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36823Y1 -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 Google Patents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823Y1
KR200336823Y1 KR20-2003-0030025U KR20030030025U KR200336823Y1 KR 200336823 Y1 KR200336823 Y1 KR 200336823Y1 KR 20030030025 U KR20030030025 U KR 20030030025U KR 200336823 Y1 KR200336823 Y1 KR 200336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locking device
safety
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철 왕 임
Original Assignee
철 왕 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철 왕 임 filed Critical 철 왕 임
Priority to KR20-2003-0030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8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823Y1/ko
Priority to US10/770,662 priority patent/US20050072086A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0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1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to prevent opening by childr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유아보호용 안전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일측에 부착된 축봉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지지틀로 구성되어 통상의 문틀에 설치되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측 상단에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며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기 도어를 구속하는 잠금핀으로 구성된 도어잠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내에는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에 끼워져 작동하는 아암 및 상기 아암과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며 상기 잠금핀을 잡아 당겨 도어의 잠금을 해지하는 작동판이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safety door for a baby protection}
본 고안은 일반적인 문틀에 설치되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에 도어잠금장치를 구비하여 집안의 문틀에 설치토록 하으로서 유아들을 방안에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호기심 등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함에 따라 돌발적인 행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집안에서도 부모 등의 보호자들에게 항시 보호를 받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유아들을 항시 보살펴야 하는 것은 보호자들로 하여금 많은 번거로움을 가져올 뿐 아니라 집안일등 개인생활에 많은 지장을 가져오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대다수의 부모들은 아이를 방안이나 안전한 곳에 유아를 가둬놓은 후, 집안 일을 하게 되나 이 경우에는 유아들이 갇혀있다는 강박감과 혼자라는 두려움으로 인해 방밖으로 기어 나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집안에서 출입을 위하여 설치되는 각종 문틀에 별도의 유아보호용 안전도어를 설치함으로서 유아들을 방안에 보다 안전히 보호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상기 도어에 도어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유아들이 상기 도어를 손쉽게 열 수 없도록 한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수단인 잠금핀을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자동으로 잠길 수 있도록 구성한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상단에 보조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서 도어의 잠김을 보다 더 견고히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부착된 축봉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지지틀로 구성되어 통상의 문틀에 설치되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측 상단에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기 도어를 구속하는 잠금핀으로 구성된 도어잠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에 끼워져 작동하는 아암 및 상기 아암과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며 상기 잠금핀을 잡아 당겨 도어의 잠금을 해지하는 작동판이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도어잠금장치와 보조잠금장치의 상세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a 와 도 3b는 도 2에서 도시한 도어잠금장치의 동작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보조잠금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a와 도 5b는 도 4에서 도시한 보조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지하기 위한 동작상태를 위에서 도시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 20: 도어잠금장치
22: 본체 24: 손잡이부
28: 회동판 30: 아암
32: 핀 36: 잠금핀
38: 돌출테 40, 58, 74: 스프링
44: 작동판 50: 와이어
52: 수직잠금핀 54: 브라켓
60: 보조잠금장치 64: 슬라이딩판
76: 스토퍼 100: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우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인 유아보호용 안전도어(100)는 통상 직사각의 형상으로 일측에 부착된 축봉(1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개폐되는 도어(10)와, 상기 도어(10)의 외측 둘레에 부착되어 도어(10)를 지지하는 도어지지틀(14)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아보호용 안전도어(100)는 도어고정부재(18)를 이용하여 주거지내 방 안 밖으로 출입을 위하여 설치된 각종 문틀(5)에 설치되어 유아를 방안에서 손쉽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10)는 문틀(5)보다 절반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도어(10)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보호자들이 방안을 손쉽게 볼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행동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도어(10)는 축봉(12)을 중심으로 해서 양방향으로 열 수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보호자가 방안에 있는 유아를 데리고 나올 경우 도어(10)를 보다 편리하게 열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도어(10)의 일측 상단에는 유아들이 상기 도어(10)를 열지 못하도록 도어잠금장치(20)가 설치되며, 이러한 도어잠금장치(20)의 상세구성을 도 2와 도 3a를 참조하여 후술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도어잠금장치(20)는 어느 한면에 손잡이부(24)를 구비한 본체(22)와, 상기 본체(22),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22)내에 일체 형성된 격벽(34)사이에 설치되며 스프링(40)의 탄발력으로 도어지지틀(14)의 잠김 홈(17)에 끼워져 상기 도어(10)를 구속하는 잠금수단인 복수개의 잠금핀(3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핀(36)은 상기 손잡이부(24)의 작동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작동판(44)에 의해 후진 이동하며 도어(10)의 구속을 해지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잠금핀(36)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판(44)과 손잡이부(24)와의 연결구성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손잡이부(24),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24)에 돌출 형성된 사각봉(26)에는 회동판(28) 및 아암(30)이 순차적으로 끼워져 상기 손잡이부(24)의 작동에 따라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30)의 선단에 돌출 형성된 핀(32)은 전술한 잠금핀(36)에 조립되어 있는 작동판(44)의 요홈(48)에 끼워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상기 작동판(44)은 아암(30)의 회동에 따라 수평으로 후진 이동하게 된다. 즉, 도어지지틀(14)의 잠김홈(17)에 끼워져 상기 도어(10)를 구속하는 잠금핀(36)은 손잡이부(24)의 작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판(28) 및 아암(30)과, 상기 아암(30)과 연결되어 후진 이동하는 작동판(44)에 의해 수평으로 후진 이동하며 잠김홈(17)에서 이탈함으로서 도어(10)의 잠김을 해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10)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잠금핀(36)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수직잠금핀(52)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보다 더 상세히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즉, 도 2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하단에는 내부에 공간부(56)를 가지는 브라켓(54)이 설치 고정되며, 이 브라켓(54)의 공간부(56)로 수직잠금핀(52)이 설치되어 스프링(58)의 탄발력으로 상기 도어(10)의 잠김홈(19)에 끼워짐으로서 상기 도어(10)를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잠금핀(52)은 전술한 손잡이부(24)의 작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판(28)과 와이어(52)로 연결되어 상기 회동판(28)의 작동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며 도어(10)의 잠김홈(19)에서 이탈하여 도어(10)의 잠김을 해지하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잠금핀(52)을 도어잠금장치(20)의 회동판(28)과 와이어(50)로 연결 구성함으로서 상기 수직잠금핀(52)은 도어잠금장치(20)의 작동과 동시에 회동판(28)의 회동으로 동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어(10)를 구속하는 수단인 잠금핀(36)과 수직잠금핀(52)은 언급한 바와 같이 스프링(40, 58)의 텐션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도어(10)를 닫을 경우 도어지지틀(14)의 잠김홈(17, 19)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도면에 미 도시 함)을 타고 미끄러지며 자동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도어(10)는 닫힘과 동시에잠금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잠금장치(20)의 상단에는 별도의 보조잠금장치(60)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잠금장치(60)의 구성을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보조잠금장치(60)는 상기 도어잠금장치(2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레일(62)을 타고 수평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판(64)을 가지며, 이 슬라이딩판(64)은 전술한 도어지지틀(14)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80)에 끼워짐으로서 도어(10)를 구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62)에 형성되어 있는 홈(72)에는 스프링(74)과 스토퍼(76)가 차례로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토퍼(76)는 상기 스프링(74)의 탄발력으로 상기 슬라이딩판(64)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10)를 구속하기 위하여 슬라이딩판(64)을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스토퍼(76)는 상기 슬라이딩판(64)의 레일(7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판(64)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68)에 스프링(74)의 탄발력으로 삽입됨으로서 슬라이딩판(64)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슬라이딩판(64)을 고정하게 됨으로서 도어(10)를 구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멍(68)에는 별도의 누름핀(66)이 삽입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누름핀(66)을 삽입시킨 것은 상기 구멍(68)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판(64)을 단속하는 스토퍼(76)를 눌러 구멍(68)에서 이탈시킴으로서 상기 슬라이딩판(64)의 고정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미설명부호 42는 커버를 칭한 것으로서, 상기 커버(42)는 본체(22)의격벽(34)에 결합되어 스프링(4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의 작동상태를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도어잠금장치(20)에 의해 항시 잠김상태에 있는 도어(1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도어잠금장치(20)의 손잡이부(24)를 작동시킴으로서 도어잠금장치(20)의 잠금을 간편히 해지하여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24)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24)에 연결된 회동판(28) 및 아암(30)이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아암(30)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판(44)이 수평으로 후진이동하며 도어지지틀(14)의 잠김홈(17)에 삽입되어 있는 잠금핀(36)을 당겨줌으로서 도어(10)의 잠김을 간편히 해지하여 도어(10)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10)의 하단에 설치되어 도어(10)를 구속하는 수직잠금핀(52) 역시 상기 도어잠금장치(20)의 작동과 동시에 작동하여 도어(10)의 잠김을 해지하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24)의 작동으로 회동판(28)이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회동판(28)과 와이어(50)로 연결되어 있는 수직잠금핀(52)은 상기 회동판(28)에 의해 위로 당겨져 도어지지틀(14)의 잠김홈(19)에서 이탈하게 됨으로서 도어(10)의 잠김을 해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개방된 도어(10)를 폐쇄 즉, 다시 닫게 되면 상기 잠금핀(36)과 수직잠금핀(52)이 스프링(40, 58)의 탄발력에 의해 도어지지틀(14)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잠김홈(17, 19)에 자동으로 삽입됨으로서 도어(10)는 닫혀짐과 동시에 자동으로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잠금장치(20)의 고장이나 혹은 도어(10)의 잠금을 보다 더 견고히 하기 위하여 보조잠금장치(60)를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판(64)을 잡고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판(64)은 도어지지틀(14)의 상단에 형성된 돌기(80)에 끼워지게 됨으로서 도어(10)는 잠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판(64)이 돌기(80)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판(64)은 가이드레일(62)에 삽입되어 있는 스토퍼(76)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판(64)이 일측(도면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토퍼(76)는 스프링(74)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판(6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68)으로 삽입됨으로서 슬라이딩판(64)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동하여 도어(10)를 구속하는 보조잠금장치(60)를 해지하고자 할 경우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판(64)의 구멍(68)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핀(66)을 눌러주게 되면 상기 구멍(68)에 삽입되어 있던 스토퍼(76)가 이탈하게 됨으로서 슬라이딩판(64)은 고정이 해지된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측(도면에서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어(10)의 구속을 해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거지내 방 안팎으로 출입을 위하여설치되는 각종 문틀에 별도의 유아보호용 안전도어를 설치하고 이 안전도어에 잠금수단인 도어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유아를 방안에 보다 안전히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잠금수단인 잠금핀을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서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자동으로 잠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상단에 보조잠금장치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서 도어의 잠김을 보다 더 견고히 할 수 있으며 도어잠금장치의 고장시에도 본 고안인 안전도어를 잠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측에 부착된 축봉(1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도어(10)와, 상기 도어(10)를 지지하는 도어지지틀(14)로 구성되어 통상의 문틀(5)에 설치되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일측 상단에는 손잡이부(24)를 구비한 본체(22)와, 상기 본체(22)내에 설치되며 스프링(40)의 탄발력으로 상기 도어(10)를 구속하는 잠금핀(36)으로 구성된 도어잠금장치(20)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22)내에는 상기 손잡이부(24)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판(28)과, 상기 회동판(28)에 끼워져 작동하는 아암(30) 및 상기 아암(30)과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며 상기 잠금핀(36)을 잡아 당겨 도어(10)의 잠금을 해지하는 작동판(44)이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하단에는 스프링(58)의 탄발력으로 상기 도어(10)를 구속하는 수직잠금핀(52)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잠금핀(52)은 상기 회동판(28)과 와이어(50)로 연결되어 상기 회동판(28)의 작동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며 도어(10)의 잠금을 해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잠금장치(20)의 상단에는 보조잠금장치(60)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잠금장치(60)는;
    상기 도어잠금장치(2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레일(62)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도어지지틀(14)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80)에 끼워져 상기 도어(10)를 구속하는 슬라이딩판(64)과,
    상기 가이드레일(62)의 끼워지며 스프링(72)의 탄발력으로 상기 슬라이딩판(6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68)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판(64)을 고정시키는 스토퍼(7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안전도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68)에는 상기 스토퍼(76)를 푸싱하여 슬라이딩판(64)의 고정을 해지하는 누름핀(66)이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KR20-2003-0030025U 2003-09-23 2003-09-23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Expired - Lifetime KR200336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025U KR200336823Y1 (ko) 2003-09-23 2003-09-23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US10/770,662 US20050072086A1 (en) 2003-09-23 2004-02-03 Child safety door having door loc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025U KR200336823Y1 (ko) 2003-09-23 2003-09-23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823Y1 true KR200336823Y1 (ko) 2003-12-24

Family

ID=3438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025U Expired - Lifetime KR200336823Y1 (ko) 2003-09-23 2003-09-23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072086A1 (ko)
KR (1) KR2003368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8760A (zh) * 2013-12-09 2014-03-12 张燕兵 一种门栏定位回弹转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807U (ja) * 2014-03-10 2014-05-29 株式会社シーエー産商 幼児用ゲート
JP3191949U (ja) * 2014-03-10 2014-07-24 株式会社シーエー産商 幼児用ゲート
US10975621B2 (en) * 2017-09-14 2021-04-13 Dorel Juvenile Group, Inc. Security gate with closer system
CN112482944B (zh) * 2020-12-23 2024-09-24 浙江金大门业有限公司 儿童滑梯门
CN115680389A (zh) * 2022-12-16 2023-02-03 浙江贝特日用品有限公司 一种安全门儿童锁机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0611A (en) * 1972-03-24 1975-10-07 Cleveland Hardware & Forging Multiple latch lock assembly and method
US4746152A (en) * 1987-08-27 1988-05-24 Willcox Robert L Door lock
US5472248A (en) * 1994-01-13 1995-12-05 Chautauqua Hardware Company Surface/cremone bolt
US5722203A (en) * 1996-09-09 1998-03-03 Staples; Donald E. Prehung door installation aid
IT1296552B1 (it) * 1997-11-14 1999-07-09 Italiana Serrature Affini Serratura a scrocco, e catenaccio con azionamento in chiusura del catenaccio contemporaneamente allo scrocco.
TW370154U (en) * 1998-07-08 1999-09-11 shu-zhen Zheng Modification of safety door railing
TW420228U (en) * 2000-02-25 2001-01-21 Jeng Shu Jen Locking device for guard rail door
TW472823U (en) * 2001-03-07 2002-01-11 Tung Pang Ind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security door fe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8760A (zh) * 2013-12-09 2014-03-12 张燕兵 一种门栏定位回弹转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72086A1 (en)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6823Y1 (ko)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KR200489050Y1 (ko) 베이비룸용 문고리장치
KR100309144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1615326B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KR101409957B1 (ko)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JP4025349B1 (ja) 係止具および係止具を利用したドアストッパー
KR20110107272A (ko) 안전봉 어셈블리
KR200492142Y1 (ko) 울타리용 문고리
KR200461180Y1 (ko) 회전 잠금 타입 창문용 잠금장치
KR200487113Y1 (ko) 베이비룸용 문고리
JP4372794B2 (ja) ペット用ケージ
JP4384579B2 (ja) ドアガード
US20090188693A1 (en) Electrical-Outlet Faceplate with Hinged Cover Doors
CN210249283U (zh) 一种安全门护栏
JP4462625B2 (ja) 両開きドア
KR100755514B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JP2008178366A5 (ko)
KR200298383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KR200226280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JP7438042B2 (ja) 戸当り装置
KR102831950B1 (ko) 도어 방범스토퍼장치
CN219509411U (zh) 一种开锁组件和电控推杆锁
KR102151620B1 (ko) 방 개폐 장치
KR101271204B1 (ko) 안전봉 어셈블리
JP3696572B2 (ja) 開き戸の閉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9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9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122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4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