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18864Y1 -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864Y1
KR200318864Y1 KR20-2003-0010990U KR20030010990U KR200318864Y1 KR 200318864 Y1 KR200318864 Y1 KR 200318864Y1 KR 20030010990 U KR20030010990 U KR 20030010990U KR 200318864 Y1 KR200318864 Y1 KR 200318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neck
flange
contain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상
Original Assignee
신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0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86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65D50/045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where one action elastically deforms or deflects at least part of the closure, the container or an intermediate element, e.g. a ring
    • B65D50/048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where one action elastically deforms or deflects at least part of the closure, the container or an intermediate element, e.g. a ring and such deformation causes the engagement of means, e.g. threads, to allow removal of the closure by simultaneous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5/00Child-proof means
    • B65D2215/02Child-proof mea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조립체는 의약품의 포장용기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중공형의 용기몸체(10)와 뚜껑(20)으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 중 상기 용기몸체(10)는 상대적으로 가는 직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목(14), 상기 목(14)의 윗쪽 단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배출구(11), 상기 목(14)의 둘레에 돌출형성된 수체결나사(12), 상기 수체결나사(12)의 하부에서 상기 목(14)의 둘레를 따라 방사방향 외측으로 소정폭 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13) 및 상기 플랜지(13)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5)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20)은 상기 걸림돌기(15)에 대응하여 그 내벽면에 형성된 상부걸림돌기(25), 상기 뚜껑(20)의 안쪽에 상기 배출구(11)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으로 형성된 내측뚜껑(23) 및 상기 수체결나사(12)에 대응되게 상기 내측뚜껑(23)의 내벽면에 돌출형성된 암체결나사(22)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조립체를 약병으로 사용하게 되면 유아 또는 스스로의 판별력이 부족한 어린이들의 지능과 힘으로는 약병을 쉽게 열 수 없으므로 어린이들이 보호자의 감독이 소홀한 틈을 타 약병을 열음으로써 약품이 변질될 위험 및/또는 더 나아가 어린이들이 위험한 약물을 함부로 복용하여 치명적인 사태가 벌어질 수 있는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Bottle Assembly Preventing Children From Opening}
본 고안은 어린이가 쉽게 열지 못하도록 잠금장치가 마련된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들이 보호자의 관리가 소홀한 틈을 타 함부로 약병을 열어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약병 용기의 마개구조에 어린이들의 지능과 힘으로는 쉽게 열지 못하게끔 잠금장치를 마련하여 약병을 안심하고 보관할 수 있게 한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병원 또는 약국에서 고체 또는 액체상태의 약을 담아 판매하는 약병들은, 내용물의 출입을 위한 배출구(排出口)가 형성된 용기몸체와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위하여 상기 용기몸체에 개방 및 밀폐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뚜껑은 용기몸체의 목 부분에 형성된 수체결나사와 대응되는 암체결나사가 내벽에 형성되어 있어 이들 나사산들의 결합을 이용하여 배출구를 개폐시킨다. 이러한 약병용 용기의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용기의 목 부분 및 뚜껑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개(開) 또는 폐(閉)의 방향으로 뚜껑을 돌리면 된다. 그리고 밀폐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뚜껑 내부에 패킹 또는 압착부재를 붙이기도 한다.
그러한 상기 종래의 마개구조를 가진 약병 용기는 누구나 쉽게 뚜껑을 돌려 개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의 손이 닿는 곳에 약병을 놓을 경우 어린이가 쉽게 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어린이들이 장난 또는 호기심으로 손쉽게 뚜껑을 열어 약병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약병용기내의 내용물이 개방된 상태로 장기간 방치되면 변질될 우려가 있다. 또한, 용기내의 내용물이 인체에 유해하거나 오남용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약품인 경우 판별력이 부족한 유아 또는 어린이가 손쉽게 뚜껑을 열어 약병용기내의 내용물을 먹는다면 돌이킬 수 없는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험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유아 또는 어린이의 지능과 힘으로는 쉽게 개폐할 수 없는 잠금장치를 갖춘 약병용 용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a 및 도2b는 각각 도1의 뚜껑(20)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도1의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a 및 도5b는 도4의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6a 및 도6b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뚜껑(20)의 하단부에 뚜껑고정띠(30)가 분리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몸체 11: 배출구
12: 수체결나사 13: 플랜지
14: 목 15: 걸림돌기
20: 뚜껑 21: 누름부
23: 내측뚜껑 25: 상부걸림돌기
30: 뚜껑 고정띠 31: 고정띠 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는, 상부의 일부만이 개방된 중공형의 용기몸체(10) 및 상기 용기몸체의 개방부를 덮어 막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 상기 용기의 하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목(14),상기 목(14)의 윗쪽 단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배출구(11), 상기 목(14)의 둘레에 돌출형성된 수체결나사(12), 상기 수체결나사(12)의 하부에서 상기 목(14)의 둘레를 따라 방사방향 외측으로 소정폭 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13), 및 상기 플랜지(13)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5)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20)은 상기 걸림돌기(15)에 대응하여 그 내벽면에 형성된 상부걸림돌기(25), 상기 뚜껑(20)의 안쪽에 상기 배출구(11)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으로 형성된 내측뚜껑(23), 및 상기 수체결나사(12)에 대응되게 상기 내측뚜껑(23)의 내벽면에 돌출형성된 암체결나사(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개방방지용 용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2a 및 도2b는 도1의 뚜껑(20)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용기조립체는 내용물(의약품, 식품, 기타)을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진 중공형(中空形)의 용기몸체(10)와 뚜껑(20)으로 구성되며, 이중 용기몸체(10)의 위쪽은 일부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출입가능한 배출구(11)가 되며, 상기 배출구(11)를 이루는 목(14)은 용기몸체(10)의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목(14)의 둘레에는 수체결나사(12)가 형성되고, 상기 수체결나사(12)의 밑에는 플랜지(13)가 목(14)의 둘레를 따라 소정너비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3)의 상면에는 쐐기형상의 한 쌍의 걸림돌기(15)가 배출구(11)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플랜지(13)와 일체로 성형된다.
한편, 뚜껑(20)은 한쪽이 개방된 원통형이며, 그 내부에는 보다 작은 직경으로 내부뚜껑(23)이 형성된다. 뚜껑(20)의 벽면에는 상기 용기몸체(10)의 걸림돌기(15)에 대응되게 상부걸림돌기(25)가 형성되고, 내부뚜껑(23)의 내벽에는 용기몸체(10)의 목(14)의 수체결나사(12)와 대응되는 암체결나사(22)가 돌출 형성되어 나사(12,22)간의 결합 및 걸림돌기(15,25)간의 결합에 의하여 내부뚜껑(23)이 배출구(11)를 밀폐한다. 또한, 뚜껑(20)의 둘레에는 표면거칠기(26)를 주어 사용자가 뚜껑(20)을 개폐하고자 할 때 파지하기 쉽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진 용기몸체는 중공성형의 방법으로, 그리고 뚜껑은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한편, 뚜껑(20)은 가요성 재질로 만들어져 뚜껑의 일부분을 누르면 뚜껑이 찌그러지면서 다른 부분이 방사방향 바깥으로 밀려 나오게 된다. 즉,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뚜껑(20)을 가압하면 그와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한 상부걸림돌기(25)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3a 및 도3b는 도1의 용기조립체의 사용상태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3a에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조립체의 뚜껑(20)의 누름부(21)가 눌려짐으로써 상부걸림돌기(25)가 용기몸체(10)의 걸림돌기(15)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누름부(21)를 누르기 전에는 걸림돌기(15,25)가 서로 걸려 있기 때문에 아무리 뚜껑(20)을 개(開)방향으로 돌리려고 힘을 가해도 뚜껑(20)이 열리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한 손의 엄지와 검지(또는 중지)를 이용해 누름부(21)를 동시에 눌러주면 뚜껑이 약간 찌그러지면서 상부걸림돌기(25)가 걸림돌기(15)로부터 이격되고그 다음에 뚜껑(20)을 개(開)방향으로 돌리면 상부걸림돌기(25)가 걸림돌기(15)의 외측을 통과하여 뚜껑이 회전함으로써, 이후부터는 통상의 마개와 같이 돌려서 열 수 있다(도3b 참조).
한편, 걸림돌기(15,25)는 한쪽 면이 완만한 경사로 되어 있고, 다른 쪽 면이 거의 90°의 급한 경사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뚜껑(20)을 잠그고자 할 때에는 걸림돌기(15,25)들이 딱 하는 소리와 함께 서로 맞물릴 때까지 뚜껑(20)을 폐(閉)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된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용기몸체(10)와 뚜껑(20)은 도1 내지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것들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4에 도시된 용기몸체(10)가 도1에 도시된 용기몸체와 다른 점은, 목(14)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플랜지(13)의 일부가 플랜지(13)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그 끝의 돌기압입부(15a)가 방사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휘어져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돌기압입부(15a)에는 걸림돌기(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뚜껑(20)의 걸림돌기(25)와 용기몸체(10)의 걸림돌기(15)가 걸려진 잠금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돌기압입부(15a)를 목(14)쪽으로 누르면 걸림돌기(15)가 목(14)을 향해 안쪽으로 휘어져 들어감으로써 걸림돌기들(15,25)이 이탈되어 뚜껑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5a 및 도5b는 도4의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뚜껑(20)이 잠긴 상태에서 용기몸체(10)를 파지하고 있던 손의 엄지와 검지 두 손가락으로 돌기압입부(15a)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걸림돌기들(15,25)이 서로 떨어지며(도5a 참조), 이때 다른 손으로 뚜껑(20)을 개(開)방향으로 돌리면 통상의 마개와 같이 열리게 된다(도5b 참조).
도6a 및 도6b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도1 또는 도4에 도시된 뚜껑(20)의 하단부에 뚜껑고정띠(30)가 분리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6a를 참고하면, 뚜껑(20)의 하단부에 설치된 뚜껑고정띠(30)는 용기조립체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며, 목(14)부와 접하는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미도시)가 플랜지(13)의 아래쪽에 걸쳐짐으로써 뚜껑(20)을 용기몸체(10)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뚜껑고정띠(30)와 뚜껑(20)의 연결라인은 마치 칼질이 되어 있는 것처럼 특별히 얇은 두께로 형성되거나 점선 형태로 연결되어, 고정띠팁(31)을 잡아 당기면 연결라인이 찢겨지면서 뚜껑고정띠(30)가 뚜껑(20)으로부터 분리된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뚜껑고정띠는 앞서 설명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용기조립체에 부가적으로 결합시켜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함부로 열지 못하게끔 하는 안전장치의 구실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뚜껑고정띠는 한번 분리한 후에는 다시 부착할 수 없으므로 아직 한번도 개봉하지 않은 약병이라는 표지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조립체는 어린이들이 함부로 개봉하지 못하게끔 안전하게 보관할 필요가 있는 각종 의약품의 포장용기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스스로의 판별력이 부족한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보호자의 감독이 소홀한 틈을 타 약병을 열음으로써 약품이 변질될 위험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어린이들이 위험한 약물을 함부로 복용하여 치명적인 사태가 벌어질 수 있는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부의 일부만이 개방된 중공형의 용기몸체(10) 및 상기 용기몸체의 개방부를 덮어 막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는 용기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목(14), 상기 목(14)의 윗쪽 단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배출구(11), 상기 목(14)의 둘레에 돌출형성된 수체결나사(12), 상기 수체결나사(12)의 하부에서 상기 목(14)의 둘레를 따라 방사방향 외측으로 소정폭 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13), 및 상기 플랜지(13)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5)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20)은 상기 걸림돌기(15)에 대응하여 그 내벽면에 형성된 상부걸림돌기(25), 상기 뚜껑(20)의 안쪽에 상기 배출구(11)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으로 형성된 내측뚜껑(23), 및 상기 수체결나사(12)에 대응되게 상기 내측뚜껑(23)의 내벽면에 돌출형성된 암체결나사(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가요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걸림돌기(25)와 상기 뚜껑(20)의 중심이 이루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뚜껑(20)의 외주면상에 누름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21)를 누르면 상기 뚜껑(20)이 찌그러지면서 상기 상부걸림돌기(25)가 방사방향 외측으로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3)의 일부가 상기 목(14)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으면서 플랜지(13)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방사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움직여질 수 있는 돌기압입부(15a)를 이루고, 상기 걸림돌기(15)가 상기 돌기압입부(15a)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압입부(15a)를 상기 목(14) 쪽으로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15)가 방사방향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뚜껑고정띠(30)가 분리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띠 팁(31)이 상기 뚜껑고정띠(30)위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뚜껑고정띠(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플랜지(13)의 밑면에 압압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몸체(10)에 단단히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하단부의 둘레를 따라 뚜껑고정띠(30)가분리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띠 팁(31)이 상기 뚜껑고정띠(30)위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뚜껑고정띠(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플랜지(13)의 밑면에 압압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뚜껑(20)이 상기 용기몸체(10)에 단단히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KR20-2003-0010990U 2003-04-10 2003-04-10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Expired - Lifetime KR200318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990U KR200318864Y1 (ko) 2003-04-10 2003-04-10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990U KR200318864Y1 (ko) 2003-04-10 2003-04-10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864Y1 true KR200318864Y1 (ko) 2003-07-04

Family

ID=4941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990U Expired - Lifetime KR200318864Y1 (ko) 2003-04-10 2003-04-10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86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1774A1 (ko) 2014-01-22 2015-07-30 (주)연우 측면 가압식 안전캡
WO2015126168A2 (ko) 2014-02-20 2015-08-27 바쉔 주식회사 개방 제어가 가능한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60046430A (ko) 2014-10-21 2016-04-29 박현수 개방 제어가 가능한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170025590A (ko) 2015-08-31 2017-03-08 박서준 개방 제어가 가능한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170025589A (ko) 2015-08-31 2017-03-08 박서준 개방 제어가 가능한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US11020316B2 (en) 2015-02-26 2021-06-01 Kyungdo Park Dispensing device, valve, containing apparatus having same,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US11033460B2 (en) 2016-02-01 2021-06-15 Kyungdo Park Passage device, valve, reception device including same, content movement device, and content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1774A1 (ko) 2014-01-22 2015-07-30 (주)연우 측면 가압식 안전캡
WO2015126168A2 (ko) 2014-02-20 2015-08-27 바쉔 주식회사 개방 제어가 가능한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60046430A (ko) 2014-10-21 2016-04-29 박현수 개방 제어가 가능한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US11020316B2 (en) 2015-02-26 2021-06-01 Kyungdo Park Dispensing device, valve, containing apparatus having same,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KR20170025590A (ko) 2015-08-31 2017-03-08 박서준 개방 제어가 가능한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170025589A (ko) 2015-08-31 2017-03-08 박서준 개방 제어가 가능한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US11033460B2 (en) 2016-02-01 2021-06-15 Kyungdo Park Passage device, valve, reception device including same, content movement device, and cont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172B1 (ko) 어린아이에게 안전한 부착장치 및 용기
US8444610B2 (en) Assembly for conditioning and dispensing a medical liquid
US3435975A (en) Safety closure
KR100231215B1 (ko) 어린이에게 안전한 단위 복용량 약물 용기
US3980194A (en) Safety closure cap for a container having a neck portion
CA2702648C (en) Closure
CA2601815C (en) Unitary container and flip-top cap assembly having child resistant safety features
US3850326A (en) Safety closure
US20060219727A1 (en) Unitary container and flip-top cap assembly having child resistant safety features
US4042105A (en) Safety closure for a container and method for opening the closure
US11780651B2 (en) Closure for a container and components for a closure
JPH08268452A (ja) チャイルドプル−フ機構付ボトルキャップ
KR200318864Y1 (ko)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US10758455B2 (en) Pills dispensing device
KR200429422Y1 (ko) 소아개방 방지용 계량컵이 구비된 용기
JP2004149197A (ja) 中空容器の安全蓋体と該蓋体を装着した液体容器
US6543633B1 (en) Safety container
KR200398918Y1 (ko) 안전마개
JP2002037288A (ja) 開封認知部材付き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KR200385312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383084Y1 (ko) 안전용기
KR200405461Y1 (ko) 액체 세제용 용기의 캡구조
KR19990012295U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155212Y1 (ko) 용기 마개의 열림방지 구조
KR200385310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4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6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4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330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403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