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31729Y1 - 엉덩이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양변기 - Google Patents

엉덩이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729Y1
KR200331729Y1 KR20-2003-0017634U KR20030017634U KR200331729Y1 KR 200331729 Y1 KR200331729 Y1 KR 200331729Y1 KR 20030017634 U KR20030017634 U KR 20030017634U KR 200331729 Y1 KR200331729 Y1 KR 200331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present
size
hi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용우
Original Assignee
양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용우 filed Critical 양용우
Priority to KR20-2003-0017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7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72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05Auxiliary or por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연속적으로 좌대가 그 상부로 위치하며 이때 상부의 좌대는 하부의 좌대를 덮으며, 그 좌대의 개구부의 크기가 다른 양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엉덩이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양변기{Bedpan capable of being used according to the user's hip size}
본 고안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의 엉덩이의 크기에 맞추어 그 좌대를 선택할 수 있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서 양변기 사용자는 자신의 엉덩이 크기에 맞춘 좌대를 선택하여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양변기(100)의 구조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양변기(100)는 본체(10)에 대하여 저수조(40)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개구부(25)를 가지는 좌대(20) 및 덮개(30)가 그 일측에서 힌지(18)연결되어있다. 통상의 경우, 사용자는 상기 덮개(30)를 위로 회동하여 열고 좌대(20)에 앉아 용변을 보게 된다. 상기 좌대(20) 및 그 개구부(25)의 크기는 일반적인 사용자의 엉덩이의 크기에 맞추어 만들어지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엉덩이의 크기와 좌대(20) 및 좌대의 개구부(25)의 크기가 적절하지 않아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엉덩이의 크기에 따라 편안하게 용변을 볼 수 있는 양변기가 요청된다.
이와 관련되어 등록실용신안 제20-0291894호는 기존의 좌대에 대하여 그 윗면의 내측부에 홈을 파고 여기에 상기 기존의 좌대보다 작은 유아용 좌대가 안착이 되도록 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유아용 좌대를 기존 좌대 상부면의 홈에 안착시켜, 상기 유아용 좌대에 유아가 않아 유아도 용변을 볼 수 있게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기존의 좌대에 유아용 좌대를 위한 홈이 형성되어 어른이 용변을 보기 위해, 유아용 좌대를 상부로 올리고, 기존의 좌대에 앉을 경우 홈 부분이 엉덩이에 밀착되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불편함이 없이 사용자가 자신의 엉덩이 크기에 맞춘 좌대를 선택하여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용변을 볼 수 있게 하는 양변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엉덩이의 크기에도 불구하고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용변을 볼 수 있는 양변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양변기는 적어도 두개이상의 좌대가 각각 양변기의 본체의 일측에 대하여 힌지 연결되며; 여기서 최하부의 좌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좌대는 그 힌지연결을 위한 힌지연결부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높이연장부를 가져 그 상대적인 상부의 위치를 점하고;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좌대는 그 외경에 따른 면적이 하부의 것보다 커 그 하부의 좌대를 덮고 또한 그 하부의 것보다 그 개구부의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양변기의 본체의 일측에 대하여 힌지 연결된 좌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탈거한 경우, 그 힌지연결부가 점유하던 힌지축의 부분에는 스페이서가 장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양변기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2에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본체 210, 220, 230: 좌대 240: 덮개
2281, 2381: 힌지 연결부의 높이 연장부 280: 힌지연결부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200)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세 개의 좌대(210)(220)(230)가 본체(10)의 일측(280)에서 각각 힌지 연결되어 상호간에 상하로 위치하고 있으며 최상부에 덮개(240)가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280)에 대하여 힌지 연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상기 좌대들(210)(220)(230)은 본체의 힌지연결부(280)에 힌지연결을 위한 힌지연결부(218)(228)(238)를 각각 가진다. 또한 덮개(240)도 힌지연결부(248)를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최하부에 위치하는 좌대(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좌대들(220)(230)은 그 힌지연결을 위한 힌지연결부(228)(238)가 길이부(2283)(2383)를 각각 가지며, 또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높이연장부(2281)(2381)를 각각 가진다. 각각의 높이연장부(2281)(2381)의 높이는그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더 높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부에 놓이는 좌대가 그 상대적인 상부의 위치를 점하면서 본체의 힌지연결부(28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덮개(240)도 힌지연결부(248)가 길이부(2483)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높이 연장부(2481)를 가져 최상부의 위치에서 힌지 연결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200)의 좌대들(210)(220)(230)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상부의 좌대가 그 외경에 따른 전체면적이 크며 또한 그 개구부의 면적이 작다. 이에 따라, 자신의 엉덩이의 크기에 맞는 개구부를 가지는 좌대를 선택하여 용변을 볼 수 있게 되며, 이때 편안하게 용변을 볼 수 있고 나아가서 용변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염물질이 그 하부 또는 상부의 좌대에는 묻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를 분설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하부로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좌대(210)(220(230)들에 대하여 그 개구부(215)(225)(235)의 면적이 달라, 사용자는 자신의 엉덩이의 크기에 맞는 개구부를 선택하여 용변을 볼 수 있다.
둘째, 상대적으로 상부의 좌대가 하부의 좌대보다 그 외경에 따른 전체 면적이 커 상부의 좌대가 하부의 좌대를 덮게 된다. 이에 따라, 상하로 연속적으로 놓이는 좌대에 대하여 돌출단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상부의 좌대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만일 역으로 상대적으로 하부의 좌대의 면적이 큰 경우는 일 좌대를 선택하여 착석하여 용변을 볼 때 그 하부의 좌대에서 면적이 큰 만큼 좌대의 일부가 돌출되어 돌출단이 형성되게 되며, 이에 따라 허벅지 등이 그 돌출단에 걸쳐져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이러한 불펀함이 없이 안정적으로 용변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를 경우 그 외경에 따른 전체면적이 큰 상부좌대의 개구부의 면적이 하부의 것보다 작아, 다수개의 좌대에 대하여 일 좌대를 선택하였을 때 하부의 좌대는 그 상부의 좌대에 대하여 그 일부도 노출되지 않는다. 역으로 상부좌대의 개구부의 면적이 큰 경우는 그 개구부를 통하여 하부좌대의 개구부의 주변부가 노출될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라 일 좌대를 선택하여 용변 시 그 하부의 좌대에 어떠한 오염물질도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것은 어느 하나의 좌대의 사용이 다른 좌대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여 이에 따라 청결성이 향상되고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도 5에서 도시부호 212, 22, 232는 각각의 좌대(210)(220)(230)의 밑면에 부착되는 쿠션부를 보이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2이상의 좌대에 대하여 좌대의 힌지결합을 분해하고 어느 일 좌대를 탈거할 수 있다. 이것은 그 사용 장소에 따라서 어느 좌대는 불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식구들 중 어느 좌대는 불필요한 것일 수 있다.
도 7을 참고로, 좌대의 힌지결합을 분해하고 최하부의 좌대(210)가 탈거되어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좌대(220)(230)의 힌지축(281)을 따른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래 위치하던 좌대(210)의 힌지연결부(218)가 점유하던 힌지축(218)의 부분에 스페이서(2800)를 설치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좌대가 그 상부로 위치하며 이때 상부의 좌대는 그 외경의 면적이 더 커 그 하부의 좌대를 덮으며, 그 좌대의 개구부의 크기가 상부의 것이 작은 양변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엉덩이의 크기에 적당한 좌대를 선택하여 용변을 볼 수 있어 용변시 편안감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상부의 좌대가 하부의 좌대를 덮어 안착의 안정감이 증가되고 일 좌대의 오염물질이 그 상하의 다른 좌대에 묻어나지 않게 된다.
이로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Claims (2)

  1. 양변기에 있어서,
    (a) 적어도 두개이상의 좌대가 각각 양변기의 본체의 일측에 대하여 힌지 연결되며; 여기서
    (a1) 최하부의 좌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좌대는 그 힌지연결을 위한 힌지연결부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높이연장부를 가져 그 상대적인 상부의 위치를 점하고;
    (a2)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좌대는 그 외경에 따른 면적이 하부의 것보다 커 그 하부의 좌대를 덮고 또한 그 하부의 것보다 그 개구부의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엉덩이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양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의 본체의 일측에 대하여 힌지 연결된 좌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탈거한 경우, 그 힌지연결부가 점유하던 힌지축의 부분에는 스페이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KR20-2003-0017634U 2003-06-05 2003-06-05 엉덩이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양변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317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634U KR200331729Y1 (ko) 2003-06-05 2003-06-05 엉덩이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634U KR200331729Y1 (ko) 2003-06-05 2003-06-05 엉덩이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729Y1 true KR200331729Y1 (ko) 2003-11-01

Family

ID=4941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634U Expired - Fee Related KR200331729Y1 (ko) 2003-06-05 2003-06-05 엉덩이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7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48Y1 (ko) * 2012-07-12 2013-01-08 노영현 좌변기용 좌대
US20250009193A1 (en) * 2023-07-03 2025-01-09 Andrey Bukayev Toilet seat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48Y1 (ko) * 2012-07-12 2013-01-08 노영현 좌변기용 좌대
US20250009193A1 (en) * 2023-07-03 2025-01-09 Andrey Bukayev Toilet sea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3425B2 (en) Juvenile bathtub
JP5537449B2 (ja) 可搬便器
JP2010516324A (ja) 幼児用トイレットトレーナ
KR200331729Y1 (ko) 엉덩이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양변기
US6052838A (en) Toilet seat aid
JPH0145364B2 (ko)
EP0897279B1 (en) Device for mounting above a toilet pot, and a toilet assembly
CN215227142U (zh) 一种智能公厕用收缩式婴儿座椅
KR100496701B1 (ko) 오염 방지 및 등받이 기능을 갖는 양변기 커버
CA2284042A1 (en) Toilet with a seat area and bowl
JP2000070179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CN217772181U (zh) 一种坐便椅
JP2020175225A (ja) 浴室用椅子
KR200340998Y1 (ko) 좌변기
KR200242866Y1 (ko) 의자가 구비된 침대
JP6077959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306717Y1 (ko) 좌변기의 유아겸용 좌판 및 개폐장치
CN217696365U (zh) 一种儿童坐便器
KR200364709Y1 (ko) 좌변기 좌대 및 덮개
KR200320416Y1 (ko) 유아의 좌변기용 의자
KR200165621Y1 (ko) 연결식 의자
JP3104598U (ja) 風呂用椅子
KR19980063094U (ko) 커버 착탈식 의자
JP2023149841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0137439Y1 (ko)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60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6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2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