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6435Y1 - 렌티큘라 렌즈 효과를 이용한 휴대폰 화면 - Google Patents

렌티큘라 렌즈 효과를 이용한 휴대폰 화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435Y1
KR200326435Y1 KR20-2003-0018265U KR20030018265U KR200326435Y1 KR 200326435 Y1 KR200326435 Y1 KR 200326435Y1 KR 20030018265 U KR20030018265 U KR 20030018265U KR 200326435 Y1 KR200326435 Y1 KR 200326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ticular lens
mobile phone
screen
effect
phone scre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희재
이강엽
윤찬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3-0018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43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렌티큘라(Lenticular) 렌즈를 이용하여 3차원의 입체 혹은 두 개 이상의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변환(Flip) 및 동작(Motion) 등의 효과를 광고간판에만 적용하던 것을 휴대폰 화면에 적용시킨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한 휴대폰 화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한 휴대폰의 경우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한 광고간판의 경우와 같이 휴대폰 화면에 입체, 변환, 동영상, 몰프(Morph) 등의 효과 구현이 가능하여 기존의 단순 평면이미지로 구성된 휴대폰 화면에 비하여 화면에 대한 인지도나 효과의 다양성 면에서 월등히 우수하고, 휴대폰 화면을 이용한 게임이나 광고에 적용할 경우 게임의 효과 및 광고 시인성을 극대화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품 및 선전에 대한 인지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렌티큘라 렌즈 효과를 이용한 휴대폰 화면{Monitor of mobile phone using lenticular lens effects}
본 고안은 렌티큘라(Lenticular) 렌즈를 이용하여 3차원의 입체 혹은 두 개 이상의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변환(Flip) 및 동작(Motion) 등의 효과를 광고간판에만 적용하던 것을 휴대폰 화면에 적용시킨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한 휴대폰 화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한 휴대폰의 경우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한 광고간판의 경우와 같이 휴대폰 화면에 입체, 변환, 동영상, 몰프(Morph) 등의 효과 구현이 가능하여 기존의 단순 평면이미지로 구성된 휴대폰 화면에 비하여 화면에 대한 인지도나 효과의 다양성 면에서 월등히 우수하고, 휴대폰 화면을 이용한 게임이나 광고에 적용할 경우 게임의 효과 및 광고 시인성을 극대화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품 및 선전에 대한 인지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휴대폰 화면은 LCD 혹은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등을 이용한 것으로, 풀 컬러(Full Color)를 구현하거나 이미지 자체의 해상도를 높이는데 주로 기능을 두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휴대폰 화면에 2차원적인 평면 이미지 밖에 표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효과 또한 단순하여 정지화면에서 연속적인 동작 혹은 3차원 입체와 같은 화상을 표현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시선을 집중시키거나 다양한 콘텐츠(Contents)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2차원적 평면효과 위주의 휴대폰 화면을 개선한 것으로, 3차원의 입체감을 표현하고 하나의 휴대폰 화면에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표현하거나 혹은 TV 화면처럼 연속적인 동작에 의한 이미지 효과를 내기 위하여 휴대폰 화면에 렌티큘라 렌즈 필름을 사용한 휴대폰 화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한 휴대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한 휴대폰 화면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사용된 렌티큘라 렌즈부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휴대폰 케이스부
2A, 2B: 렌티큘라 렌즈부
3A, 3B: 휴대폰 화면부
4: 유리 혹은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판
5: 렌티큘라 렌즈
6: 점착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폰은 화면에 빛의 굴절에 의한 3차원 입체 혹은 이미지 변화 효과를 나타내는 렌티큘라 렌즈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폰은 상기 렌티큘라 렌즈 표면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렌티큘라 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렌티큘라 렌즈 전면에 유리 혹은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판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투명판과 렌티큘라 렌즈의 부착은 두 개의 압착 고무롤로 구성된 라미네이팅기를 이용하여 압착 고무롤 사이를 통과시키거나 혹은 일반적인 고무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함으로써 간단히 부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렌티큘라 렌즈에 제공되는 휴대폰 화면 상의 이미지는 렌티큘라 렌즈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휴대폰 내부에서 2개 이상의 이미지에 의해 가공 및 편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휴대폰 화면과 렌티큘라 렌즈의 부착은 렌티큘라 렌즈 후면에 직접 점착처리가 된 것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양면점착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렌티큘라 렌즈 후면에 직접 점착처리를 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렌티큘라 렌즈를 압출 혹은 엠보싱 공법에 의하여 생산하는 공정 중에 점착처리가 된 이형필름과 합판하는 방식, 그라비아 코팅방식 혹은 롤 코팅방식에 의하여 렌티큘라 렌즈에 직접 점착제를 처리하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양면점착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도 특별히 한정되는 양면점착 필름의 종류는 없으며, 투명한 기재를 중심으로 양면에 점착제가 처리된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점착제의 종류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멜라민계, 고무계, 그리고 에스테르계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면에 렌티큘라 렌즈 필름을 이용한 휴대폰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휴대폰은 2차원적 평면 이미지를 표현하는 휴대폰 화면부, 및 상기 2차원적 평면 이미지를 3차원 혹은 이미지변환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는 렌티큘라 렌즈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은 휴대폰 케이스부(1A), 3차원 입체 혹은 두 개 이상의 이미지가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렌티큘라 렌즈부(2A), 그리고 이러한 렌티큘라 렌즈부에 이미지를 제공하는 휴대폰 화면부(3A)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안된 휴대폰 화면의 단면도로서, 여기서 2B는 렌티큘라 렌즈부의 측단면, 3B는 휴대폰 화면부의 측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렌티큘라 렌즈부(2A) 전면에 플라스틱 혹은 유리 재질의 투명판(4)을 부착함으로써, 렌티큘라 표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에 의한 효과 감소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의 용이성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휴대폰 화면에서 제안한 3차원 입체 혹은 관찰자의 위치에 따른 연속적인 이미지 변환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서는 휴대폰 화면 내부에 자체적으로 빛을 발하는 기능이 있는 것이 좋다.
도 3은 본 고안에 사용된 렌티큘라 렌즈부의 상세도이다. 렌티큘라 렌즈부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라 렌즈부는 렌티큘라 렌즈(5)와 점착층(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렌티큘라 렌즈(5)는 투명한 시트 위에 원통형의 렌즈 형상을 한쪽 면에 배열시킨 것인데, 이 원통형의 렌즈의 모양에 따라 3차원 입체감 효과 혹은 관찰자의 위치변화에 따른 이미지 변환 효과 정도의 차이가 나며, 이러한 렌즈 반대면은 평면이다. 렌티큘라 이미지는 광학적인 빛의 굴절을 감안하여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휴대폰 내부에서 편집된 이미지를 말한다. 이 때, 렌티큘라 이미지는 휴대폰 화면의 화소에 의하여 표현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휴대폰 화면에 의한 이미지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렌티큘라 렌즈가 부착된 하나의 휴대폰 화면에 이미지 A, 이미지 B, 이미지 C가 렌티큘라 렌즈효과에 맞게 가공 및 편집되어 나타날 경우, 관찰자가 휴대폰 화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선을 이동하면서 본 고안의 휴대폰 화면을 보면, 화면 A에서 B로, 다시 화면 B에서 C로 연속적으로 변환하는 다른 이미지를 관찰하게 되며, 계속해서 시선를 이동할 경우 A, B, C의 이미지 변화는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관찰자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시선을 이동할 경우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선을 이동하는 경우와 반대의 이미지 변환순서가 일어나게 되며, 본 고안에 의한 렌티큘라 렌즈에 의한 휴대폰은 일반적인 렌티큘라 효과에 의한 모든 효과부여가 가능하여, 특히 3차원 입체효과의 부여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렌티큘라 렌즈에 의한 3차원 입체 혹은 이미지 변환 효과를 이용한 휴대폰은 렌티큘라 렌즈를 이용하는 여러 효과 중, 3차원 입체, 두 개 이상의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변환(Flip) 및 동작(Motion) 효과를 이용한 휴대폰으로서, 3차원 입체효과의 부여는 물론 하나의 휴대폰 화면에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면에서 기존 휴대폰 화면에 비하여 우수하고, 시인성을 극대화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품 및 선전에 대한 인지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화면에 빛의 굴절에 의한 3차원 입체 혹은 이미지 변화 효과를 나타내는 렌티큘라 렌즈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라 렌즈 전면에 유리 혹은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판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3. 제 1항에 있어서, 렌티큘라 렌즈에 제공되는 휴대폰 화면 상의 이미지가 렌티큘라 렌즈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휴대폰 내부에서 2개 이상의 이미지에 의해 가공 및 편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4. 제 1항에 있어서, 렌티큘라 렌즈를 압출 혹은 엠보싱 공법에 의하여 생산하는 공정 중에 점착처리가 된 이형필름과 합판하는 방식, 또는 그라비아 코팅방식 혹은 롤 코팅방식에 의하여 렌티큘라 렌즈에 직접 점착제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렌티큘라 렌즈 후면에 직접 점착처리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휴대폰 화면에 렌티큘라 렌즈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5. 제 1항에 있어서, 투명한 기재를 중심으로 상기 기재 양면에 아크릴계, 우레탄계, 멜라민계, 고무계 및 에스테르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제가 처리된 별도의 양면점착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휴대폰 화면에 렌티큘라 렌즈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KR20-2003-0018265U 2003-06-11 2003-06-11 렌티큘라 렌즈 효과를 이용한 휴대폰 화면 Expired - Fee Related KR200326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265U KR200326435Y1 (ko) 2003-06-11 2003-06-11 렌티큘라 렌즈 효과를 이용한 휴대폰 화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265U KR200326435Y1 (ko) 2003-06-11 2003-06-11 렌티큘라 렌즈 효과를 이용한 휴대폰 화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435Y1 true KR200326435Y1 (ko) 2003-09-19

Family

ID=4933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26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26435Y1 (ko) 2003-06-11 2003-06-11 렌티큘라 렌즈 효과를 이용한 휴대폰 화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4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5106B2 (en) 2003-09-16 2006-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uble gate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5106B2 (en) 2003-09-16 2006-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uble gate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273B1 (ko) 다수의 투명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체적형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452435B1 (ko)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
US20140063601A1 (en) Color filter substrat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20190110370A1 (en) Decorative Sheet, Electronic Apparatus Cover Plat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50157223A1 (en) Display capable of selectively displaying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mages
CN102981281A (zh) 立体影像显示器及立体影像显示装置
CN212528973U (zh) 一种光学革
US10859850B2 (en) Reflective 3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02542927A (zh) 消除显示像素颗粒效应的装置及oled显示屏
US20130314779A1 (en) Parallax barrier, and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0326435Y1 (ko) 렌티큘라 렌즈 효과를 이용한 휴대폰 화면
US20080151369A1 (en) Lenticular display with a three dimensional optical mat
US9357201B2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20100321776A1 (en) Lens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and Displaying a Three Dimensional Image
KR200286859Y1 (ko) 회전식 입체간판
CN211180272U (zh) 一种光学成像膜
CN109031479B (zh) 光学薄膜
CN206224061U (zh) 一种裸眼3d显示装置和裸眼3d光栅
KR200359561Y1 (ko) 렌티큘러시트를 포함하는 입체광고패드
EP1914705A1 (en) Interlaced display device with an improved visual effect
CN113089882A (zh) 一种裸视景观动态景墙及其制作方法
CN211454219U (zh) 抗光背投式硬幕
JP2003107406A (ja) 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00006450U (ko)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구비한 입체 엘이디 전광게시판
KR20000053972A (ko) 형광물질을 도포한 렌티큘러 제조방법 및 그 렌티큘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61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611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1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51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608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7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