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9326Y1 - 조립식 바닥판 - Google Patents

조립식 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326Y1
KR200329326Y1 KR20-2003-0023727U KR20030023727U KR200329326Y1 KR 200329326 Y1 KR200329326 Y1 KR 200329326Y1 KR 20030023727 U KR20030023727 U KR 20030023727U KR 200329326 Y1 KR200329326 Y1 KR 200329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late
prefabricated bottom
top 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니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니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니무역
Priority to KR20-2003-0023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32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23Separate tongues; Interlocking keys, e.g. joining mouldings of circular, square or rectangular shape
    • E04F2201/0535Separate tongues; Interlocking keys, e.g. joining mouldings of circular, square or rectangular shape adapted for snap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판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판의 배열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조립구조를 제공하여 다양한 배열무늬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조립구조가 상판의 조립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기능만 가짐으로써 상판의 배열변화가 단순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판의 조립 배열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조립구조를 제공하여 다양한 배열무늬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둘레에 암·수 고리를 갖는 베이스판과 그 상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상판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바닥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상판이 배열되는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돌기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상판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요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로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조립식 바닥판{Fabricated baseplate}
본 고안은 조립식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시 인접하는 상판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바닥판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판의 배열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조립구조를 제공하여 다양한 배열무늬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조립식 바닥판은 베이스판과 그 상부에 조립되는 여러개의 판으로 구성되며 일정한 규격을 가져 면적에 따라 여러개의 바닥판을 서로 연결 조립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조립식 바닥판은 본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받은 실용신안등록 제230058호에 소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구조는 바닥판(1)은 베이스판(2)의 상부에 레일이나 홈을 형성하여 이에 상판이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그 구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베이스판(2)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레일(4)을 형성하여 이에 장홈(6)을 갖는 상판(5)을 슬라이딩되도록 끼워 결합하거나 나사로 틀어박아 결합하고, 결합된 바닥판(1)은 면적에 따라 둘레에 형성된 암수고리(3a)(3b)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닥판은 단순히 상판을 베이스판(2)상에 결합시키기 위한 단순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조립방법으로서 그 조립구조를 통해 상판의 배열형상을 변형시키는 기능은 전혀 수행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물론 너무나 제한적인 방법으로 모양을 어느정도 변경할 수 있다 하더라도 그 변화의 폭은 너무나 미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바닥판은 인접하는 상판과 상판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그 틈새로 많은 이물질이나 먼지가 떨어져 바닥에 쌓이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판의 크기가 정형화되어 있어 바닥면적에 따라 설치를 하지 못하거나 또는 또다른 짜투리 바닥판을 이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판의 조립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조립구조를 가짐으로써 상판의 배열변화가 단순할 수밖에 없고, 상판과 상판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고, 바닥판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없는 종래의 바닥판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판의 조립 배열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조립구조를 제공하여 다양한 배열무늬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닥판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바닥판에 절단홈을 형성하여 주변여건에 따라 그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의 조립구조를 나타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의 상판 일실시예도.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 상판의 쿠션띠 결합 구조도.
도 5a∼5i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조립식 발닥판의 상판의 틈새제거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조립식 바닥판의 상판에 양면접착시트가 부착된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식 바닥판의 저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닥판 20 - 베이스판
22 - 결합돌기 30,30b,30c - 상판
32,32b - 결합요홈 36 - 절단홈
38 - 홈 39a,39b - 쿠션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둘레에 암·수 고리를 갖는 베이스판과 그 상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상판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바닥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상판이 배열되는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돌기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판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의 상판 일실시예도이고,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 상판의 쿠션띠 결합 구조도이며, 도 5a∼5i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바닥판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실시예도이다.
바닥판(10)의 구성은 크게 베이스판(20)과 상판(3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판(20)은 둘레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바닥판의 베이스판(20)과의 연결을 위한 암·수 고리(21a)(21b)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판(30)을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돌기(22)가 상판(30)의 배열 간격으로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기(22)는 도 3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단순한 사다리꼴 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평면에서 볼 때 십자형상을 이루도록 세로로 절개하여 네개의 몸체로 구성함으로써 각 몸체는 절개된 간격 만큼의 텐션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상판(30)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요홈(32)이 형성된다. 결합요홈(32)은 중앙부에 하나 또는 다열로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결합요홈(32)의 단면 형상 또한 상술한 결합돌기(22)의 형상과 같이 상광 하협형상으로이루어져 결합시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결합요홈(32)은 상판(30)의 길이를 갖는 하나의 연속된 홈구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3에서와 같이 결합요홈(32-1)의 구조를 짧은 길이로 다수개 형성하여 이를 상판(3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바닥판을 조립할 때에는 베이스판(20)을 암·수 고리로써 연결 조립한 후 그 상부에 상판(30)을 조립한다.
상판(30)은 베이스판(2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2)에 상판(30)의 결합요홈(32)을 대응시켜 강제로 누르게 되면 결합돌기(22)는 수축하면서 결합요홈(32)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어 큰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여간해서는 역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도 6 참조]
이때 결합돌기(22)의 구조가 평면에서 볼 때 십자형상으로 절개된 형상일 경우에는 수축하면서 결합요홈(32)으로 삽입되었다가 결합 완료 후에는 결합돌기(22)의 각 부분몸체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벌어져 큰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판(30)을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면 베이스판(20)의 결합돌기(22)와 결합된 상태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인접 결합되는 상판(30)과의 위치 이동에 의해 도 5a∼5i와 같이 다양한 무늬가 구현되게 된다.
또한 결합돌기(22)는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상술한 조립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인접설치되는 상판(30)과 직각을 이루도록 또 다른 상판을 설치할 수가 있다.
한편, 상판(30)의 바닥에 형성된 결합요홈(32)이 상판(30)의 길이를 갖도록 된 상판(30)은 조립후 길이방향의 힘이 가해질 때 그 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될 우려가 있으므로 조립 완료 후에는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마무리작업, 예를 들어 이동을 방지하는 버팀판과 같은 것을 보조적으로 결합해 주어야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판(30b)의 저면에 짧은 다수개의 결합요홈(32-1)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형성한 것은 미끄러지더라도 결합요홈(32-1)의 길이 만큼만 움직이게 되므로 상판(30b)의 이동 억제기능을 어느정도 갖출 수 있다.
또한 상판(30)(30b)의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절단홈(36)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절단홈(36)은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구조는 바닥판(10)은 규격화 되어 있으므로 어떤 곳에서는 설치면적이 넓거나 좁아 단위 바닥판으로는 설치를 하지 못할 때가 있는데, 이때에는 베이스판(20)을 절단하고 또 그 길이에 맞게 상판(30)(30b)도 절단하여 설치할 수가 있다. 이때에는 상판(30)(30b)의 하부에 다수개 형성된 절단홈(36)을 이용하여 상판(30b)을 절단하여 필요한 길이 만큼만 조립하여 마무리 할 수가 있다.
특히 도 7과 같이 상판(30)(30b)의 바닥에 형성된 결합요홈(32)이 다수개 이므로 결합시킬 때 베이스판(20)의 결합돌기(22)에 결합시킬 때 결합요홈(32)을 한칸씩 이동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판(30c)과 인접한 상판의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발생하여 그 틈을 통해 이물질이 바닥으로 유입되어 지저분해지고 또 바닥에 쌓인 먼지가 충격에 의해 상부로 올라오게 되는 현상들이 발생하게 된다. 또 상판(30)(30b)(30c)과 베이스판(20)이 서로 다른 재료임과 동시에 다른 방식으로 제조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가공오차에 의해 발생하는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그 틈을 없애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본 고안에 따라 베이스판(20)에 상판(30)(30b)(30c)을 종래의 방식처럼 나사로 결합하지 않고 결합돌기(22)에 요홈(32)(32-1)을 맞춰 끼워 밀어가면서 조립하는 것 만으로도 어느정도 틈없이 상판을 연결조립할 수 있으나 이때 발생하는 미세한 틈마저 없애기 위해 도 4a,4b에서와 같이 상판(30c)의 둘레에 홈(38)을 형성하고 이에 쿠션띠(39a)(39b)를 부착한다. 쿠션띠(39a)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으나, 밴드형상으로 쿠션띠(39b)를 형성하여 상판(30c)의 둘레에 감아 두르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쿠션띠가 부착이되면 상판(30c)의 부착시 인접한 상판의 쿠션부재(39a)(30b)가 밀착되어 틈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 조립식 발닥판의 상판의 틈새제거 상태도로서, 틈새를 없애기 위해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는 상기 상판(30,30b,30c)간의 틈새를 접착제(41)로 부착하여 연결하였다. 접착제(41)는 다양한 것을 채택할 수 있으며, 특히 양측 상판(30,30b,30c)의 측면을 녹여 서로를 접착할 수 있는 것이면 더욱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 조립식 바닥판의 상판에 양면접착시트가 부착된 상태도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판(30,30b,30c)이 조립완료된 후 사용하다 보면 조립된 상판(30,30b,30c)이 하중이 가하여지는 방향에 따라 유동될 수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연출된 무늬가 조금씩 변형 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판(30,30b,30c)의 저면에 양면접착시트(42)를 부착하였다가 설치시 분리시트를 분리하여 베이스판(20)의 상부에 부착하면 조립 완료 후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연출된 무늬를 유지할 수가 있다.
한편, 도 10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식 바닥판의 저면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바닥판은 조립 여건에 따라 베이스판(50)을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즉, 베이스판(50)의 상면에 형성된 각 결합돌기(51)를 기준으로 일정크기의 사각의 영역을 형성하고, 각 영역 간의 경계선 하면에 절단홈(52)을 형성하여 주변 여건에 따라 부분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판(50)이 분리되더라도 인접되는 바닥판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각 영역의 둘레의 측면 중앙부에 상기 베이스판(50) 둘레에 형성된 암·수 고리와 동일한 암·수 고리를 갖는다. 이 암·수 고리는 중앙부에 탄성홈(54c)을 갖고 양단에 걸림돌기(54a)(54b)가 형성된 평행한 스냅핀(53)과, 상기 스냅핀(53)의 걸림돌기(54a)(54b) 간격보다는 좁은 홈(55)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설치자가 임의의 크기에 따라 베이스판(50)의 경계선, 즉 절단홈(52)을 절단하면 그 절단된 면에 또다른 암·수 고리 즉, 스냅핀(53)이나 홈(55)이 노출되어 다른 바닥판과의 조립이 가능하다. 이 스냅핀(53)과 홈(55)의결합은 스냅핀(53)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홈을(55) 베이스판(50)과 스냅핀(53)의 걸림턱(54a)(54b) 사이로 결합시키게 되면 스냅핀(53)의 걸림턱(54a)(54b)이 홈(55)의 내측단에 걸림되어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스냅핀(53)을 결합되는 베이스판(50)의 측면의 홈(55)으로 밀어넣게 되면 양측 스냅핀(53)은 탄성홈(54c) 내측으로 수축하면서 걸림턱(54a)(54b) 홈(55)에 삽입되며, 삽입이 완료되면 스냅핀(53)의 탄성력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져 그 걸림턱(54a)(54b)이 홈(55)의 내측에 걸려 역으로 이탈되지 않게 결합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 베이스판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판의 바닥에는 길이가 긴 결합요홈을 형성하여 조립후 이를 밀어 위치이동시켜 배열의 변화를 줄 수 있으며, 특히 가로방향으로의 결합도 가능하여 더욱더 배열의 변화를 줄 수가 있으므로 결국 상판의 조립 배열에 의한 다양한 배열무늬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일시공과 같은 방식으로 베이스판과 상판을 조립함으로 중소기업에서 베이스판과 상판의 제품결합시 오차를 줄이기 위한 고가의 설비를 갖추지 않고도 틈없이 상판을 결합할 수 있는 제품을 양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판의 둘레에 결합되는 밴드나 접착제에 의해 더욱 완벽하게 틈새없이 상판을 결합할 수가 있고, 또 베이스판에는 절단홈이 형성되고 절단면에는 또다른 암·수고리가 형성되며 이와 결합되는 상판에 절단홈이 형성되어 주변 여건에 따라 베이스판의 크기를 조절하여 조립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둘레에 암·수 고리를 갖는 베이스판과 그 상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상판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바닥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상판이 배열되는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돌기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판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요홈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요홈은 상광하협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세로로 절개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판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절단홈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둘레에 홈을 형성하고 이에 쿠션띠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면에 양면 접착시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각 결합돌기를 기준으로 일정크기의 사각의 영역을 형성하고, 각 영역 간의 경계선 하면에 절단홈을 형성하고, 상기 각 영역의 둘레의 측면 중앙부에 상기 바닥판 둘레에 형성된 암·수 고리와 동일한 암·수 고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고리는 중앙부에 탄성홈을 갖고 양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평행한 스냅핀과, 상기 숫고리의 걸림돌기 간격보다는 좁은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는 상기 상판간의 틈새를 접착제로 부착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바닥판.
KR20-2003-0023727U 2003-07-23 2003-07-23 조립식 바닥판 Ceased KR200329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727U KR200329326Y1 (ko) 2003-07-23 2003-07-23 조립식 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727U KR200329326Y1 (ko) 2003-07-23 2003-07-23 조립식 바닥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582A Division KR100595972B1 (ko) 2004-07-09 2004-07-09 조립식 바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326Y1 true KR200329326Y1 (ko) 2003-10-08

Family

ID=4933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727U Ceased KR200329326Y1 (ko) 2003-07-23 2003-07-23 조립식 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3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704B1 (ko) * 2010-12-14 2011-06-02 김식영 목재 데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704B1 (ko) * 2010-12-14 2011-06-02 김식영 목재 데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8708B1 (ko) 패널부재
US7690160B2 (en) Modular floor tile system with transition edge
US4584221A (en) Floor covering assembly
US7958681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nonslip insert system
US7571573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lower cross rib
US20050183370A1 (en) Interlocking Tile
CA2546689A1 (en) Floorboard,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flooring, and a flooring formed thereof
CA2404366A1 (en) A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sheet-shaped floor elements which are joined by means of joining members
KR20150103416A (ko) 조립식 매트
CA2504589A1 (en) Toy track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same
KR100595972B1 (ko) 조립식 바닥판
KR200329326Y1 (ko) 조립식 바닥판
WO2005003574A1 (de) Platte zur verlegung auf böden, wänden, decken, fassaden oder dgl
EP3179009B1 (de) Flächiges boden- oder wandbelagselement
KR20200137603A (ko) 조립식 퍼즐 매트
US20030168387A1 (en) Scree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466413B1 (ko) 교량연결구조
KR200189510Y1 (ko)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JP2007054605A (ja) ファシリティーマットベー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ァシリティーマット
KR102700858B1 (ko) 조립용 완구 유닛
JP2005282170A (ja) 床材の固定構造
JP2702795B2 (ja) 天井材取り付け構造
KR200211047Y1 (ko) 슬라이더 파스너
JP3059200U (ja) 床敷用マット
JPH02339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7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7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0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101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