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8174Y1 - 그레이팅 받침대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174Y1
KR200328174Y1 KR20-2003-0015207U KR20030015207U KR200328174Y1 KR 200328174 Y1 KR200328174 Y1 KR 200328174Y1 KR 20030015207 U KR20030015207 U KR 20030015207U KR 200328174 Y1 KR200328174 Y1 KR 200328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pedestal
manhole
dredged soil
collecting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교
Original Assignee
이용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교 filed Critical 이용교
Priority to KR20-2003-0015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17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러지 및 준설토 등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흄관의 통수단면을 확보하고, 또한 이를 통해 주기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준설작업의 주기를 연장시켜 준설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그레이팅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수용 흄관(11)이 설치된 맨홀(10), 맨홀(10)의 상부에 매입되는 받침대(20), 받침대(20)에 장착되어 큰 이물질을 걸러주는 그레이팅(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의 가장자리에 하부로 요입되어 준설토를 걸러주는 포집홈(21)을 형성하고, 상기 포집홈(21)의 내벽 상단에 그레이팅(30)을 받쳐주는 받침편(22)을 절곡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레이팅 받침대{grating prop}
본 고안은 맨홀의 상부에 매입되어 스틸 그레이팅(grating)을 받쳐주는 그레이팅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슬러지 및 준설토 등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흄관의 통수단면을 확보하고, 또한 이를 통해 주기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준설작업의 주기를 연장시켜 준설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그레이팅 받침대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등의 가장자리에는 빗물을 집수하기 위해 맨홀(1)이 설치되고, 상기 맨홀(1)의 하부에는 배수용 흄관(2)이 연결되며, 맨홀(1)의 상부에는 그레이팅 받침대(3)가 매입되고, 상기 받침대(3)에는 격자모양으로 형성되어 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주면서 빗물이나 오폐수를 원활하게 통수시키는 스틸 그레이팅(맨홀뚜껑)(4)이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그레이팅(4)에 의해 큰 이물질은 맨홀(1)내로 유입되지 않고 걸러지지만 슬러지 및 준설토 등과 같은 작은 입자는 걸러지지 않고 그레이팅(4)을 통해 그대로 맨홀(1)내로 유입되므로, 이러한 슬러지와 준설토 등에 의해 흄관(2)이 쉽게 막혀 흄관(2)의 통수단면이 줄어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시에 국지적으로 침수현상이 발생하여 수해를 일으키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슬러지 및 준설토 등의 작은 입자들은 그레이팅(4)에 걸러지지 않고 맨홀(1)내로 유입되었기 때문에, 특히 주기적으로 흄관(2)에 쌓인 준설토를 자주 제거해야 하므로 많은 인력과 준설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슬러지 및 준설토 등의 작은 이물질이 맨홀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흄관의 통수단면을 확보하고, 그리고 이를 통해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시에 국지적인 침수현상으로 홍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하며, 또한 주기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준설작업의 주기를 연장시켜 준설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그레이팅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맨홀에 매입되는 그레이팅 받침대의 하부에 슬러지 및 준설토를 침전시켜 걸러주는 포집홈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받침대의 내측에는 그레이팅을 받쳐주는 받침편을 절곡형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그레이팅 받침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그레이팅 받침대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상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맨홀 11 : 흄관
20 : 받침대 21 : 포집홈
22 : 받침편 30 : 그레이팅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그레이팅 받침대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수용 흄관(11)이 설치된 맨홀(10), 맨홀(10)의 상부에 매입되는 받침대(20), 받침대(20)에 장착되어 큰 이물질을 걸러주는 그레이팅(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의 가장자리에 하부로 요입되어 슬러지 및 준설토를 걸러주는 포집홈(21)을 형성하고, 상기 포집홈(21)의 내벽 상단에 그레이팅(30)을 받쳐주는 받침편(22)을 절곡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맨홀(10)은 도로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오수 또는 우수를 집수하는 것으로, 이러한 맨홀(10)의 하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배수용 흄관(11)이 연결된다.
상기 받침대(20)는 맨홀(10)의 상부에 매입되어 그레이팅(30)을 견고하게 받쳐주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대(20)는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받침대(20)에는도 5에서와 같이 오수 또는 우수에 섞여 통수되는 슬러지 및 준설토 등과 같이 작은 입자의 모래나 흙을 침전시켜 걸러주는 포집홈(21)이 구비되며, 또한 상기 포집홈(21)의 내벽 상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레이팅(30)을 받쳐주는 받침대(22)가 형성된다.
상기 그레이팅(30)은 받침대(20)에 탈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그레이팅(30)은 주지된 바와 같이 큰 이물질을 걸러주면서 빗물이나 오폐수를 원활하게 통수시키는 격자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그레이팅 받침대(20)는 도 5에서와 같이 맨홀(10)의 상부에 매입되고, 받침대(20)의 상부로는 그레이팅(30)이 장착되어 큰 이물질이 맨홀(10)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빗물이나 오폐수를 원활하게 통수시키는 작용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받침대(20)의 하부에 포집홈(21)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특히 그레이팅(30)을 통해 맨홀(10)로 통수되는 오수 또는 우수가 도 5의 화살표와 같이 받침대(20)의 포집홈(21)을 먼저 거친 후 맨홀(1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오수 또는 우수에 섞여 통수되는 슬러지 및 준설토 등과 같이 작은 입자의 모래나 흙은 맨홀(10)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포집홈(21)에 정체되어 걸러지게 되고, 받침대(20)의 포집홈(21)에서 정체된 슬러지 및 준설토는 포집홈(21)의 바닥으로 침전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그레이팅(30)에 의해 큰 이물질이 걸러지고 또한 슬러지 및 준설토 등과 같이 작은 입자는 받침대(20)의 포집홈(21)에 침전되어 걸러지므로, 슬러지와 준설토 등에 의해 흄관(11)이 막히는 것을 최대한 방지되어 흄관(11)의 통수단면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흄관(11)의 통수단면이 확보되어 결과적으로 오폐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히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시에 국지적으로 침수되어 홍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받침대(20)에 장착된 그레이팅(30)을 간단하게 제거하면 청소인부가 포집홈(21)에 침전된 슬러지 및 준설토 등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즉 주기적으로 흄관(11)에 쌓인 준설토를 제거하는 준설작업의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준설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슬러지 및 준설토 등의 작은 이물질이 맨홀내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받침대의 포집홈에 침전되어 걸러지므로 흄관의 통수단면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를 통해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시에 국지적인 침수현상으로 홍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주기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준설작업의 주기를 연장시켜 준설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배수용 흄관(11)이 설치된 맨홀(10), 맨홀(10)의 상부에 매입되는 받침대(20), 받침대(20)에 장착되어 큰 이물질을 걸러주는 그레이팅(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의 가장자리에 하부로 요입되어 준설토를 걸러주는 포집홈(21)을 형성하고, 상기 포집홈(21)의 내벽 상단에 그레이팅(30)을 받쳐주는 받침편(22)을 절곡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받침대.
KR20-2003-0015207U 2003-05-16 2003-05-16 그레이팅 받침대 Expired - Lifetime KR200328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207U KR200328174Y1 (ko) 2003-05-16 2003-05-16 그레이팅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207U KR200328174Y1 (ko) 2003-05-16 2003-05-16 그레이팅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174Y1 true KR200328174Y1 (ko) 2003-09-26

Family

ID=4941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207U Expired - Lifetime KR200328174Y1 (ko) 2003-05-16 2003-05-16 그레이팅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1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025B1 (ko) 2011-04-07 2013-06-19 성호 김 플라스틱을 이용한 일체형 악취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025B1 (ko) 2011-04-07 2013-06-19 성호 김 플라스틱을 이용한 일체형 악취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9852B2 (en) Sediment control drain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8034237B2 (en) Backwashing filter basket
KR100769544B1 (ko)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KR101275666B1 (ko) 도로의 우수받이
KR20160071050A (ko) 빗물받이에 장착되어 비점오염원 제거 및 악취 및 침수예방이 가능한 여과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100739875B1 (ko) 공공배수로의 퇴적물 제거형 하수구조
KR200333359Y1 (ko) 퇴적물 수거를 위한 도로변 배수용 집수조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KR101770105B1 (ko)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KR200328174Y1 (ko) 그레이팅 받침대
KR101027931B1 (ko) 집수구용 그레이팅
KR200249085Y1 (ko) 도로의 배수용 집수정
JPH09119150A (ja) 雨水再利用装置
CN212271178U (zh) 一种城市防洪用窨井盖
CN211547972U (zh) 一种新型下水道井口装置
KR20050095959A (ko) 두개의 필터가 내장된 맨홀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20090009514A (ko) 빗물배수용 수직 홈통의 이물질여과장치
KR100530315B1 (ko) 개량용 우수받이
KR200239951Y1 (ko) 우수받이뚜껑및받침틀
KR200322627Y1 (ko) 개량용 우수받이
KR200248509Y1 (ko) 우수받이용 필터링 바스켓
CN216616164U (zh) 一种带有多级处理功能的市政道路排水结构
KR100749128B1 (ko) 오니제거를 위한 하수라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5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5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1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