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38413Y1 - 감압밸브 - Google Patents

감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413Y1
KR200338413Y1 KR20-2003-0029581U KR20030029581U KR200338413Y1 KR 200338413 Y1 KR200338413 Y1 KR 200338413Y1 KR 20030029581 U KR20030029581 U KR 20030029581U KR 200338413 Y1 KR200338413 Y1 KR 200338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screw
housing
ring
fastening
reducing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복
Original Assignee
김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복 filed Critical 김종복
Priority to KR20-2003-0029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41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과 체결커버, 그리고 체결커버와 조절나사 사이에 밀폐링을 설치하여 물의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의 수압을 안정화시키는 동시에 조절나사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유입구 내측에 수돗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여과부재를 설치하여 보일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감압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조절나사가 설치되는 체결커버의 조절나사공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나사의 지지축을 따라 슬라이드되게 링고정용 조절나사캡을 설치하되, 상기 링고정용 조절나사캡에 조절나사공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며, 상기 링고정용 조절나사캡의 내측에 지지축의 외주연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조절나사공 단부의 밀폐링을 가압하는 동시에 조절나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관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과 조절나사 사이에 설치되는 체결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우징의 체결단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링턱을 형성하여 상기 링턱과 체결단부 사이에 누수방지를 위한 또 다른 밀폐링을 설치한 것이며,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우징 일측의 유입구 내측에 수돗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여과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압밸브{REDUCING VALVE}
본 고안은 유체의 압력이 사용 목적에 대하여 너무 높을 때 이를 감압하여 일정하게 압력을 유지시키는 감압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체결커버, 그리고 체결커버와 조절나사 사이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우징 내부의 수압을 안정화시키는 동시에 조절나사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유입구 내측에 수돗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여과부재를 설치하여 보일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감압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물을 가열시켜 온수로 만들고 그 온수를 관을 통해 순환시켜 필요한 곳에 공급하거나 난방을 행하도록 하는 설비에 있어서는 물의 가열순환을 위한 보일러가 설치되는데, 현재 이러한 종류의 보일러 설비에는 거의 대부분 수돗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보일러로 공급되는 수돗물은 그 공급수압이 지역에 따라 그리고, 같은 수돗물 공급지역내에서도 지대의 고저등에 따라 차이가 생기게 되는데, 수돗물의 공급수압이 해당 보일러의 작동에 필요한 수압보다 높을 경우에는 이를 적정 수압으로 낮추어 보일러로 유입되게 하거나, 또는 계량기 전에 이를 설치하여 물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계량기의 고장 및 마모를 극소화하고 물값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감압밸브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감압밸브는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었던 바, 이들 중 본 고안과 관련된 감압밸브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134736호에 공지된 것으로서 이의 구성을 도 1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좌, 우측에는 유입구(2)와 유출구(2')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1) 내부에 스프링압력조절나사(6)에 의하여 탄력이 조절되는 코일스프링(5)에 의하여 승하강되도록 상측에 밸브(4)가 결합된 가압판(3)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압력조절나사(6)의 저부에는 별도의 조절손잡이(7)를 결합하여 되는 감압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압력조절나사(6)의 조절손잡이(7)의 설치측 단부에는 복수의 대향 절삭면(9)(9')을 갖는 스토퍼링(8)을 설치하여서 된다.
그리고, 도면 중 미설명부호 10은 압력게이지, 11은 밀폐시일, 12는 가압판(3)을 하우징(1)에 걸착하는 체결커버, 13은 압력게이지(10)를 하우징(1)에 결착하는 체결구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부연하자면, 상기 조절손잡이(7)를 조절하게 되면 스프링압력조절나사(6)가 조여지면서 코일스프링(5)을 수축시키게 되고, 이 코일스프링(5)이 수축되면서 발생하는 탄성에 의하여 가압판(3)과 이에 연설된 밸브(4)가 상승하면서 자동적으로 감압밸브 자체의 압력이 낮아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압력조절나사(6)의 조임위치가 정해진 상태에서 스토퍼링(8)을 조여주면, 이미 조절되어 있는 스프링압력 조절나사(6)의 조임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므로 감압밸브의 압력에 의하여 스프링압력 조절나사(6)가 자체적으로 풀려 설정된 압력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감압밸브는 하우징(1)과 가압판(3) 사이에 하나의 밀폐링이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가압판(3)의 작동에 의해 밀폐링이 마모될 시에는 하우징(1)과 체결커버(12) 사이의 나사부분으로 물이 누수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밀폐링의 마모시 하우징(1)과 체결커버(12) 사이로 누수된 물이 체결커버(12)와 조절나사(6) 사이의 나사부분으로도 물이 누수됨으로써, 감압밸브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감압밸브의 신뢰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동시에 물의 누수에 따른 하우징(1) 내부의 수압이 매우 불안정해져 스프링압력 조절나사(6)를 수시로 조절하여 그 내부의 수압을 조정하여야 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감압밸브에는 수도관과 연결되는 하우징(1) 일측의 유입구(2)에 수돗물 속의 각종 이물질을 걸러주는 그 어떤 수단도 없기 때문에 보일러로 이물질이 침투되어 보일러의 오동작을 초래하거나 물의 유로가 막힘으로써 보일러의 손상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체결커버, 그리고 체결커버와 조절나사 사이에 밀폐링을 설치하여 물의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의 수압을 안정화시키는 동시에 조절나사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유입구 내측에 수돗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여과부재를 설치하여 보일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감압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감압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의 측면도,
도 4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하우징 111:유입구
112:유출구 113:체결단부
114:여과부재 120:조절나사
121:지지축 130:코일스프링
140:밸브 150:가압판
160:조절손잡이 170:링고정용 조절나사캡
171:암나사부 172:고정관
180:밀폐링 190:체결커버
191:조절나사공 192:수나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 우측에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조절나사에 의하여 탄력이 조절되는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승하강되도록 상측에 밸브가 결합된 가압판을 설치하고, 상기 조절나사의 단부에는 별도의 조절손잡이를 결합하여 된 감압밸브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가 설치되는 체결커버의 조절나사공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나사의 지지축을 따라 슬라이드되게 링고정용 조절나사캡을 설치하되, 상기 링고정용 조절나사캡에 조절나사공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며, 상기 링고정용 조절나사캡의 내측에 지지축의 외주연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조절나사공 단부의 밀폐링을 가압하는 동시에 조절나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관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과 조절나사 사이에 설치되는 체결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우징의 체결단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링턱을 형성하여 상기 링턱과 체결단부 사이에 누수방지를 위한 또 다른 밀폐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우징 일측의 유입구 내측에 수돗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여과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의 측면도이며, 도 4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의 단면도이다.
좌, 우측에는 유입구(111)와 유출구(112)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110) 내부에 조절나사(120)에 의하여 탄력이 조절되는 코일스프링(130)에 의하여 승하강되도록 상측에 밸브(140)가 결합된 가압판(150)을 설치하고, 상기 조절나사(120)의 단부에는 별도의 조절손잡이(160)를 결합하여 된 감압밸브에 있어서,
먼저, 상기 조절나사(120)가 설치되는 체결커버(190)의 조절나사공(191) 외주면에 수나사부(192)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조절나사(120)의 지지축(121)을 따라 슬라이드되게 링고정용 조절나사캡(170)을 설치하는데, 상기 링고정용 조절나사캡(170)은 조절나사공(191)의 수나사부(192)와 대응되는 암나사부(171)를 형성하며, 상기 링고정용 조절나사캡(170)의 내측에 지지축(121)의 외주연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조절나사공(113) 단부의 밀폐링(180)을 가압하는 동시에 조절나사(12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관(172)을 구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관(172)은 링고정용 조절나사캡(170)과 일체로 형성하여도 되고, 상기 링고정용 조절나사캡(170)의 내측에 부시(bush)형상의 고정관(172)을 끼움결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과 나사체결되는 체결커버(19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우징(110)의 체결단부(113)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링턱(193)을 형성하여 상기 링턱(193)과 체결단부(113) 사이에 누수방지를 위한 또 다른 밀폐링(194)을 설치한 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 일측의 유입구(111) 내측에 수돗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망상의 여과부재(114)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감압밸브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의 (b)와 같이 하우징(110)의 체결단부(113)에 밀폐링(194)을 설치한 다음, 상기 체결단부(113)에 체결커버(190)를 나사결합하는데, 이때 체결커버(190)의 링턱(193)이 밀폐링(194)을 가압함으로써, 체결단부(113)와 체결커버(190)의 나사부분으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조절나사(120)의 지지축(121)에 링고정용 조절나사캡(170)중앙으로 관통 형성된 고정관(172)을 슬라이드 결합한 다음, 상기 지지축(121)의 단부에 조절손잡이(160)에 결합하여 나사체결함으로써 조절손잡이(160)의 회전에 따라 조절나사(120)가 일체로 동작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체결커버(190)의 조절나사공(191) 단부에 밀폐링(180)을 설치한 다음, 상기 조절나사공(191)에 조절나사(120)를 체결함과 동시에 조절나사공(191)의 수나사부(192)에 링고정용 조절나사캡(170)의 암나사부(171)를 체결하는데, 이때 상기 링고정용 조절나사캡(170)의 고정관(172)이 하강하여 밀폐링(180)을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체결커버(190)의 조절나사공(191)과 조절나사(120) 사이의 나사부분으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고정용 조절나사캡(170)의 고정관(172)이 조절나사(120)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한번 조정된 조절나사(12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감압밸브의 수압을 조절하고자 하면, 도 4의 (b)와 같이 체결커버(190)의 수나사부(192)로부터 링고정용 조절나사캡(170)을 먼저 해제한 다음, 조절나사(120)로 수압을 조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 일측의 유입구(111) 내측에는 망상의 여과부재(114)를 설치한 다음, 수도관을 설치함으로써 수돗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 보일러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계량기 전에 상기 감압밸브를 설치하여 물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계량기의 고장 및 마모를 극소화하고 물값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우징(110)과 체결커버(190), 그리고 체결커버(190)와 조절나사(120) 사이에 밀폐링(180)(194)을 각각 설치하여 물의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의 수압을 안정화시키는 동시에 조절나사(120)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유입구(111) 내측에 수돗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여과부재(114)를 설치하여 보일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좌, 우측에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조절나사에 의하여 탄력이 조절되는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승하강되도록 상측에 밸브가 결합된 가압판을 설치하고, 상기 조절나사의 단부에는 별도의 조절손잡이를 결합하여 된 감압밸브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가 설치되는 체결커버의 조절나사공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나사의 지지축을 따라 슬라이드되게 링고정용 조절나사캡을 설치하되, 상기 링고정용 조절나사캡에 조절나사공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며, 상기 링고정용 조절나사캡의 내측에 지지축의 외주연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조절나사공 단부의 밀폐링을 가압하는 동시에 조절나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관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과 조절나사 사이에 설치되는 체결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우징의 체결단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링턱을 형성하여 상기 링턱과 체결단부 사이에 누수방지를 위한 또 다른 밀폐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감압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일측의 유입구 내측에 수돗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여과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감압밸브.
KR20-2003-0029581U 2003-09-18 2003-09-18 감압밸브 Ceased KR200338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581U KR200338413Y1 (ko) 2003-09-18 2003-09-18 감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581U KR200338413Y1 (ko) 2003-09-18 2003-09-18 감압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671A Division KR100515474B1 (ko) 2003-09-18 2003-09-18 감압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413Y1 true KR200338413Y1 (ko) 2004-01-16

Family

ID=4942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581U Ceased KR200338413Y1 (ko) 2003-09-18 2003-09-18 감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4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3061B2 (en) Fluid regulator with field convertible slam-shut device
CA2401988C (en) Mixing valve
RU2500956C2 (ru) Клапан с функцией δр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и функцией ограничения потока
CN112253776B (zh) 一种带过滤功能的阀门
KR20150024789A (ko) 감압 밸브
TWI633248B (zh) 具有可替換匣的閥
RU24610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KR20190052662A (ko) 차압유량조절밸브
KR100515474B1 (ko) 감압밸브
KR200338413Y1 (ko) 감압밸브
EP1169592B1 (en) Pressure reducing valve
CN105020415A (zh) 一种多功能调节截止阀
AU2013273691B2 (en) Excess Pressure Safety Relief Valve
US4982758A (en) Regulator with fluid supported and operated diaphragm
KR200254789Y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KR101049962B1 (ko) 복합밸브
EP1178250B1 (en) Self-closing valve
GB2457373A (en) Valve arrangement for isolating a radiator and central heating system
KR200295869Y1 (ko) 감압 밸브
KR100953701B1 (ko)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
KR20170045682A (ko) 릴리프 밸브 일체형 엔진 블럭
KR200400828Y1 (ko) 자동 온도조절 밸브
KR100742656B1 (ko) 자동 온도조절 밸브
KR200368321Y1 (ko)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RU2206013C2 (ru) Регулятор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18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1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9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09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0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51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