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612Y1 - 골프공 홀더 - Google Patents
골프공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3612Y1 KR200333612Y1 KR20-2003-0025478U KR20030025478U KR200333612Y1 KR 200333612 Y1 KR200333612 Y1 KR 200333612Y1 KR 20030025478 U KR20030025478 U KR 20030025478U KR 200333612 Y1 KR200333612 Y1 KR 2003336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olf ball
- side wall
- marker
- tee
- auxiliary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1—Ball holders attached to the player's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3—Tee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7—Golf ball position marker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18—Carrier for golf tee or mark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퍼의 바지 상단이나 혁대에 걸어서 골프공을 고정할 수 있는 골프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바지 상단이나 혁대에 고정하기 위한 집게 형태의 클립(10), 상기 클립(10)의 양측에 골프공(1)의 골프공의 윤곽과 일치하는 형상의 2개의 측벽(22)으로 이루어져 골프공을 수납하기 위한 골프공 수납부(20), 한쪽 측벽(22)에 내장되고 일부분은 돌출되고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측벽에 대해 눌려져 골프공(1)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는 핀(30), 및 한쪽 측벽(22)에 형성되어 골프공용 티(3) 또는 골프공용 마커(5)를 장착할 수 있는 보조수납부(40)를 포함하는 골프공 홀더에 있어서: 보조수납부(40)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22)에 골프공용 티(3) 또는 마커(5)를 장착할 수 있는 동일한 형태의 다른 보조수납부(40')가 형성되거나, 상하로 또는 좌우로 2개의 골프공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골프공 홀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골퍼의 바지 상단이나혁대에 걸어서 골프공을 고정할 수 있는 골프공 홀더에 관한 것이다.
골프장에서 경기를 할때 대부분의 골퍼들은 여분의 골프공을 갖고다니는데, 골프공을 소지하기에 적합한 용구가 없어서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바지 주머니가 볼록해져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출원 2001-1553에는 계수기를 부착한 골프코스용 공·티걸이가 기재되어 있고, 이 고안 역시 바지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주로 계수기를 사용하는 것이 주목적이고 골프공은 공 고정대에 넣도록 되어 있으나, 공고정대가 골프공의 한쪽만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격렬한 허리 운동을 해야만 하는 골퍼의 동작을 감안하면 골프공이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02-18564호에는 "소품홀더"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 고안은 하나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홀더로서, 코일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해 양쪽에서 골프공을 파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소품홀더는 전체 구조가 하나의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내구성이 약해, 골퍼가 호주머니에 보관하거나 소지하는 중에 찌그러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구조가 약하고, 외관 자체도 고급품이 아닌 싸구려라는 인상을 주며, 또한 골프운동에 필요한 마커와 티를 별도로 보관하는 부위도 없다. 또한, 와이어의 탄성을 이용히 골퍼의 허리에 파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티샷이나 드라이브샷과 같은 격렬한 스윙동작시에는 물론 골퍼가 퍼팅을 위해 잔디를 살펴보기 위해 수시로 앉았다 일어서는 반복동작을 할 때에 골퍼의 허리에서 홀더가 빠지거나, 홀더 자체에서 골프공이 빠질 우려가 많다. 특히, 여성골퍼의 경우 스커트에 고정해야 하지만 상기 소품홀더는 스커트에 고정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골퍼의 바지 허리단이나 혁대에 단단히 걸 수 있고, 골프공의 양쪽에서 골프공을 파지하는 부분을 단단하고 움직이지 않는 부분으로 구성하고 탄성 핀을 이용해 골프공을 고정함으로써, 격렬한 운동중에도 안정되게 골프공을 홀딩할 수 있음은 물론, 골프에 사용되는 티업용 티와 퍼팅용 마커 등도 보관할 수 있는 골프공 홀더를 고안하여 실용신안등록 2003-11683호로 출원한바 있다.
도 1 내지 4에는 본 출원인의 이와같은 선출원 고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은 바지 상단이나 혁대에 고정하기 위한 집게 형태의 클립(10)과; 상기 클립(10)의 양측에 골프공(1)의 간격만큼 벌어지고, 골프공(1) 전체를 커버할 정도의 크기를 갖고 골프공의 윤곽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2개의 측벽(22)으로 이루어져, 골프공을 수납하기 위한 골프공 수납부(20)와; 상기 골프공 수납부(20)의 한쪽 측벽(22)에 내장되어, 일부분은 돌출되고 측벽에 대해 눌려질 수 있는 핀(30)과; 상기 골프공 수납부(20)의 한쪽 측벽(22)에 일체로 형성되어, 골프공용 티(3)를 끼울 수 있는 티삽입공(42)과 골프공용 마커를 끼울 수 있는 마커삽입부(44)가 형성되어 있는 보조수납부(40);를 포함하고, 골프공 수납부(20)에 골프공(1)을 넣을 때는 골프공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핀(30)이 후퇴하였다가 골프공을 완전히 삽입하면 핀(30)이 돌출하여 골프공(1)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클립(10)은 스프링 작동식의 집게 형태이며, 핀(30)은코일스프링(32)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이와 같은 선출원 고안은 골프공을 하나만 홀딩할 수 있고, 골프공티도 최대 2개만 보관할 수 있고, 티나 마커를 끼우고 빼기가 다소 불편하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인의 선출원 고안을 기본형태로 하여, 골프공을 여러개 수납할 수 있고, 골프공 티와 마커도 다양한 형태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여러 변형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고안에 따른 골프공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골프공 홀더의 우측면도;
도 3는 도 1의 골프공 홀더의 좌측면도;
도 4은 도 1의 골프공 홀더의 핀을 자세히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의 사시도.
본 고안의 이와 같은 목적은, 바지 상단이나 혁대에 고정하기 위한 집게 형태의 클립(10), 상기 클립(10)의 양측에 골프공(1)의 골프공의 윤곽과 일치하는 형상의 2개의 측벽(22)으로 이루어져 골프공을 수납하기 위한 골프공 수납부(20), 한쪽 측벽(22)에 내장되고 일부분은 돌출되고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측벽에 대해 눌려져 골프공(1)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는 핀(30), 및 한쪽 측벽(22)에 형성되어 골프공용 티(3) 또는 골프공용 마커(5)를 장착할 수 있는 보조수납부(40)를 포함하는 골프공 홀더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납부(40)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22)에 골프공용 티(3) 또는 마커(5)를 장착할 수 있는 동일한 형태의 다른 보조수납부(40')가 형성된 골프공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홀더에 있어서, 보조수납부(40)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22)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리(7)가 달린 수평돌출판(5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골프공 수납부(20)와 동일한 수납부(20')가 보조수납부(4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2개의 골프공을 홀딩할 수도 있다. 또, 마커(5)를 보조수납부(40)의 측면에 자력 또는 클립 등에 의해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홀더에 있어서, 골프공용 티(3)를 상기 보조수납부(40)의 측면에 마커(5)와 나란히 장착하기 위한 티삽입부(42')가 형성되고, 이 티삽입부(42')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입구가 좁은 형태로 이루어져 보조수납부(40) 측면 외부로부터 티(3)를 압력에 의해 장착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조수납부(40)의 외측면에 보조설치판(40")을 부착하고, 상기 보조설치판(40")에 마커(5)를 자력 또는 클립 등에 의해 탈부착할 수 있으며, 마커(5) 옆으로 보조설치판(40")에 티(5)를 끼울 수 있는 고리(9)가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골프공 수납부(20) 아래에 동일한 형상의 다른 골프공 수납부(20")가 형성되어, 아래 위로 2개의 골프공을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홀더는 보조수납부(40)에 마커(5)를 끼울 수 있는 마커포켓(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홀더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된 기본 구성, 즉 바지 상단이나 혁대에 고정하기 위한 집게 형태의 클립(10), 상기 클립(10)의 양측에 골프공(1)의 골프공의 윤곽과 일치하는 형상의 2개의 측벽(22)으로 이루어져 골프공을 수납하기 위한 골프공 수납부(20), 한쪽 측벽(22)에 내장되고 일부분은 돌출되고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측벽에 대해 눌려져 골프공(1)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는 핀(30), 및 한쪽 측벽(22)에 형성되어 골프공용 티(3) 또는 골프공용 마커(5)를 장착할 수 있는 보조수납부(40)를 포함하는 구성에 보조수납부가 반대쪽에 추가된 형태로 되어 있다. 즉, 보조수납부(40)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쪽 측벽(22)에 골프공용 티(3) 또는 마커(5)를 장착할 수 있는 동일한 형태의 다른 보조수납부(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보다 골프공 티(3)와 마커를 더 많이 수납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 5의 고안의 변형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골프공 수납부(20) 아래에 동일한 형상의 또다른 골프공 수납부(20")가 형성되어, 아래 위로 2개의 골프공을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하부 골프공 수납부(20")에도 필요에 따라 한쪽이나 양쪽에 보조수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기본형 구성(도 1-4의 구성)에 덧붙여, 보조수납부(40)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22)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리(7)가 달린 수평돌출판(50)이 형성된다. 이 경우, 골퍼는 필요에 따라 고리(7)에 기타 필요한 기구, 예컨대 열쇠고리나 기타 기구를 걸 수 있으므로, 또다른 편의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도 8은 도 7의 변형례로서, 보조수납부(40) 한쪽에 마커(5)를 삽입할 수 있는 마커포켓(5')을 형성한다. 이 포켓에 마커를 보관할 수 있고, 마커를 꺼내기 쉽도록 포켓(5') 한쪽은 손가락으로 마커를 집어내기 쉽도록 오목한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마커가 골프공 홀더에 더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에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기본형 골프공 홀더의 골프공 수납부(20)와 동일한 수납부(20')가 보조수납부(4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2개의 골프공을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보조수납부는 골프공티를 장착하지 않고 단순히 마커(5)만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즉, 마커(5)를 보조수납부(40)의 측면에 부착하되, 마커를 자석으로 구성하여 자력에 의해 부착할 수도 있고, 또는 똑딱이 단추 등의 클립으로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골프공 홀더는 모양이 다른 것에 비해 단순하면서도 외관이 보기좋은 장점이 있다.
도 11에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골프공용 티(3)를 보조수납부(40)의 측면에 마커(5)와 나란히 장착하기 위한 티삽입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티삽입부(42')는 구멍 형태가 아니라,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입구가 좁은 형태로 이루어져 보조수납부(40) 측면 외부로부터 티(3)를 손으로 누르면 그 압력에 의해 장착할 수 있고, 또 필요하다면 간단히 빼낼 수 있으므로, 티를 착탈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마커(5)도 별도의 홈에 끼울 수 있도록 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2에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보조수납부(40)의 외측면에 별도의 보조설치판(40")을 부착하고, 이 보조설치판(40")에 마커(5)를 자력 또는 클립 등에 의해 탈부착할 수 있으며, 마커(5) 옆으로 보조설치판(40")에 티(5)를 끼울 수 있는 고리(9)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설치판(40")은 외적 미관을 고려하여 가죽으로 구성하고, 자력의 영향을 받도록 내부에 금속을 삽입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마커(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으로 구성하거나 클립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것을 특구성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물론, 제조업자 또는 판매업자의 용도에 따라, 홀더의 필요한 부분에는 광고도안이나 문구를 인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홀더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외적 미관이 더 수려하고, 골프공을 2개까지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 티나 마커도 종래에 비해 더 많이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골퍼의 편의성이 더 향상됨은 물론, 전체적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게 되므로, 판매업자나 홍보업자의 판촉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구성상 롱티를 홀더에 꽃아도 골퍼의 신체를 찌르는 등의 불편함이 없게된다.
Claims (8)
- 바지 상단이나 혁대에 고정하기 위한 집게 형태의 클립(10), 상기 클립(10)의 양측에 골프공(1)의 골프공의 윤곽과 일치하는 형상의 2개의 측벽(22)으로 이루어져 골프공을 수납하기 위한 골프공 수납부(20), 한쪽 측벽(22)에 내장되고 일부분은 돌출되고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측벽에 대해 눌려져 골프공(1)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는 핀(30), 및 한쪽 측벽(22)에 형성되어 골프공용 티(3) 또는 골프공용 마커(5)를 장착할 수 있는 보조수납부(40)를 포함하는 골프공 홀더에 있어서:상기 보조수납부(40)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22)에 골프공용 티(3) 또는 마커(5)를 장착할 수 있는 동일한 형태의 다른 보조수납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 바지 상단이나 혁대에 고정하기 위한 집게 형태의 클립(10), 상기 클립(10)의 양측에 골프공(1)의 골프공의 윤곽과 일치하는 형상의 2개의 측벽(22)으로 이루어져 골프공을 수납하기 위한 골프공 수납부(20), 한쪽 측벽(22)에 내장되고 일부분은 돌출되고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측벽에 대해 눌려져 골프공(1)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는 핀(30), 및 한쪽 측벽(22)에 형성되어 골프공용 티(3) 또는 골프공용 마커(5)를 장착할 수 있는 보조수납부(40)를 포함하는 골프공 홀더에 있어서:상기 보조수납부(40)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22)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리(7)가 달린 수평돌출판(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 바지 상단이나 혁대에 고정하기 위한 집게 형태의 클립(10), 상기 클립(10)의 양측에 골프공(1)의 골프공의 윤곽과 일치하는 형상의 2개의 측벽(22)으로 이루어져 골프공을 수납하기 위한 골프공 수납부(20), 한쪽 측벽(22)에 내장되고 일부분은 돌출되고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측벽에 대해 눌려져 골프공(1)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는 핀(30), 및 한쪽 측벽(22)에 형성되어 골프공용 티(3) 또는 골프공용 마커(5)를 장착할 수 있는 보조수납부(40)를 포함하는 골프공 홀더에 있어서:상기 골프공 수납부(20)와 동일한 수납부(20')가 보조수납부(4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2개의 골프공을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 바지 상단이나 혁대에 고정하기 위한 집게 형태의 클립(10), 상기 클립(10)의 양측에 골프공(1)의 골프공의 윤곽과 일치하는 형상의 2개의 측벽(22)으로 이루어져 골프공을 수납하기 위한 골프공 수납부(20), 한쪽 측벽(22)에 내장되고 일부분은 돌출되고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측벽에 대해 눌려져 골프공(1)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는 핀(30), 및 한쪽 측벽(22)에 형성되어 골프공용 티(3) 또는 골프공용 마커(5)를 장착할 수 있는 보조수납부(40)를 포함하는 골프공 홀더에 있어서:상기 마커(5)를 보조수납부(40)의 측면에 자력 또는 클립 등에 의해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용 티(3)를 상기 보조수납부(40)의 측면에 마커(5)와 나란히 장착하기 위한 티삽입부(42')가 형성되고, 이 티삽입부(42')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입구가 좁은 형태로 이루어져 보조수납부(40) 측면 외부로부터 티(3)를 압력에 의해 장착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납부(40)의 외측면에 보조설치판(40")을 부착하고, 상기 보조설치판(40")에 마커(5)를 자력 또는 클립 등에 의해 탈부착할 수 있으며, 마커(5) 옆으로 보조설치판(40")에 티(5)를 끼울 수 있는 고리(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수납부(20) 아래에 동일한 형상의 다른 골프공 수납부(20")가 형성되어, 아래 위로 2개의 골프공을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납부(40)에 마커(5)를 끼울 수 있는 마커포켓(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5478U KR200333612Y1 (ko) | 2003-08-07 | 2003-08-07 | 골프공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5478U KR200333612Y1 (ko) | 2003-08-07 | 2003-08-07 | 골프공 홀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3612Y1 true KR200333612Y1 (ko) | 2003-11-17 |
Family
ID=4941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5478U KR200333612Y1 (ko) | 2003-08-07 | 2003-08-07 | 골프공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33612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6436B1 (ko) * | 2015-07-13 | 2016-06-02 | 주식회사 정원주철 | 자석 부착식 골프공 다기능 지압구 |
KR101783228B1 (ko) | 2016-06-27 | 2017-09-29 | 주식회사 알피온 | 골프공 홀더 시스템 |
KR102154462B1 (ko) * | 2020-01-03 | 2020-09-09 | 최승영 | 휴대용 골프공홀더 |
WO2024043371A1 (ko) * | 2022-08-26 | 2024-02-29 | (주)솔림 | 휴대용 골프용품 케이스 |
-
2003
- 2003-08-07 KR KR20-2003-0025478U patent/KR20033361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6436B1 (ko) * | 2015-07-13 | 2016-06-02 | 주식회사 정원주철 | 자석 부착식 골프공 다기능 지압구 |
KR101783228B1 (ko) | 2016-06-27 | 2017-09-29 | 주식회사 알피온 | 골프공 홀더 시스템 |
KR102154462B1 (ko) * | 2020-01-03 | 2020-09-09 | 최승영 | 휴대용 골프공홀더 |
WO2024043371A1 (ko) * | 2022-08-26 | 2024-02-29 | (주)솔림 | 휴대용 골프용품 케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99853A (en) | Caddy for carrying golfing items | |
US20050035161A1 (en) | Fastener for a golf ball cleaning device | |
US6209766B1 (en) | Belt-mounted apparatus for carrying golf accessories | |
US20070149325A1 (en) | Fold-up divot repair tool case holding tees and ball marker | |
KR200333612Y1 (ko) | 골프공 홀더 | |
US20070257074A1 (en) | Golf ball holder | |
KR200482339Y1 (ko) | 골프티 홀더 | |
KR200319956Y1 (ko) | 골프공 홀더 | |
KR200356105Y1 (ko) | 휴대용 골프볼 마커 | |
KR200310791Y1 (ko) | 골프공 홀더 | |
KR200376166Y1 (ko) | 골프 볼마크 클립 | |
US6599205B1 (en) | Combination ball marker and turf repair golf tool promotional device | |
KR100800067B1 (ko) | 골프용품 휴대용구 | |
KR200210699Y1 (ko) | 골프용품 수용부를 갖는 혁대 | |
KR200441443Y1 (ko) | 벨트용 골프 볼마커 수납홀더 | |
KR20050074223A (ko) | 골프용품 수납 케이스 | |
KR200410169Y1 (ko) | 골프 티의 휴대용구 | |
KR200374512Y1 (ko) | 골프용 볼 마크 착탈장치 | |
KR910004700Y1 (ko) | 골프용구 홀더 | |
KR20100001572U (ko) | 골프티 및 볼 마커용 휴대용구 | |
KR200327628Y1 (ko) | 골프볼 마커의 부착구조 | |
JP3128053U (ja) | ヘッドカバー保持具 | |
JP3147215U (ja) | マーカーホルダー | |
KR200230898Y1 (ko) | 골프 소도구 홀더 | |
KR200384076Y1 (ko) | 휴대용 골프공 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807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11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80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