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21438Y1 -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438Y1
KR200321438Y1 KR20-2003-0013590U KR20030013590U KR200321438Y1 KR 200321438 Y1 KR200321438 Y1 KR 200321438Y1 KR 20030013590 U KR20030013590 U KR 20030013590U KR 200321438 Y1 KR200321438 Y1 KR 200321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lope
road slope
block
block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황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일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일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일컨설턴트
Priority to KR20-2003-0013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43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녹화조경을 위해 도로비탈면에 설치되는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도로면과 도로비탈면을 분할토록 그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고, 도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부와, 상기 기초콘크리트부에 지지되어 도로비탈면에 설치되고 그 내측으로 토사와 잔디가 식재되는 박스형상의 블록박스과, 도로비탈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부와 대응 설치되는 마감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따라, 내측으로 잔디를 식재한 다수개의 블록박스를 도로비탈면에 설치함으로서 도로비탈면의 슬라이딩 현상을 예방하고, 안전한 자동차 통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a planting slope structure for keeping a sloping surface}
본 고안은 녹화조경을 위한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도로면과 도로비탈면을 분할하며 도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부와, 그 내측으로 토사와 잔디가 식재되는 중공상의 몸체가 단턱을 갖는 도로 비탈면에 설치되는 블록박스과, 경사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도로 경사면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블록박스가 개재토록 상기 기초콘크리트부와 대응 설치되는 마감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녹화가 조성되어 도로의 미관을 최대한 확보하고, 상기 블록박스의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속되어 도로비탈면의 토사 유실, 도로의 붕괴 및 도로비탈면의 슬라이딩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처럼 산지가 많고 집중호우로 인한 침식과 재산피해가 속출하며, 봄 가뭄과 동결융해로 침식이 극심하여 한번 훼손되면 복구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국내 현실을 감안할 때 지금보다 산지의 비탈면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및, 생태계 보호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도로 절개지 비탈면은 도로라는 특수성 때문에 부득이 기반 암까지 노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기반 암 노출은 주행자 및 인근주민에게 나쁜경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비탈면의 불안정으로 인한 붕괴 우려까지 내포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비탈면 환경복원은 여러 가지 목적으로 인하여 훼손된 비탈면을 안전하게 녹화하여 침식붕괴를 방지하고, 경관을 조기에 회복시키며, 단절된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복원함으로써 야생동식물의 서식공간을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로 비탈면 안정화 하고, 제방 및 수로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 하천, 호수, 기타 수로(水路)등에 여러 형태와 크기를 가진 호안블럭이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제방에 정형화된 형태와 크기를 갖는 호안블럭이 수로등의 언(堰)에 시공되어 제방을 보호하고 있는데, 특히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의 시공 면이 일정하면서 조밀한 상태가 되도록 시공되는 바, 저수로가 제방에 접근하는 곳 또는 홍수 때 물의 충돌이 많은 곳에는 특히 견고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시공된 블록 중에서 하나의 블럭이 유실되거나 이탈되면, 점차적으로 각 측면 및 저면이 밀착 고정된 각각의 호안블럭은 시간이 진행됨에 있어 유실이 심화되거나 비탈면 슬라이딩 현상의 발생으로 심지어는 붕괴되는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가경제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고속도로, 산업도로의 공사 등 각종 건설공사로 인해 발생되는 사면의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 추세이나 단순 녹화만을 염두에 둔 무분별한 각종 녹화공사로 인하여 주변 식생대와의 이질감은 물론, 토양과 하천을 오염시키는 부작용도 발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의 미관을 최대한 확보하여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하고, 도로비탈면으로 부터 블록박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태풍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 발생시에도 하천으로 급격히 흘러내리는 물의 유속을 저하시켜 하천의 빠른 범람을 지연토록 하고, 도로비탈면의 토사 유실로 인해 도로가 붕괴 및 교통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의 블록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의 단면도.
도4a 또는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의 블록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및 설치 상태도.
도5a 또는 도5b는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의 블록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및 결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기초콘크리트부 200...블록박스
210...몸체 220...경사면
230...배수공 240...돌출돌기
250...돌기홈 260...걸림턱
300...마감콘크리트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로면과 도로비탈면을 분할토록 그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고, 도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부와,
그 내측으로 토사와 잔디가 식재되는 중공상의 몸체가 단턱을 갖는 도로 비탈면에 설치되고, 도로 비탈면에 대응되는 소정경사각의 경사면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 물이 배수토록 형성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블록박스과,
경사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도로 경사면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블록박스가 개재토록 상기 기초콘크리트부와 대응 설치되는 마감콘크리트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박스는, 한쌍의 돌출돌기가 전면부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돌기에 결합되는 돌기홈 후면부에 대응되어 형성되어도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로면과 도로비탈면을 분할하며 도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부(100)와, 도로 비탈면에 설치되어 잔디가 식재되는 블록박스(200)와, 다수개의 블록박스(200)가 개재토록 상기 기초콘크리트부(100)와 대응 설치되는 마감콘크리트부(300)로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콘크리트부(100)는, 도로면과 도로비탈면 사이에 도로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그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람직하게는 45°의 경사도로 일정간격 절곡 형성된 도로비탈면으로 상기 블록박스(2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블록박스(200)는, 그 내측으로 토사와 잔디가 식재되는 중공상의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 상부로 도로비탈면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220)과, 상기 몸체(210) 측면으로 물이 배수되는 배수공(230)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10)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되는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230)은 다수의 블록박스(200)가 도로비탈면에 적층시 이웃하는 블록박스(200)의 배수공(230)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도 4a 또는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박스(200)의 전면으로 한쌍의 돌출돌기(240)가 돌출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상기 돌출돌기(240)가 결합되는 돌기홈(250)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때, 상기 블록박스(200)의 돌출돌기(240)는 적어도 전면부의 길이방향 만큼의 길이를 갖으며, 상기 블록박스(200)의 후면에 형성되는 돌기홈(250)은, 그 단부로 상기 돌출돌기(240)의 길이만큼의 연장길이를 갖은 후 그 단부에 돌출돌기(240)가 고정 지지되는 걸림턱(2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돌기(240)는 상기 전면부의 폭방향의 일단과 타단에서 각각 폭길이의 1/4선의 길이에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서, 하부에 이웃하는 블록박스(200)와 결합시, 일측과 타측의 돌출돌기(240)가 각각 하부에 이웃하는 다른 블록박스(200)의 돌기홈(250)과 엇갈려 결합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블록박스(200)의 저부에는 상기 블록박스(200)에 식재되는 잔디나 묘종의 뿌리가 도로비탈면에 자리잡거나, 배수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도로비탈면의 단턱과 대향되는 배수공(230)이 더 형성되어도 좋다.
도 5a또는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박스(200)의 후면부에는, 그 전면부의 길이만큼의 홈을 갖는 걸림턱(260')이 형성되어 블록박스가 도로비탈면을 따라 적층시 상기 걸림턱(260')에 블록박스의 전면부가 고정되도록 하여 다수개의 블록박스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로비탈면을 따라 적측된 블록박스(200)를 상단에서 고정 지지하도록 최상부에 설치되는 블록박스(200)의 일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마감콘크리트부가 형성된다.
상기 마감콘크리트부(30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부(100)와 대응되는 장방향의 길이를 갖으며, 상기 기초콘크리트부(100)와의 사이에 다수개의 블록박스(200)를 개재하여 고정 설치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경계석으로 동일 높이차를 갖는 단턱을 갖도록 형성한 후, 도로면 도로경계면 사이에 'ㄴ'형의 단면을 갖는 기초콘크리트부를 도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부의 내측 절곡면으로 1열의 블록박스를 설치한다.
계속하여, 상기 기초콘크리트부에 설치된 블록박스 상부로 이웃하는 블록박스를 적층하여 설치한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블록박스의 전면과 후면에 돌출돌기와 돌기홈이 각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설치된 블록박스의 돌기홈에 상부에 이웃하는 블록박스의 돌출돌기를 대응되도록 끼워 고정되도록 하여 도로비탈면을 따라 적층할 수 있다.
이어서, 도로비탈면을 따라 적층된 다수개의 블록박스 내측으로 토사를 채우후, 주로 양잔디나 향토초목(초본류·목본류)의 식재를 하게 되는데, 그중에 켄터키 블루글라스, 톨페스큐, 페레니얼 라이글라스 등으로서 발아율이 높고 초기생장이 왕성하여 단시일 내에 녹화를 조정할 수 있고, 주변 자연환경에 잘 조화되어 이질감 해소는 물론, 미관상으로도 효과적이고 시공지역을 영구적 최상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블록박스 내측으로는 잔디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래 야생화 및 도입야생화가 이용이 가능하며, 특히, 구절초, 쑥부쟁이, 벌노랑이, 금계국, 샤스타데이지, 개생초, 과꽃, 수레국화 등은 기존의 코스모스와 루드베키아, 알파파의 대체용으로 이용하여 재래초목본과 혼파하고 원만하게 발아하면 생육하면서 다양한 비탈면 경관의 연출이 가능하고, 나비 등 각종 곤충과 야생동물을 유인하는 효과가 탁월하여 양잔디 위주의 단조로운 시공과의 현저한 차이를 줄 수 있다.
상기 블록박스 내측으로 잔디 또는 향토초목의 식재가 끝난 후에 최종적으로 도로와 접하는 상단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감콘크리트부를 설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블록박스를 제작하여 수직으로 다단계 방식으로 설치하고, 그 내측으로 토사를 채운후 표면에 잔디나 향토초목을 식재하여 대홍수 시에 경사면의 슬라이딩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토양조건에 적합한 식재하여 강우차단, 표면유출량의 조절, 토양 내 침투율의 증가 등으로 점진적으로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이 개선되며 강우 뿐만 아니라 바람에 의한 지표면 토양침식을 억제함으로서 침식 및 붕괴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고 자연경관과의 조화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도로비탈면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블록박스가 설치된 후 그 내측으로 토사 및 녹화조경되도록 하여 ,도로의 미관을 최대한 확보하고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로비탈면의 설치되는 블록박스의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속되어 도로비탈면으로 부터 블록박스가 이탈되거나 슬라이딩 현상을 예방하고, 태풍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 발생시에도 하천으로 급격히 흘러내리는 물의 유속을 저하시켜 하천의 빠른 범람을 지연토록 함으로서, 도로비탈면의 토사 유실로 인해 도로가 붕괴 및 교통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도로면과 도로비탈면을 분할토록 그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고, 도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부(100)와,
    그 내측으로 토사와 잔디가 식재되는 중공상의 몸체(210)가 단턱을 갖는 도로 비탈면에 설치되고, 도로 비탈면에 대응되는 소정경사각의 경사면(220)이 상기 몸체(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210)의 측면으로 물이 배수토록 배수공(230)이 형성되는 블록박스(200)과,
    경사면(22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도로 경사면(220)에 설치된 다수개의 블록박스(200)를 지지토록 상기 블록박스(200)를 개재하여 상기 기초콘크리트부(100)에 대응 설치되는 마감콘크리트부(300)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박스(200)는, 한쌍의 돌출돌기(240)가 전면부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돌기(240)에 결합되는 돌기홈(250)이 후면부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
KR20-2003-0013590U 2003-04-30 2003-04-30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 Expired - Lifetime KR200321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590U KR200321438Y1 (ko) 2003-04-30 2003-04-30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590U KR200321438Y1 (ko) 2003-04-30 2003-04-30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438Y1 true KR200321438Y1 (ko) 2003-07-28

Family

ID=4933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590U Expired - Lifetime KR200321438Y1 (ko) 2003-04-30 2003-04-30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43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59B1 (ko) 2006-10-14 2007-06-11 주식회사 삼안 하천제방 누수방지 차수막 설치구조
KR100737331B1 (ko) * 2005-01-12 2007-07-09 태아산업 주식회사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CN115354677A (zh) * 2022-09-21 2022-11-18 江苏普泽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边坡养护修复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331B1 (ko) * 2005-01-12 2007-07-09 태아산업 주식회사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KR100723259B1 (ko) 2006-10-14 2007-06-11 주식회사 삼안 하천제방 누수방지 차수막 설치구조
CN115354677A (zh) * 2022-09-21 2022-11-18 江苏普泽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边坡养护修复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1438Y1 (ko) 도로 비탈면 보호용 녹화사면구조물
CN209099372U (zh) 一种坡面防护及绿化装置
KR101628201B1 (ko) 생태 블록 구조물
KR200397518Y1 (ko) 생태 식생옹벽블럭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200231243Y1 (ko) 호안 식생용 블럭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100509442B1 (ko) 녹화 식생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100433919B1 (ko) 하안 생태 옹벽블록
KR200236316Y1 (ko) 호안블럭의 구조
CN220521237U (zh) 一种渠道护坡结构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KR20030079391A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2002799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100509643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해안제방의 법면 녹화방법
KR200285001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200163470Y1 (ko) 자연형호안블럭
CN109056760A (zh) 一种坡面防护及绿化装置
KR200413594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CN216892233U (zh) 一种水利工程用河道护坡
JPH11315541A (ja) 植生ブロック及びそれを使用した法面保護方法
KR100428904B1 (ko) 호안용 조경블록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4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5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110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110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