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5110Y1 - 치약용기 - Google Patents

치약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110Y1
KR200325110Y1 KR20-2003-0018853U KR20030018853U KR200325110Y1 KR 200325110 Y1 KR200325110 Y1 KR 200325110Y1 KR 20030018853 U KR20030018853 U KR 20030018853U KR 200325110 Y1 KR200325110 Y1 KR 200325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ickness
toothpaste
laminate sheet
aluminum f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03-0018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11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 B65D35/08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from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약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미네이트 시트로 구성한 치약튜브의 내외층 두께를 최적화시킴으로써 진원도 및 생산 작업성 등을 향상시킨 치약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측으로부터 차례로 합성수지 내층(151), 접착제층(152), 알루미늄 포일층(153), 접착제층(154) 및 합성수지 외층(155)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 시트(150)로 구성한 치약튜브(100)와, 상기 치약튜브(100)에 체결되는 뚜껑(200)으로 이루어진 치약용기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150)의 외층(155)이 내층(151)의 두께보다 더 두껍고, 그 두께 차이가 1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150)의 전체두께가 300 ±15㎛(285㎛ ~ 315㎛)일 경우 내층(151)은 85㎛ ~ 155㎛, 알루미늄 포일층(153)은 15㎛ ~ 20㎛, 외층(155)은 115㎛ ~ 135㎛의 두께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내외층(151)(155)의 두께 차이에 의해 진원도가 향상되어 불량률 감소에 따른 생산 작업성 및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진원도가 향상됨에 따라 알루미늄 포일층(153)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치약용기 {Toothpaste container}
본 고안은 치약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약튜브가 알루미늄 포일층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양면에 합성수지제의 내층 및 외층이 접착된 라미네이트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치약튜브의 합성수지제의 내외층 두께를 최적화시킴으로써 진원도 및 생산 작업성 등을 향상시킨 치약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용기는 치약을 수용하는 치약튜브와 이 치약튜브에 체결되어 치약의 유출을 방지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치약튜브는 주로 라미네이트 시트(laminate sheet)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라미네이트 시트를 원통형으로 롤링하여 하부 및 측부는 밀봉 접합시키고 상부에는 상기 뚜껑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머리부를 결합시켜 구성된다.
상기 치약튜브를 구성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는 합성수지제의 내층,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층 및 합성수지제의 외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들은 접착제층에 의해 접착된다. 즉, 라미네이트 시트는 치약튜브의 내측으로부터 차례로 합성수지제의 내층, 접착제층, 알루미늄 포일층, 접착제층 및 합성수지제의 외층으로 이루어진 적층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라미네이트 시트를 가지고 치약튜브를 생산함에 있어서 인쇄 작업성, 시트의 컬링(curling) 발생정도, 주름 발생정도, 튜브 작업성, 튜브 진원도, 펑크 테스트(puncture test), 밀봉(sealing) 상태, 컷팅(cutting) 상태 등의 인자들이 치약튜브의 품질, 가격 및 생산 작업성 면에서 중요시된다. 특히 진원도는 불량 발생률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생산 작업성 및 효율성에 중요한 인자로 평가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라미네이트 시트는, 시트의 전체두께는 300 ±15㎛로 하되 내층과 외층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고(대략 100㎛), 알루미늄 포일층은 20㎛의 두께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라미네이트 시트는 특히 진원도가 양호하지 못하여 불량 발생률이 많아 생산 작업성 및 효율성이 떨어져 가격이 상승되고 있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포일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진원도가 좋아지나 알루미늄 포일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원가가 상승되어 제품의 경쟁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진원도를 향상시켜 불량률 감소에 따른 생산 작업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가능한 한 알루미늄 포일층의 두께를 감소시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사용한 치약용기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알루미늄 포일층의 양면에 합성수지제 내외층을 접착시켜 구성한 라미네이트 시트의 내외층 두께를 최적화함으로써 진원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알루미늄 포일층의 두께를 감소시켜 생산 작업성 및 효율성이 높고 원가가 절감된 치약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용기의 분리 사시도 및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용기의 분리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치약튜브 120 : 이음부
130 : 밀봉부 140 : 머리부
146 : 걸림턱 150 : 라미네이트 시트
151 : 내층 152, 154 : 접착제층
153 : 알루미늄 포일층 155 : 외층
200 : 뚜껑 210 : 외측벽부
220 : 내측벽부 221 : 절개홈
225 : 결합리브 226 : 고정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으로부터 차례로 합성수지 내층, 접착제층, 알루미늄 포일층, 접착제층 및 합성수지 외층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 시트로 구성한 치약튜브와, 상기 치약튜브에 체결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치약용기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의 외층이 내층의 두께보다 더 두껍고, 그 두께 차이가 10 ~ 50㎛인 치약용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라미네이트 시트의 두께를 최적화함에 있어서 외층의 두께를 내층보다 더 두껍게 하되 내외층의 두께 차이를 10 ~ 50㎛로 한 것임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용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치약튜브의 일부가 절개된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및 A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용기의 분리 단면도로서, 치약튜브와 뚜껑의 예시적인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치약용기는 치약(구체적으로는 젤(gel) 또는 페이스트(paste) 상태의 치약 조성물)을 수용하는 치약튜브(100)와, 상기 치약튜브(100)에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치약의 유출을 방지하는 뚜껑(200)으로 이루어진다. 치약튜브(100)는 라미네이트 시트(150)를 원통형으로 롤링하여 측부의 이음부(120)와 하부의 밀봉부(130)를 갖도록 성형된 다음 상부에는 뚜껑(200)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머리부(140)가 결합된다.
상기 치약튜브(100)를 구성하는 라미네이트 시트(150)는 치약튜브(100)의 내측으로부터 차례로 도 1의 A부분 확대 단면도에 보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내층(151), 접착제층(152), 알루미늄 포일층(153), 접착제층(154) 및 합성수지제의 외층(155)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외층(151)(155) 및 알루미늄 포일층(153)은 접착제층(152)(154)에 의해 일체로 접착되어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150)의 외층(155)은 내층(151)의 두께보다 더 크게 구성하되 외층(155)의 두께가 내층(151)의 두께보다 10 ~ 50㎛의 차이를 갖도록 더 크게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험적 고찰에 따르면 치약튜브(100)의 진원도는 내외층(151)(155)의 재질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외층(155)의 두께를 내층(151)의 두께보다 크게 할 경우 우수하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알루미늄 포일층(153)의 두께 설정보다는 내외층(151)(155)의 두께 차이가 진원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알루미늄 포일층(153)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진원도가 향상되나 이는 원가 상승에 원인이 된다.
상기 두께 설정에 있어 내층(151)과 외층(155)의 두께 차이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본 고안에서 목적하는 진원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며,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외층(155)의 두께가 너무 커짐에 따른 라미네이트 시트(150)의 컬링현상(시트의 모서리 부분이 말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치약튜브(100)의 생산 작업성이 떨어진다.
또한, 위와 같은 라미네이트 시트(150)는 기존 치약튜브(100) 제작설비의 사양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라미네이트 시트(150)의 전체두께를300 ±15㎛(285㎛ ~ 3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내층(151)은 85㎛ ~ 155㎛, 알루미늄 포일층(153)은 15㎛ ~ 20㎛, 외층(155)은 115㎛ ~ 135㎛의 두께를 갖도록 한다. 접착제층(152)(154)은 접착제 도포량의 조절에 따라 그 두께가 설정된다. 라미네이트 시트(150)의 전체두께가 300㎛일 경우에 내층(151)의 두께가 155㎛를 초과하면 진원도의 향상이 미미하며, 85㎛ 미만인 경우에는 내층(151)이 너무 얇아져 치약튜브(100)의 밀봉성이 약해짐과 더불어 상대적으로 외층(155)의 두께가 너무 커져 라미네이트 시트(150)의 컬링형상(시트의 모서리 부분이 말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외층(155)이 115㎛ 미만이면 진원도가 양호하지 못하며 13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트(150)의 컬링현상이 발생되어 작업성이 떨어진다.
상기 알루미늄 포일층(153)은 원가상승의 요인을 고려하여 15㎛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포일층(153)을 15㎛ 두께로서 종래 대비 얇은 포일(foil)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알루미늄 포일층(153)의 두께 저하에 따른 진원도 감소는 내외층(151)(155) 두께 차이에 의해 극복되어짐과 동시에 더 우수한 진원도를 갖는다.
이하, 구체적인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 3]
내층(151)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사용하고, 알루미늄 포일층(153)은 두께 15㎛의 알루미늄 포일을, 그리고 외층(155)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95중량%와 백색 무기안료 5중량%를 혼합 사용하여 총두께 300㎛의 라미네이트 시트(150)를 제작하였다. 이때 내층(151)과 알루미늄 포일층(153)의 사이에는 접착력이 우수한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를 사용하여 접착제층(152)을 형성하였고, 알루미늄 포일층(153)과 외층(155)의 사이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95중량%와 백색 무기안료 5중량%를 혼합 사용하여 접착제층(154)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라이네이트 시트(150)의 각 층들의 두께 및 내외층(151)(155)의 두께 차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라미네이트 시트(150)의 총두께 및 재질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되, 각 층의 두께를 달리하여 제작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라이네이트 시트의 각 층들의 두께 및 내외층(151)(155)의 두께 차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라미네이트 시트의 각 층별 두께, 단위 : ㎛ >
구 분 내층(151) 접착제층(152) 알루미늄포일층(153) 접착제층(154) 외층(155) 내외층두께 차이
실시예 1 105 30 15 35 115 10
실시예 2 95 30 15 35 125 30
실시예 3 85 30 15 35 135 50
비교예 1 100 40 20 35 105 5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라미네이트 시트(150)를 사용하여 인쇄 작업성, 시트의 컬링(curling) 발생정도, 주름 발생정도, 튜브 작업성, 튜브 진원도, 펑크 테스트(puncture test), 튜브 공급성, 밀봉 상태, 컷팅 상태 등을 평가해 가며 통상의 치약튜브 제조 공정에 따라 치약튜브를 제작하였다. 이때, 인쇄 작업성, 시트의 컬링(curling) 발생정도, 튜브 작업성, 펑크 테스트(puncture test), 밀봉 상태, 컷팅 상태 등에서는 실시예(1~3)와 비교예가 동일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나, 주름 발생정도 및 튜브 공급성에서는 실시예(1~3)가 비교예보다 우수하게 평가되었으며, 특히 튜브 진원도가 월등히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알루미늄 포일층(153)을 더 얇게 구성하여도 최적화된 내외층(151)(155)의 두께 차이에 의해 진원도가 우수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진원도는 두께 차이가 클수록 즉, 실시예 1보다는 실시예 3이 더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치약용기의 치약튜브(100)와 뚜껑(200)의 체결구조는 통상의 나사 체결구조 또는 원터치 결합구조로 된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착탈이 간편한 원터치 결합구조를 갖게 한다. 이러한 원터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뚜껑(200)은 파지부위가 되는 외측벽부(210)와 밀봉부위가 되는 내측벽부(220)로 구성하되 상기 내측벽부(220)에는 절개홈(221)에 의해 형성된 결합리브(225)를 갖게 하고 이 결합리브(225)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26)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치약튜브(100)의 상부에 밀봉 결합되어 치약을 배출하는 머리부(140)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46)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외측벽부(210)를 손으로 잡고 가볍게 누르면 내측벽부(220)의 결합리브(225)에 형성된 고정돌기(226)가 머리부(140)에 형성된 걸림턱(146)에 끼움 고정되며, 상기 결합리브(225)는 절개홈(221)에 의해 탄성력을 가짐에 따라 간편하게 착탈된다. 도 2의 미설명 부호 230은 머리부(140)와 뚜껑(20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머리부(140)의 입구로 치약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머리부(140)의 입구에 끼워지는 밀봉리브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치약튜브(100)를 구성하는 라미네이트 시트(150)의 외층(155)의 두께를 내층(151)보다 더 두껍게 하되 그 두께 차이를 10 ~ 50㎛로 최적화함으로써 진원도를 향상시켜 불량률 감소에 따른 생산 작업성 및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내외층(151)(155)의 두께 차이에 의해 진원도가 향상됨에 따라 알루미늄 포일층(153)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측으로부터 차례로 합성수지 내층(151), 접착제층(152), 알루미늄 포일층(153), 접착제층(154) 및 합성수지 외층(155)으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 시트(150)로 구성한 치약튜브(100)와, 상기 치약튜브(100)에 체결되는 뚜껑(200)으로 이루어진 치약용기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150)의 외층(155)이 내층(151)의 두께보다 더 두껍고, 그 두께 차이가 1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150)의 전체두께가 300 ±15㎛(285㎛ ~ 315㎛)이고, 내층(151)은 85㎛ ~ 155㎛, 알루미늄 포일층(153)은 15㎛ ~ 20㎛, 외층(105)은 115㎛ ~ 135㎛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은 외측벽부(210)와 내측벽부(220)로 구성되고 내측벽부(220)에는 절개홈(221)에 의해 형성된 결합리브(225)를 가지며 이 결합리브(225)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26)가 형성되고, 상기 치약튜브(100)의 머리부(140)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46)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리브(225)에 형성된 고정돌기(226)가 머리부(140)에 형성된 걸림턱(146)에 끼움 고정되는 원터치 결합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기.
KR20-2003-0018853U 2003-06-16 2003-06-16 치약용기 Expired - Lifetime KR200325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853U KR200325110Y1 (ko) 2003-06-16 2003-06-16 치약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853U KR200325110Y1 (ko) 2003-06-16 2003-06-16 치약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110Y1 true KR200325110Y1 (ko) 2003-09-02

Family

ID=4941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853U Expired - Lifetime KR200325110Y1 (ko) 2003-06-16 2003-06-16 치약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1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771B1 (ko) * 2012-04-13 2012-12-20 이은진 리필 어댑터가 내장된 여행용 치약의 마개
WO2023276959A1 (ja) * 2021-07-02 2023-01-05 凸版印刷株式会社 ラミネートチューブ用積層体及びラミネートチューブ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771B1 (ko) * 2012-04-13 2012-12-20 이은진 리필 어댑터가 내장된 여행용 치약의 마개
US8540100B1 (en) 2012-04-13 2013-09-24 Eun Jin Grace Lee Cap for travel toothpaste tube with integrated refill adapter
WO2023276959A1 (ja) * 2021-07-02 2023-01-05 凸版印刷株式会社 ラミネートチューブ用積層体及びラミネートチュー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0025B1 (en) Wet sheet package
US9815589B2 (en) Tabbed sealing member with improved heat distribution for a container
US5212011A (en) Adhesive tape
PL368522A1 (en) A packaging laminate for a retortable packaging container
KR200325110Y1 (ko) 치약용기
EP0373646A2 (en) Adhesive tape
CA1208114A (en) Laminate structure for collapsible dispensing container
JP5964539B2 (ja) 蓋材およびその蓋材を用いた容器
JP7463673B2 (ja) 植物由来ポリエチレンを含むシーラントフィルム用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シーラントフィルム
KR20240159890A (ko) 캡 및 이것을 포함하는 튜브 용기
NZ566916A (en) Moisture resistant foldable material and container erected from blank
KR20100110553A (ko) 2-플라이 방습 지대
JP2004299730A (ja) 紙製液体容器材料及び紙製液体容器
CN213593868U (zh) 一种耐磨型复合包装膜
CN221090180U (zh) 新型抗氧化型双向拉伸聚丙烯薄膜
CN221913604U (zh) 一种具有防伪效果的包装材料
CN222347731U (zh) 一种可循环利用的环保纸箱
CN215246644U (zh) 一种内置直线易撕线的纸塑铝复合包装袋
JP3052517U (ja) 合成樹脂製ブックカバー
CN212314010U (zh) 一种装饰镶嵌物的化妆品用封口贴
CN218804557U (zh) 环保防潮抗压瓦楞纸板
JP7400245B2 (ja) 積層体およびチューブ容器
RU2764690C1 (ru)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для бумаж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и бумажный контейнер
KR101213653B1 (ko) 유제품 및 음료 용기용 리드
JPS5925644Y2 (ja) 飲食物容器用熱封緘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6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8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6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