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19384Y1 - 꽃모양 장신구 - Google Patents

꽃모양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384Y1
KR200319384Y1 KR20-2003-0010337U KR20030010337U KR200319384Y1 KR 200319384 Y1 KR200319384 Y1 KR 200319384Y1 KR 20030010337 U KR20030010337 U KR 20030010337U KR 200319384 Y1 KR200319384 Y1 KR 200319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ortion
petal
hole
head
nipp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인균
Original Assignee
나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인균 filed Critical 나인균
Priority to KR20-2003-0010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38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연장 형성한 샤프트로 이루어진 니플 부재와; 일단에 상기 니플 부재의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 홀을 가지며, 타단에는 연결홀을 가진 연결 부재와; 원형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홀과, 상기 안착부의 외측단에 형성한 다수개의 꽃잎부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꽃잎 부재와; 상기 안착부에 고정되며 단부가 절곡된 다수개의 홀더를 가진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홀더에 의해 홀딩된 보석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꽃모양 장신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꽃모양 장신구{ACCESSARY HAVING FLOWER SHAPE}
본 고안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 부재의 부착 여부, 부착 갯수및 부착 각도에 따라 귀걸이, 팔찌, 목걸이용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꽃모양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람들은 기본적인 의복 이외에도 여러가지 장신구를 이용하여 자신의 멋과 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상기 장신구는 착용 위치에 따라 목걸이, 귀걸이, 팔찌, 발찌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종래의 장신구들은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무늬를 새기거나 무늬 장식물을 부착해야 하므로, 무늬 세공 작업이나 부착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대량 생산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신구들은 착용 위치에 따라 기본 구조가 달라 장신구의 종류별로 따로 구조를 디자인해야 하며, 장신구 상호간에 호환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장신구로 귀걸이, 팔찌, 목걸이 등 다양한 악세사리에 적용할 수 있는 꽃모양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이 간편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한 꽃모양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장신구에 있어서,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연장 형성한 샤프트로 이루어진 니플 부재와; 일단에 상기 니플 부재의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 홀을 가지며, 타단에는 연결홀을 가진 연결 부재와; 원형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홀과, 상기 안착부의 외측단에 형성한 다수개의 꽃잎부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꽃잎 부재와; 상기 안착부에 고정되며 단부가 절곡된 다수개의 홀더를 가진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홀더에 의해 홀딩된 보석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꽃모양 장신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의 단면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의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니플 부재 120 : 연결 부재
130 : 꽃잎 부재 140 : 고정 부재
150 : 보석 부재 160 : 보조 연결 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100)는 니플 부재(110), 연결 부재(120), 꽃잎 부재(130), 고정 부재(140), 보석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1) 니플 부재
상기 니플 부재(110)는 연결 부재(120), 꽃잎 부재(130) 및 고정 부재(140)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부재이다.
상기 니플 부재(110)는 헤드(112)와, 상기 헤드(112)에서 연장 형성한 샤프트(114)로 이루어진다.
(2)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120)는 일단은 니플 부재(110)와 결합하고 타단은 장신구 종류별 줄이 연결되는 부재이다.
상기 연결 부재(120)는 일단에 상기 니플 부재(110)의 샤프트(114)가 삽입되는 샤프트 홀(122)을 가지며, 타단에는 연결홀(124)을 가진다. 상기 연결홀(124)에는 본 고안의 꽃모양 장신구(100)의 활용예에 따라 목걸이줄, 귀걸이줄, 팔찌줄 등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 부재(120)는 꽃잎 아래의 잎 모양을 형성한다.
(3) 꽃잎 부재
상기 꽃잎 부재(130)는 니플 부재(110)에 결합되어 꽃모양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상기 꽃잎 부재(130)는 원형의 안착부(132)와, 상기 안착부(132)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홀(134)과, 상기 안착부(132)의 외측단에 형성한 다수개의 꽃잎부(136)로 이루어진다.
상기 꽃잎부(136)는 각각 꽃잎홀(138)을 구비한다. 상기 꽃잎홀(138)은 본 고안의 꽃모양 장신구(100)의 무게를 감소시켜 착용감을 높이고, 보다 나은 입체감을 부여한다.
상기 꽃잎 부재(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층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꽃잎 부재(130)를 적층으로 설치함으로써 꽃모양의 볼륨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꽃잎 부재(130)는 금속 판재를 커팅, 펀칭, 벤딩한 후 도금 등 표면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4)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140)는 보석 부재(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고정 부재(140)는 단부가 절곡된 다수개의 홀더(142)를 가지며, 상기 꽃잎 부재(130)의 안착부(132)에 결합된다. 상기 홀더(142)는 보석 부재(140)의 각 측단을 감싸 고정시킨다.
(5) 보석 부재
상기 보석 부재(150)는 본 고안의 꽃모양 장신구(100)를 미려하게 장식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보석 부재(150)는 고정 부재(140)의 홀더(142)에 의해 고정 부재(140)의 중앙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응용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100-1, 2)는 결합홈(116)과 보조 연결 부재(16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결합홈(116)은 니플 부재(110)의 헤드(112)에 형성한 홈이다.
상기 보조 연결 부재(160)는 일단에는 상기 헤드(112)의 결합홈(116)에 결합되는 결합 로드(162)를 가지고, 타단에는 연결홀(164)을 가진다. 상기 보조 연결 부재(160)는 연결 부재(120)와 수평 혹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조 연결 부재(160)를 니플 부재(110)의 헤드(112)에 결합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꽃모양 장신구를 목걸이, 팔찌, 발찌 등 다양한 용도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연결 부재(160)를 연결 부재(120)와 수평을 이루도록 장착하게 되면 도 5a와 같이 팔찌용(혹은 발찌용) 꽃모양 장신구(100-1)로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연결 부재(160)를 연결 부재(120)와 120도 내외의 각도를 가지도록 장착하게 되면 도 5b와 같이 목걸이용 꽃모양 장신구(100-2)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꽃모양 장신구는 하나의 기본 장신구를 귀걸이, 팔찌, 목걸이 등 다양한 악세사리용으로 간단히 변경하여 활용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편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장신구에 있어서,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연장 형성한 샤프트로 이루어진 니플 부재와;
    일단에 상기 니플 부재의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 홀을 가지며, 타단에는 연결홀을 가진 연결 부재와;
    원형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홀과, 상기 안착부의 외측단에 형성한 다수개의 꽃잎부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꽃잎 부재와;
    상기 안착부에 고정되며 단부가 절곡된 다수개의 홀더를 가진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홀더에 의해 홀딩된 보석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꽃모양 장신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 부재의 헤드에 형성한 결합홈과;
    일단에는 상기 헤드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 로드를 가지고, 타단에는 연결홀을 가지며, 상기 연결 부재와 수평 혹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보조 연결 부재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꽃모양 장신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잎 부재의 꽃잎부는 각각 꽃잎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꽃모양 장신구.
KR20-2003-0010337U 2003-04-04 2003-04-04 꽃모양 장신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319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337U KR200319384Y1 (ko) 2003-04-04 2003-04-04 꽃모양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337U KR200319384Y1 (ko) 2003-04-04 2003-04-04 꽃모양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384Y1 true KR200319384Y1 (ko) 2003-07-10

Family

ID=4941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337U Expired - Fee Related KR200319384Y1 (ko) 2003-04-04 2003-04-04 꽃모양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38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910B1 (ko) * 2005-12-09 2006-06-30 이문재 보석 장신구
KR100700202B1 (ko) 2004-09-20 2007-03-27 박욱성 클립형 체결장치
KR102044554B1 (ko) * 2018-05-11 2019-11-13 주식회사 손모아디자인 반사 브로치
JP2021529601A (ja) * 2018-06-29 2021-11-04 ブーシュロンBoucheron 天然植物を有する宝飾品の製作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得られる宝飾品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202B1 (ko) 2004-09-20 2007-03-27 박욱성 클립형 체결장치
KR100594910B1 (ko) * 2005-12-09 2006-06-30 이문재 보석 장신구
KR102044554B1 (ko) * 2018-05-11 2019-11-13 주식회사 손모아디자인 반사 브로치
JP2021529601A (ja) * 2018-06-29 2021-11-04 ブーシュロンBoucheron 天然植物を有する宝飾品の製作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得られる宝飾品
JP7410892B2 (ja) 2018-06-29 2024-01-10 ブーシュロン 天然植物を有する宝飾品の製作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得られる宝飾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07177S1 (en) Interchangeable ornamental encasing for jewelry treasures
KR100745296B1 (ko) 보석 장신구용 장식품 및 그 장식품을 포함하는 보석 장신구
GB2313289A (en) Single post earring simulating multiple earrings extending through multiple piercings
EP0789520A1 (en) Segmented transformable jewellery article having variable structural dimensions
US7596966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KR200319384Y1 (ko) 꽃모양 장신구
JP2007268242A (ja) 装飾石の固着方法および宝飾品
KR102186623B1 (ko) 장신구 연결 장치
RU2217029C1 (ru) Составной набор ювелирных украшений (геленки)
CN207754690U (zh) 一种镶嵌基座及首饰
KR200485425Y1 (ko) 개선된 심미감과 디자인 패턴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장신구용 체인
KR200174889Y1 (ko) 장신용 체인
KR200224193Y1 (ko) 팔찌 장신용 꽃
KR200193482Y1 (ko) 치장품용 보석 고정구조
KR100362990B1 (ko) 몸 치장용 장신구
KR200168567Y1 (ko) 장신구
KR200336056Y1 (ko) 장식용 체인
KR100781752B1 (ko) 형상 변형이 가능한 악세사리
KR200385575Y1 (ko) 장신구의 보석결합구조
KR200404238Y1 (ko) 볼 체인
KR200391074Y1 (ko) 동전을 이용한 액세서리
KR200325059Y1 (ko) 장식용 체인
KR100338387B1 (ko) 단추를 이용한 장신구 및 그 이용방법
KR200391064Y1 (ko) 흔들장신구
KR20050108888A (ko) 장신구의 보석설치방법 및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40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6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4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61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