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417Y1 - 일회용 컵 - Google Patents
일회용 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8417Y1 KR200318417Y1 KR20-2003-0008721U KR20030008721U KR200318417Y1 KR 200318417 Y1 KR200318417 Y1 KR 200318417Y1 KR 20030008721 U KR20030008721 U KR 20030008721U KR 200318417 Y1 KR200318417 Y1 KR 2003184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disposable cup
- side wall
- tea
- seal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차의 재료를 적정량 미리 자체적으로 밀봉하여 두고, 차를 마시고자 할 때, 밀봉상태를 개봉함과 동시에, 물만 넣으면, 차를 편리하고 쉽게 마실 수 있도록 하며, 자판기에 사용하는 경우, 자판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차의 재료를 넣어두는 저장통을 제거할 수 있고, 이로써 자판기의 내부장치를 간소화하여 전체 사이즈를 줄이고,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바닥판(1)과 측벽(2)을 구비하고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에 소정량 넣어진 차의 재료(3)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기 위해 차의 재료(3) 상면 바로 위부분을 덮어 측벽(2) 안쪽둘레에 부착된 밀봉지(4)와, 상기 밀봉지(4)의 일측에 연이어 형성되고 그 끝단이 측벽(2)의 상단에 위치된 개봉지(5)를 구비한 구성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일회용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 알갱이 또는 고체상태의 차(茶)재료를 적정량 밀봉한 상태로 저장하여, 차를 마실 때 물만 넣어 저으면 쉽게 마실수 있는 일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컵은, 종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가볍고 값싼 재질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커피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통상 분말상태의 커피, 프림 및 설탕을 일일이 일정량 넣거나, 1인용으로 커피재료를 미리 일정량 넣어 밀봉한 봉지를 뜯어서 넣은 후, 뜨거운 물을 부어 마시는 것이므로, 커피등의 차를 마실 때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또한, 일회용 컵은 자판기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자판기에는 각종 차종류별로 저장된 다수개의 저장통 및 물통이 구비되어 있고, 일회용 컵도 적층시켜 다수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차종류가 선택되면, 먼저 컵이 공급되고, 이어서 공급된 일회용 컵내로 선택되어진 차와 뜨거운물이 공급되는 것에 의해 차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판기는 각종의 차종류별로 저장통들이 여러개 설치되어야 하므로, 자판기 내부장치가 복잡하고, 전체적으로 사이즈가 커지게 되며, 자판기 제조원가도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의 재료를 적정량 미리 자체적으로 밀봉하여 두고, 차를 마시고자 할 때, 밀봉상태를 개봉함과 동시에, 물만 넣으면, 차를 편리하고 쉽게 마실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판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차의 재료를 넣어두는 저장통을 제거할 수 있고, 이로써 자판기의 내부장치를 간소화하여 전체 사이즈를 줄이고,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일회용 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을 나타낸 부분 절결사시도.
도 2의 (가)∼(다)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판 2 : 측벽
3 : 차의 재료 4 : 밀봉지
5 : 개봉지 6 : 절곡부
7 : 파지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판과 측벽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일회용 컵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 소정량 넣어진 차의 재료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기 위해 차의 재료 상면 바로 위부분의 측벽 안쪽에 부착된 밀봉지와, 상기 밀봉지의 일측에 연이어 형성되어 그 끝단이 측벽의 상단에 위치된 개봉지를 구비한 일회용 컵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개봉지의 끝단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끝단이 쉽게 구부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밀봉지와 개봉지의 재질은 위생종이 또는 위생비닐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회용 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과 측벽(2)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통상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상기 내부공간에는 일인 분량의 차의 재료(3)가 넣어지고, 차의 재료(3)는예를 들면, 커피재료, 홍차, 우유등은 분말상태로, 녹차의 경우에는 티백상태로 넣어둔다.
내부공간에 넣어진 차의 재료(3)는 변질되지 않도록 밀봉지(4)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다. 즉, 밀봉지(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의 재료(3) 상면 바로 위부분에 위치되어 둘레가장자리부가 측벽(2) 안쪽에 부착됨으로써 차의 재료(3)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게 되고, 밀봉지(4)의 위치는 내부공간의 대략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봉지(4)의 일측에는 개봉지(5)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어 측벽 (2)의 안쪽면에 부착되고, 그 끝단은 측벽(2)의 상단에 위치되어 있다. 개봉지(5)의 끝단부는 조금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파지부 (7)가 형성되고, 파지부(7)의 경계부분에는 절곡부(6)를 형성하여 파지부(7)가 쉽게 구부러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회용 컵은, 차의 재료(3)가 이미 넣어진 상태에 있다. 따라서 도 2의 (가)의 상태에서, (나)의 상태와 같이 파지부(7)를 화살표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파지부(7)는 절곡부(6)에 의해 쉽게 절곡되어 구부러지고, 이로써 사용자는 파지부(7)를 잡아 당기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 2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7)를 당기게 되면, 측벽(2)에 부착된 개봉지(5)가 이탈됨과 동시에, 밀봉지(4)도 이탈되므로 개봉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개봉지(5)를 당겨 밀봉지(4)를 개방한 후, 물만 부어 넣으면, 간편하고 쉽게 차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회용 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지(4)가 내부공간의 하부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종래의 일회용 컵과 마찬가지로 여러개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본 고안의 일회용 컵을 자판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회용 컵을 자판기에 사용하게 되는 경우, 차의 재료(3)가 이미 컵에 넣어져 있는 것이므로, 각종 차의 재료(3)를 저장하는 종전의 여러개의 저장통들이 필요없게 되고, 이로써 자판기의 내부장치가 간소화되어 전체 사이즈를 작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밀봉지(4) 및 개봉지(5)는, 일회용 컵과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고, 형상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두께로 제조되는 경우이고, 도 4의 (가),(나)는 다른 실시예로서 밀봉지(4) 및 개봉지(5)의 재질을 잘 찢어지지 않는 얇은 위생비닐지로 제작한 경우이다.
이 경우, 도 4의 (가)상태에서는, 개봉지(5)의 끝단인 파지부(7)가 측벽(2)에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져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사용시 쉽게 파지부(7)를 파지하여 당김으로써 개봉시킬 수 있다. 또한 (나)의 상태는 일회용 컵을 적층시키는 경우로서, 파지부(7)가 적층되는 컵의 측벽(2)에 의해 쉽게 눌려져 밀착되므로 컵을 적층하는데 전혀 방해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에 의하면, 밀봉지를 개봉한 후,물만 부으면 차를 마실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종전의 일회용 컵과 마찬가지로 여러개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자판기에도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자판기내에 설치되는 각종 차의 재료를 보관하는 저장통이 필요없게 되므로, 자판기의 전체사이즈를 작게 함과 동시에, 제작비용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바닥판과 측벽을 구비하고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일회용 컵에 있어서,상기 내부공간에 소정량 넣어진 차의 재료(3)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기 위해 차의 재료(3) 상면 바로 위부분을 덮어 측벽(2) 안쪽둘레에 부착된 밀봉지(4)와,상기 밀봉지(4)의 일측에 연이어 형성되고 그 끝단이 측벽(2)의 상단에 위치된 개봉지(5)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지(5)의 끝단에 절곡부(6)를 형성하여 끝단이 쉽게 구부러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지(4)와 개봉지(5)의 재질은 위생비닐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8721U KR200318417Y1 (ko) | 2003-03-24 | 2003-03-24 | 일회용 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8721U KR200318417Y1 (ko) | 2003-03-24 | 2003-03-24 | 일회용 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8417Y1 true KR200318417Y1 (ko) | 2003-06-28 |
Family
ID=4940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8721U KR200318417Y1 (ko) | 2003-03-24 | 2003-03-24 | 일회용 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841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2305B1 (ko) | 2012-11-23 | 2014-10-22 | 노환걸 | 농축액상음료가 포장된 포션팩과 종이컵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친환경 음용 용기 |
-
2003
- 2003-03-24 KR KR20-2003-0008721U patent/KR20031841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2305B1 (ko) | 2012-11-23 | 2014-10-22 | 노환걸 | 농축액상음료가 포장된 포션팩과 종이컵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친환경 음용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94332B1 (en) | Stoppers for individual beverage containers | |
US6176390B1 (en) | Container lid with cooling reservoir | |
US20090050641A1 (en) | Cup lid with an anti-splash ergonomic shape | |
US20050098561A1 (en) | Beverage can | |
WO2006028726A2 (en) | Spill-resistant container | |
US4886206A (en) | Disposable container with foldable spout | |
US7398893B2 (en) | Cup and lid combination | |
JP2002002767A (ja) | 飲料缶用キャップおよびストロー | |
US20110290814A1 (en) |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 |
US20060249521A1 (en) | Spill-resistant container | |
JP6907082B2 (ja) | 詰め替え容器 | |
KR200318417Y1 (ko) | 일회용 컵 | |
JP3055120B2 (ja) | 詰替式容器 | |
KR20130003353U (ko) | 유동성식품 포장용기 | |
US20140305953A1 (en) | Cup Lid Apparatus | |
US20240239551A1 (en) | Cup with integrated folding lid | |
TWM573609U (zh) | Container with straw function | |
CN2595273Y (zh) | 一种具有开启和关闭结构的饮料杯 | |
KR200205316Y1 (ko) | 빨대(스트롱)가 내장되어 있는 음료수 용기와 용기마개 | |
KR200429845Y1 (ko) | 병 따개가 내설된 휴대용 컵 보관 용기 | |
JP5224351B2 (ja) | カップ | |
KR100312993B1 (ko) | 위생 캔 음료용기 | |
US20030127461A1 (en) | Can top for drinks cans | |
KR20220002324U (ko) | 빨대 일체형 팩 | |
JP4280477B2 (ja) | 缶用飲口付きキャップ及び飲口付きキャップを備えた飲料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324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06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32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