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8766Y1 - 폐어망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폐어망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766Y1
KR200328766Y1 KR20-2003-0021652U KR20030021652U KR200328766Y1 KR 200328766 Y1 KR200328766 Y1 KR 200328766Y1 KR 20030021652 U KR20030021652 U KR 20030021652U KR 200328766 Y1 KR200328766 Y1 KR 200328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sides
fishing net
roll
reference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숙
Original Assignee
김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숙 filed Critical 김인숙
Priority to KR20-2003-0021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7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76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인선의 하단에 설치하여 예인선이 주행하는 동안 해양 바닥에 밀착된 상태로 예인선의 주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양 바닥에 침체된 폐어망 등을 걸어서 건져 올릴 수 있도록 하는 폐어망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걸림턱(12a)이 형성된 걸림바늘(12)을 끝부분이 일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를 회전롤(11)의 외경에 고착시킨 걸림수단(10)과, 회전롤(11)의 회전공(13)에 기준축(14)을 삽입하여 회전롤(11)의 양측단 외부로 인출된 기준축(14) 양측 외경에 라체트기어(21)를 장착하고 회전롤(11) 양측단 면에 걸림구(22)를 장착하여 걸림구(22) 끝부분이 라체트기어(21) 이빨에 체결되도록 한 라체트수단(20)과, 가로골조(31) 양측 상부에 고정구(32)를 장착하고 그 하부로 세로골조(33)를 구비시킨 인양틀(30)의 세로골조(33) 내측에 기준축(14) 양측 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장착 고정하여 구성시킨 인양장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어망 인양장치{ a pulling up device to wasted fish net }
본 고안은 폐어망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예인선의 하단에 설치하여 예인선이 주행하는 동안 해양 바닥에 밀착된 상태로 예인선의 주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양 바닥에 침체된 폐어망 등을 걸어서 건져 올릴 수 있도록 하는 폐어망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이며, 인근 해역은 동·서· 남해로 나뉘어져 있다. 인근해역의 총면적은 약 150만㎢이며, 총 해수량은 170만㎢, 평균수심은 약 1,560m인 동해를 제외하면 44 ~ 101m정도의 평균수심은 천해(淺海 ; shallow sea)로 , 오염물질의 유입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충분한 개연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임에도 바다로부터 보다 많은 부산물을 얻기 위해 어망 등어획 장비를 대량으로 사용하여 다량으로 포획함에 따라 해산물이나 어류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어류 포획용으로 사용하던 어망이나 인공어장용 장비들을 태풍 등으로 분실하거나 고의로 수거하지 않고 방치하여 다년간 바다 밑바닥에 묻혀서 다른 폐기물들과 함께 해양오염을 유발하여 어패류의 번식을 억제하여 근본적으로 어패류의 수를 감소시켜서 어획량이 감소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폐어망이 해류에 슬려 다니면서 항해하는 선박의 추진기에 감겨서 추진기의 회전을 방해하여 운행이 불가능하도록 하거나 심지어 과부하로 운행기관에 손상을 주어 어민들의 재산상 손실을 입히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차원에서도 해양오염방지법 및 폐기물처리법을 토대로 해양오염 방지에 중점을 두고 폐기물처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음에도 폐어망 수거를 위한 적절한 대안이 없어 사설 업체에 수거작업을 위임하고 있으나 수거업체의 열악한 수거장비로 인해 바닥에 은폐(隱蔽)된 폐어망을 인양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여 스쿠버 다이버에 의한 수작업으로 인양하고 있어 수거비용이 높아져서 다량의 폐어망을 효율적으로 인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230538호와 같이다수개의 걸림수단을 바지선에 로프로 인장하여 인양선이 이동하면서 걸림수단이 바닥에 은폐된 폐어망 등을 인양하도록 하고 있으나 인양선이 이송할 때 걸림수단이 부력과 이송속도에 의해 바닥면에서 이탈되거나 걸림수단과 걸림수단 사이에 폐어망이 있을 때 그냥 지나쳐버리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용성이 미비하여 실 실사용이 별다른 효율을 보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있다.
이와 같이 근본적인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고 있음에도 관련업체에서는 이에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걸림핀이 다수 형성된 중량의 회전롤 구성하여 인양선에 의해 이동시에도 항상 바닥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회전롤의 길이만큼의 바닥에 은폐된 폐어망이 모두 검출되도록 하고, 인양작업이 이루어진 장소를 명확히 함으로서 이중 작업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인양속도를 보다 빠르게 하면서 효율적으로 수거함으로서 수거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시킨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 및 요부 확대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 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인양장치 2:인양선
3:인양수단 4:로프
5:수중카메라 6:쇠사슬
7:폐어망 8:바닥
10:걸림수단 11:회전롤
12:걸림바늘 12a:걸림턱
13:회전공 14:기준축
20:라체트수단 21:라체트기어
22:걸림구 30:인양틀
31:가로골조 32:고정구
33:세로골조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 및 요부 확대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 상태 평면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폐어망 인양장치에 대한 상세구성 및 작용을 설명키로 한다.
인양선(2) 후단에 구성한 인양수단(3)에서 인출시킨 로프(4) 끝단부에 수중카메라(5)와 함께 설치시킨 통상의 폐어망 인양장치에 있어서;
중심 내부에 회전공(13)을 형성한 원통형의 회전롤(11) 외경에 걸림턱(12a)이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바늘(12)을 끝부분이 일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여 일정간격으로 고착하여 형성시킨 걸림수단(10)과, 회전공(13)에 기준축(14)을 삽입하여 회전롤(11)의 양측단 외부로 인출된 기준축(14) 양측 외경에 라체트기어(21)를 장착하고 회전롤(11) 양측단 면에 걸림구(22)를 장착하여 걸림구(22) 끝부분이 라체트기어(21) 이빨에 체결되도록 한 라체트수단(20)과, 가로골조(31) 양측 상부에 고정구(32)를 장착하고 그 하부로 세로골조(33)를 구비시킨 인양틀(30)의 세로골조(33) 내측에 기준축(14) 양측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장착 고정하여 구성시킨 인양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폐어망 인양장치(1)를 인양선(2)에 장착 설치함에 있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선(2)의 후단에 장착된 인양수단(3)에 감겨서 인출된 로프(4) 끝부분이 인양장치(1)의 인양틀(30) 양측에 장착된 각각의 고정구(32)에 양 끝부를 장착시키 쇠사슬(6)의 중심부위에 걸림 구성되도록 하고 로프(4) 하단부에 수중카메라(5)를 장착시킴으로서 폐어망(7)을 인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인양장치(1)를 바다의 수심에 따라 인양수단(3)을 구동하여 로프(4)의 길이를 조절하여 인양장치(1)가 바다의 바닥(8)에 안착도록 한 다음 인양선(2)을 전진시키면 로프(4)에 의해 연결된 인양장치(1)가 인양선(2)을 따라 전진하게 된다.
이때 회전롤(11)을 중량의 금속제로 구성함으로서 부력이나 가속도에 의한 부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롤(11)의 자체의 하중에 의해 기준축(14)을 중심으로 회전공(13)에 의해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11)이 회전하면서 바닥(8)에 묻혀있는 폐어망(7)을 검출하여 인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중량의 걸림수단(10)을 이송시키면서도 인양선(2)에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걸림바늘(12)의 돌출방향과 걸림수단(10)의 회전방향을 인양선(2)이 전진하는 반대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서 인양작업도중 은폐된 폐어망(7)이 걸린 상태에서도 걸림수단(10)이 전진하면서 폐어망(7)의 하중에 의해 회전롤(11)이 회전하지 못하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어, 상기 라체트장치(20)를 설치함에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바늘(12)이 돌출된 끝부분 방향으로 만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걸림수단(10)이 전진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하며, 걸림바늘(12)에 걸림턱(12a)을 형성한 것 또한 인양과정에서 폐어망(7)이 걸림바늘(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걸림수단(10)에서 폐어망(7)이 이탈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시킨 인양장치(1)를 바다 수심에 따라 인양수단(3)을 조절하여 로프(4)를 풀어서 인양수단(10)이 바다 바닥(8)에 밀착되도록 하여 인양선(2)을 이송시키며 이때, 걸림수단(10)이 전진하는 과정에서 걸림바늘(12)에 폐 그물이나 폐 로프 등의 폐어망(7)이 걸리면 인양수단(3)에 과부하 신호가 오게 되며 이때 수중카메라(5)를 가동하여 걸린 물체를 확인하며 걸린 물체가 폐어망(7)으로 판명나면 인양수단(3)을 가동하여 로프(4)를 감아 인양장치(1)가 바닥(8)에서 일정거리 떨러지도록 인양하여 폐어망(7)이 바닥에서 완전히 이탈되도록 한 다음 인양선(2)을 뭍으로 이동시키면 인양선(2)에 부하가 없이 빠른 속력으로 폐어망(7)을 육지로 인양하여 폐기처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폐어망 인양장치는 걸림바늘이 다수 형성된 중량의 회전롤 구성하여 인양선에 의해 이동시에도 항상 바닥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회전롤의 길이만큼의 바닥에 은폐된 폐어망이 모두 검출되도록 하고, 인양작업이 이루어진 장소를 명확히 함으로서 이중 작업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인양속도를 보다 빠르게 하면서 효율적으로 수거함으로서 수거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저비용으로 단기간에 다량의 폐어망을 인양하여 해양오염을 방지함으로서 보다 신선한 많은 양의 어패류를 포획 할 수 있어 어민들의 보다 윤택한 경제를 보장하는 그 기대되는 바가 대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인양선(2) 후단에 구성한 인양수단(3)에서 인출시킨 로프(4) 끝단부에 수중카메라(5)와 함께 설치시킨 통상의 폐어망 인양장치에 있어서;
    중심 내부에 회전공(13)을 형성한 원통형의 회전롤(11) 외경에 걸림턱(12a)이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바늘(12)을 끝부분이 일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여 일정간격으로 고착하여 형성시킨 걸림수단(10)과;
    회전공(13)에 기준축(14)을 삽입하여 회전롤(11)의 양측단 외부로 인출된 기준축(14) 양측 외경에 라체트기어(21)를 장착하고 회전롤(11) 양측단 면에 걸림구(22)를 장착하여 걸림구(22) 끝부분이 라체트기어(21) 이빨에 체결되도록 한 라체트수단(20)과;
    가로골조(31) 양측 상부에 고정구(32)를 장착하고 그 하부로 세로골조(33)를 구비시킨 인양틀(30)과;
    상기 인양틀(30)의 세로골조(33) 내측에 기준축(14) 양측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장착 고정하여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어망 인양장치.
KR20-2003-0021652U 2003-07-05 2003-07-05 폐어망 인양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28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652U KR200328766Y1 (ko) 2003-07-05 2003-07-05 폐어망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652U KR200328766Y1 (ko) 2003-07-05 2003-07-05 폐어망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766Y1 true KR200328766Y1 (ko) 2003-10-01

Family

ID=4941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652U Expired - Fee Related KR200328766Y1 (ko) 2003-07-05 2003-07-05 폐어망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7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474B1 (ko)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JP2006517107A (ja) 水没可能囲い網
CN206150183U (zh) 一种可升降的网箱装置
CN104686410A (zh) 现代化集约型快速养鱼场
WO2001052638A1 (en) Device for anchoring floating cages for fish, fish pots and cages
CN206481819U (zh) 一种单点系泊船形浮框调载升降网箱
CN110127002B (zh) 一种打捞近海海底丢失丢弃网具的智能化装置
KR200328766Y1 (ko) 폐어망 인양장치
CN212447981U (zh) 一种自主动力集运鱼实验平台
Thomas Sustainable gillnet fishing
KR20000042069A (ko) 수상 부유물 수거선
JP3925721B2 (ja) 漁労方法
JP3150490U (ja) 養殖用水深可変係留施設
KR101833172B1 (ko)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CN210226604U (zh) 捕鱼笼
KR100803761B1 (ko) 체인형 해저폐기물 수거장치
CN209897985U (zh) 全潜式深远海养殖系统
KR200379254Y1 (ko) 어망의 도난 방지 및 회수의 편리성을 위한 부구
JPH0432058Y2 (ko)
KR0156670B1 (ko) 해저 오물 수거용 선박
JPH0453256Y2 (ko)
Jung et al. Possibility of fishery in offshore wind farms
CN222982257U (zh) 一种洋流驱动转网可升降网箱
JP5115940B2 (ja) 旋網およびこれを用いた操業方法
CN218537044U (zh) 一种捕鱼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70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7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1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