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7272Y1 -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 - Google Patents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272Y1
KR200327272Y1 KR20-2003-0019061U KR20030019061U KR200327272Y1 KR 200327272 Y1 KR200327272 Y1 KR 200327272Y1 KR 20030019061 U KR20030019061 U KR 20030019061U KR 200327272 Y1 KR200327272 Y1 KR 200327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insertion hole
holder
finger
finger inse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주
Original Assignee
최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주 filed Critical 최선주
Priority to KR20-2003-0019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27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42D9/004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removably attached to the book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는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삽입홀과, 손가락 삽입홀의 양쪽 옆으로 연장되어 펼쳐진 책의 양쪽 페이지면을 눌러주는 지지날개 및 손가락 삽입홀의 아래에 구비되며, 펼쳐진 책의 가운데 홈 부위를 고정하는 책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북 홀더는 부피가 작아 독서시에 자유롭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Book holder having thumb inserting hole}
본 고안은 독서를 위한 북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북 홀더(book holder)는 두께가 두꺼운 책을 읽거나 참조하기 위해서 책상위에 설치하고, 책을 고정하여 사용하였다. 북 홀더는 사용자와 책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몸이 불편하여 눕거나 기대서 독서를 하는 등의 상황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북 홀더가 있다.
기존의 북 홀더는 대부분 책상위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제한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 사용자가 눕거나 바닥에 앉아서 책을 보는 경우 등 책상외의 장소나 특이한 상황에 사용될 수 있는 북 홀더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준비절차를 필요로 하였다. 다양한 북 홀더 중에 독서시에 많이 사용되는 북 홀더는 책상위에서 많이 사용되는 제품으로서 책받침판의 후면에 다수의 걸림턱을 구비하여 책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컴퓨터 작업시 많이 사용되는 북 홀더는 대상물의 일측에 고정되어 승강 및 좌우회동 되는 것이 있으며, 또 다른 북 홀더는 두개의 평행한 지지발 위에 높이가 조절되는 연결대가 고정되고 스프링과 걸림고리를 이용하여 책을 하향되게 고정하는 것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북 홀더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북 홀더는 책의 후면을 지지하는 책받침판(12), 책받침판(12)을 소정의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걸림턱(16)이 형성된 책받침대(14), 및 책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8)를 구비한다. 고정구(18)는 책의 두께에 따라 고정가능 하도록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북 홀더는 높이의 조절이 없이 책의 기울기만이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개를 숙여서 책을 봐야하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가 장시간 고개를 숙이면 목에 무리가 가거나 허리가 휘게 되어 체형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통증의 원인이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양 단부에 힌지를 사용하여 책받침부재와 베이스를 연결한 북 홀더는 기울기만이 조절되는 것에 비하여 책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고개의 숙임을 많이 줄일 수 있지만 높이 조절에 한계가 있다. 책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와 책의 거리도 달라지게 되어 북 홀더와 일체로 움직여야한다. 따라서, 책과 눈의 거리를 바르게 조절하지 않으면 눈의 피로가 급증하고 시력은 떨어지게 되며, 책과 눈의 거리가 멀어지면 눈을 찡그리게 되어 잘못된 인상을 유발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북 홀더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북 홀더는 양측에 위치하는 두개의 지지발(22), 지지발(22) 단부에 고정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 조절대(24) 및 책을 하향되게 고정하는 책받침판(26)을 구비한다. 이러한 북 홀더는 다수의 연결대 및 부속부재를 필요로 하며, 누워서 독서할 때만 사용할 수 있는 제한된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북 홀더는 부피가 크고 제조 단가도 높으며, 많은 준비절차가 필요하며, 책상이나 바닥에 앉아서 책을 보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도 3은 종래의 북 홀더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북 홀더는 사각베이스(32), 베이스에 고정된 수직봉(34), 수직봉(34)상단에 고정된 연결대(36) 및 책을 지지하는 책받침부재(38)를 구비한다. 이러한 북 홀더는 두개의 연결대(36)를 사용하여 책을 다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수직봉(34)은 베이스(32)에 완전히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지 않기 때문에 책의 이동 범위는 한정된다. 책이 베이스(32)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책의 무게중심은 베이스(32)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된다. 책의 무게중심이 베이스(32)의 무게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연결봉(36)은 모멘트 암(arm)이 되고 책의 하중이 가해져서 베이스(32)에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회전력이 발생되면 북 홀더는 불안정하게 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베이스를 크게 만들거나 베이스를 고정시켜야 하지만 장소의 제한 및 사용의 불편함이 따른다. 수직봉(36)이 베이스(32)에 고정되어 회동되지 않으면 책받침부재(38)의 무게 중심과 베이스(32)의 무게 중심간의 간격을 줄일 수 없어 책의 이동범위는 한정된다. 일정 높이로 솟아있는 수직봉(34)에 다수의 연결대(36)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게 되고, 장소의 제한 및 제조 단가도 높아진다. 또한, 수직봉(34)에 연결대(36)를 나사로 직접 연결하면 연결대(36)는 유동시마다 나사와 지속적인 마찰을 발생하게 되어 나사의 마모 및 연결부위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나사의 마모 및 연결부위에 손상이 초래되면 관절의 고정성능이 떨어지게 되어 책은 불안정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북 홀더는 높이와 거리 및 각도가 조절되지만 제품의 부피가 크고 대상물에 반드시 고정되어야 한다는 제한이 있다. 그리고 북 홀더를 이동하는데도 불편하다. 또한, 고정점으로부터 책이 멀어지게 되면 연결대에 큰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어 연결부위에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 부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높은 강성의 연결대 및 이음부재가 필요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어느 위치로나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책과 눈과의 거리조절이 간편한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또 다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별도의 베이스판이나 연결부재 등이 필요 없어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비용 면에서도 비용절감을 가져오는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북 홀더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북 홀더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북 홀더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의 사용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손가락 삽입홀 42a, 42b : 지지날개
43 : 책고정부 44 : 손가락 안착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는 중앙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삽입홀과, 손가락 삽입홀의 양쪽 옆으로 연장되어 펼쳐진 책의 양쪽 페이지면을 눌러주는 지지날개 및 손가락 삽입홀의 아래에 구비되며, 펼쳐진 책의 가운데 홈 부위를 고정하는 책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책고정부는 역삼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책고정부는 상부에 손가락을 안착하기 위한 면인 손가락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의 북 홀더(40)는 중앙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삽입홀(41)과 손가락 삽입홀(41)의 양쪽 옆으로 연장된 지지날개(42a, 42b)와, 손가락 삽입홀(41)의 아래로 손가락 안착부(44)를 갖는 책고정부(43)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북 홀더(40)의 중앙에 손가락 삽입홀(41)에 손가락 삽입 방향으로 엄지손가락을 끼운다. 그리고, 손가락을 끼운 채 펼쳐진 책의 가운데 홈 부위에 북 홀더(40)를 위치시킨다. 책고정부(43)는 역삼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어 펼쳐진 책의 가운데 홈 부위에 끼워지고, 양옆의 지지날개(42a, 42b)는 책의 양쪽 페이지면을 눌러주어 책의 페이지가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북 홀더(40)를 손가락에 끼우고 독서를 하게 되면 사용자는 독서의 자세를 마음대로 변형할 수 있고, 북 홀더(40)의 부피가 작으므로 간편하게 휴대도 가능하다. 또한, 여러 가지 색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악세사리의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도 4의 북 홀더(40)는 손가락이 삽입된 손만을 이용하여 책을 홀딩할 수 있으므로 나머지 손은 자유로이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 삽입홀(41)의 아래로 구비된 손가락 안착부(44)는 손가락을 안착하여 오랜 시간 독서를 하더라도 손가락에 불편함이 없으며 손가락의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를 보면, 정면에서 본 북 홀더(40)는 중앙에 손가락 삽입홀(41)이 보이고, 양쪽 옆으로 연장되어 펼쳐진 책의 페이지면을 눌러주는 지지날개(42a, 42b)가 있으며 손가락 삽입홀(41) 하부로 역삼각형의 책고정부(43)가 위치한다.
정면에서 보여지는 북 홀더(40)는 그대로 펼쳐진 책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양쪽 지지날개(42a, 42b)는 펼쳐진 페이지의 지면을 눌러주며, 책고정부(43)는 펼쳐진 책의 가운데 홈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견고하게 책을 홀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의 북 홀더(40)는 상부에서 정면으로 보여지는 모양으로 긴 막대형상의 양쪽 끝은 지지날개(42a, 42b)를 보여주며, 중앙의 네모난 면은 손가락 안착부(44)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 홀더(40) 중앙의 손가락 삽입홀(41)에 손가락을 끼우고, 펼쳐진 책의 하부에 북 홀더(40)를 위치하면 나머지 손가락은 책의 뒷면을 지탱하게 된다. 그리고, 자유로운 자세로 이동하면서 독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양 옆의 지지날개(42a, 42b)가 양쪽 페이지를 눌러주기 때문에 책의 읽고자하는 페이지가 고정되어 편리하다.
이러한 북 홀더(40)는 책의 펼쳐진 페이지의 지면과 북 홀더(40)의 지지날개(42a, 42b)의 하부면과 책고정부(43)의 브이(V)형상인 하부면이 ??닿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북 홀더(40)는 책과 사람의 눈과의 거리를 원하는 거리로 유지 또는 변경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의 사용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북 홀더(40)는 독서를 마친 후 책갈피의 역할로 사용된 상태를 보여준다. 손가락 삽입홀(41)과 지지날개(42a, 42b)가 모두 책의 페이지 안으로 끼워지고, 책고정부(43)는 책의 페이지 상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책을 소유하다가 다시 읽고자 할 경우 바로 원하는 페이지를 찾을 수 있다.
전술한 북 홀더는 손가락 삽입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도 제작가능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책갈피 등의 악세사리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할 경우 사용자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부피가 작으므로 휴대가 간편하여 언제 어디서나 독서시에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는 어느 위치로나 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자세에따라 책과 눈과의 거리조절이 쉽고 부피가 작으므로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별도의 베이스판이나 연결부재 등이 필요 없어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비용도 적게 든다. 또한, 본 고안의 북 홀더는 책갈피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악세사리의 기능도 가진다.

Claims (3)

  1. 북 홀더에 있어서,
    중앙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삽입홀(41);
    상기 손가락 삽입홀(41)의 양쪽 옆으로 연장되어 펼쳐진 책의 양쪽 페이지면을 눌러주는 지지날개(42a, 42b); 및
    상기 손가락 삽입홀(41)의 아래에 구비되며, 펼쳐진 책의 가운데 홈 부위를 고정하는 책고정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고정부(43)는 역삼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책고정부(43)는 상부에 손가락을 안착하기 위한 면인 손가락 안착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
KR20-2003-0019061U 2003-06-17 2003-06-17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 Expired - Fee Related KR200327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061U KR200327272Y1 (ko) 2003-06-17 2003-06-17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061U KR200327272Y1 (ko) 2003-06-17 2003-06-17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272Y1 true KR200327272Y1 (ko) 2003-09-19

Family

ID=4941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061U Expired - Fee Related KR200327272Y1 (ko) 2003-06-17 2003-06-17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2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2099A (en) Display mounted doument holder
US5845889A (en) Paper clip
US5797578A (en) Collapsible article support
CN1306893C (zh) 椅子靠背
US5979940A (en) Book holder
US5893546A (en) Adjustable book holder
KR200327272Y1 (ko) 손가락 삽입홀을 갖는 북 홀더
KR20130057876A (ko) 반사체를 이용한 독서대
US4949933A (en) Document holder for computer keyboard
US5474356A (en) Book reading chairs
KR200208327Y1 (ko) 의자
KR200298215Y1 (ko) 책상용 상체 지지대
KR200320684Y1 (ko)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독서대
KR102220314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200310970Y1 (ko) 독서대
KR20100006048U (ko) 벽면 부착용 독서대
KR200228534Y1 (ko) 자석을 이용한 책 받침대
CN213452629U (zh) 一种高度角度可调的移动终端支架
KR200201068Y1 (ko) 책받침대
CN216220634U (zh) 一种夹持方便的阅读架
KR20230058283A (ko) 눈높이 독서대
JP2001125675A (ja) パソコン支持装置
CN201088273Y (zh) 多功能看书台
KR20100044338A (ko) 독서대
JP2852036B1 (ja) 書見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6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6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9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