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997Y1 - 동력분무기 역류장치 - Google Patents
동력분무기 역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0997Y1 KR200320997Y1 KR20-2003-0012405U KR20030012405U KR200320997Y1 KR 200320997 Y1 KR200320997 Y1 KR 200320997Y1 KR 20030012405 U KR20030012405 U KR 20030012405U KR 200320997 Y1 KR200320997 Y1 KR 2003209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let
- inlet
- fluid
- pipe
- branch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분무기 역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장치를 사용하여 유체를 분무하게 되는 동력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며 개폐가 가능한 스톱밸브가 부설되는 배출통로를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하게 되는 송출구와; 하나의 입구와 2개의 출구로 구성되어, 입구는 상기 송출구의 배출통로중 하나에 연결되며, 일측 출구가 분무용호스에 연결되는 분기관과; 입구는 상기 분기관과 연결되지 않은 송출구의 배출통로중 하나에 연결되며,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따라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게 되는 벤츄리관과; 상기 분기관의 타측 출구와 상기 벤츄리관의 통공을 연결하게 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 역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동력장치를 사용하여 유체를 분무하게 되는 동력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며 개폐가 가능한 스톱밸브가 부설되는 배출통로를 적어도 한개 이상 구비하게 되는 송출구와; 하나의 입구와 두개의 출구를 가지게 되며, 입구 는 상기 송출구의 배출통로에 연결되며, 상기 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될 출구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밸브와; 하나의 입구와 2개의 출구로 구성되어, 입구는 상기 선택밸브의 일측 출구와 연결되며, 일측 출구가 분무용호스에 연결되는 분기관과; 입구가 상기 선택밸브의 타측 출구와 연결되며,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따라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게 되는 벤츄리관과; 상기 분기관 의 타측 출구와 상기 벤츄리관의 통공을 연결하게 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 역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따라 분무작업종료 후 분무용호스에 남아있는 유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게 되며, 동절기 호스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동력분무기 역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벤츄리관형상의 벤츄리관을 구비하여 분무작업종료후 분무용 호스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유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동력분무기 역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물에 농약을 분무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동력분무기를 사용하게된다. 상기 동력분무기는 전기모터 또는 내연기관등을 사용하여 발생시킨 동력을 사용하여 약제와 물이 혼합된 유체를 송출구로 이동시키게된다. 상기 송출구에는 유연한 분무용호스가 연결되어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분무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무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분무용호스내로 깨끗한 물을 보내 분무용호스내부를 세척하게되며 세척후 상기 분무용호스내부의 물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을 제거하는 이유는 호스자체의 무게를 줄여 이동과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동절기에 호스내부의 물이 얼어 호스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분무용호스내부의 물을 제거하는 것은 상기 분무용호스가 짧을 경우에는 호스가 경사를 이루도록하여 배출하는등 간단한 작업으로 가능하지만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호스는 수십미터 이상의 길이를 가지게 되므로 내부의 물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동력분무기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신속하게 분무용호스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유체를 제거할 수 있는 동력분무기 역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동력분무기의 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의 역류장치의 분무상태
도3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의 역류장치의 역류상태
도4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의 역류장치의 분무상태
도5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의 역류장치의 역류상태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 : 송출구 11 : 스톱밸브
20 : 분기관 30 : 벤츄리관
40 : 연결관 41 : 스톱밸브
50 : 분무관 60 : 선택밸브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동력장치를 사용하여 유체를 분무하게 되는 동력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며 개폐가 가능한 스톱밸브가 부설되는 배출통로를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하게 되는 송출구와; 하나의 입구와 2개의 출구로 구성되어, 입구는 상기 송출구의 배출통로중 하나에 연결되며, 일측 출구가 분무용호스에 연결되는 분기관과; 입구는 상기 분기관 과 연결되지 않은 송출구의 배출통로중 하나에 연결되며,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따라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게 되는 벤츄리관과; 상기 분기관의 타측 출구와 상기 벤츄리관의 통공을 연결하게 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요지로 한다.
그리고 동력장치를 사용하여 유체를 분무하게 되는 동력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며 개폐가 가능한 스톱밸브가 부설되는 배출통로를 적어도 한개 이상 구비하게 되는 송출구와; 하나의 입구와 두개의 출구를 가지게 되며, 입구는 상기 송출구의 배출통로에 연결되며, 상기 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될 출구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밸브와; 하나의 입구와 2개의 출구로 구성되어, 입구는 상기 선택밸브의 일측 출구와 연결되며, 일측 출구가 분무용호스에 연결되는 분기관 과; 입구가 상기 선택밸브의 타측 출구와 연결되며,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따라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게 되는 벤츄리관 과; 상기 분기관의 타측 출구와 상기 벤츄리관의 통공을 연결하게 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은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톱밸브가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분무용호스내부에 잔류된 유체를 제거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함을 알 수 있다. 이를위해 본 고안에서는 벤츄리관을 구비하고 상기 벤츄리관에 분무용호스와 연결된 분기관을 연결하게된다. 이는 상기 벤츄리관에 고속으로 유체를 통과시키게 되면 베르누이의 법칙에 의해 벤츄리관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연결관을 통해 분무용호스내부의 유체가 역류하여 상기 벤츄리관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분무용호스내부의 잔류유체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의 역류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2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의 역류장치의 분무시 상태를 표시한 도이며, 도3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의 역류장치의 역류상태를 표시한 도이다.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의 역류장치는 송출구(10)와 분기관(20)과 벤츄리관(30)과 연결관(40)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먼저 송출구(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송출구(10)는 동력분무기에 유입된 유체가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부분이다. 일반적인 동력분무기에는 서로 직경이 다양한 다수개의 배출통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출통로에는 각각 스톱밸브(11)가 부설되어있어 상기 스톱밸브(11)를 조작하여 각 배출통로별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동력분무기에 다수개의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에 각각 스톱밸브가 구비되는 것은 당업계에서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분기관(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분기관(20)은 하나의 입구와 두개의 출구를 가진 관으로 형상에 따라 T자관, Y자관등이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분기관(20)으로 T자관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분기관(20)의 입구는 송출구(10)에 형성된 배출통로중 임의의 하나에 연결하게 되지만 상기 분기관(20)을 통해 분무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송출구(10)에 형성된 배출통로중 직경이 가장 큰 것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기관(20)의 출구중 일측은 분무용호스(50)가 연결되며 타측은 후술하게 될 연결관(40)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벤츄리관(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벤츄리관(30)은 고속으로 흐르는 유체는 압력이 낮아진다는 베르누이의 원리를 사용하여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벤츄리관(30)의 내부 단면적은 점차 적어지다가 다시 커지도록 구성되며 가장 단면적이 좁은 부위가 압력이 가장 낮아 지므로 그 일측에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벤츄리관(30)의 입구는 상기 송출구(10)의 배출통로중 상기 분기관(20)이 연결되지 않은 곳에 연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공은 후술하게 될 연결관(40)을 통해 상기 분기관(20)과 연결된다.
상기 벤츄리관(30)의 출구는 별도의 관을 연결하여 상기 벤츄리관(30)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수단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체를 별도의 저장수단으로 이동하는 대신 벤츄리관(30)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바닥에 버리거나 동력분무기의 유입구측으로 전달하여 재활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연결관(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관(40)은 상기 분기관(20)의 일측 출구와 벤츄리관(30)의 통공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40)에는 스톱밸브(41)가 부착되어 상기 연결관(40)내에 흐르는 유체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 역류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분기관(20)이 연결된 배출통로의 스톱밸브(11)는 열고 상기 벤츄리관(30)이 연결된 배출통로의 스톱밸브(11)와 연결관(40)의 스톱밸브(41)는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동력분무기가 작동되면 상기 동력분무기로부터 유체가 배출되어 상기 분기관(20)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40)의 스톱밸브(41)가 닫혀 있으므로 상기 유체는 분무용호스(50)측으로만 전달된다. 이에따라 분무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분무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동력분무기의 유입구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분무용호스(50)를 세척하게 된다.
세척이 종료되면 상기 분기관(20)이 연결된 배출통로의 스톱밸브(11)는 닫고, 상기 벤츄리관(30)이 연결된 배출통로의 스톱밸브(11)와 연결관(40)의 스톱밸브(41)를 열게된다. 이에따라 상기 동력분무기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는 벤츄리관(30)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벤츄리관(30)내부는 단면적이 좁으므로 상기 유체는 고속으로 흐르게 되며 이에따라 벤츄리관(30)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며 상기 벤츄리관(30)의 통공을 통해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분무용호스(50)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유체는 상기 벤츄리관(30)내부의 압력에 의해역류하여 분기관(20)과 연결관(40) 벤츄리관(30)순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2실시예]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송출구(10)에 형성된 배출통로중 하나만을 사용하여 역류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4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의 역류장치의 분무시 상태를 표시한 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의 역류장치의 역류상태를 표시한 도이다.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는 송출구(10)와 선택밸브(60)와 분기관(20)과 벤츄리관(30)과 연결관(40)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먼저 송출구(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송출구(10)는 동력분무기에 유입된 유체가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부분이다. 일반적인 동력분무기에는 서로 직경이 다양한 다수개의 배출통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출통로에는 스톱밸브(11)가 부설되어있어 상기 스톱밸브(11)를 조작하여 배출통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동력분무기에 다수개의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에 각각 스톱밸브가 구비되는 것은 당업계에서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선택밸브(6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선택밸브(60)는 하나의 입구와 두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상기 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될출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선택밸브(60)의 입구는 상기 동력분무기의 송출구(10)의 배출통로에 연결된다. 상기 배출통로가 다수개가 있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큰 측에 연결하여 분무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밸브(60)의 출구중 일측은 후술하게 될 분기관(20)의 입구가 연결되며, 타측은 후술하게될 벤츄리관(30)의 입구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흘러가는 유체의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는 당업자에게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분기관(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분기관(20)은 하나의 입구와 두개의 출구를 가진 관으로 형상에 따라 T자관, Y자관등이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분기관(20)으로 T자관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분기관(20)의 입구는 상기 선택밸브(60)의 출구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관(20)의 출구중 일측은 분무용호스(50)가 연결되며 타측은 후술하게 될 연결관(40)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벤츄리관(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벤츄리관(30)은 고속으로 흐르는 유체는 압력이 낮아진다는 베르누이의 원리를 사용하여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벤츄리관(30)의 내부 단면적은 점차 적어지다가 다시 커지도록 구성되며 가장 단면적이 좁은 부위가 압력이 가장 낮아 지므로 그 일측에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체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벤츄리관(30)의 입구는 상기 선택밸브(60)의 출구중 상기 분기관(20)에 연결되지 않은 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벤츄리관(30)의 통공은 후술하게 될 연결관(40)을 통해 상기 분기관(20)의 일측 출구와 연결된다.
상기 벤츄리관(30)의 출구는 별도의 관을 연결하여 상기 벤츄리관(30)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수단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체를 별도의 저장수단으로 이동하는 대신 벤츄리관(30)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바닥에 버리거나 동력분무기의 유입구측으로 전달하여 재활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연결관(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관(40)은 상기 분기관(20)의 일측 출구와 벤츄리관(30)의 통공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40)에는 스톱밸브(41)가 부착되어 상기 연결관(40)내에 흐르는 유체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분무기 역류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분기관(20)이 연결된 배출통로의 스톱밸브(11)는 열고 상기 선택밸브(60)의 흐름을 분기관(20)측으로 하게되며 연결관(40)의 스톱밸브(41)는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동력분무기가 작동되면 상기 동력분무기의 송출구(10)로부터 유체가 배출되어 선택밸브(60)를 통해 상기 분기관(20)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40)의 스톱밸브(41)가 닫혀 있으므로 상기 유체는 분무용호스(50)측으로만 전달된다. 이에따라 분무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분무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동력분무기의 유입구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분무용호스(50)를 세척하게 된다.
세척이 종료되면 상기 선택밸브(60)의 출구를 벤츄리관(30)측으로 하고 연결관(40)의 스톱밸브(41)를 열게된다. 이에따라 상기 동력분무기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는 벤츄리관(30)측으로 흘러가게된다. 상기 벤츄리관(30)내부는 단면적이 좁으므로 상기 유체는 고속으로 흐르게 되며 이에따라 벤츄리관(30)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며 상기 벤츄리관(30)의 통공을 통해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분무용호스(50)내부에 잔류하고 있던 유체는 상기 벤츄리관(30)내부의 압력에 의해 역류하여 분기관(20)과 연결관(40) 벤츄리관(30)순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력분무기 역류장치에 의하면 용이하게 분무용호스내부의 잔류 유체를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따라 작업이 간편해지며, 동절기 호스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므로 설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 동력장치를 사용하여 유체를 분무하게 되는 동력분무기에 있어서,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며 개폐가 가능한 스톱밸브 가 부설되는 배출통로를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하게 되는 송출구 와;하나의 입구와 2개의 출구로 구성되어, 입구 는 상기 송출구의 배출통로중 하나에 연결되며, 일측 출구 가 분무용호스 에 연결되는 분기관 과;입구 는 상기 분기관 과 연결되지 않은 송출구의 배출통로중 하나에 연결되며,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통공 을 따라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게 되는 벤츄리관 과;상기 분기관 의 타측 출구 와 상기 벤츄리관 의 통공을 연결하게 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 역류장치.
- 동력장치를 사용하여 유체를 분무하게 되는 동력분무기에 있어서,상기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며 개폐가 가능한 스톱밸브 가 부설되는 배출통로를 적어도 한개 이상 구비하게 되는 송출구 와;하나의 입구와 두개의 출구를 가지게 되며, 입구 는 상기 송출구의 배출통로에 연결되며, 상기 입구 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될 출구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밸브 와;하나의 입구와 2개의 출구로 구성되어, 입구 는 상기 선택밸브의 일측 출구와 연결되며, 일측 출구 가 분무용호스 에 연결되는 분기관 과;입구가 상기 선택밸브의 타측 출구와 연결되며,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통공 을 따라 외부의 유체를 흡입하게 되는 벤츄리관 과;상기 분기관 의 타측 출구 와 상기 벤츄리관 의 통공을 연결하게 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 역류장치.
-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스톱밸브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 역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2405U KR200320997Y1 (ko) | 2003-04-22 | 2003-04-22 | 동력분무기 역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2405U KR200320997Y1 (ko) | 2003-04-22 | 2003-04-22 | 동력분무기 역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0997Y1 true KR200320997Y1 (ko) | 2003-07-23 |
Family
ID=4933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240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20997Y1 (ko) | 2003-04-22 | 2003-04-22 | 동력분무기 역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099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71343A (ko) * | 2011-12-20 | 2013-06-28 |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 동결 방지 살포 막대 |
-
2003
- 2003-04-22 KR KR20-2003-0012405U patent/KR200320997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71343A (ko) * | 2011-12-20 | 2013-06-28 |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 동결 방지 살포 막대 |
KR101999302B1 (ko) * | 2011-12-20 | 2019-07-12 |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 동결 방지 살포 막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184084A3 (en) | Hose-end aspiration-type sprayer | |
EP2879780B1 (en) | Pressure washer | |
EP2033718A2 (en) | Pressure washer system | |
US9173538B2 (en) | Cleaning brush with pulsing water | |
JPH05171884A (ja) | 材料を掘さくし、除去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空気圧装置 | |
US7377452B2 (en) | Cleaning apparatus for paint spray guns | |
US7063095B2 (en) | Drain washing apparatus | |
KR200320997Y1 (ko) | 동력분무기 역류장치 | |
KR102598781B1 (ko) | 흡입 및 압력 기능이 있는 다기능 샤워헤드 부착 장치 | |
KR20140142647A (ko) | 무인 방제기 | |
CN207419642U (zh) | 多孔切换喷杆 | |
US6918517B2 (en) | Nozzle for a sanitary cleansing device | |
CN110409567A (zh) | 一种切换式清洁水龙头 | |
EP1579919A1 (en) | Nozzle and ejector | |
KR100822774B1 (ko) | 농약분사장치 | |
CN206981046U (zh) | 一种一体式的二合一喷枪 | |
JP2536011Y2 (ja) | 薬液散布装置の洗浄装置 | |
CN214132978U (zh) | 农业植保器械 | |
CN203816818U (zh) | 水汽混合冲洗设备 | |
JP3074408U (ja) | 携帯揚散水セット | |
CN222656921U (zh) | 可喷水的吸尘器 | |
CN107159481A (zh) | 一种一体式的二合一喷枪 | |
CN219229727U (zh) | 一种活动接头玻璃刷 | |
CN112153895B (zh) | 喷洒组件、喷洒系统、移动装置及喷洒方法 | |
WO2010140977A1 (en) | Vagina clea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422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07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42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