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31749Y1 - 창틀의 빗물 역류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창틀의 빗물 역류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749Y1
KR200331749Y1 KR20-2003-0021084U KR20030021084U KR200331749Y1 KR 200331749 Y1 KR200331749 Y1 KR 200331749Y1 KR 20030021084 U KR20030021084 U KR 20030021084U KR 200331749 Y1 KR200331749 Y1 KR 200331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chassis
rainwater
drain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20-2003-0021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74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마나 맞바람 등으로 인하여 창틀 샤시의 측면 배수구멍을 통해 빗물이 유입될 경우, 창틀 샤시의 바닥에 천공된 드레인 홀을 통해 빗물이 창틀 샤시의 윗쪽으로 역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창 부분의 샤시와 가동창 부분의 샤시가 연결부재로 일체가 되도록 조립되고, 가동창 부분의 샤시 내측에는 목재로 된 커버가 커넥터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창 부분의 샤시와 가동창 부분의 샤시 위에는 각각 고정창과 가동창이 설치되며, 상기한 고정창 및 가동창의 외측 유리면을 타고 흘러내린 빗물은 상기 샤시의 상부에 고정된 창문 및 창틀 프레임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이 프레임의 바닥에 천공된 드레인 홀을 통해 프레임의 외측으로 천공된 배수구멍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창문 및 창틀 프레임(7)의 바닥에 천공된 드레인 홀(7a)에 역류방지용 합성수지 캡(10)을 끼우되, 이 캡(10)은 정상적인 빗물 배수가 가능하도록 상면 플랜지부(11)의 일부가 양측으로 제거되어 프레임(7)의 홈에 고인 빗물이 합성수지 캡(10) 중앙의 관통홀(12)쪽으로 배수가능하고, 플랜지부(11)에 의해 끼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12)은 측벽(12a)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틀의 빗물 역류방지구조 {rainwater non return structure of window frame}
본 고안은 창틀의 빗물역류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장마나 맞바람 등으로 인하여 창틀 샤시의 상부에 부착된 창문 및 창틀 프레임의 측면 배수구멍을 통해 빗물이 유입될 경우, 창문 및 창틀 프레임의 바닥에 천공된 드레인 홀을 통해 빗물이 프레임의 윗쪽으로 역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문 및창틀 프레임의 바닥에 천공된 드레인 홀에 빗물의 배수는 가능하나 역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캡을 끼운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이중창호와 단일창호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자의 이중창호는 내측 창문과 외측 창문이 이중으로 설치된 것으로 내측 창문은 목재로 되고 외측 창문은 알루미늄창으로 구성하여 단열성과 방음성의 효과를 갖도록 하고 있지만 창문을 이중으로 제작·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페어글라스(pair-glass)를 이용하여 한쪽은 고정창으로 형성하고 다른 쪽은 개폐가능한 슬라이딩 창문을 형성하여 방음, 방풍, 단열 및 전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단일창호의 보급이 보편화되고 있다.
상기한 단일창호는 이중창호에 비해서 단열, 방음, 전망성이 향상되면서도 제작과 시공이 간편하고 경비면에서도 월등히 저렴한 잇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단일창호에 있어서도 외면은 알루미늄재질로 형성하고 내면은 목재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볼 때는 알루미늄 창호로 보이고 내부에서는 창문 전체가 목재창으로 보여지게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단일창호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종래 단일창호의 창틀 샤시는 알루미늄으로 압출성형된 고정창 부분의 샤시(1)와 가동창 부분의 샤시(2)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열전도율이 낮은 연결부재(3)로 일체가 되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가동창 부분의 샤시(2)내측에는 목재로 된 커버(4)가 커넥터(5)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창 부분의 샤시(1)와 가동창 부분의 샤시 (2)위에는 각각 고정창(6)과 가동창(도시안됨)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고정창(6) 및 가동창의 외측 유리면을 타고 흘러내린 빗물은 상기 샤시(2 또는 3)의 상부에 고정된 창문 및 창틀 프레임(7)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이 프레임(7)의 바닥에 천공된 드레인 홀(7a)을 통해 프레임(7)의 외측으로 천공된 배수구멍(7b)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호우시 창문쪽으로 맞바람이 불거나 할 경우에는 도 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구멍(7b)을 통해 외부의 빗물이 프레임(7)내부로 역유입되어 드레인 홀(7a)로 유입됨으로써 창문 및 창틀 프레임(7)속에 물이 차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역류된 빗물이 실내로도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장마나 맞바람 등으로 인하여 창틀 샤시의 상부의 창문 및 창틀 프레임에 형성된 측면 배수구멍을 통해 빗물이 유입될 경우, 프레임의 바닥에 천공된 드레인 홀을 통해 빗물이 프레임의 윗쪽으로 역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기 위하여, 창문 및 창틀 프레임의 바닥에 천공된 드레인 홀에 합성수지 캡을 끼운 것으로, 이 캡은 정상적인 빗물 배수가 가능하도록 상면 플랜지부의 일부가 양측으로 제거되어 프레임의 홈에 고인 빗물이 합성수지 캡 중앙의 관통홀 쪽으로 배수가능하고, 플랜지부에 의해 끼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관통홀은 측벽을 가지고 있어 이 측벽에 의해 역류된 물이 관통홀 쪽으로 역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단일창호에서의 빗물 배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정상배수시의 상태,
도 2는 도 1에서 장마철이나 우천시 맞바람으로 인해 빗물이 역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창틀의 빗물 역류방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역류방지용 합성수지 캡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역류방지용 합성수지 캡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시(고정창 부분) 2 : 샤시(가동창 부분)
3 : 연결부재 4 : 커버
5 : 커넥터 6 : 고정창
7 : 창틀(창문) 프레임 7a : 드레인 홀
7b : 배수구멍 10 : 합성수지 캡
11 : 플랜지부 12 : 관통홀
12a : 측벽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창틀의 빗물 역류방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역류방지용 합성수지 캡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역류방지용 합성수지 캡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창 부분의 샤시(1)와 가동창 부분의 샤시(2)가 연결부재(3)로 일체가 되도록 조립되고, 가동창 부분의 샤시(2)내측에는 목재로 된 커버(4)가 커넥터(5)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상기고정창 부분의 샤시(1)와 가동창 부분의 샤시(2)위에는 각각 고정창(6)과 가동창(도시안됨)이 설치되며, 상기한 고정창(6) 및 가동창의 외측 유리면을 타고 흘러내린 빗물은 상기 샤시(2 또는 3)의 상부에 고정된 창문 및 창틀 프레임(7)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이 프레임(7)의 바닥에 천공된 드레인 홀(7a)을 통해 프레임(7)의 외측으로 천공된 배수구멍(7b)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창문 및 창틀 프레임(7)의 바닥에 천공된 드레인 홀(7a)에 합성수지 캡(10)을 끼운 것으로, 이 캡(10)은 정상적인 빗물 배수가 가능하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플랜지부(11)의 일부가 양측으로 제거되어 프레임(7)의 홈에 고인 빗물이 합성수지 캡(10) 중앙의 관통홀(12)쪽으로 원활히 배수가능하고, 플랜지부(11)에 의해 드레인 홀(7a)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관통홀(12)은 원형으로 된 측벽(12a)을 가지고 있어 이 측벽(12a)에 의해 역류된 물이 관통홀 (12) 쪽으로 역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합성수지 캡(10)은 관통홀(12)의 외경을 창틀 프레임(7)의 바닥면에 형성된 드레인 홀(7a)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설치시에는 합성수지 캡(10)을 하방으로 눌러서 압입시키면 임의로는 잘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캡(10)의 플랜지부(11)바닥이 창틀 프레임(7)의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물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창틀 프레임(7)내부에 잔류되지 않고 전부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플랜지부(11) 양측의 제거된 부분이 창틀 프레임 (7)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부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이 창틀 프레임(7)내부로 유입될 때 고인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곧바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합성수지 캡(10)의 원통형 측벽(12a)은 그 하단을 테이퍼형으로 직경을 약간 작게 축소함으로써 드레인 홀(7a)에 끼워넣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며, 빗물 역류시 이 측벽(12a)에 역류된 빗물이 닿아 드레인 홀(7a)을 향하여 상향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고, 측벽(12a)하단의 관통공(12)을 통해 빗물이 상향 역류하려 할 경우에는 관통공(12)의 상부에 작용하는 대기압이 빗물의 역류를 억제함으로써 강풍이나 호우시 외부의 빗물이 창틀 프레임(7)의 측벽에 형성된 배수구멍(7b)을 통헤 유입되더라고 상부의 드레인 홀(7a)쪽으로 상향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호우시 창문쪽으로 맞바람이 불더라도 외부의 빗물이 배수구멍을 통해 유입되더라도 드레인 홀에 끼워진 합성수지 캡에 의해 상부로 역유입이 방지되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창문 및 창틀 프레임의 구조를 대폭 변경하지 않고 단순히 합성수지 캡 만을 드레인 홀에 끼워주는 것에 의해 빗물의 역류방지 및 실내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고정창 부분의 샤시와 가동창 부분의 샤시가 연결부재로 일체가 되도록 조립되고, 가동창 부분의 샤시 내측에는 목재로 된 커버가 커넥터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창 부분의 샤시와 가동창 부분의 샤시 위에는 각각 고정창과 가동창이 설치되며, 상기한 고정창 및 가동창의 외측 유리면을 타고 흘러내린 빗물은 상기 샤시의 상부에 고정된 창문 및 창틀 프레임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이 프레임의 바닥에 천공된 드레인 홀을 통해 프레임의 외측으로 천공된 배수구멍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창문 및 창틀 프레임(7)의 바닥에 천공된 드레인 홀(7a)에 역류방지용 합성수지 캡(10)을 끼우되, 이 캡(10)은 정상적인 빗물 배수가 가능하도록 상면 플랜지부(11)의 일부가 양측으로 제거되어 프레임(7)의 홈에 고인 빗물이 합성수지 캡(10) 중앙의 관통홀(12)쪽으로 배수가능하고, 플랜지부(11)에 의해 끼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12)은 측벽(12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빗물역류방지구조.
KR20-2003-0021084U 2003-07-02 2003-07-02 창틀의 빗물 역류방지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331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084U KR200331749Y1 (ko) 2003-07-02 2003-07-02 창틀의 빗물 역류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084U KR200331749Y1 (ko) 2003-07-02 2003-07-02 창틀의 빗물 역류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749Y1 true KR200331749Y1 (ko) 2003-11-01

Family

ID=4933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08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31749Y1 (ko) 2003-07-02 2003-07-02 창틀의 빗물 역류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74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332B1 (ko) 2008-07-18 2010-12-22 롯데건설 주식회사 이중개폐 시스템창호의 시공구조
CN114541948A (zh) * 2022-03-21 2022-05-27 浙江莱成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系统窗的排水系统
JPWO2022172830A1 (ko) * 2021-02-09 2022-08-18
KR20230056502A (ko) *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윈체 배수부재가 설치된 창틀샤시프레임용 공틀 및 배수부재가 설치된 창틀샤시프레임용 공틀 설치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332B1 (ko) 2008-07-18 2010-12-22 롯데건설 주식회사 이중개폐 시스템창호의 시공구조
JPWO2022172830A1 (ko) * 2021-02-09 2022-08-18
WO2022172830A1 (ja) * 2021-02-09 2022-08-18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排水キャップおよび保冷庫
JP7374357B2 (ja) 2021-02-09 2023-11-06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排水キャップおよび保冷庫
EP4180611A4 (en) * 2021-02-09 2024-01-10 PHC Holdings Corporation DRAINAGE CAP AND COLD RETENTION
US12326293B2 (en) 2021-02-09 2025-06-10 Phc Holdings Corporation Drainage cap and cold storage
KR20230056502A (ko) *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윈체 배수부재가 설치된 창틀샤시프레임용 공틀 및 배수부재가 설치된 창틀샤시프레임용 공틀 설치방법
KR102670541B1 (ko) * 2021-10-20 2024-05-29 주식회사 윈체 배수부재가 설치된 창틀샤시프레임용 공틀 및 배수부재가 설치된 창틀샤시프레임용 공틀 설치방법
CN114541948A (zh) * 2022-03-21 2022-05-27 浙江莱成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系统窗的排水系统
CN114541948B (zh) * 2022-03-21 2023-11-03 浙江莱成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系统窗的排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86306A (ja) 車両用ウインドウサッシ
KR200331749Y1 (ko) 창틀의 빗물 역류방지구조
JP3964370B2 (ja) サッシ窓
JP2007170142A (ja) サッシ窓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200377454Y1 (ko) 창틀용 배수구
JP2005097928A (ja) 建具
KR200456267Y1 (ko) 배수 일체형 창호프레임
KR101559110B1 (ko) 에어홈이 구비된 캠핑카용 창문
JPH064293U (ja) 引違い窓の下枠水密装置
JP3355520B2 (ja) 引き違い窓の水密構造
KR20060040036A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200331386Y1 (ko) 창틀프레임의 배수구 커버
JP4006736B2 (ja) 改装サッシ
KR200358357Y1 (ko) 결로배수 및 공틀겸용의 합성수지재 창호용 형재
JPH0227067Y2 (ko)
CN209637607U (zh) 一种带有错位排水孔的铝合金推拉门窗
CN216741280U (zh) 一种门窗用下沉隐藏式排水盖
JPH0326866Y2 (ko)
JPH0144715Y2 (ko)
JPH0232796Y2 (ko)
JP2008075379A (ja) 建物用庇の取付構造
JPS6337477U (ko)
CN208329970U (zh) 一种汽车及车门限位器
KR200490465Y1 (ko) 창틀의 수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7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7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