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220)은 원통형이며 바닥은 폐쇄되어 있어서 아래로 오목한 형상이고 원통의 상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서 외측 수평 방향으로 플랜지(221)가 형성되어 개구부(211)의 상부 면과 접촉하여 패킹(220)을 고정시키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패킹(220)의 측면도 개구부(211)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분말의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기밀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4632호의 도 3의 부분 확대도에서와 같이 플랜지의 끝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연장하고, 개구부의 상단 외주연에 플랜지 수용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패킹(220)의 바닥은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며, 미세 분말이 패킹(220)의 표면에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틈에 끼지 않도록 아주 매끈한, 낮은 표면 조도(roughness)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은 PE 또는 PP, 기타 유연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이 바람직하다. 패킹(220)의 두께는 0.3 내지 1mm 범위일 수 있다.
한편, 패킹(220)의 바닥면(222)에는 구멍(22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멍(223)을 형성하는 경우 바닥면(222)의 상부 표면에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필름(224)이 접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필름(224)을 제거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멍(223)은 그 지름이 약 0.5 내지 3mm 범위일 수 있고, 그 직경은 모든 구멍(222)에 대해 동일할 수도 있고, 중심에서부터 외부로 갈수록 점점 커질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그리고, 구멍(222)의 배열은 방사상, 동심원상 등의 여러 가지 기하학적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균일한 직경을 가지는 구멍(222)들이 방사상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면서 배열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부를 형성하는 내캡(230)은 중심을 공유하는 2개의 원통(234, 235)으로 이루어진 이중 원통 구조로써 내부 원통(234)의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어 있어서 퍼프(240) 또는 소분용 주걱(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는 공간을 확보해 주고, 외부 원통(235) 및 내부 원통(234)은 각각의 상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위에서 보았을 때 도우넛 형상을 이루고 있다. 내부 원통(234)의 외경은 상기 패킹(220)이 조립된 상태에서 내캡이(230) 조립되는 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임의로 조정될 수 있으며, 내부 원통(234)의 외주면은 조립시 상기 패킹(220)의 수직 내면과 밀착되어 패킹(220)을 분말 수용부(210)의 개구부(211)의 내주면과 더욱 밀착되게 하여 분말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 원통(234)의 외경이 상기 패킹(22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부 원통(234)의 내경은 사용되는 퍼프(240) 또는 소분용 주걱을 수용할 수 있는 칫수를 가져야 한다. 외부 원통(235)의 내주면에는 암나사(231)가 형성되어 있어서, 개구부의 숫나사(214)와 나사 결합 (threadlocking)된다. 이 때, 내부 및 외부 원통(234, 235)의 상부가 연결된 도우넛의 저면에는 별도로 분리되는 오-링(O-ring)(232)이 있어서 내캡(230)을 화장품 용기의 하부 구조, 즉 분말 수용부(210) 개구부(211)에 결합시키는 경우 오-링(231)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패킹(220)을개구부(211)의 상단부에 더욱 밀착시킴으로써 분말의 누출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내캡(230)을 분말 수용부(210)의 개구부(211)와 나사결합시키거나 내캡(230)을 개방할 때 큰 힘을 필요로 하므로 내캡(230)의 외부 원통(235) 외주연에는 손과의 마찰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철(23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내캡(230)의 외부 원통(235)의 외형은, 그 내부 모양이 나사 결합에 적합한 원형인 한,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외캡(250)의 개폐 또는 착탈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 사각형, 육각형, 기타 다각형 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도 마찰 증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내캡(230)을 구성하는 내부 및 외부 원통(234, 235)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나, 외부 원통(235)의 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원통(234)의 길이는 10 내지 20mm, 바람직하게는 약 15mm이며, 외부 원통(235)의 길이는 내부 원통보다 약 5mm정도 짧은 것이 일반적이다.
외캡(250)의 모양은 디자인의 일치를 위해 용기 하부 구조, 즉, 분말 수용부(210)의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하부 구조가 사각 기둥인 경우 외캡(250)의 평면 단면 모양도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캡(250)은 용기 하부 구조에 따라 그 결합 방식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의 하부 구조가 원통형인 경우 나사식으로 결합되거나 단턱과 걸림돌기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나, 사각기둥 형상의 경우 나사결합은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외캡(250)은 그 평면 단면 모양이 사각형이고, 평면(2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벽의 하단부에 단턱(252)을 형성하고 그 단턱(252)을 분말 수용부(210)에 형성된 걸림돌기(212)와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외캡(250)과 분말 수용부(210)의 상호 결합 부위는 돌출 부위가 없도록 그 외부 칫수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용기 분말 수용부(210)의 상단부에는 외캡(250)의 두께 및 단턱(252)과 걸림돌기(212)의 결합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칫수를 줄여서 계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분말 누출 방지 구조의 분말 화장품 용기의 일 실시예의 조립 단면도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말 수용부(210)의 개구부(211) 내에 패킹(220)이 삽입되고, 분말 수용부(210)의 개구부(2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214)와 내캡의 외부 원통(234)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231)를 나사 결합시켜 내캡(230)을 조립하고, 외캡(250)의 단턱(252)을 분말 수용부(210)의 걸림돌기(212)를 결합시켜 외캡을 순서대로 조립한 상태를 보여준다. 한편, 내캡의 상부 홈에는 퍼프(240)가 수용되어 있고, 분말 수용부(210)와 외캡(250)의 결합 부위는 칫수가 동일하여 평탄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이들의 복합 재질일 수 있으며, 심미적 효과를 얻기 위해 장식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상표 기타 상품 표지를 부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가 제한 받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분말 화장품 용기에 플라스틱 패킹 및 퍼프 수용 공간을 갖는 내캡을 추가함으로써 분말 미세화 기술의 발전에 따른 미세 분말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내캡에 분말을 덜어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소비자의 사용성도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분말 수용부(210), 분말 수용부(210)의 개구부(211)의 개구에 끼워 맞춤되는 패킹(220), 분말 수용부(210)의 개구부(211)와 나사 결합되는 원형 평면 단면 모양의 내캡(230) 및 분말 수용부(210)의 걸림돌기(212)에 단턱(252)이 결합됨으로써 분말 수용부에 결합되는 외캡(2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말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분말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20)은 하부가 바닥면(222)에 의해 폐쇄된 원통형이고, 그 원통의 상부는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2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말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분말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222)에는 다수의 구멍(223)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223)을 폐쇄하기 위한 필름(224)이 바닥면(222)의 상부 표면 위에 덮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말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분말 화장품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230)은 상부가 서로 연결된 도우넛 형상의 평면 단면 모양을 갖는 이중 원통 구조이고 내부 원통(234)의 하부는 폐쇄되어 있어서 퍼프(240) 또는 분말 소분용 주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말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분말 화장품 용기.
KR20-2003-0027800U 2003-08-29 2003-08-29 이중 누분 방지 구조를 가진 분말 화장품 용기 KR200338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800U KR200338770Y1 (ko) 2003-08-29 2003-08-29 이중 누분 방지 구조를 가진 분말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800U KR200338770Y1 (ko) 2003-08-29 2003-08-29 이중 누분 방지 구조를 가진 분말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770Y1 true KR200338770Y1 (ko) 2004-01-24

Family

ID=4934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800U KR200338770Y1 (ko) 2003-08-29 2003-08-29 이중 누분 방지 구조를 가진 분말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77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115B1 (ko) 2007-01-18 2008-01-28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휴대용 퍼프 케이스
KR200460245Y1 (ko) 2009-04-16 2012-05-10 백진숙 롤 형태의 속눈썹 및 그 속눈썹의 보관용기
KR200462304Y1 (ko) * 2009-03-02 2012-09-06 애경산업(주) 파운데이션 용기
KR101457135B1 (ko) * 2013-05-28 2014-10-31 (주)스피어테크 콤팩트 화장품용 트레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115B1 (ko) 2007-01-18 2008-01-28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휴대용 퍼프 케이스
KR200462304Y1 (ko) * 2009-03-02 2012-09-06 애경산업(주)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60245Y1 (ko) 2009-04-16 2012-05-10 백진숙 롤 형태의 속눈썹 및 그 속눈썹의 보관용기
KR101457135B1 (ko) * 2013-05-28 2014-10-31 (주)스피어테크 콤팩트 화장품용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7388B2 (ja) 粘性化粧料用容器
CA2510072C (en) Plastic container
JP2023169244A (ja) 化粧製品を包装するための再充填可能装置
KR101159307B1 (ko) 화장품 용기
US10562696B2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individually discharging capsules
US20180125198A1 (en) Dual jar cosmetic container
KR101448713B1 (ko) 화장품 용기
JP2005529801A5 (ko)
KR101060826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338770Y1 (ko) 이중 누분 방지 구조를 가진 분말 화장품 용기
CA2605168C (en) Closure arrangement
CN215532318U (zh) 用于排出粉末产品的化妆品包装
JP4293661B2 (ja) 液体化粧料の収納容器
KR200384959Y1 (ko) 회전승강식 액상 화장품 용기
KR100732247B1 (ko) 밀폐 용기
US20240122331A1 (en) Cosmetic container
JP7413621B2 (ja) 容器
KR20220046877A (ko)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KR200498880Y1 (ko) 화장품용기 리필구조
JP2002086991A (ja) 固形物繰り出し容器
KR100920814B1 (ko) 파우더토출구의 개폐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JP7642032B2 (ja) 塗布容器
JP2016123547A (ja) 塗布容器
CN219108879U (zh) 一种多功能化妆品分装盒
CN209750110U (zh) 一种转轴隐形眼镜护理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8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1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9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1026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0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2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