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2694Y1 - 가발 착용용 클립 - Google Patents

가발 착용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694Y1
KR200322694Y1 KR20-2003-0015948U KR20030015948U KR200322694Y1 KR 200322694 Y1 KR200322694 Y1 KR 200322694Y1 KR 20030015948 U KR20030015948 U KR 20030015948U KR 200322694 Y1 KR200322694 Y1 KR 200322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clip
elastic piece
lower elastic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길
Original Assignee
정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길 filed Critical 정영길
Priority to KR20-2003-0015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6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33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or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16Fastening thereof by adjusting or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 하로 분리되는 상, 하부 탄성편으로 분리 형성하되, 상부 탄성편에는 외향되게 절곡형성한 둥근 머리의 선단부를 갖는 빗살체를 다수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 탄성편에는 탄성 지지패드를 삽치하고, 상, 하부 탄성편의 양단 체결부에 리벳공과 봉재공을 형성하여 양단에서 상, 하부 탄성편을 탄성절곡시켜 리벳하여, 가발의 착탈을 적은 힘으로 극히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발 착용시 클립 빗살핀의 선단부가 머리표피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머리칼에 결착되게하여 착용시 머리표피의 손상이나 상해를 입히지 않고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게 한 가발 착용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발 착용용 클립{A clip for false hair}
본 고안은 가발을 머리에 착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가발 착용용 클립에 있어서, 가발의 착탈을 적은 힘으로 극히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발 착용시 클립 빗살핀의 선단부가 머리표피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머리칼에 결착되게하여 착용시 머리표피의 손상이나 상해를 입히지 않고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게 한 가발 착용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머리의 경우 사용하는 전체 가발은 물론 머리숱이 부족하거나 머리에 패션을 고려하여 액센트를 주기 위하여 흔히 도 1 내지 도 2와 같은 부분 가발이나 장식용 부분가발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발을 머리에 착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클립을 사용하여 본 머리에 남아 있는 머리칼에 클램핑하여 착용하거나 머리에 모자와 같이 착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암수돌기가 형성된 테이프 중 어느 한쪽의 벨크로테이프를 수용하여 취부하기 위한 베이스망사를 가발과는 별도로 필요로하여 도 1과 같이 머리에 뒤집어쓰는 가발의 경우에는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도 2와 같이 부분적인 가발, 예컨대 부분가발이나 실가발과 같은 장식용 가발에는 적용하기가 거의 불가능하여 클립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하고 있는 클립(100)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대체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101)(102)의 리벳공(101a)(102a)을 리벳(103)하
하여 결합하는 "ㅁ"형으로 형성하여 하측에 탄성지지패드(104)를 삽치하고 상측에 탄성편(104)을 형성한 클립(100)을 형성하고, 상측 탄성편(105)에는 리벳공(106)를 복수개 천공하여 빗살(201)과 리벳공(202)을 다수 형성한 빗살판
빗살판(200)을 리벳(300)으로 결착하여 탄성편(105)에 빗살판(200)을 고정시켜 취부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빗살판(200)의 빗살(201)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빗살(201)의 선단부(203)을 평평하게 착용자의 머리와 평행하는 위치로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립(100)에 있어서는 사용시 실질적으로 내, 외측으로 탄성 절곡되어 착용자의 머리칼을 빗살(201)과 탄성지지패드(104)사이에 현지하여 결착하는 상측 탄성편(105) 자체를 리벳(300)사이의 간격(D)이 좁게 복수로 리벳(300)하여 결착되게 구성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가발의 착용이나 해체시 실질적인 절곡 밴딩작용을 하는 상측 탄성편(105)의 탄성절곡되는 밴딩부분이 협소하여 상측 탄성편(105)의 내, 외측으로의 절곡하는데 많은 힘을 주어야만 됨으로서 가발의 착탈 작업에 많은 노고와 애로가 뒤따르는 단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더욱이 패션용 부분가발이나 실가발의 수요자가 유약한 아녀자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사용시 상기와 같은 불편과 단점이 더욱 가중되어 사용시 손가락 등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 탄성편
(105)의 절곡 밴딩이 리벳(300)사이의 좁은 간격(D)의 탄성면(105)에서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시 탄성지지패드(104)와의 접지가 불안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머리칼의 협지력이 취약하고 불안정하여 착용시 가발이 머리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탈락하게 되는 사용상의 불편도 나타내며, 빗살(201)의 선단부(203)가 평평하게 착용자의 머리와 평행하는 위치로 구성되어 있어 착용시 부주의하면 빗살(201)의 선단부
(203)가 머리를 찌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상해를 입게되는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는 등의 여러가지 단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절곡하여 밴딩작동시 리벳(300)부분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클립이 쉽게 파손되어 가발의 내구수명이 짧아지는 경제적인 부담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과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부분가발이나 실가발 등과 같은 가발의 착탈을 적은 힘으로 극히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약한 아녀자도 간편하게 착용하거나 해체할 수 있게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가발 착용시 클립 빗살핀의 선단부가 머리표피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머리칼에 결착되게하여 착용시 머리표피의 손상이나 상해를 입히지 않고 누구나 안정되고 안전하게 착용하여 다양한 머리 패션을 시연할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빗살에 걸린 머리칼을 넓은 면적으로 안정되고 견고하게 협지시켜 줄 수 있게 하여 착용감이 견고하고 안정되게하여 격려한 운동시에도 실가발이나 부분가발의 탈락없이 안정되게 착용시킬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 하부 탄성편의 절곡밴딩이 상, 하부 탄성편의 넓은 전면적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절곡에 따른 하중을 분산시켜 클립의 내구성이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켜 가발을 경제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 하로 분리되는 상, 하부 탄성편으로 분리 형성하되, 상부 탄성편에는 외향되게 절곡형성한 둥근 머리의 선단부를 갖는 빗살체를 다수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 탄성편에는 탄성지지패드를 삽치하고, 상, 하부 탄성편의 양단체결부에 리벳공과 봉재공을 형성하여 양단에서 상, 하부 탄성편을 탄성절곡시켜 리벳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도 1은 부분 가발에 적용한 경우의 사용상태 예시도이고,
도 2는 전체 가발에 적용한 경우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의 (가),(나)도는 도 4의 화살표 A, B방향으로 절곡한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도는 착용전 도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절곡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나)도는 착용후 도4의 화살표 B방향으로 절곡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종래 가발착용용 클립의 예시도로서,
도 6은 동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동 결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클립 2: 상부탄성편 2a,2b : 양단부 3: 하부탄성편
3a,3b : 양단체결부 4: 대빗살체 4a : 둥근머리선단부 5: 소빗살체
6: 탄성지지패드 7: 리벳 8: 가발 9: 머리칼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도 1은 부분 가발에 적용한 경우의 사용상태 예시도이고, 도 2는 전체 가발에 적용한 경우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의 (가),(나)도는 도 4의 화살표 A, B방향으로 절곡한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도는 착용전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절곡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나)도는 착용 후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 절곡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의 (가),(나)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발, 부분가발 및 실가발 등 모든 가발에 적용하는 클립(1)을 구성함에 있어서,
클립(1)을 상, 하로 분리되는 상, 하부 탄성편(2),(3)으로 분리 형성하되, 상부 탄성편(2)에는 외향되게 절곡형성한 둥근 머리의 선단부(4a)를 갖는 대빗살체
(4)와 소빗살체(5)를 교호로 다수 일체로 펀칭하여 형성하고, 하부 탄성편(3)에는
탄성지지패드(6)를 삽치하며, 상부 탄성편(2)의 양단체결부(2a),(2b) 및 하부 탄성편(3)의 양단체결부(3a),(3b)에 리벳공(2c),(3c)과 봉재공(2d),(3d)를 다수 형성하여 양단체결부(2a),(3a)에서 상, 하부 탄성편(2),(3)을 탄성절곡시켜 리벳(7)하여 결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8은 클립(1)에 봉재 결합된 부분가발, 실가발 등과 같은 가발이고, 9는 머리에 존재하는 머리칼이나 다른 가발의 머리칼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클립(1)을 형성함에 있어 외향으로 절곡형성한 선단부(4a)를 갖는 대빗살체(4)와 소빗살체(5)를 교호로 상부 탄성편(2)에 일체로 펀칭하여 절곡 형성하고, 하부 탄성편(3)에는 탄성지지패드(6)를 삽치한 후, 이들의 양단부(2a),(2b) 및 (3a)(3b)의 리벳공(2c),(3c)를 리벳(7)하는 상, 하부 탄성편(2),(3)을 결합하는 작업으로 클립(1)을 형성함으로서 클립(1)의 제작시 탄성지지패드(60)의 삽치작업을 간편하고 수행하여 클립(1)의 제조를 보다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4및 도 5의 (가)(나)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을 양손으로 파지하고 도 4의 실선(A)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부 탄성편(2)을 점선(A)의 원호방향으로 절곡 밴딩하면 도 5의 (나)도와 같이 상부 탄성면(2)에 일체로 형성된 대빗살체(4)와 소빗살체(5)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하부탄성편(3)의 탄성지지패드(6)와 이격되어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한 후, 도 5의 (가)도와 같이 본 고안의 클립(1)이 봉재된 가발 (8)을 착용하기 위한 머리칼(9)에 클립(1)의 상부 탄성편(2)의 대, 소빗살체(4), (5)를 머리빗과 같이 꽂으면 머리칼(9)이 하부 탄성편(3)의 탄성지지패드(6)와 상부 탄성편(2)의 대, 소빗살체(4),(5)사이로 안내되어 진입되게 한 후, 상, 하부 탄성편(2),(3)의 리벳(7)된 양단 체결부(2a),(2b),(3a),(3b)를 도 4의 실선(B) 화살표방향으로 누르면, 상,하부 탄성편(2)(3)이 상기와는 반대로 작용하여 머리칼(9)
이 상부 탄성편(2)의 대, 소빗살체(4),(5)과 하부 탄성편(3)의 탄성지지패드(6)사이에 협지되어 가발(8)을 착용하게 되는데, 이때 가발(8) 착용시 상부 탄성편(2)의 대빗살체(4)의 선단에는 둥근 머리선단부(4a)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대빗살체(4)의 둥근 머리선단부(4a)가 착용자의 머리표피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빗살체와 머리표피와의 접촉에 다른 통증이나 불쾌감은 물론 머리표피
손상에 따른 상해발생의 위험없이 안정되고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대빗살체
(4)사이에 교호로 형성된 소빗살체(5)는 대빗살체(4)의 둥근머리선단부(4a)보다 짧
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머리표피와는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머리칼(9)의 집속기능만을 더욱 발휘하여 가발(8)을 머리칼(9)에 견실하고 안정되게 착용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상, 하부 탄성편(2),(3)의 절곡밴딩작동이 긴 상 하부 탄성편(2)(3)
의 전체 길이에서 폭넓게 이루어져 절곡밴딩의 면적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절곡밴딩에 따른 을력을 상, 하부 탄성편(2),(3)의 전체면으로 분산시켜 줄 수 있게 되어 적은 힘으로 상, 하부 탄성편(2),(3)을 절곡하여 밴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부 탄성편(2)에 둥근 머리선단부(4a)를 갖는 대빗살체
(4)와 소빗살체(5)를 교호로 형성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소빗살체(5)를 생략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 하로 분리되는 상, 하부 탄성편으로 분리 형성하되, 상부 탄성편에는 외향되게 절곡형성한 둥근 머리선단부를 갖는 빗살체를 다수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 탄성편에는 탄성지지패드를 삽치하여 상, 하부 탄성편의 양단체결부를 리벳하여 상, 하 탄성편의 절곡밴딩작동이 상, 하부 탄성편 전면에서 이루어져 부분가발이나 실가발 등과 같은 가발의 착탈을 적은 힘으로 극히 간편, 용이하게 수행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착용시에는 빗살에 걸린 머리칼을 넓은 면적으로 안정되고 견고하게 협지시켜 줄수 있게 하여 착용감이 견고하고 안정되게하여 격려한 운동시에도 실가발이나 부분가발의 탈락없이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으며, 가발 착용시 클립 빗살핀의 선단부가 머리표피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머리칼에 결착되게하여 착용시 머리표피의 손상이나 상해를 입히지 않고 누구나 안정되고 안전하게 착용하고, 상, 하부 탄성편의 절곡밴딩이 상, 하부 탄성편의 넓은 전면적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절곡에 따른 하중을 분산시켜 클립의 내구성이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켜 가발을 경제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지닌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가발, 부분가발 및 실가발 등 모든 가발에 적용하는 클립(1)을 구성함에 있어서,
    클립(1)을 상, 하로 분리되는 상, 하부 탄성편(2),(3)으로 분리 형성하되, 상부 탄성편(2)에는 외향되게 절곡형성한 둥근 머리의 선단부(4a)를 갖는 대빗살체
    (4)와 소빗살체(5)를 교호로 다수 일체로 펀칭하여 형성하고, 하부 탄성편(3)에는 탄성지지패드(6)를 삽치하며, 상부 탄성편(2)의 양단체결부(2a),(2b) 및 하부 탄성편(3)의 양단체결부(3a),(3b)에 리벳공 (2c),(3c)과 봉재공(2d),(3d)를 다수 형성하여 양단체결부(2a),(3a)에서 상, 하부 탄성편(2),(3)을 탄성절곡시켜 리벳(8)하여 결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착용용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탄성편(2)에는 외향되게 절곡형성한 둥근머리의 선단부(4a)를 갖는 대빗살체(4)만을 다수 일체로 펀칭하여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착용용 클립.
KR20-2003-0015948U 2003-05-23 2003-05-23 가발 착용용 클립 KR200322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948U KR200322694Y1 (ko) 2003-05-23 2003-05-23 가발 착용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948U KR200322694Y1 (ko) 2003-05-23 2003-05-23 가발 착용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694Y1 true KR200322694Y1 (ko) 2003-08-14

Family

ID=4933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948U KR200322694Y1 (ko) 2003-05-23 2003-05-23 가발 착용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69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510B1 (ko) 2011-05-04 2012-11-30 성진섬유산업(주) 가발용 클립
KR101258370B1 (ko) * 2011-06-01 2013-04-30 박명원 가발용 클립
KR101306209B1 (ko) * 2013-02-20 2013-09-10 (주)신우패션 가발용 헤어클립
WO2016076477A1 (ko) * 2014-11-13 2016-05-19 이수상 가발 고정용 픽서
KR200485655Y1 (ko) * 2016-09-20 2018-02-06 박영용 가발용 헤어 클립
JP2020169412A (ja) * 2019-04-03 2020-10-15 マスターズプランナー株式会社 ウィッグ用固定ピン
US20230028052A1 (en) * 2020-05-01 2023-01-26 Aderans Company Limited Fasten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510B1 (ko) 2011-05-04 2012-11-30 성진섬유산업(주) 가발용 클립
KR101258370B1 (ko) * 2011-06-01 2013-04-30 박명원 가발용 클립
KR101306209B1 (ko) * 2013-02-20 2013-09-10 (주)신우패션 가발용 헤어클립
WO2016076477A1 (ko) * 2014-11-13 2016-05-19 이수상 가발 고정용 픽서
KR200485655Y1 (ko) * 2016-09-20 2018-02-06 박영용 가발용 헤어 클립
JP2020169412A (ja) * 2019-04-03 2020-10-15 マスターズプランナー株式会社 ウィッグ用固定ピン
US20230028052A1 (en) * 2020-05-01 2023-01-26 Aderans Company Limited Faste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27705A2 (en) Hairpiece for a partial wig
KR200322694Y1 (ko) 가발 착용용 클립
KR100895772B1 (ko) 보조미용기구가 구비된 이중 머리빗
CN112056713B (zh) 表带及可穿戴设备
JPH111811A (ja) かつら用ストッパー及びかつら用ストッパー取付け用シート
KR101258370B1 (ko) 가발용 클립
KR100787697B1 (ko) 붙임머리
KR101502889B1 (ko) 기능성 헤어 클립
KR100577771B1 (ko) 헤어피스
KR20160128132A (ko) 머리핀
KR101545847B1 (ko) 부분가발용 고정구
KR101188188B1 (ko) 뒷머리 헤어 밴드
MXPA03003451A (es) Dispositivo de fijacion y/o ensamble.
KR101206510B1 (ko) 가발용 클립
KR200323591Y1 (ko) 헤어 브러쉬
JP3029292U (ja) ヘアークリップ
US8171944B1 (en) Hair retainer
CN209883322U (zh) 一种造型美发工具
KR200367466Y1 (ko) 헤어 브러쉬
KR100770595B1 (ko) 가발
KR200391771Y1 (ko) 미용가운용 체결구
KR200341800Y1 (ko) 빗형 헤어핀
JP2008055069A (ja) フィンガー付きヘアクリップ
KR200195955Y1 (ko) 가발제조용 캡의 부착구조
JP3027126U (ja) 自動ヘアピン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5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5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8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