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3294Y1 -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294Y1
KR200323294Y1 KR20-2003-0014477U KR20030014477U KR200323294Y1 KR 200323294 Y1 KR200323294 Y1 KR 200323294Y1 KR 20030014477 U KR20030014477 U KR 20030014477U KR 200323294 Y1 KR200323294 Y1 KR 200323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supporter
vertical plate
hook
upper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헌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엔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엔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엔프라
Priority to KR20-2003-0014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29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기창(1)의 창틀(2)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루버(3)가, 창틀(2)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서포터(10)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된 루버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서포터(10)는, 루버(3)의 단부면과 접촉되는 수직판(11)과, 수직판(11)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루버(3)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부벽(12)과, 수직판(11)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루버(3)의 하면과 접촉하는 하부벽(13)과, 상부벽(12)의 중간 절개부분에 하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돌출 형성된 후크(16)와, 수직판(11)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18)를 구비한다. 그리고, 루버(3)는, 상부벽(12)과 하부벽(13)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후크(16)가 결합되도록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홈(3a)과, 탄성돌기(18)와 접촉되도록 그 내부에 형성된 리브(3b)를 구비한다. 루버(3)는 상기 서포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16)가 상기 결합홈(3a)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돌기(18)의 단부가 상기 리브(3b)의 측면에 접촉됨으로써, 별도의 조작에 의하여 후크(16)와 탄성돌기(18)를 변형시키지 않는 한, 루버(3)는 서포터(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Window Louver Supporting Structure}
본 고안은 창틀을 가로질러 다수의 루버가 설치되어 환기가 가능하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침입도 방지할 수 있는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루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환기창의 루버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로 루버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한 고정식 루버를 채용한 환기창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환기창을 통한 통풍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루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식의 환기창이 개발되고 있다. 그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1869556호에 개시된 환기창을 들 수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환기창은, 창틀 내측에 다수개의 서포터를 일렬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서포터에 루버를 삽입함으로써, 서포터의 회전에 따라 루버의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 서포터는 루버의 상하단만을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루버의 회전 조작시 루버가 서포터로부터 이탈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루버와 서포터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루버의 각도 조절시 루버가 서포터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루버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루버 지지구조가 채용된 환기창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터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서포터의 정면도.
도 4a는 루버가 서포터에 완전히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루버가 서포터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환기창 2 : 창틀
3 : 루버 3a : 결합홈
3b : 리브 10 : 서포터
11 : 수직판 12 : 상부벽
13 : 하부벽 16 : 후크
18 : 탄성돌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환기창의 창틀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루버가, 상기 창틀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서포터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된 루버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루버의 단부면과 접촉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루버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부벽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루버의 하면과 접촉하는 하부벽과, 상기 상부벽의 중간 절개부분에 하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돌출 형성된 후크와, 상기 수직판에 상기 루버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루버는,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후크가 결합되도록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탄성돌기와 접촉되도록 그 내부에 형성된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루버는 상기 서포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돌기의 단부가 상기 리브의 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서포터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지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벽의 일단에는 상기 루버의 일단을 감싸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벽의 일단에도 상기 루버의 타단을 감싸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루버 지지구조가 채용된 환기창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창(1)은 사각형의 창틀(2)과, 창틀(2) 내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다수의 루버(3)와, 창틀(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루버(3)를 지지하는 서포터(10)를 구비한다. 한편, 부재번호 20은 서포터(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서포터(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3)는 서포터(10)에 결합되어, 손잡이(20)의 조작에 따라 서포터(10)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각도가 조절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터(10)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서포터(10)의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10)는, 대략 크랭크 형상을 가지는 수직판(11)과, 수직판(11)의 전면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상부벽(12)과, 상기 상부벽(12)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수직판(11)의 전면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하부벽(13)을 구비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벽(12)과 하부벽(13) 사이의 공간에는 루버(3)가 삽입된다.
상기 수직판(11)의 배면에는 창틀(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1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판(11)의 일단에는 손잡이(20)에 조립되는 레버(19)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20)의 조작력이 상기 레버(19)에 전달되어, 레버(19)가 도 3a의 화살표 방향으로 선회함으로써, 서포터(10) 전체가 상기 회전축(15)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벽(12)의 좌측 단부에는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부(12a)가 형성되어 있어, 루버(3)의 일단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벽(12)의 곡선부(12a)와 반대측의 하부벽(13)의 우측 단부에도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부(13a)가 형성되어 있어, 루버(3)의 타단을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이, 루버(3)는 서포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상부벽(12)의 곡선부(12a)와 하부벽(13)의 곡선부(12a)에 의해 감싸지므로, 서포터(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하부벽(13)은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좌측부분은 상부벽(12)과 평행하고, 우측부분은 하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부벽(12)과 하부벽(13) 사이의 간격은 중간부분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된다.
상부벽(12)의 중간부분은 절개되어 있으며, 그 절개된 부분에는 루버(3)의 상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후크(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판(11)에는 전면측을 향하여 돌출된 탄성돌기(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16) 및 탄성돌기(18)는 모두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루버(3)가 서포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후크(16) 및 탄성돌기(18)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하여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루버(3)가 서포터(10)에 완전히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루버(3)가 서포터(1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3)는 상부벽(12) 및 하부벽(13)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동일한 형태의 외곽 형상을 가지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루버(3)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후크(16)가 결합되도록 결합홈(3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탄성돌기(18)와 접촉되도록 상면과 하면 사이를 수직하게 가로지르는 리브(3b)가 형성되어 있다.
루버(3)는 상부벽(12)과 하부벽(13) 사이의 간격이 넓은 서포터(10)의 우측단부를 통하여 상부벽(12)과 하부벽(13)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때, 후크(16)는 루버(3) 상면과 접촉하면서 위쪽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탄성돌기(18)는 리브(3b)와 접촉하면서 수직판(11)의 배면 쪽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3)가 상부벽(12)과 하부벽(13) 사이의 공간에 완전히 삽입되면, 후크(16)는 복원되어 루버(3) 상면의 결합홈(3a)에 삽입되고, 탄성돌기(18)는 복원되어 리브(3b)의 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루버(3)는 후크(16)와 탄성돌기(18)를 해제하지 않는 한, 서포터(10)에 결합될 때와 반대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부벽(12)과 하부벽(13)의 각 곡선부(12a, 13a)에 더하여, 후크(16)와 탄성돌기(18)에 의하여 루버(3)와 서포터(10)의 결합상태를 잠금으로써, 비틀림 힘 등이 작용하더라도 루버(3)가 서포터(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루버(3)가 서포터(1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루버(3)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10)의 레버(19)는 손잡이(2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는 다수의 링크부재(21, 22)를 구비한 다관절 구조 이루어져 있다. 손잡이(20)의 각 링크부재(21, 22)의 끝단은 연결부재(2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23)에는 다수의 서포터(10)의 각 레버(19)들이 일렬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23)는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면, 그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3)의 이러한 상하 방향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서포터(10)의 각 레버(19)들이 회전축(15)(도 3a 참조)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각 서포터(10)들이 선회하면서 루버(3)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한편,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 서포터(10)의 회전축(15)들은, 상술한 실용신안등록 제1869556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서로 연동하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23)에 의하여 손잡이(20)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서포터(10)들도, 손잡이(20)의 조작에 의하여 동시에 선회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모든 루버(3)는 손잡이(20)의 조작에 의하여 동시에 선회하면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후크(16)와 탄성돌기(18)에의하여 루버(3)와 서포터(10)가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조작에 의하여 후크(16)와 탄성돌기(18)를 변형시키지 않는 한, 루버(3)가 서포터(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루버(3)의 각도조절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환기창(1)의 창틀(2)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루버(3)가, 상기 창틀(2)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서포터(10)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된 루버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10)는, 상기 루버(3)의 단부면과 접촉되는 수직판(11)과, 상기 수직판(11)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루버(3)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부벽(12)과, 상기 수직판(11)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루버(3)의 하면과 접촉하는 하부벽(13)과, 상기 상부벽(12)의 중간 절개부분에 하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돌출 형성된 후크(16)와, 상기 수직판(11)에 상기 루버(3)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18)를 구비하고,
    상기 루버(3)는, 상기 상부벽(12)과 하부벽(13)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후크(16)가 결합되는 결합홈(3a)과, 상기 탄성돌기(18)와 접촉하는 리브(3b)를 구비하며,
    상기 루버(3)는 상기 서포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16)가 상기 결합홈(3a)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돌기(18)의 단부가 상기 리브(3b)의 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서포터(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12)의 일단에는 상기 루버(3)의 일단을 감싸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부(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벽(13)의 일단에도 상기 루버(3)의 타단을 감싸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부(1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지지구조.
KR20-2003-0014477U 2003-05-10 2003-05-10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323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477U KR200323294Y1 (ko) 2003-05-10 2003-05-10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477U KR200323294Y1 (ko) 2003-05-10 2003-05-10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294Y1 true KR200323294Y1 (ko) 2003-08-14

Family

ID=4941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477U Expired - Fee Related KR200323294Y1 (ko) 2003-05-10 2003-05-10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29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76Y1 (ko) * 2009-10-16 2011-09-27 주식회사 와이엠알미늄 루버용 슬랫의 분리가 가능한 서포팅 유닛
KR200466986Y1 (ko) * 2011-06-20 2013-05-22 최상운 슬랫 이탈 방지용 루버
KR200474282Y1 (ko) 2013-09-13 2014-09-03 한용운 환기창용 루버의 슬랫 조립구조
KR200477425Y1 (ko) * 2015-04-03 2015-06-16 (주)대화알미늄 환기창용 루버 힌지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76Y1 (ko) * 2009-10-16 2011-09-27 주식회사 와이엠알미늄 루버용 슬랫의 분리가 가능한 서포팅 유닛
KR200466986Y1 (ko) * 2011-06-20 2013-05-22 최상운 슬랫 이탈 방지용 루버
KR200474282Y1 (ko) 2013-09-13 2014-09-03 한용운 환기창용 루버의 슬랫 조립구조
KR200477425Y1 (ko) * 2015-04-03 2015-06-16 (주)대화알미늄 환기창용 루버 힌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451B2 (en) Blade supporting apparatus in wiper apparatus
KR20140105708A (ko) 와이퍼, 와이퍼 레버 어셈블리 및 와이퍼 블레이드
KR200323294Y1 (ko)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
JP2634587B2 (ja) ウインドスクリーン等のワイパー装置及び連結装置
KR100361785B1 (ko) 스위치 장치
US5669487A (en) Key top mounting structure for a vehicular switch
JPH0195957A (ja) 回転継手
US4635395A (en) Louver assembly particularly useful for air-conditioning units or other like appliances
US11173770B2 (en) Register
US5323297A (en) Twist-in mounting for electromechanical component
KR10212875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GB2220843A (en) Wiper blade
KR20030067256A (ko) 공기조화기의 탑 커버 고정구조
JP4165219B2 (ja) 風向調整装置
JP2546999Y2 (ja) ブラインドにおける羽根板の開閉用アームの取付構造
US4184182A (en) Control mechanism for the movements of a tape cassette in a tape cassette recorder
JPH1018676A (ja) 扉セット
KR100391641B1 (ko) 자동차의 시프트케이블 엔드부 구조
KR200335426Y1 (ko) 환기창
JP2571578Y2 (ja) スイッチ装置
KR970000732Y1 (ko) 선풍기의 회전각도 조절용 연결구
KR100373392B1 (ko) 와이퍼
JP2007191063A (ja) エンジンマウントの別体ゴムストッパ
KR100794504B1 (ko) 에어벤트용 댐퍼링크
JP7280844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5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8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5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7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