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9129Y1 - 액체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129Y1
KR200329129Y1 KR20-2003-0017758U KR20030017758U KR200329129Y1 KR 200329129 Y1 KR200329129 Y1 KR 200329129Y1 KR 20030017758 U KR20030017758 U KR 20030017758U KR 200329129 Y1 KR200329129 Y1 KR 200329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fixture
forms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학
Original Assignee
장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학 filed Critical 장용학
Priority to KR20-2003-0017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1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12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1/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주류(와인, 샴페인)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를 보다 편리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액체용기용 마개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액체용기용 마개(1)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10)와, 용기(10) 주입구(11)의 외부에 결합되어 자유 회전되는 고정구(20)와, 이의 상부에 안치되며 내측 중앙으로 주입구(11)를 밀봉하는 밀봉캡(31)이 형성되는 마개부(30)로 구성되며,
용기(10)는 주입구(11)의 외부 하단에 걸림환테(12)를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경사형 안내돌기(13)를 산형으로 수개 형성하며, 고정구(20)는 하측 내부에 걸림환테(12)와 결합되는 걸림홈(21)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안치턱(22)을 형성하며, 안치턱(22) 상측으로는 전후 대칭되는 파형 안내부(23)를 형성하며, 마개부(30)는 안치턱(22)에 안치되는 커버(32) 내주연에 파형 안내부(23)와 대응하는 파형 안내돌기(33)를 형성하고, 파형 안내돌기(33)의 내측으로는 주입구(11)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형 안내돌기(13)와 결합하는 산형으로 형성된 경사형 안내돌기(34)를 서로 마주보게 형성한 것으로서, 액체 용기의 마개(1) 개봉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용기용 마개{Stopper of vessel for liguid}
본 고안은 액체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주류(와인, 샴페인)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를 보다 편리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액체용기용 마개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wine)이나 샴페인(champagne)의 경우 용기 내부에 들어 있는 내용물에 따라서 마개의 형태로 달라진다.
용기의 주입구가 코르크(cork)로 밀봉된 와인의 경우 이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개봉수단으로 마개를 분리해야하며, 샴페인의 경우는 마개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주입구를 막고 있는 마개를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어 있는 철사로 고정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마개를 개봉하기 위해 철사를 분리한 후에도 마개가 잘 분리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종래의 액체용기용 마개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용기의 주입구측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고정구와, 고정구의 회전에 의해 개봉되는 마개부로 구성하여 용기 마개의 개봉이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전개도로서 마개 개봉 전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전개도로서 마개 개봉 후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전개도로서 마개 개봉 전 상태도
도 7은 도 5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전개도로서 마개 개봉 후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액체용기용 마개 10:용기
11:주입구 12:걸림환테
13:경사형 안내돌기 13a,23a:상점
13b,23b:하점 20:고정구
21:걸림홈 22:안치턱
23:파형 안내부 24:요입홈
25:걸림돌기 25a:직각면
25b:경사면 26,27:논슬립돌기
30:마개부 31:밀봉캡
32:커버 33:파형 안내돌기
34:경사형 안내돌기 35:결합편
36:걸림구멍 38:코르크 내입공
39:안치홈 40,40':코르크
41:나사봉 41a:나사산
42,43:표시부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전개도로서 마개 개봉 전, 후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액체용기용 마개(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 주입구(11)의 외부에 결합되어 자유 회전되는 고정구(20)와, 이의 상부에 안치되며 내측 중앙으로 주입구(11)를 밀봉하는 밀봉캡(31)이 형성되는 마개부(30)로 대분된다.
즉, 본 고안은 용기(10) 주입구(11)의 외부 하단에 걸림환테(12)를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는 경사형 안내돌기(13)를 산형으로 형성한다. 이때 경사형 안내돌기(13)는 4개, 6개 또는 8개로 구성한다.
상기 용기(10) 주입구(11)의 외부에 결합되는 고정구(20)는 하측 내부에 걸림홈(21)을 형성하여 걸림환테(12)에 결합하며, 상부에는 안치턱(22)을 형성하고 안치턱(22) 상측으로는 전후 대칭되는 파형 안내부(23)를 형성한다. 이때 파형 안내부(23)의 상점(23a)은 용기 주입구(11)의 경사형 안내돌기(13)의 상점(13a)보다 높게 위치되게 하고, 파형 안내부(23)의 하점(23b)은 용기 주입구(11)의 경사형 안내돌기(13)의 하점(13b)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개부(30)는 안치턱(22)에 안치되는 커버(32) 내주연에 파형 안내부(23)와 대응하는 파형 안내돌기(33)를 형성하고, 파형 안내돌기(33)의 내측으로는 주입구(11)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형 안내돌기(13)와 부합하는 산형으로 형성된 경사형 안내돌기(34)를 서로 마주보게 형성한다.
한편 상기 고정구(20)와 마개부(30)는 안전수단에 의해 마개부(3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안전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20)의 안치턱(22)에 요입홈(24)을 형성하고, 이에는 하측면은 직각면(25a)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은 경사면(25b)으로 형성된 삼각형 걸림돌기(25)를 형성하며, 마개부(30)에는 요입홈(24)에 부합하는 결합편(35)을 형성하고, 결합편(35)에는 걸림돌기(25)가 결합되는 걸림구멍(36)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구(20)와 마개부(30)의 외부에는 파지의 용이성 및 마개의 개봉시 슬립을 방지할 수 있게 논슬립돌기(26)(37)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 7은 도 5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전개도로서 마개 개봉 전, 후 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와 같이 고정구(20)와 마개부(30)를 결합 구성함에 있어서, 마개부(30)의 내측 중앙으로 형성되어 주입구(11)를 밀봉하는 밀봉캡(31)에는 내측으로 코르크 내입공(38)을 관통 형성하고, 이에는 마개부(30)의 상단에 형성되는 안치홈(39)에 걸림되는 걸림돌륜(41)이 일체 형성된 코르크(40)를 압입 고정한 구성이다.
이때 고정구(20)의 상측에 형성되는 파형 안내부(23)와 마개부(30)의 커버(32) 내주연에 형성되는 파형 안내돌기(33)는 개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나의 상점과 하점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하점에서 상점측으로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게 구성하거나, 나사식(미도시)으로 결합되게 구성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결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마개부(30)의 내측 중앙으로 주입구(11)에 내입 고정되는 코르크(40')를 배치하고, 왼 나사가 형성된 나사봉(41)으로 마개부(30)와 결합한 구성이다.
이때 나사봉(4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41a)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사봉(41)과 코르크(40')의 결합력이 증강될 수 있게 한다.
코르크(40')를 결합하는 마개(1)의 경우 마개부(30)가 임의 분리될 염려가 없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안전수단이 없어도 무방하므로, 고정구(20)와 마개부(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42)(43)를 형성하여 개봉 후 재 밀봉코자 할 시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각종 액체 용기용 마개(1)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샴페인이나 와인 병에 적용할 경우 마개의 간편한 분리를 보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경우 마개(1)의 분리는 고정구(20)의 회동만으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고정구(20)를 일측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먼저 안전수단이 해지되게 된다. 즉, 커버(32)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합편(35)에 결합되어 있는 걸림돌기(25)의 양측이 경사면(25b)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결합편(35)의 걸림구멍(36)에서 자연스럽게 이탈되며, 고정구(2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파형 안내부(23)가 마개부(30)의 커버(32)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파형 안내돌기(33)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마개부(30)는 고정구(20)와 함께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되나 파형 안내돌기(33)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경사형 안내돌기(34)가 용기(10)의 주입구(11) 외부에 형성된 경사형 안내돌기(13)와 치 결합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마개부(30)는 고정구(20)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고정구(20)의 파형 안내부(23) 및 주입구(11) 외부의 경사형 안내돌기(13)의 안내를 받으며 마개부(30)의 커버(32) 내측으로 형성되어 파형 안내돌기(33)와 경사형 안내돌기(34)가 서서히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마개부(30) 내측 중앙의 밀봉캡(31)이 주입구(11)에서 분리되는바, 이를 샴페인 병에 적용할 경우 마개(1)의 간편한 분리를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봉된 상태의 액체 용기(10)를 재 밀봉코자 할 시에 고정구(2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25)와 마개부(30)의 결합편(35)의 위치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마개부(30) 상측을 가압하기만 하면 처음과 같은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도 5와 같이 마개부(30)의 밀봉캡(31) 내측으로 코르크 내입공(38)을 형성하고 코르크(40)를 압입 고정하거나, 도 8과 같이 마개부(30)의 내측 중앙으로 코르크(40')를 배치하여 마개부(30)와 나사봉(41)으로 나사 결합할 경우 와인병용으로도 적용이 가능하게 되며, 마개(1)의 개봉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코르크를 개봉하기 위한 별도의 개봉수단 없이도 마개의 개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액체 용기용 마개(1)의 경우 용기(10)의 주입구(11) 외부에 결합되어 자유 회전되는 고정구(20)와, 이의 상부에 안치되며 내측 중앙으로 주입구(11)를 밀봉하는 밀봉캡(31)이 형성되는 마개부(30)를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염가 생산이 보장되며, 마개(1)의 개봉에 있어서도 종래에 것에 비하여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는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액체용기용 마개(1)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10)와, 용기(10) 주입구(11)의 외부에 결합되어 자유 회전되는 고정구(20)와, 고정구(20)의 상부에 안치되며 내측 중앙으로 주입구(11)를 밀봉하는 밀봉캡(31)이 형성되는 마개부(30)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10)는 주입구(11)의 외부 하단에 걸림환테(12)를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경사형 안내돌기(13)를 산형으로 수개 형성하며,
    상기 고정구(20)는 하측 내부에 걸림환테(12)와 결합되는 걸림홈(21)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안치턱(22)을 형성하며, 안치턱(22) 상측으로는 전후 대칭되는 파형 안내부(23)를 형성하며,
    상기 마개부(30)는 안치턱(22)에 안치되는 커버(32) 내주연에 파형 안내부(23)와 대응하는 파형 안내돌기(33)를 형성하고, 파형 안내돌기(33)의 내측으로는 주입구(11)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형 안내돌기(13)와 부합하는 산형으로 형성된 경사형 안내돌기(34)를 서로 마주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구(20)와 마개부(30)는 안전수단에 의해 마개부(30)가 임의로 분리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안전수단은 고정구(20)의 안치턱(22)에 요입홈(24)을 형성하고, 요입홈(24)에는 하측면은 직각면(25a)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은 경사면(25b)으로 형성된 삼각형 걸림돌기(25)를 형성하며, 마개부(30)에는 걸림돌기(25)가 결합되는 걸림구멍(36)이 형성된 결합편(35)을 요입홈(24)에 부합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0)의 상측에 형성되는 파형 안내부(23)와 마개부(30)의 커버(32) 내주연에 형성되는 파형 안내돌기(33)는 개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나의 상점과 하점을 가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파형 안내돌기(33)에는 내측으로는 주입구(11)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형 안내돌기(13)와 부합하는 산형으로 형성된 경사형 안내돌기(34)를 1개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30)에는 내측 중앙으로 형성되어 주입구(11)를 밀봉하는 밀봉캡(31) 내측으로 코르크 내입공(38)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마개부(30)의 상단에형성되는 안치홈(39)에 걸림되는 걸림돌륜(41)이 일체 형성된 코르크(40)를 압입 고정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마개.
  5.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30)의 내측 중앙으로 주입구(11)에 내입 고정되는 코르크(40')를 배치하고, 왼 나사가 형성된 나사봉(41)으로 마개부(30)와 결합하되,
    상기 나사봉(4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41a)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사봉(41)과 코르크(40')의 결합력이 증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마개.
KR20-2003-0017758U 2003-06-05 2003-06-05 액체용기용 마개 Expired - Fee Related KR200329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58U KR200329129Y1 (ko) 2003-06-05 2003-06-05 액체용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58U KR200329129Y1 (ko) 2003-06-05 2003-06-05 액체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129Y1 true KR200329129Y1 (ko) 2003-10-08

Family

ID=4941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758U Expired - Fee Related KR200329129Y1 (ko) 2003-06-05 2003-06-05 액체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1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32226A (en) Container closure
US20030168456A1 (en) Closure device particularly for bottles and/or containers
KR20080080312A (ko) 캡을 구비한 용기
RU24266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упоривания сосуда (варианты)
KR200329129Y1 (ko) 액체용기용 마개
JP5090021B2 (ja) キャップおよび閉止装置ならびに飲料入り閉止装置
JP7316852B2 (ja) 安全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付き容器ユニット
US20050077263A1 (en) Bottle stopper
EP3480129B1 (en) Combination of a cork and a bottle
CN208947938U (zh) 一种密封瓶
US20060113273A1 (en) Threaded packaging with a click function
KR20220082453A (ko) 나사체결식 병마개 따개
JP6807206B2 (ja) 複合キャップ
KR200422333Y1 (ko) 용기마개의 결합구조
CN220148056U (zh) 一种采用硅橡胶复合结构的酒瓶盖
JP3452992B2 (ja) 炭酸飲料用壜の閉栓構造
KR200478362Y1 (ko) 포장용기 뚜껑
CN210635019U (zh) 一种易于拧动的密封瓶盖
KR100788759B1 (ko) 용기마개의 결합구조
CN212686342U (zh) 一种容器及其盖子
WO2018208183A1 (pt) Cápsula para rolha de cortiça flangeada, rolha capsulada compreendendo a referida cápsula e processo de produção da rolha capsulada
KR200213038Y1 (ko) 병체와 뚜껑의 결합구조
KR200252140Y1 (ko) 병따개
JP7190302B2 (ja) 容器用栓体
KR200248958Y1 (ko) 합성수지 재질의 중, 소형 용기 및 마개의 이중 밀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60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609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80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3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