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7554Y1 -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554Y1
KR200327554Y1 KR20-2003-0012891U KR20030012891U KR200327554Y1 KR 200327554 Y1 KR200327554 Y1 KR 200327554Y1 KR 20030012891 U KR20030012891 U KR 20030012891U KR 200327554 Y1 KR200327554 Y1 KR 200327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midifier
humidifying
purifier
purifi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2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55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정수된 물을 자동 보충하여 가습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습기 일체형 정수기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정수기는 가습 물탱크를 가지는 가습기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와,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며 하부에 위치된 취수밸브의 작동에 대응하여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정수통과, 상기 정수통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된 물을 일방향으로 공급하고 송류를 일으킬 때 자동으로 닫혀지는 체크 밸브와, 상기 채크 밸브의 타측과 가습 물탱크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채크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일정 높이 일 때 자동으로 닫혀지는 수위 조절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Description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PURIFIERS HAVING HUMIDIFY FUNCTION}
본 고안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된 물을 자동 보충하여 가습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습기 일체형 정수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실내의 공기는 적당한 습도(60% 정도)를 유지함으로써 호흡장애 및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실내에 적당한 증기요소가 없고 온도가 높아지면 건조해지기 쉽다.
현대인의 주거 공간은 많은 세대가 집단을 이루어 공동으로 거주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아파트와 같은 주거 공간은 철근 시멘트 구조물로서, 증기요소가 없어 습도가 낮을 수밖에 없는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아파트와 같은 집단 거주 주택의 대다수의 소유자들은 쾌적환 환경을 위하여 실내 습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가습기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가습기는 공기 속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전기에 의하여 깨끗한 물을 입자화(粒子化)하여 실내에 뿜어지게 하여 실내 습도를 일정하게 자동으로 조절한다. 이와 같은 가습기의 종류는 흡입한 물을 원심력으로 날려서 부딪치게 하여 입자화하는 원심 분부식 가습기와, 전기회로에서 어떤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물속에 놓인 진동자로 전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캐비테이션(cavitation: 추진기 등의 뒤에 생기는 진공 현상)을 유발시켜 안개 형태로 분무하는 초음파 가습기 및 히터나 전극봉으로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하는 전열(히터)식 가습기 등으로 구별된다.
상기와 같은 가습기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적정량의 물이 있어야 하며, 사용시간에 따라 가습 물탱크 내에 물을 보충하여야 한다. 또한, 가습 물탱크에 공급되는 물은 경도가 비교적 낮은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깨끗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습기는 독립된 구조를 가지고 있음으로 사용자는 별도로 구매를 하여야 하며, 물통에 주기적으로 물을 보충하여야 함으로서 불편하고, 일반 수돗물을 이용함으로써 가습 장치에 스케일이 발생하여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로 가습을 위한 물을 보충하기 않아도 되는 가습기 일체형 정수기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수된 물을 가습기의 물탱크로 자동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는 가습기 일체형 정수기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가습기 물탱크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구조를 갖는 가습기 일체형 정수기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의 구조에 있어서, 가습 물탱크를 가지는 가습기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와,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며 하부에 위치된 취수밸브의 작동에 대응하여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정수통과, 상기 정수통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된 물을 일방향으로 공급하고 송류를 일으킬 때 자동으로 닫혀지는 체크 밸브와, 상기 채크 밸브의 타측과 가습 물탱크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채크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일정 높이 일 때 자동으로 닫혀지는 수위 조절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습기는 실내 공기를 가습 결합구로부터 분무되는 안개 형태의 가습 입자들이 비교적 넓은 범위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정수기의 전면부의 일측 모서리의 분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습기는 초음파 가습기, 원심 분무식 가습기 또는 전기 히터식 가습기들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며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당 업계의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수기 10의 상부의 전면 모서리부에 가습 결합구 12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가습 결합구 12와 정수기 10의 하우징 14간은 상기 가습 결합구 12가 자유스럽게 회전되어지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습 결합구 12는 정수기 10의 내부에 위치된 가습기(도시되지 않았음)의 작동에 의해 안개형태로 분무되는 가습입자들을 실내로 배출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가습기에 공급되는 물은 정수기 10에서 필터링 되어 정수된 물을 공급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가습이 되도록 한다. 또한, 정수기에 의해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로 물을 가습기의 물탱크에 보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도 1의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의 구조 및 그 작용은 하기 도 2의 설명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수필터 16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직렬 연결되어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정수하여 최종의 필터에 연결된 정수통 18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정수필터 16은 침전필터, 양방향 전치 카본필터, 양방향 후치 카본필터 및 멤브레인필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정수통 18에 채워진 정수된 물은 일반 정수기와 같이 그 하부측에 연결된 취수꼭지 20의 레버 작동에 따라 외부로 취수된다. 또한, 상기 정수통 18에 일측이 연결된 체크밸브 22는 가습기 26내의 물탱크 28에 결합된 수위조절밸브 24측으로 정수통 18내의 물을 일방향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가습기 26에 위치된 물탱크 28에는 정수통 18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로 경로에 의해 물탱크 28에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물이 채워지게 되면 수위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가 해당 수위를 감지하게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가 소정 높이로 설정된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면, 수위조절밸브 24내의 전자밸브(도시하지 않았음)가 작동되어 물탱크 28로 유입되는 유로를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수위조절밸브 24가 닫힘 상태로 작동되면, 체크밸브 22와 수위조절밸브 24의 유로 사이에 송류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송류가 발생되면, 상기 체크밸브 22가 자동적으로 닫혀져 유로를 완전하게 차단한다.
일정시간 동안 가습기 26이 작동되어 물탱크 28내에 채워진 물이 미리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수위조절밸브 24가 열림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수위조절밸브 24가 열림상태로 전환되면, 체크밸브 22가 자동적으로 열림상태로 동작되어 정수통 18에 저장된 깨끗한 물이 체크밸브 22, 수위조절밸브 24의 유로를 통해 물탱크 28으로 보급된다. 상기 가습기 26은 물탱크 28로 보급된 물을 안개 형태로 입자화하여 실내로 배출하여 실내를 가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습기 26은 원심 분무식 가습기, 초음파 가습기 또는 전기히터식 가습기들 중 그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정수기에 가습장치를 탑재시키고, 정수 필터링된 깨끗한 물을 가습기에 자동적으로 보급함으로써 수돗물을 사용시 가습 장치에 발생하는 스케일을 억제할 수 있고, 실내 공기를 보다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의 구조에 있어서,
    가습 물탱크를 가지는 가습기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와,
    상기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며 하부에 위치된 취수밸브의 작동에 대응하여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정수통과,
    상기 정수통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된 물을 일방향으로 공급하고 송류를 일으킬 때 자동으로 닫혀지는 체크 밸브와,
    상기 채크 밸브의 타측과 가습 물탱크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채크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일정 높이 일 때 자동으로 닫혀지는 수위 조절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의 물탱크 내에는 수위감지센서가 위치되며, 상기 물탱크의 입구에는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출력에 따라 개폐되는 전자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는 실내 공기에 분무되는 안개 형태의 가습 입자들이 비교적 넓은 범위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정수기의 전면부의 일측 모서리의 부위에 가습 결합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는 초음파 가습기, 원심 분무식 가습기 또는 전기 히터식 가습기들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KR20-2003-0012891U 2003-04-25 2003-04-25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Expired - Lifetime KR200327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91U KR200327554Y1 (ko) 2003-04-25 2003-04-25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91U KR200327554Y1 (ko) 2003-04-25 2003-04-25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554Y1 true KR200327554Y1 (ko) 2003-09-26

Family

ID=4933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891U Expired - Lifetime KR200327554Y1 (ko) 2003-04-25 2003-04-25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5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382B1 (ko) * 2003-12-09 2006-03-07 주식회사 지니메디 살균 및 가습 시스템
KR101483529B1 (ko) 2008-11-14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CN113099914A (zh) * 2021-03-29 2021-07-13 一恒生命科学仪器(昆山)有限公司 一种自动补水加湿的植物生长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382B1 (ko) * 2003-12-09 2006-03-07 주식회사 지니메디 살균 및 가습 시스템
KR101483529B1 (ko) 2008-11-14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높이조절 가능한 정수기 콕크
CN113099914A (zh) * 2021-03-29 2021-07-13 一恒生命科学仪器(昆山)有限公司 一种自动补水加湿的植物生长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878459U (zh) 一种加湿器
US6354572B1 (en) Flow-through humidifier
CN201166430Y (zh) 一种超声波空气加湿器
WO2011066773A1 (zh) 空调器加湿控制方法及具有加湿功能的空调器
EP1007887B1 (en) A devi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door air
CN206369296U (zh) 一种智能加湿器
KR200263133Y1 (ko) 필터 기화식 가습기
KR102006492B1 (ko) 다기능 포그 마스터 시스템
WO2008082052A1 (en) Top side water supply humidifier
KR200327554Y1 (ko) 가습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KR200359944Y1 (ko) 벽걸이형 초음파 가습기
JP4740802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
KR0158806B1 (ko) 히터식 초음파 가습기
CN109974249A (zh) 加湿器的控制方法、加湿器及空调系统
CN2432494Y (zh) 有加湿装置的分体落地式空调器室内机
KR20120078139A (ko) 기화식 가습기
KR200242680Y1 (ko) 가습기가 부착된 산소발생 냉온정수기
CN218495200U (zh) 加湿系统及空调
KR100953675B1 (ko) 천장 부착형 복합 가습 장치
KR100787543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CN201939117U (zh) 一种多功能饮水加湿机
KR102577667B1 (ko) 다용도 가습기
JP2005147644A (ja) 気化加湿器
KR20170031934A (ko) 공기청정기
KR100770412B1 (ko) 물공급 자동개폐 히터식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4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4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