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404Y1 - 스노우 보드 - Google Patents
스노우 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6404Y1 KR200336404Y1 KR20-2003-0028610U KR20030028610U KR200336404Y1 KR 200336404 Y1 KR200336404 Y1 KR 200336404Y1 KR 20030028610 U KR20030028610 U KR 20030028610U KR 200336404 Y1 KR200336404 Y1 KR 20033640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nowboard
- present
- effective edge
- board
- eas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656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06—Appearance of the ski-tip, the rear end or the upper ski-edg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전환이 용이한 스노우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이 매우 간편하고, 회전시 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안된 방향전환이 용이한 스노우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보드(1)는, 보드를 구성하는 몸체(10)의 선단(Nose)과 후단(Tail)부가 각각 밴딩처리되어 상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양측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과 제어동작을 위한 유효엣지(12)가 형성되며, 상기 유효엣지(12)를 이루는 몸체(10) 양측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경사면(12a)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노우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노우 보드의 일부 형상을 변경한 단순구조에 의해 조작이 매우 간편하고, 스노우 보딩시 회전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스노우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노우 보드(snow board)는 미국 산악지방에서 스키의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 널빤지 등을 이용한 것이 유래되어,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겨울철 스포츠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현재 젊은이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게 되면서 겨울철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스노우 보드의 구성 몸체는 플레이트·바인딩·부츠·덕패드·리슈코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플레이트는 보드의 휨성 및 회전, 무게 등에 따라 세분화되어 알파인 스타일, 프리스타일, 올라운드 스타일로 나뉜다.
또한, 플레이트는 노즈·테일·엣지·베이스·탑·유효엣지·접촉면·인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평한 면에 보드를 놓았을 때 중앙부에 생기는 틈을 캠버라고 한다.
한편, 프리스타일의 경우에는 휨성이 좋고 앞과 뒤의 구분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초보자들에게 적합하고, 알파인 스타일의 경우에는 주로 스피드와 스라롬 카빙턴 등을 위한 보드로 사용된다.
이러한 스노우 보드를 이용한 스노우 보딩은 주로 겨울철 눈덮힌 산이나 언덕등의 비탈진 곳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드에 바인더 밴드나 로킹 홀 등으로 부츠를 일체화시킨 뒤, 발의 앞꿈치와 뒤꿈치를 이용하여 방향 전환 및 몸의 균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스피드를 즐기는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스노우 보드의 주행 기술을 완전히 숙지하고 있지 못한 초보자들의 경우에는 주행시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상당히 어려울 뿐만아니라, 조향도 쉽게 할 수 없어 효과적인 스노우 보딩을 즐길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스노우 보드(100)의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몸체(12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선단(Nose) 또는 후단(Tail)부가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평판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주행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나, 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시 보드(10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엣지(Edge)(120a)부분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탑승자의 역동작에 의해서 쉽게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활강시에는 회전에 따른 방향전환이 용이하지 않아 쉽게 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타박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노우 보드를 구성함에 있어 스노우 보딩시 실제로 눈과 접하게 되는 유효엣지(Effective Edge)부분에 상향경사면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스노우 보드의 회전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노우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의 선단(Nose)과 후단(Tail)부가 각각 상부측 방향으로 밴딩처리되어 경사지게 형성되고 양측면부에 회전과 제어동작을 위한 유효엣지(Effective Edge)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효엣지(Effective Edge)를 이루는 몸체의 양측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향경사면을 일체로 형성하여 보드의 회전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노우 보드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 보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 보드의 A-A선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 보드의 B-B선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 보드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노우보드 10 : 몸체
12 : 유효엣지(Effective Edge) 12a: 상향경사면
B : 부츠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 보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 보드의 A-A선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 보드의 B-B선단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 보드의 회전동작시 유효엣지(Effective Edge)부분의 상향경사면이 눈바닥과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의 선단(Nose)과 후단(Tail)부가 각각 상부측 방향으로 밴딩처리되고, 몸체(10)의 양측의 길이방향으로 보드의 회전과 제어동작을 위한 엣지가 형성된 스노우 보드(1)에 있어서,
상기 스노우 보드(1)는, 스노우 보드의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과 제어동작을 위한 유효엣지(12)를 구비하며, 상기 유효엣지(12)는 스노우 보드 몸체(10)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향하는 상향경사면(12a)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향경사면(12a)은 첨부도면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양측의 경사단면이 약3°~ 5°정도의 완만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여 실제로 눈바닥과 접하게 되는 유효엣지(Effective Edge)(12) 부분의 회전성과 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공되고 있는 스노우 보드(1)의 종류에 따라서, 보드(1)의 회전성과 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는 최적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는 통상적으로 고분자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며, 보드(1)의 가장자리 즉, 엣지(Edge)부분은 금속재질로 감싸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스노우 보드(1)를 이용한 스노우 보딩은 주로 눈덮힌 산이나 언덕등의 비탈진 곳에서 실시하게 되는데, 먼저 사용자가 출발지점에 스노우 보드(1)를 위치시킨 후, 하강하기에 적당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기 스노우 보드(1)의 몸체(10) 상부면에 올라타게 된다.
이때, 상기 스노우 보드(1)의 탑승방법은 통상적으로 스노우 보드 몸체(10)의 상부면에 고정된 바인더(미도시됨)상에 사용자의 부츠(B)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탑승하게 되며, 탑승이 완료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하중을 이용해서 하강하여 비탈진 경사면을 주행이 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스노우 보드(1)의 베이스가 눈 위를 미끄러지면서 빠른 속도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신체는 적정한 하강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앞으로 약간 숙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발의 앞꿈치와 뒤꿈치를 이용하여 몸의 균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스피드한 스노우 보딩을 즐기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방향전환을 위해 적정한 위치에서 회전(turn)을 실시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 부분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무게중심이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보드(1)의 몸체(10) 부분은 첨부도면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측의 상향경사면(12a)이 눈 아래로 위치하게 되고, 타측의 상향경사면(12a)이 눈위로 떠 있는 상태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상기 스노우 보드(1)의 유효엣지(12)부분에 형성된 상향경사면(12a)이 눈위에 밀착되면서 자연스럽게 미끌어지게 되어, 스노우 보드(1)의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회전시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상향경사면(12a)은 눈바닥면과 밀착된 경사면이 상기 바닥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역동작에 의해 쉽게 넘어지거나 미끌어지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강 도중에 속도를 가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스노우 보드(1) 몸체(10)를 일측으로 기울여, 상기 스노우 보드(1)의 베이스와 눈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최대한 감소시킨 상태로 주행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스노우 보드(1)는 실제로 눈과 직접 접하게 되는 상향경사면(12a)이 눈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스피드한 스노우 보딩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전환이 용이한 스노우 보드에 의하면, 스노우 보딩시 눈과 실제로 접하게 되는 스노우 보드의 유효엣지(Effective Edge) 부분에 상부측으로 경사진 상향경사면을 형성하여 회전성과 안전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효과적인 스노우 보딩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조작이 매우 간편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 스노우 보드 몸체의 선단(Nose)과 후단(Tail)부가 각각 밴딩처리되어 상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양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엣지(Edge)가 형성된 스노우 보드에 있어서,상기 스노우 보드는,상기 스노우 보드의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과 제어동작을 위한 유효엣지를 일체로 구비하며,상기 유효엣지는 스노우 보드 몸체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향하는 상향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향경사면은 경사단면이 약3°~ 5°정도의 완만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보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8610U KR200336404Y1 (ko) | 2003-09-05 | 2003-09-05 | 스노우 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8610U KR200336404Y1 (ko) | 2003-09-05 | 2003-09-05 | 스노우 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6404Y1 true KR200336404Y1 (ko) | 2003-12-18 |
Family
ID=4942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8610U Expired - Fee Related KR200336404Y1 (ko) | 2003-09-05 | 2003-09-05 | 스노우 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640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3771A (ko) | 2014-10-30 | 2016-05-13 | 주식회사 경동스포츠 | 텐션조절기능을 갖는 스노우보드 |
-
2003
- 2003-09-05 KR KR20-2003-0028610U patent/KR200336404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3771A (ko) | 2014-10-30 | 2016-05-13 | 주식회사 경동스포츠 | 텐션조절기능을 갖는 스노우보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80078A (en) | Double-edged snowboard | |
US4974868A (en) | Modified snowboard | |
US4223909A (en) | Ski with improved three-dimensional running surface | |
US20030151215A1 (en) | Sliding device | |
US7823892B2 (en) | Snowboard | |
US20060097484A1 (en) | Snow skates | |
US20020008360A1 (en) | Snowboard having an elevated deck | |
US20110079986A1 (en) |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and Method | |
US6986525B2 (en) | Board for gliding over snow with improved shovel and tail turn-up | |
US6254111B1 (en) | Snowboard with braking maneuvering and bindings features | |
KR200336404Y1 (ko) | 스노우 보드 | |
US9352766B2 (en) | System for gliding on snow with improved mobility | |
US20150375086A1 (en) | Sliding snow device | |
KR20100089435A (ko) | 휨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된 스노우보드 | |
KR20090011136U (ko) | 개량형 휨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된 스노우보드 | |
US5618053A (en) | Short ski-like sports device | |
US20100013191A1 (en) | Performance enhanced snowboard | |
CA1163661A (en) | Winter sport device with two parallel skids | |
JP3074096U (ja) | スノーボード | |
US6308978B1 (en) | Attachment for a snowboard for learning snowboard skiing | |
KR200172004Y1 (ko) | 트윈스 스노우보드 | |
WO1999054004A1 (en) | Downhill ski device | |
JP2007313273A (ja) | 変形立体構造の滑走板 | |
US20040161985A1 (en) | Novel water sport device | |
KR20030039407A (ko) | 퀵 스노보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905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12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90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