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36088Y1 - 부직포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부직포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088Y1
KR200336088Y1 KR20-2003-0030364U KR20030030364U KR200336088Y1 KR 200336088 Y1 KR200336088 Y1 KR 200336088Y1 KR 20030030364 U KR20030030364 U KR 20030030364U KR 200336088 Y1 KR200336088 Y1 KR 200336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inding
roll
support
w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형
Original Assignee
우민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민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민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0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0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08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26Mechanisms for controlling contact pressure on winding-web package, e.g. for regulating the quantity of air between web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28Both end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4Both ends type arrangement
    • B65H2301/41346Both ends type arrangement separate elements engaging each end of the roll (e.g. ch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2Bearings, e.g. magnetic or hydrostatic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7Ratch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s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직포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특히, 부직포를 롤상으로 권치하도록 권취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권취수단에 폭방향의 간격 조절이 가능토록 간격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전방에 권취되는 롤에 일정장력을 제공하도록 가압수단이 설치되는 장력발생부;및, 상기 권취부의 후방에 롤에 권취되는 부직포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가압구가 설치되는 두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권취되는 롤의 두께를 최소화 하여 보관및 운반에 따른 공간을 최소화 하고, 이에 의하여 물류비용을 줄일수 있도록 하며, 권취되는 롤의 규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품의 질을 높이도록 하고, 권취작업에 따른 현장조건에 신속하게 대응할수 있도록 하며, 롤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권취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부직포 권취장치{A winding Device for Non Woven Fabric}
본 고안은 부직포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권취수단을 갖는 권취부가 설치되며, 상기 권취부의 전방에서 권취되는 롤에 일정장력을 제공시키도록 장력발생부가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의 후방에서 롤에 권취되는 부직포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두께조절부를 설치되는 구성으로 권취되는 롤의 두께를 최소화 하여 보관및 운반에 따른 공간을 최소화 하고, 이에 의하여 물류비용을 줄일수 있도록 하는 부직포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는, 직물지로 완성하는 과정에서 실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기계조작에 의하거나 열접착 또는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섬유끼리의 접점을 수지로 접착시키거나 엉키게 하여 형성되고, 불균일한 기공의 형성으로 공기나 물의 여과재나 심지등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부직포는 롤상으로 권취된후 공급되어 2차 가공되거나 그대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부직포가 권취되는 부직포 롤은, 작업자가 일정두께와 폭을 갖도록 하면서 일정속도로 배출되는 부직포의 일단을 구동롤에 권취하여 롤 상으로 권취하고, 상기와 같은 구동롤은, 부직포가 감기는 바와 그 일단에 연결되는 구동모터로서 이루어져 부직포를 롤상으로 권취하고, 상기 부직포의 배출속도에 따라 작업자가 구동모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는 부직포 롤을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부직포의 권취장치는, 배출되는 부직포의 속도와 구동모터의 속도 조절이 힘들어 균일한 두께의 부직포 생산이 힘들게 되고, 롤상으로 권취되는 부직포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어 저장및 보관을 위한 공간이 증가하게 되며,이에따라 물류비용의 상승을 가져오게 되고, 진행방향에 불균일한 장력작용시 권취불량이 발생하여 설비를 세워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직포 권취작업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고 작업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권취되는 롤의 두께를 최소화 하여 보관및 운반에 따른 공간을 최소화 하도록 하며, 이에 의하여 물류비용을 줄일수 있도록 하고, 권취되는 롤의 규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품의 질을 높이도록 하며, 권취작업에 따른 현장조건에 신속하게 대응할수 있도록 하고, 롤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권취할수 있도록 하며, 사용시 부직포가 용이하게 복원될수 있도록 하는 부직포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권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권취장치의 권취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3a,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권취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및 정면도.
도4a,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권취장치의 부직포롤 폭조절상태및 중량편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권취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구동모터 130...부직포 롤
210...상부지지대 220...하부지지대
225...지지편 310...구름편
330..프레임 330...중량편
400...베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부직포를 롤상으로 권치하도록 권취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권취수단에 폭방향의 간격 조절이 가능토록 간격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전방에 권취되는 롤에 일정장력을 제공하도록 가압수단이 설치되는 장력발생부;및, 상기 권취부의 후방에 롤에 권취되는 부직포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가압구가 설치되는 두께조절부를 포함하는 부직포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5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권취장치는, 부직포를 권취하는 권취부(100)와 상기 부직포에 일정장력을 제공하는 장력발생부(200)및 권취되는 부직포를 일정두께로 권취하는 두께조절부(3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권취부(100)는, 베이스(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해 부직포(N)를 롤상으로 권취하도록 권취수단(120)이 설치된다.
상기 권취수단(120)은, 부직포 롤(130)을 각각 지지하도록 지지척(111)을 갖으면서 베이스(400) 상의 제1,2프레임(150a)(150b)으로서 지지되는 구동부(113)와 종동부(115)로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종동부(115)는, 상기 제2프레임(150b)에서 자유스러운 회전이 가능토록 하나 이상의 베어링(115a)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프레임(150b)은 베이스(400)에 형성되는 가이드슬롯(400a)이 볼트(400b)로서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베어링(115a)에는 폭방향에 슬롯(115a-1)이 형성되어 베어링하우징(115c)에 고정되는 볼트(115c-1)로서 고정된다.
상기 권취부(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장력발생부(200)는, 부직포 롤(130)에 권취되는 부직포(N)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대응 설치되는 한쌍의 상,하부지지대(210)(2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대(210)는, 높이조절수단(215)을 갖는 판재로서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215)은, 평판형이면서 금속재 시트인 상부지지대(210)의 양면에 돌출되는 지지바(215b)및 상기 시트의 모서리부에 각각 고정되는 조절볼트(215c)로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대(210)에 대응되는 하부지지대(220)는, 상기 지지바(215b)가 지지되는 지지편(225)이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지지대(210)(220)는, 롤 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베이스(400) 상에 지지되는 프레임(240)에 베어링(250)을 통하여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부지지대(210)는, 높이조절편과 피니언및 랫칫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215)이 연결설치된다.
상기 권취부(100)의 후방에 설치되는 두께조절부(300)는, 부직포 롤(130)에 권취되는 부직포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구름편(310)과 상기 구름편을 지지하면서 일단이 베이스(400)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지지프레임(320)및 상기 지지프레임(320)상에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중량편(3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베이스에 연결될때 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미도시)및 양측에 돌출되는 회전축의 돌기(미도시)에 의해 그 회전량이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중량편(330)은,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형성되는 요철슬롯(330a)에 이동되면서 고정토록 고정돌기(330b)가 돌출되고, 상기 구름편(310)은, 권취되는 부직포의 폭에 따라 교체가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서와 같이, 연속공정에 의해 연속하여 배출되는 부직포(N)의 일단을 부직포 롤(130)에 권취한 상태에서 구동부(113)의 구동모터(110)에 전원을공급하면 상기 구동부(113)에 대응하면서 부직포 롤(130)의 타측을 지지하는 종동부(115)의 상호 동작에 의해 부직포를 일정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부직포 롤(130)은, 구동부(113)와 종동부(115)에 각각 설치되면서 부직포 롤(130)의 중공상 회전축에 삽입되는 지지척(111)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부직포 롤(130)의 폭이 상이할 경우 베이스(400)상에서 이동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종동부(115)의 거리를 조절하여 부직포 롤(130)의 길이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지지한다.
더하여, 상기 종동부(115)는, 베이스(400) 상에 지지되는 제2프레임(150b)이 그 상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115a)에 의해 지지척(111)을 회전하게 하고, 상기 제2프레임(150b)은 베이스(400)에 형성되는 가이드슬롯(400a)상에 이동되면서 그 일점에서 볼트(400b)로서 고정되어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미세한 거리의 조절시, 상기 베어링(115a)에 지지되는 지지척(111)이 베어링(115a)의 폭방향에 형성되는 슬롯(115a-1)및 베어링하우징(115c)에 고정되는 볼트(115c-1)에 의해 일정거리만큼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그 미세거리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권취부(100)에 의해 부직포를 권취하면 그 전방에 설치되는 장력발생부(200)에 의해 부직포를 누르게 되어 권취되는 부직포에 일정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력발생부(200)의 동작은, 상부지지대(210)에 고정되는 조절볼트(215c)를 조절하여 그 높이를 조절한후 하부지지대(220)의 상부에 놓으면 그하부에 부직포가 통과하면서 장력이 발생되고, 상기 조절볼트의 높이조절에 의해 장력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대(210)는, 그 양측에 돌출되는 지지바(215b)를 하부지지대(220)의 상면에 돌출되는 지지편(225)에 놓으면 부직포를 누르는 압력이 상실되어 인장력이 제거된다.
한편, 상기 상,하부지지대(210)(220)는, 롤 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부직포가 통과할때 용이하게 회전토록 되고, 상기 상부지지대는 랙기어가 형성되는 높이조절편과 피니언및 랫칫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215)이 연결설치되어 하부지지대와의 사이에서 간극이 용이하게 조절됨으로써 권취되는 부직포의 장력이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장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부직포 롤에 권취되는 부직포를 두께조절부(300)에 의해 누르면 권취되는 부직포 롤의 두께가 축소된다.
상기 두께조절부(300)는, 부직포 롤(130)에 권취되는 부직포가 밀착되어 구름편(310)이 회전할때 상기 구름편(310)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320)에 소정의 중량물이 고정되어 상기 중량편(330)은, 지지프레임(320)에 형성되는 요철슬롯(330a)에 이동되면서 고정돌기(330b)로서 고정되어 이동시 중량물의 벡터값에 의해 중량이 변화하여 누르는 압력을 조절할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권취되는 부직포에 일정 장력을 작용시키면서 일정 압력으로 눌러 부직포 롤의 두께를 최소화 함으로써 단위중량당 부직포의 부피가 최소화 되고, 이에의하여 부직포롤의 보관및 운반시 물류비및 보관비를 최소화 하게 되며, 탄성력 이내의 압력으로 인장및 압축하여 사용시 용이하게 복원토록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부직포 권취장치에 의하면, 부직포 권취작업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고 작업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고, 권취되는 롤의 두께를 최소화 하여 보관및 운반에 따른 공간을 최소화 하고, 이에따른 물류비용을 줄이며, 규격화 되는 롤에 의해 상품의 질을 높이고, 권취작업에 따른 현장조건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롤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권취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7)

  1. 베이스(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해 부직포(N)를 롤상으로 권취하도록 권취수단(120)이 설치되는 권취부(100);
    상기 권취부(100)의 전방에 설치되며, 부직포 롤(130)에 권취되는 부직포(N)를 일정압력으로 누르면서 이동시키도록 높이조절수단(210)이 설치되며, 소정간격으로 대응 설치되는 한쌍의 상,하부지지대(210)(220)로 이루어 지는 장력발생부(200);및,
    상기 권취부(100)의 후방에 설치되며, 부직포 롤(130)에 권취되는 부직포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구름편(310)과 상기 구름편을 지지하면서 일단이 베이스(400)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지지프레임(320)및 상기 지지프레임(320)상에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중량편(330)으로 이루어 지는 두께조절부(300)를 포함하는 부직포 권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120)은, 부직포 롤(130)을 각각 지지하도록 지지척(111)을 갖으면서 베이스(400) 상의 제1,2프레임(150a)(150b)으로서 지지되는 구동부(113)와 종동부(115)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권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115)는, 상기 제2프레임(150b)에서 자유스러운회전이 가능토록 하나 이상의 베어링(115a)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프레임(150b)은, 베이스(400)에 형성되는 가이드슬롯(400a)이 볼트(400b)로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권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15a)은, 그 폭방향에 슬롯(115a-1)이 형성되어 베어링하우징(115c)에 고정되는 볼트(115c-1)로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권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215)은, 상부지지대(210)의 양면에 돌출되는 지지바(215b)및 상기 상부지지대(210)의 모서리부에 각각 고정되는 조절볼트(215c)및 상기 상부지지대(210)에 대응되는 하부지지대(220)에서 지지바(215b)가 걸려지는 지지편(225)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권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지지대(210)(220)는, 롤 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베이스(400) 상에 지지되는 프레임(240)에 베어링(250)을 통하여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부지지대(210)는, 상부의 롤에 연결되면서 랙기어를 갖는 높이조절편과 이에 치합되면서 프레임에 연결되는 피니언 및 랫칫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215)에 의해 승하강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권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편(330)은, 상기 지지프레임(320)에 형성되는 요철슬롯(330a)에 이동되면서 고정토록 고정돌기(330b)가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권취장치.
KR20-2003-0030364U 2003-09-25 2003-09-25 부직포 권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36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364U KR200336088Y1 (ko) 2003-09-25 2003-09-25 부직포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364U KR200336088Y1 (ko) 2003-09-25 2003-09-25 부직포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088Y1 true KR200336088Y1 (ko) 2003-12-18

Family

ID=4942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36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36088Y1 (ko) 2003-09-25 2003-09-25 부직포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088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854A3 (en) * 2009-10-13 2011-08-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rrugated edge nip
KR101257464B1 (ko) 2011-03-29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조질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101372462B1 (ko) * 2013-08-14 2014-03-11 주식회사 오피오 필름지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407352B1 (ko) * 2013-06-11 2014-06-17 허만근 단열매트 권취장치
KR101462423B1 (ko) * 2013-11-13 2014-11-17 한상수 강선 정렬 권취 장치
CN107244574A (zh) * 2017-07-19 2017-10-13 海宁金永和家纺织造有限公司 一种织物直接卷绕纸管装置及方法
CN109335774A (zh) * 2018-09-06 2019-02-15 嘉善中帛针纺有限公司 一种卷布用纺织机械
KR101958668B1 (ko) * 2018-07-06 2019-07-02 최강열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
CN110540087A (zh) * 2019-09-27 2019-12-06 苏州金纬机械制造有限公司 用于pc板材生产线的收卷设备
CN114212581A (zh) * 2021-12-30 2022-03-22 苏州圣菲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熔喷无纺布面料生产用卷绕设备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854A3 (en) * 2009-10-13 2011-08-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rrugated edge nip
US9038879B2 (en) 2009-10-13 2015-05-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rrugated edge nip
US9725270B2 (en) 2009-10-13 2017-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rrugated edge nip
KR101257464B1 (ko) 2011-03-29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조질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101407352B1 (ko) * 2013-06-11 2014-06-17 허만근 단열매트 권취장치
KR101372462B1 (ko) * 2013-08-14 2014-03-11 주식회사 오피오 필름지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462423B1 (ko) * 2013-11-13 2014-11-17 한상수 강선 정렬 권취 장치
CN107244574A (zh) * 2017-07-19 2017-10-13 海宁金永和家纺织造有限公司 一种织物直接卷绕纸管装置及方法
KR101958668B1 (ko) * 2018-07-06 2019-07-02 최강열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
CN109335774A (zh) * 2018-09-06 2019-02-15 嘉善中帛针纺有限公司 一种卷布用纺织机械
CN110540087A (zh) * 2019-09-27 2019-12-06 苏州金纬机械制造有限公司 用于pc板材生产线的收卷设备
CN114212581A (zh) * 2021-12-30 2022-03-22 苏州圣菲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熔喷无纺布面料生产用卷绕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6088Y1 (ko) 부직포 권취장치
CN211971178U (zh) 一种可防布料收卷形变的纺织机
CN112872825A (zh) 辊压分切一体机
CN210312730U (zh) 一种易撕胶带卷制造机
WO2002034655A1 (en) Method in reeling and a reel-up
CN210312787U (zh) 一种用于喷绘机的放卷装置
CN212496039U (zh) 一种易撕线激光打孔机
CN217732197U (zh) 一种可调节张力的餐巾纸机
CN217376727U (zh) 一种薄膜收卷装置
CN217706496U (zh) 带有覆膜装置的岩棉毡卷毡装置
CN213386986U (zh) 一种印染后的纺织面料收卷装置
MXPA02000743A (es) Dispositivo para enrollar continuamente una hoja de material fibroso.
CN210596669U (zh) 一种布料压花机
CN114715704A (zh) 纺织机用布料压花收卷系统
CA2264804A1 (en) Winding-up process and machine for winding up webs of paper or cardboard
KR100847043B1 (ko) 권취기의 삽입 간지 주름 펴줌 장치
CN220596523U (zh) 一种面料涂层设备上卷装置
JP7569553B2 (ja) 巻枠へのシート状製品の巻取り装置
CN213976238U (zh) 一种色带机的放卷装置
CN221439881U (zh) 一种带有张紧装置的打卷机
CN219990710U (zh) 一种可调节pet片材收卷机
CN222099172U (zh) 一种复合机用防起皱放卷组件
CN219729982U (zh) 一种收卷上压辊独立驱动装置
CN220115819U (zh) 一种便于换卷的基布放卷装置
CN214610898U (zh) 一种收卷机气涨轴收卷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9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9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22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6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