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8158Y1 -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온라인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비즈니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온라인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비즈니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158Y1
KR200328158Y1 KR20-2003-0010848U KR20030010848U KR200328158Y1 KR 200328158 Y1 KR200328158 Y1 KR 200328158Y1 KR 20030010848 U KR20030010848 U KR 20030010848U KR 200328158 Y1 KR200328158 Y1 KR 200328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aver
information
screen
personalized
cont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즈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즈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즈링크
Priority to KR20-2003-0010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1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15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어,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의 화면 보호기와 그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서버는 네트워크 처리부를 통해 기존의 웹 페이지 중 수집할 페이지를 등록 및 분류하고, 분류한 결과에 따라 수집하려고 하는 기존의 웹 페이지의 수집 정보를 등록한다. 본 고안의 서버는 수집 정보를 등록한 웹 페이지의 편집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등록함으로써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생성하고, 설정된 주기에 따라 최신의 내용으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본 고안의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받은 회원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 그룹을 나눈 후에, 회원 및 회원 그룹의 특성에 맞는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와 맞춤 상품 정보 및 타겟 광고 등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회원 그룹별로 화면 보호기 유형들을 생성하고 저장한다. 본 고안은 상기 서버가 회원 그룹별로 생성한 화면 보호기 유형들을 요일 및 시간의 특성에 맞게 스케줄링하여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온라인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On-line Personal Service and Target Business Using Screen Saver}
본 고안은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화면 보호기의 특성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련 기술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태로 개인 맞춤 통합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현대인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인터넷은 사용자의 행위, 즉 웹 브라우저 가동, 로그인 및 정보 검색 등으로부터 출발하는 단방향의 채널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방향의 채널 구조는 개인이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반복적으로 검색하고 취득해야 하는 어려움과 이로 인한 시간 낭비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광고주나 사업자는 자신의 상품에 대한 수요자층이 아닌 사람에게 광고를 노출시키는 비용을 부담하고 있어 비효율적인 운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정보 제공을 하는 서비스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화면 보호기(스크린 세이버 : Screen Saver)를 일반적으로 정의하면, 소정의 시간 동안 컴퓨터의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이 없을 때, 타인으로부터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또한 모니터 보호를 위하여 소정의 문자 또는 그림 등이 구동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RT(Cathode Ray Tube)식 모니터는 전자총이 전자빔을 형광막에 발사하여 부딪힐 때 생기는 빛을 이용한 것으로서 만약에 동일한 지점에 장시간 전자빔이 부딪히면 그 부분의 형광막이 그을려서 그 부분에 잔상이 생기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장시간 같은 화면이 유지되지 않도록 무언가 화면상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이러한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이 화면 보호기이다. 화면 보호기는 처음에 개발할 당시만 해도 단순한 형태로 일정하게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며, 한 번 설치 후 계속 사용함으로써 화면 보호기 사용자와 제공자의 상호 연결이 없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컴퓨터가 화면 보호기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화면 보호기에 각종 정보를 담는 일들이 많아졌다.
화면 보호기는 1일에 평균 3회 내지 8회 정도 반복 작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사용자가 일부러 실행시키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실행되며 전체 화면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업무를 재개하기 전에 시작 창구로서 사용되며 사용자 또는 주변에 장시간 노출된다는 점에서, 화면 보호기를 정보 제공 수단으로서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정보 제공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제안이 있어왔다. 이러한 요청에 따라, 화면 보호기를 이용하여 광고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의 보급 및 대중화와 더불어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광고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화면 보호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정보 제공자측이 제공하고 싶어하는 정보가 주가 될 수밖에 없으므로 사용자가 외면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보 제공자측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광고 등의 정보(이하, 컨텐츠라 한다) 제작이 필요하다. 이러한 컨텐츠를 새로이 제작하는 것은 많은 시간, 비용 및 인력이 필요하므로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가 어렵다. 또한 컨텐츠를 한 번 제작한다고 해서 그것을 계속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하여 갱신을 해 주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으며, 컨텐츠를 새로이 제작하기 위해서는 서버에 웹 페이지 생성기 등을 위한 공간 및 다양한 웹 페이지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보통 웹 서버에 비해 비용이나 용량 면에서 부담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컨텐츠를 새로 만들지 않고, 기존의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기존의 웹 페이지가 고정화된 형태의 HTML 소스로 짜여져 있어야만 이용이 가능했다. 이는 고정화된 형태에서 벗어난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하는 경우는 웹 페이지에 에러가 생기는 경우가 많고, 또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보호기는 특정 시간 동안 마우스의 동작이나 키보드의 입력이 없을 경우 모든 프로그램 위에서 실행되었다가 입력이 들어오면 실행을 종료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렇기 때문에 화면 보호기에서 입력을 받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화면 보호기 실행 모드에서 입력을 받게 되면 화면 보호기 실행 종료를 수행하게 되야 하는 것이 화면 보호기의 기본 원리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에는 입력을 지원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시스템에서 화면 보호기 상으로의 입력을 지원하나 이러한 경우에도 현재 영문 입력만 가능할 뿐 한글 입력을 지원하지는 않고 있다. 왜냐하면, 최근에 출시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커널(Kernel)에는 화면 보호기 실행 영역과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영역이 존재하는데, 이 중 화면 보호기 실행 영역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IME(Input Method Editor) 윈도우가 지원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면 보호기 모드에서는 한글을 입력할 수 없어 화면 보호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볼 때, 그 사용에 불편을 주고 있다.
또한, 화면 보호기 실행 파일인 *.scr 파일은 일반 실행 파일과는 다르게 자동 업그레이드를 현재 기술로는 처리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일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실행 파일은 일반적으로 업그레이드 처리 파일과 메인 실행 파일로 구성되어 있어, 업그레이드를 해야 할 때 업그레이드 처리 파일이 먼저 실행된다. 그 후 메인 실행 파일을 지우거나 업그레이드 처리한 다음에 메인 파일을 실행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업그레이드한다. 그러나 화면 보호기 모드에서의 실행 파일은 보통 실행 파일과는 다른 *.scr 이라는 화면 보호기 파일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실행된 상태에서 자신을 지우거나 업그레이드 할 수 없는 권한 문제가 발생한다. 실시간으로 정보를 갱신하여 개인에게 맞춤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형태의 화면 보호기에 있어서 자동 업그레이드 기능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부담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를 구현하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면 보호기는 모든 프로그램의 위에서 실행된다는 화면 보호기의 특징상, 화면 보호기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새로운 창을 띄우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새로운 창을 띄우게 되더라도 화면 보호기 뒤에서 실행이 되기 때문에새로운 창을 띄워도 효과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화면 보호기 상에서 정보와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새로운 창이 실행되는 순간 화면 보호기를 종료시키는 것은 화면 보호기의 기능상 바람직하지 못 하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연결 상세 정보를 보여주거나 특정 목적을 위하여 새 창을 실행한다면 화면 보호기와 새로운 창이 병렬적으로 실행되어야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종래 기술로는 화면 보호기 위에서 새로운 창을 실행한다고 해도 뒤에 보이는 화면보호기를 다시 선택할 수 없고 실행한 창을 종료한 뒤에만 화면 보호기 선택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일반 응용 프로그램에서 기존의 창과 새로운 창의 관계를 처리하는 것과는 달리, 화면 보호기 상에서 이를 처리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서버에서 제공하는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의 제작에 있어서 기존의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제작하되 고정화된 HTML 소스로 이루어진 웹 페이지 뿐만이 아니라 임의의 형태를 가진 HTML 소스로 이루어진 웹 페이지도 이용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배치하는 방법으로 화면 보호기의 유형을 생성함으로써 웹 컨텐츠의 재활용성을 높이고 효율적으로 화면보호기를 제작할 수 있는 서버를 포함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화면 보호기 실행 영역에서도 한글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화면 보호기 가동시 자동 업그레이드 처리를 지원하며, 화면 보호기 상에서 새로운 창을 실행할 때 새로운 창이 화면 보호기 위에 보여지는 동시에 뒤에 보이는 화면보호기를 다시 선택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화면 보호기의 고유한 기능에 서버와의 연결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하되, 정보를 제공할 때 정보 제공자의 일방적인 제공이 아니라 사용자의 그룹에 따라 화면 보호기의 구성을 다르게 제공하고, 나아가 서비스된 여러 화면 보호기의 구성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인터넷상의 임의의 웹 페이지를 수집하고 이 중 일부를 추출하여 새로운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로 제작하며 갱신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생성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새로운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신문사의 웹 페이지 데이터를 추출하고 재가공하여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상청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재가공하여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화면 보호기의 한 유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에서의 한글 처리방식을 도시하는 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에서의 자동 업그레이드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 상에서의 새로운 창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 상에서의 자동 로긴 인증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에서 제공하는 편집 수단(마이웹)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상 편집 수단(마이웹)의 기능에 따른 편집예를 보여주는 도면 및
도 1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개인 맞춤 정보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화면 보호기 서비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 : 클라이언트 130 : 서버
200 : 네트워크 처리부 202 : 정보 전달 처리부
204 : 컨텐츠 생성부 206 :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208 : 화면 보호기 구성부 210 : 화면 보호기 유형 데이터베이스
212 : 화면 보호기 스케줄러부 214 :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216 : 회원 인증부 500 : 수집 사이트 정보등록기
502 : 수집기 504 : 데이터 재가공기
506 : 스케줄러 508 :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900 : 화면 보호기 관련 처리부 902 : 로긴 처리부
904 : 자체 뷰어 906 : 화면 전환 프로세스
908 : 마이웹 프로세스 910 : 화면 처리부
912 : 콘트롤 페이지 뷰어 914 : 페이지 뷰어
916 : 스크린 레이아웃 구성기 918 : 티커 및 메뉴 처리부
920 : 범용 데이터 처리부 922 : 동적 메뉴 생성기
924 : 암호화 프로세스 926 : 레지스트리 I/O
928 : 쓰레드 처리 프로세스 930 : XML 파일 I/O
932 : 네트워크 처리부 1400 : 마이웹 메인 모듈
1402 : 파일 I/O 모듈 1404 : 마이웹 메인 폼
1406 : 단위 페이지 등록 모듈 1408 : 단위 페이지 수집 모듈
1410 : 단위 페이지 주기 모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어,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서버로서,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클라이언트 또는 외부의 웹 사이트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네트워크 처리부;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를 통해 연결된 기존의 웹 페이지 중 수집할 페이지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에 따라 수집하려고 하는 상기 기존의 웹 페이지의 수집 정보를 등록하고, 수집 정보를 등록한 웹 페이지의 편집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등록함으로써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서 수집한 상기 기존의 웹 페이지의 수집 정보 및 편집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배치하여 화면 보호기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화면 보호기 구성부; 상기 화면 보호기 구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화면 보호기 구성 정보에 따른 화면 보호기의 유형을 저장하는 화면 보호기 유형 데이터베이스;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상기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 그룹을 나누고, 상기 화면 보호기 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상기 화면 보호기 유형을 상기 회원 그룹별로 스케줄링하는 화면 보호기 스케줄링부; 및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를 통해 상기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 처리를 하는 회원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어,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화면 보호기의 고유 기능을 처리하는 화면 보호기 관련 처리부;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서버 또는 외부의 웹 사이트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네트워크 처리부;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에서 수신한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인증을 처리하는 로긴 처리부;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를 경유하여 수신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화면 보호기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화면 처리부; 및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에서 수신한 상기 화면 보호기의 하단 부분에서 상기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스크롤하면서 보여주는 바 형태의 부분인 티커 및 상기 화면 보호기상의 메뉴를 처리하는 티커 및 메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20)에 연결되어 있는 클라이언트(100, 110)와 서버(130)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클라이언트(100, 110)는 화면 보호기의 고유 기능을 처리하는 화면 보호기 관련 처리부(101, 111), 클라이언트(100, 110)와 서버(130)간의 사용 인증을 처리하는 로긴(Login) 처리부(102, 112), 본 고안에서 필요한 기능을 최적화한 자체 뷰어(미도시), 서버(130)에서 전송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가 화면에서 보여지는 것을 처리하는 화면 처리부(103, 113), 화면 보호기 하단 부분에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스크롤하면서 보여주는 바(Bar) 형태의 부분인 티커(Ticker) 및 화면 보호기 상의 메뉴를 처리하는 티커 및 메뉴 처리부(104, 114) 및 클라이언트(100, 110)와 서버(130)간의 통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처리부(105)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의 클라이언트(100, 110)는 본 고안에 의한 개인 맞춤 서비스 기능이 있는 화면 보호기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Software) 및/또는 이러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하드웨어(Hardware)를 통칭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한다.
통신망(120)은 TCP/IP를 이용한 인터넷 정보망 또는 모뎀, 랜(LAN) 카드 등을 이용한 PSTN 등의 정보망을 말하며 이러한 통신망(120)을 통해 클라이언트(100, 110)와 서버(130)간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서버(130)는 본 고안에 의한 개인 맞춤 서비스 기능이 있는 화면 보호기를 생성하여 해당 클라이언트(100, 110)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그 세부적인 구성은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1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서버(130)는 클라이언트 또는 외부의 웹 사이트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네트워크 처리부(200), 네트워크 처리부(200)를 통해 연결된 기존의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204), 컨텐츠 생성부(204)에서 생성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06),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배치하여 화면 보호기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화면 보호기 구성부(208), 화면 보호기 구성부(208)에서 생성한 화면 보호기 유형들을 저장하는 화면 보호기 유형 데이터베이스(210), 클라이언트로부터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14),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있는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 그룹을 나누고, 화면 보호기 유형을 회원 그룹별로 스케줄링하는 화면 보호기 스케줄링부(212) 및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 처리를 하는 회원 인증부(216)를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의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화면 보호기 관련 정보는 기본적으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구성하여 만들어진다. 서버(130)에서는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다수 보유·관리하고 이를 조합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서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한 화면 보호기를 만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컨텐츠를 만드는 데 있어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비용 및 인력이 필요하다. 본 고안의 서버(130)는 화면 보호기의 특정 영역에 사용할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제작하는 데 있어 다음 두 가지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웹 페이지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의 제작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켜 다양한 내용의 화면 보호기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제 1 실시예는 서버(130)에서 기존의 웹 페이지를 수집한 후 웹 페이지의 일부를 추출/결합하여 새로운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로 제작하는 방법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서버(130)에서 인터넷상의 임의의 웹 페이지를 수집하고 이 중 일부를 추출하여 새로운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로 제작하며 갱신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생성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우선, 기존의 웹 페이지 중 수집할 페이지를 분류하고 수집된 웹 페이지의 정보들을 등록한다(S300). 이 과정은 다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는 기존의 웹 페이지 중 수집할 웹 페이지를 분류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개인에게 맞춤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상의 수집 대상 웹 페이지를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뉴스를 경제 뉴스 및 스포츠 뉴스로 분류하고, 다시 경제 뉴스를 일간 신문의 뉴스, 경제 신문의 뉴스 및 방송 뉴스 등으로 소분류하는 것과 같다. 또는 금융의 경우 부동산 및 증권으로 분류하고, 다시 부동산은 아파트 시세 정보 및 분양 정보로, 증권은 증권 시황 및 투자 분석 정보로 소분류하는 형식을 말한다.
두 번째 단계는 서버(130)의 네트워크 처리부(200), 정보 전달 처리부(202) 및 컨텐츠 생성부(204)에서, 분류된 수집 대상 웹 페이지의 수집 정보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06)에 등록하는 단계이다. 이 때 수집 정보란 대상 웹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웹 페이지 수집 방법, 유효 수집 시간대 및 수집 주기 등을 지칭한다.
마지막 단계는 서버(130)의 컨텐츠 생성부(204)에서 수집 정보가 등록된 웹 페이지의 편집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등록하는 단계이다. 우선, 서버(130)의 운영자는 브라우저(Browser)를 이용해 편집 대상 웹 페이지로 이동하고, 이 웹 페이지에서 원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곳을 클릭(Click)한다. 이 때, 클릭 이벤트가 발생한 오브젝트(Object)의 최소 단위가 표시되고 점차적으로 이를 내포하는 부모(Parent) 오브젝트가 표시되면서 원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최소의 정보 오브젝트가 선택된다. 이렇게 해서 선택된 정보 오브젝트의 문자열은 자동으로 추출되고 추출된 문자열이 HTML 전체 소스에서 유일한 문자열인지 여부가 체크된 뒤, 만일 동일한 문자열이 존재한다면 그 문자열이 몇 번째 문자열인가가 확인되어 그 정보가 문자열과 함께 보관된다. 다음으로, 수집 정보를 등록한 웹 페이지의 HTML 전체 소스가 태그(Tag) 정보에 따라 타이틀(Title), 헤드(Head), 헤드 스크립트(Head Script), 바디(Body), 바디 스크립트(Body Script), 스타일시트(Stylesheet) 등의 HTML 구분 소스로 구분되어 저장되고, 바디 소스는 운영자가 선택한 정보 오브젝트의 바디 소스만이 추출된다. 추출된 정보 오브젝트 소스와 함께 바디 소스를 제외한 HTML 구분 소스가 합쳐져 하나의 HTML 소스로 만들어져 운영자에게 브라우저로 보여지고, 여기서 다시 편집 정보가 입력되면서 원하는 형태의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가 만들어지며 편집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편집 정보란 정보 오브젝트 내의 지정된 라인 범위에서 특정 패턴의 문자열을 지정 문자열로 대치하는 정보, 바디 소스를 제외한 HTML 구분 소스에 대한 수정 정보, 삽입 또는 추가할 HTML 정보, 링크(Link) 클릭시 액션(Action)을 지정하는 스크립트(Script) 함수 정보, 편집된 정보 오브젝트를 오브젝트-베이스(Object-Base)가 아닌 페이지 위치-베이스로 원하는 영역만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Top, Left, Width, Height) 및 스크롤 표시 유무 정보 등을 지칭한다. 편집된 정보 오브젝트를 페이지 위치-베이스로 원하는 영역만을 표시하여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로 만들어진예가, 도 4에서 창 위의 스포츠 하이라이트와 창 밑의 만화를 제외한 영역만을 표시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세 단계를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다양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의 정보들이 서버(130)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수집할 웹 페이지의 수집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웹 페이지의 서버에 HTTP 프로토콜로 접속하여 웹 페이지의 HTML 소스를 수집한다(S302). 이 때 웹 페이지의 HTML 소스 수집은 소정의 유효 시간대를 수집 주기로 하여 반복적으로 자동 실행된다.
수집된 웹 페이지의 갱신을 위해, 웹 페이지의 편집 정보 등록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 오브젝트의 문자열과 순번을 이용하여, 수집된 HTML 소스에서 원하는 정보 오브젝트 소스를 추출한다(S304).
이전에 수집한 정보 오브젝트의 내용과 비교(S306)하여 이전에 수집한 내용과 같다면 해당 내용을 수집 이력에 기록하고 수집 주기에 따라 유효 수집 시간대에 속하는 다음 수집 시간을 화면 보호기 스케줄링부(212)에 통보한다(S308).
이전에 수집한 내용과 다르다면 등록된 편집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라인 범위에서 특정 패턴을 가지고 있는 문자열을 지정 문자열로 대치하는 방식으로 정보 오브젝트를 편집한다(S310). 이 때, 문자열 이외에도 특정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대치하거나 특정 스크립트 함수나 링크를 운영자가 만든 스크립트로 대치하여 특정 효과를 내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해당 웹 페이지의 스타일 시트 또는 스크립트가, 등록된 스타일시트 또는 스크립트와 다를 경우에 스타일 시트 또는 스크립트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추가한다(S314). 해당 스타일 시트를 등록된 스타일 시트의 내용으로 바꿈으로써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의 표현을 다르게 하고, 해당 스크립트의 내용을 등록된 스크립트의 내용으로 바꿈으로써 HTML의 표현에 동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집된 정보 오브젝트에서도, 원하는 영역만을 보이게 하기 위해 화면의 표시 영역을 지정한다(S314). 이는 웹 페이지의 편집 정보 등록 단계에서 등록된 편집 정보 중 위치 정보(Top, Left, Width, Heigt 정보 등)를 이용하여, 편집된 정보 오브젝트의 표시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정보 오브젝트에서도 원하는 영역만 보이게 하는 것이다.
화면의 표시 영역까지 완벽하게 지정된 정보 오브젝트를 중심으로 이미 등록된 HTML 소스의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HTML 소스는 실제 정보는 유지하되 완전히 다른 모습을 가진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로 재구성되며(S316) 이로써 최신의 내용으로 갱신된다. 이처럼 재구성되어 갱신된 HTML 소스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하여 화면 보호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새로운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가 계속하여 수집되고 갱신된다. 본 고안에서는 수집 이력을 통해 각종 통계 리포트를 제공하고 수집 내용의 중복 결과 및 장애 통계를 통해 자동으로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최적의 수집 주기에 접근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서버(130)에서 화면 보호기의 특정 영역에 사용할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제작하는 두 번째 방법은 컨텐츠 제공업자의 웹 페이지를 수집하여 수집사이트 정보로 이루어진 웹 페이지 데이터를 추출 및 가공하여 새로운 형태의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로 제작하는 방법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서버(130)에서 새로운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의 구성도이다.
수집 사이트 정보 등록기(500)에서는 기존의 웹 페이지 내에서 추출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등록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Table)을 구성하여, 자동 추출된 수집 사이트 정보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08)에 저장한다. 수집 사이트 정보란 수집 사이트의 URL, 수집 주기 및 수집 패턴(TABLE, TR, TD 등 태그 정보) 등을 지칭한다. 이 수집 사이트 정보는 웹 페이지가 개편에 의해 바뀌지 않는 이상 유효하며 이것은 수집기(502)의 자동화와 관련된다.
수집기(502)에서는 등록된 수집 사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를 추출한다. 수집기(502) 내 수집 엔진은 HTTP 프로토콜 접속을 통해 웹 페이지의 HTML 소스를 얻고 그것을 분석(파싱)하여 특정 웹 페이지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웹 페이지 데이터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08)에 저장된다.
데이터 재가공기(504)에서는 수집기(502)에 의해 추출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의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 및 다른 데이터 포맷(ASP, XML 및 HTML 등)으로 재가공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08)에 저장한다.
스케줄러(506)에서는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기(502)에서의 웹 페이지 데이터 추출을 수행하여 주기별 최신의 데이터로 유지하고 재가공하는 등 웹 페이지 데이터의 자동 관리 기능을 한다.
전술한 구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운영자는 새로운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 제작을 위해 웹 페이지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운영자가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에 포함될 웹 페이지 데이터가 있는 웹 페이지를 선정하면, 운영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 또는 자동으로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 사이트 정보 등록기(500)에서는 수집 사이트 정보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08)에 등록한다. 등록이 완료되면 첫 번째 수집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수집기(502)에 의해 운영자가 지정한 웹 페이지 데이터만을 추출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하기도 하고, 수집기(502)에서 추출한 웹 페이지 데이터를 데이터 재가공기(504)에서 재가공해 재가공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하기도 한다. 이후의 작업은 스케줄러(506)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웹 페이지 데이터 추출 및 재가공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신문사의 웹 페이지 데이터를 추출하고 재가공하여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집 사이트 정보 등록기(500)에서는 각 신문사의 수집 사이트 정보를 등록하고, 수집기(502)에서는 각 신문사 웹 페이지에서 원하는 이미지, 제목 기사, 내용 기사 및 링크 등 뉴스 관련 웹 페이지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재가공기(504)에서는 추출한 웹 페이지 데이터들을 XML로 재가공하면 도 6의 왼쪽 창과 같은 모습으로 보여진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상청 웹 페이지 데이터를 추출하고 재가공하여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집 사이트 정보 등록기(500)에서는 기상청의 수집 사이트 정보를 등록하고, 수집기(502)에서는 기상청 웹 페이지에서의 지역별 날씨 정보 등 날씨 관련 웹 페이지 데이터를 추출한 후, 가공 없이 텍스트 데이터 그대로 보여주게 되면 도 7의 왼쪽 창과 같은 모습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두 가지 방법으로 수집하여 생성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들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되는데, 서버(130)의 화면 보호기 구성부(208)에서는 이러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배치하여 하나의 화면 보호기를 생성할 수 있는 화면 보호기 구성 정보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는 클라이언트(100, 110)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화면 보호기의 배경색 및 배경 이미지 등을 선택하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 중 해당 화면 보호기에서 사용될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들을 선택한다. 선택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들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의 크기를 조정하고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 테두리의 색, 두께, 모양 및 여백 등을 지정하며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 안의 링크 클릭시 링크의 내용을 표시할 컨텐츠의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다양한 화면 보호기의 유형을 만들어낸다. 이렇게 만들어진 다양한 화면 보호기의 유형들은 서버(130)의 화면 보호기 유형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화면 보호기의 한 유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화면 보호기 유형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 보호기의 한 유형을 서버(130)의 화면 보호기 스케줄링부(212)에서는 요일 또는 시간대에 따라 사용자 그룹별로 스케줄링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요일 또는 시간에 따라 자신이 속한 사용자 그룹에 따른 맞춤 화면 보호기를 제공받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그룹이라 함은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 가입 정보 중 임의의 특정 정보(성별, 연령대, 지역 및 관심분야 등)에 따라 회원을 그룹화하여 그에 맞는 화면 보호기를 제공받기 위한 그룹을 지칭한다. 이를 위해 화면 보호기 스케줄링부(212)는 개인 또는 그룹의 관심 분야에 맞는 타겟 광고를 위해 타겟 맞춤 광고 처리부, 개인 또는 그룹의 광역 또는 지역에 맞는 광고를 위한 광역 광고 처리부 또는 지역 광고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서버(130)에서 제공되는 화면 보호기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그룹의 특성에 맞는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맞춤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그룹 특성에 맞추어 만들어진 화면 보호기들을 요일 또는 시간대별로 배치함으로써 시간의 특성에 맞는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자면, 오전 시간대에는 뉴스, 운세 및 일정에 관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로 이루어진 화면 보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의 스케줄링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은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분야 위주의 선택 맞춤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일반적인 특성인 성별, 연령 및 지역 등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가 임의의 그룹별 맞춤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100, 1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클라이언트(100, 110)는 화면 보호기의 고유 기능을 처리하는 화면 보호기관련 처리부(900)와 클라이언트(100, 110)와 서버(130)간의 사용 인증을 처리하는 로긴 처리부(902)와 본 고안에서 필요한 기능을 최적화한 자체 뷰어(904)와 서버에서 전송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가 화면에서 보여지는 것을 처리하며 콘트롤 페이지 뷰어(912), 페이지 뷰어(914) 및 스크린 레이아웃 구성기(916)를 포함한 화면 처리부(910)와 화면 보호기 하단 부분에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스크롤하면서 보여주는 바(Bar) 형태의 부분인 티커(Ticker) 및 화면 보호기 상의 메뉴를 처리하며 범용 데이터 처리부(920) 및 동적 메뉴 생성기(922)를 포함한 티커 및 메뉴 처리부(918) 및 클라이언트(100, 110)와 서버(130)간의 통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처리부(932)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100, 110)의 프로세스를 주요 기능에 맞춰서 구분해보면 크게 두 개의 프로세스, 즉 화면 보호기 관련 처리부(900)에서의 화면 보호기 관련 처리 프로세스와 그외 메인 프로세스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로세스는 주로 화면 처리 프로세스와 티커 및 메뉴 처리 프로세스로 나눌 수 있다.
화면 보호기 관련처리부(900)는 화면 보호기의 고유 기능인 미리 보기, 환경 설정 및 패스워드 처리 등을 처리하는 부분이다.
로긴 처리부(902)는 레지스트리 I/O(926)와 암호화(924)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처리부(932)를 통해 서버(130)와의 사용 인증을 처리하는 부분이다.
화면 처리부(910)는 페이지 뷰어(914), 스크린 레이아웃 구성기(916), 콘트롤 페이지 뷰어(912)로 구성된다. 페이지 뷰어(914)는 웹 페이지 중 링크된 페이지의 분석을 통해 자체 페이지, 관리자가 정한 타겟(Target) 페이지 또는 자체 뷰어(904)를 배치하여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 레이아웃 구성기(916)는 스크린 레이아웃 정보를 통해 화면 구성에 필요한 고유 ID, 위치 좌표, 뷰어의 종류 및 URL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콘트롤 페이지 뷰어(912)는 자체 뷰어(904)를 화면 보호기 화면에 맞게 조절하여 화면 보호기 화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스크린 레이아웃 구성기(916)와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자체 뷰어(904)란 기존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를 사용할 경우 웹 페이지 로딩(Loading)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만을 최적화한 자체 브라우저(Browser)이다. 자체 뷰어(904)에서는 상태바(Status Bar)의 타이틀 변경, 새로운 창의 크기 지정, 앞뒤 페이지 이동 및 기타 브라우저 처리 이벤트(Event) 등의 웹 이벤트를 처리한다.
티커 및 메뉴 처리부(918)는 개인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이 원하는 메뉴 정보를 서버(130)에서 받아서 동적 메뉴 생성기(922)를 통해 메뉴를 생성한 후, 원하는 메뉴 정보(증권, 경제 등)를 화면 보호기 하단의 전용 뷰어를 통해 볼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또한 증권 거래소에서 수시로 변동하는 시세를 실시간으로 알리는 표시기에서 유래된 티커바는 범용 데이터 처리부(920)를 이용하여 특정 정보(제목이나 요약 정보)만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며, 상세 정보를 원할 경우에는 자체 뷰어를 통해 볼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티커 및 메뉴 처리부(918)에서 화면 전환(906) 기능을 호출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보호기의 유형을 미리 보기 형식으로 보여준다. 그 후,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보호기의 유형을 선택하면 서버로부터 XML파일을 제공받아서 화면 처리부(910)의 스크린 레이아웃 구성기(916)를 이용하여 선택된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티커 및 메뉴 처리부(918)에서 마이웹(908)을 호출하면 별도의 프로세스로 존재하는 마이웹을 실행시킨다. 마이웹이란 사용자 자신이 웹 컨텐츠를 수집하여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마이웹은 화면 보호기 상에서 실행될 수도 있고 화면 처리부(910)의 페이지 뷰어(914)에서도 실행될 수 있는데, 이의 자세한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9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클라이언트(100, 110)에서의 프로세스는 단일 프로그램으로 구동되고 있는 화면 보호기 상에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화면 보호기에서의 한글 처리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 운영체제의 커널에는 화면 보호기 실행 영역과 유저 인터페이스 영역이 존재하는데, 이 중 화면 보호기 실행 영역에서는 한글 입력을 위한 IME 윈도우가 지원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화면 보호기 실행 영역에서도 한글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화면 보호기에서는 두 개의 프로세스를 두어 각각의 스테이션(Station) 영역에서 화면 보호기 영역의 프로세스와 유저 인터페이스 영역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실행시켜 처리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화면 보호기 모드와 관련된 부분은 도 10 에서와 같이 프로세스 1에서 처리하고 한글을 지원해야 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스 2에서 처리하게 됨으로써 한글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화면 보호기에서의 자동 업그레이드 처리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 보호기 상에서는 일반 실행 파일과는 다르게 자동 업그레이드 기능 지원이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화면 보호기 상에서도 자동으로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메인 프로세스를 기존의 메인 처리 프로세스와 업그레이드된 메인 프로세스의 두 개로 나누어 처리한다. Scr 파일이 기존 메인 처리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면(S1100) 기존의 메인 처리 프로세스는 업그레이드 서버와 통신하여 업그레이드 여부를 체크(S1102)하여 업그레이드 사실을 알리고 메인 처리 프로세스는 종료한다(S1106). 그 때, 업그레이드될 파일을 다운로드(S1104)한 후 Scr 파일이 업그레이드된 메인 프로세스를 실행시킨다(S1108). 이렇게 두 개의 프로세스를 사용하게 되면 일반 응용 프로그램에서 업그레이드 처리 파일과 메인 파일이 구별되는 것과 비슷한 형식이 된다. 그럼으로써 일반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업그레이드 처리 파일이 업그레이드 처리 후 메인 파일을 실행시키는 형식과 유사하게 되어, 화면 보호기 상에서도 자동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 상에서의 새로운 창의 처리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화면 보호기는 모든 프로그램의 위에서 실행된다는 특징(TOPMOST)상 다른 창보다 항상 위에 보여지게 된다. 그래서 새로운 창을 실행시켜도 새로운 창이 화면 보호기 뒤에 숨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고안에서는 화면 보호기 상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클릭했을 때 화면 보호기는 유지한 상태로 해당 연결 상세 정보를 별도의 창에서 보여주는 기능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온라인 연결 및 지원을 위하여 반드시 화면 보호기 위에 별도의 창이 보여져야 한다. 이것은 모달리스(TOPMOST의 모달리스:Modeless) 모드와 쓰레드(Thread)의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해결한다. 모달리스 모드란 모든 프로그램 위에서 제어권을 갖는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그 제어권의 독점을 막아 해당 프로그램을 잠시 옆으로 밀어놓고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모드를 말한다. 따라서 새로운 창을 모달리스 모드로 띄우면 새로운 창이 화면 보호기 뒤로 숨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화면 보호기 상에서의 자동 로긴 인증 처리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화면 보호기의 로긴 처리부(902)에서는 자동 인증을 통해 개인 관련 정보를 계속 제공하며 암호화를 통해 개인 보안을 철저히 하고 있다. 로긴이 되는 원리는 세션(Session)과 쿠키(Cookie)로 나눌 수 있는데, 세션은 서버측에 로긴 기록이 남는 것이고, 쿠키는 사용자 컴퓨터에 기록이 남는 것이다. 본 고안의 화면 보호기에서는 자동 회원 로긴 기법을 도입하여 화면 보호기 가동시 개인 컴퓨터에 저장된 인터넷 쿠키 파일을 이용하지 않는다. 그 대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암호화한 후레지스트리에 저장하여, 로긴시 서버(130)와의 연결을 인터넷 세션을 통해 유지함으로써 자동으로 회원 인증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에서 제공하는 마이웹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그룹의 화면 보호기 스케줄 정보에 따라 화면 보호기를 제공받으나, 제공되는 페이지에서도 특정 사용자에게는 불필요한 부분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에서는 사용자 스스로가 여러 웹 페이지에서 선호하는 웹 컨텐츠만을 모아 화면 보호기를 직접 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기능을 마이웹 기능이라 한다.
마이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원하는 웹 페이지의 URL을 입력하여 그 웹 페이지로 이동한 후, 그 웹 페이지에서 선택 박스의 위치를 얻고자 하는 웹 컨텐츠로 이동시킨다. 이 웹 컨텐츠는 단위 페이지 등록 모듈(1406)에 등록되고, 등록 후 자동적으로 URL, 위치, 사이즈 및 수집 주기와 같은 등록 정보가 추출되어 저장된다. 위 작업을 통해 얻어진 마이웹 페이지는 분야별로 탭으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저장된 등록 정보는 암호화된 마이웹 파일(MWF)로 저장 및 관리된다.
이에 따라, 다음의 마이웹 서핑 시부터는 메인 모듈(Main Module:1400)에서 메인 폼(Main Form:1404)을 로드(Load)하면, 파일 I/O 모듈(1402)에서는 저장된 MWF 파일을 읽어 복호화한 후, 마이웹 페이지를 보여줄 때는 미리 저장된 등록 정보를 이용한다. 이 때, 단위 페이지 수집 모듈(1408)의 수집/뷰 용 브라우저는 URL 웹 로딩과 동시에 영역을 조정하는 작업을 한 후, 등록되었던 마이웹 페이지의 웹컨텐츠들을 한 번에 볼 수 있게 한다.
마이웹 기능에서는 단위 페이지 주기 모듈(1410)에 의해, 설정된 주기마다 마이웹 페이지의 웹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새로 수집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별도 작업 없이도 최신의 마이웹 페이지를 볼 수 있다. 또한, 일반 웹 페이지 로딩시 새 창으로 보여지는 광고 및 알림 창 등은 웹 로딩의 시간을 지연시키고 새 창에 의해 컨텐츠 내용이 가려지는 것으로 인해 불편하므로 이것을 사전에 감지하여 창을 제거하는 기능도 있다. 그리고 로긴이 필요한 마이웹 페이지를 위해, 로긴 정보인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을 등록해 놓으면 로긴 정보들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암호화한다. 이것을 이용하면 별도로 로긴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마이웹 페이지에 로긴하여 등록된 웹 컨텐츠들을 볼 수 있다.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상의 마이웹 기능에 따른 편집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각종 스포츠 신문의 부분 컨텐츠들을 모아 "스포츠 신문 홈"이라는 특정 사용자만의 마이웹 페이지를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는 통합 검색 기능이 있다. 통합 검색 기능이란 검색어를 한 번만 입력하는 것으로 여러 사이트(Site)를 동시에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예약 검색까지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여러 사이트를 방문하여 "특정 단어"를 반복 검색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지정한 일정한 시간에 자동으로 검색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클라이언트(100, 110)에서 직접 실행되어 서버에 부하 없이 수행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사이트의 검색 패턴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설정한다. 이 때 패턴 설정은 HTML 요소(Element)와 이벤트(Event)를 이용하여 서치 키워드(Search Keyword)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하는 방식으로 한다. 설정된 패턴 정보는 추출, 편집 및 분석된 후 HTML 스타일시트를 이용하여 정보 파일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검색어와 검색 분야 및 검색 주기를 지정하면 설정된 패턴 정보와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을 기반으로 지정된 주기마다 검색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의 실행 결과는 XML형태로 변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렬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검색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새로운 창에 상세 정보를 보여준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는 그 형식이 매우 다양하다. 각각의 데이터는 그 고유한 성격으로 표현 방식이 틀리기 때문에 데이터마다 별도의 콘트롤(Control)이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모든 데이터를 범용 콘트롤로 처리하여 어떠한 정보든 쉽게 서비스 할 수 있게끔 처리하였다. 범용 콘트롤에 적용되는 정보는 서버를 통해 지정된 해당 정보의 주기에 따라 해당 데이터 형태를 XML로 제공됨으로써 동적인 스크롤(Scroll)을 통해 실시간 정보가 보여진다. 사용자가 자세한 정보를 원할 때에는 스크롤을 클릭하면 범용 콘트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URL이 보여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진 서버(130)가 클라이언트(100, 110)로 개인 맞춤 화면 보호기를 전송하는 등의 개인 맞춤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전술한 구성을 가진 서버(130)는 네트워크 처리부(200)를 통해 회원 정보를입력받아 회원 정보를 등록하고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회원 인증부(216)의 인증을 거친 회원에게 전술한 구성을 가진 화면 보호기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한다. 클라이언트(100, 110) 컴퓨터에서 최후 입력 후에 경과된 시간이 화면 보호 대기 시간에 도달됨에 따라 화면 보호 모드로 전환되면 클라이언트(100, 110) 컴퓨터에서는 화면 보호기 프로그램이 구동된다. 클라이언트(100, 110)에서는 로긴 처리부(902)를 통해 암호화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자동 로긴되고, 서버(130)로부터 로긴 성공을 확인한다. 클라이언트(100, 110)에서는 갱신 시간을 고려하여 업그레이드 정보를 요구하고 서버(130)의 정보 전달 처리부(202)로부터 업그레이드된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서버(130)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 그룹을 나누고 나누어진 회원 그룹에 맞는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로 이루어진 화면 보호기를 전송할 스케줄을 정한다. 서버(130)는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화면 보호기 유형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 보호기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단계가 끝난 후의 화면이 초기 화면이다. 본 고안에서는 회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따른 초기 화면을 가동시킨 후, 지정된 스케쥴 시간에 맞춰 그 상황에 합당한 전체 화면 및 정보를 반복하여 변경시킨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회원에게 제공되는 화면 보호기는 그룹별 또는 사용자별로 맞추어 제공된다. 서버(130)에서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연령, 성별, 지역 또는직업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일정한 수로 그룹을 나눈다. 본 고안에서는 나누어진 그룹별로 광고 대상을 설정하여 그룹에 맞춰 광고하는 이른바 타겟(Target) 광고를 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나누어진 사용자 그룹은 그룹별로 특정 제품 정보를 연계하여 제공받는 것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역과 광역을 기준으로 지역 및 광역 사업자들의 온라인 광고(신설,이벤트,할인,상품 등)를 해당 지역 사용자들에게만 전개하는 형식의 광고도 맞춤 비즈니스 서비스의 한 종류가 된다. 또한, 온라인 사업자가 자체 회원을 대상으로 사업자 고유의 서비스를 제공할 때 본 화면 보호기 내에서 통합 서비스를 대행하여 ASP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개인 맞춤 정보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화면 보호기 서비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로 이루어진 화면 보호기는 그 구성이 다양하게 제공된다. 사용자는 화면 전환(906) 기능을 통해 이미 구성되어 있는 화면 보호기의 유형 중에서 맘에 드는 유형을 선택할 수도 있고, 마이웹(908)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맞는 화면 보호기를 직접 편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서버에서 웹 컨텐츠를 제작하는 경우에 있어, 웹 컨텐츠를 새로이 제작하는 것은 많은 시간, 비용 및 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서버에서는 기존의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제작함으로써 시간, 비용 및 인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임의의 형태의 HTML 소스로 짜여져 있는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효과 및 에러 발생율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면 보호기에 있어서 화면 보호기상에서도 한글 입력 및 자동 업그레이드 처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 보호기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화면 보호기 상에서 새로운 창을 실행할 때 새로운 창이 화면 보호기 위에 보여지게 함으로써 화면 보호기 상에서도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면 보호기의 고유한 기능에 서버와의 연결을 통해 온라인 개인 맞춤 정보 및 기능을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유형을 분석하여 일정한 그룹에 따라 또는 개인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을 달리 함으로써 사용자 그룹 또는 개인별 타겟 광고 등의 비즈니스를 연계하여 제공함으로써사업자 및 사용자 양자가 모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어,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서버로서,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클라이언트 또는 외부의 웹 사이트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네트워크 처리부;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를 통해 연결된 기존의 웹 페이지 중 수집할 페이지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에 따라 수집하려고 하는 상기 기존의 웹 페이지의 수집 정보를 등록하고, 수집 정보를 등록한 웹 페이지의 편집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등록함으로써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서 수집한 상기 기존의 웹 페이지의 수집 정보 및 편집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배치하여 화면 보호기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화면 보호기 구성부;
    상기 화면 보호기 구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화면 보호기 구성 정보에 따른 화면 보호기의 유형을 저장하는 화면 보호기 유형 데이터베이스;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상기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 그룹을 나누고, 상기 화면 보호기 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상기 화면 보호기 유형을 상기 회원 그룹별로 스케줄링하는 화면 보호기 스케줄링부; 및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를 통해 상기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 처리를 하는 회원 인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의 수집 내용을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의 수집 내용과 비교하여 그 내용이 다른 경우 상기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의 내용을 갱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정보는 수집할 페이지의 URL, 페이지 수집 방법, 유효 수집 시간대 또는 수집 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정보는 운영자가 선택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오브젝트 내의 지정된 라인 범위에서 특정 패턴의 문자열을 지정 문자열로 대치하는 정보, 바디 소스를 제외한 HTML 구분 소스에 대한 수정 정보, 삽입 또는 추가할 HTML 정보, 링크 클릭시 액션을 지정하는 스크립트 함수 정보, 편집된 상기 정보 오브젝트에 대해 원하는 영역만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 또는 스크롤 표시 유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서는 기존의 웹 페이지를 수집하고 해당 수집 사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를 추출하고 가공하는 방법으로 상기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사이트 정보는 상기 수집 사이트의 URL, 수집 주기 또는 수집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서버.
  7.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어,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화면 보호기의 고유 기능을 처리하는 화면 보호기 관련 처리부;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서버 또는 외부의 웹 사이트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네트워크 처리부;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에서 수신한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인증을 처리하는 로긴 처리부;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를 경유하여 수신한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화면 보호기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화면 처리부; 및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에서 수신한 상기 화면 보호기의 하단 부분에서 상기 화면 보호기용 컨텐츠를 스크롤하면서 보여주는 바 형태의 부분인 티커 및 상기 화면 보호기상의 메뉴를 처리하는 티커 및 메뉴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긴 처리부에서는 레지스트리 I/O 와 암호화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를 통해 사용 인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처리부는 자체 페이지, 관리자가 정한 타겟 페이지 또는 자체 뷰어를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페이지 뷰어; 스크린 레이아웃 정보를 통해 화면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역할을 하는 스크린 레이아웃 구성기 및 상기 자체 뷰어를 상기 화면 보호기 화면에 맞게 조절하여 상기 화면 보호기 화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콘트롤 페이지 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화면 구성의 고유 ID, 위치 좌표, 뷰어의 종류 또는 URL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뷰어는 상태바의 타이틀 변경, 새로운 창의 크기 지정, 앞뒤 페이지 이동 또는 기타 브라우저 처리 이벤트 등의 웹 이벤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티커 및 메뉴 처리부는 개인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이 원하는 메뉴 정보를 상기 서버에서 받아서 동적 메뉴를 생성하는 동적 메뉴 생성기 및 특정 정보만을 스크롤 기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범용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13.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화면 보호기의 형태를 미리 보기 형식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화면을 선택하면 상기 화면 처리부의 상기 스크린 레이아웃 구성기를 이용하여 화면을 다시 그리는 화면 전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14.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자신이 웹 컨텐츠를 수집하여 편집할 수 있는 마이웹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웹 기능은 웹 페이지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웹 컨텐츠만을 추출하여 등록해놓으면, 설정된 주기별로 자동으로 재수집하여 보여주며, 상기 웹 페이지 로딩시 발생하는 새 창이 뜰 때를 감지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가 로긴이 필요한 웹 페이지인 경우, 로긴 정보인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등록해 놓으면 상기 로긴 처리부에서 상기 로긴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 및 등록하여 자동으로 상기 웹 페이지에 로긴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보호기 상에서 상기 화면 보호기 영역의 프로세스와 유저 인터페이스 영역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실행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상기 화면 보호기 상에서 한글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보호기의 프로세스를 기존의 메인 처리 프로세스와 업그레이드된 메인 프로세스의 두 개로 나누어 처리함으로써 자동 업그레이드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1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보호기 상에서 실행하려고 하는 새로운 창을 모달리스 모드로 띄움으로써 상기 새로운 창이 상기 화면 보호기 뒤로 숨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2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로긴 처리부를 통해 로긴할 때, 상기 서버와의 연결을 상기 서버측에 로긴 기록이 남는 인터넷 세션을 통해 유지함으로써 자동으로 회원 인증 처리를 가능하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2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보호기 상에서 검색어를 한 번만 입력하는 것으로 여러 사이트를 동시에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예약 검색까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 비즈니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용 클라이언트.
KR20-2003-0010848U 2003-04-09 2003-04-09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온라인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비즈니스 제공 시스템 Ceased KR200328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848U KR200328158Y1 (ko) 2003-04-09 2003-04-09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온라인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비즈니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848U KR200328158Y1 (ko) 2003-04-09 2003-04-09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온라인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비즈니스 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881A Division KR100592079B1 (ko) 2003-04-02 2003-04-02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온라인 개인 맞춤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맞춤 비즈니스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158Y1 true KR200328158Y1 (ko) 2003-09-26

Family

ID=4933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848U Ceased KR200328158Y1 (ko) 2003-04-09 2003-04-09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온라인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비즈니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1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8314B1 (en) Comput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with targeted advertising
AU20082066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IT-oriented server-based web applications
US7181681B2 (en) Realtime web page scrapping and visual representation of associated clickthrough and impression data architecture
US9369545B2 (en) Accessing and displaying network content
CN101427229B (zh) 用于修改向计算机系统的终端用户显示的信息表示的技术
US6865593B1 (en) Dynamic integration of web sites
US20070204219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pagating remotely configurable posters of host site content
US20090112724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exposing an advertisement using application
KR20090005097A (ko) 웹 커뮤니티 및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데이터를 변환하는시스템 및 방법
CN104321743A (zh) 用于开发在通信网络上查询内容和服务的应用程序的方法和系统
KR100630616B1 (ko) 개인 맞춤 온-라인 상시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50015A1 (en) Generic iViews
US7028268B1 (en) Multiple destination banners
KR100592079B1 (ko)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온라인 개인 맞춤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맞춤 비즈니스 운영 방법
KR200328158Y1 (ko) 화면 보호기를 이용한 온라인 개인 맞춤 서비스 및 맞춤비즈니스 제공 시스템
AU2039001A (en) Method for extracting digests, reformatting and automatic monitoring of structured online documents based on visual programming of document tree navigation and transformation
Jowers Open Source Pro: Joomla
JP2003330846A (ja) 情報配信方法
Brabban et al. Forget ‘static’‐get ‘dynamic’! Using Active Server Pages to manage electronic resources
GUIDE____________________10 OVERVIEW _3 INSTALLING THE ABSOLUTE CONTROL PANEL _5
Obyn et al. Company Communication System for Customers and Dealers
IL199860A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Server-Based 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09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4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0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