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15851Y1 -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851Y1
KR200315851Y1 KR20-2003-0007862U KR20030007862U KR200315851Y1 KR 200315851 Y1 KR200315851 Y1 KR 200315851Y1 KR 20030007862 U KR20030007862 U KR 20030007862U KR 200315851 Y1 KR200315851 Y1 KR 200315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core
plate
injection
knea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규
Original Assignee
최홍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규 filed Critical 최홍규
Priority to KR20-2003-0007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8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85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Filled, stuffed or multilayered past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맛과 시각적 효과를 가진 속심을 갖는 면을 끊어짐 없이 일정한 품질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반죽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면반죽과 속반죽을 속심을 갖는 면의 형태로 사출하는 것에 있어서, 반죽공급장치의 전면에 다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면사출수단을 설치하여 면반죽과 속반죽의 고른 분산을 통해 속심을 갖는 면을 대량 사출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반죽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면반죽과 속반죽을 골고루 분산시켜 사출하므로 속심을 갖는 면이 사출과정 중에 끊어지지 않고 모두가 균일한 품질을 갖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면의 사출과 함께 커터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되므로 면의 생산성과 포장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noodles with filling}
본 고안은 밀가루 등의 반죽을 이용하여 면을 생산하는 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 속에 생선묵이나 곡류 또는 고기류 등의 다른 내용물을 속심 형태로 지닌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나 우동은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즐겨 먹는 음식의 하나로서, 이러한 국수나 우동의 면은 통상 밀가루를 주재료로 반죽기 및 생산기계, 혹은 수작업에 의해 만들어지게 된다. 근래에는 밀가루 외에 쌀가루를 혼합하거나 각종 곡물 또는 각종 식품을 혼합 반죽하여 맛과 영양을 개선한 면이 속속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면들은 단순히 곡물 또는 고구마나 감자 등의 전분이 혼합된 탄수화물계의 조성물일뿐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갖추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다양한 면에 곡물 이외의 다양한 영양소를 혼합시키지 못했던 이유는 곡분류가 아닌 다른 재료, 예를 들어 야채나 어묵, 또는 고기 등이 면발 표면에 노출될 경우, 삶는 과정에서 그 맛과 조직이 변화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하여 면발이 끊어지거나 면발이 갖는 특유의 쫄깃쫄깃한 성질을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재료가 혼합된 면은 재료를 미세하게 분말 또는 시럽화시킨 후, 이러한 분말이나 시럽을 밀가루와 혼합 반죽하여 소구하는 면을 생산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생산된 면은 면의 생산과정의 특성상 혼합물 고유의 맛과 시각적인 부분을 제대로 나타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한 형상의 면으로는 시각적으로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보다 다양한 맛을 개발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맛과 시각적 효과를 가진 속심을 갖는 면을 끊어짐 없이 일정한 품질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생산되는 면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포장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호퍼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면사출수단을 나타낸 배면측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면사출수단을 나타낸 정면측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속심을 갖는 면의 사출과정을 나타낸 사출구멍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커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면의 이송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면 제조장치 200 : 반죽공급장치
210 : 몸체 215 : 프레임
220,230 : 호퍼 240,250 : 스크류컨베이어
241,251 : 축 260 : 면반죽공급구멍
270 : 속반죽공급구멍 300 : 제1플레이트
301,302 : 결합홈 310,410,510,610 : 면반죽안내홈
320,420,520,620 : 면반죽배출구멍 350,450,550 : 속반죽안내홈
360,460,560 : 속반죽배출구멍 400 : 제2플레이트
500 : 제3플레이트 570 : 분산핀
600 : 속심사출플레이트 650 : 속반죽캐비티
660 : 노즐 700 : 면사출플레이트
710 : 러너 720 : 면반죽캐비티
730 : 사출구멍 800 : 핀
810 : 스프링 820 : 커터
900 : 패킹 B : 벨트컨베이어
N : 면 F : 속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는 반죽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면반죽과 속반죽을 속심을 갖는 면의 형태로 사출하는 것에 있어서, 면반죽과 속반죽의 고른 분산을 통해 속심을 갖는 면을 사출하며, 다수의 플레이트를 갖는 면사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반죽공급장치(200), 면사출수단, 이송장치, 커터(820) 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반죽공급장치(200)는 면반죽과 속반죽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210)의 상면에 면반죽과 속반죽을 각각 투입하기 위한 호퍼(220)(230)를 설치하고, 각각의 호퍼(220)(230) 하부에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하는 2개의 스크류컨베이어(240(250)를 각각 설치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호퍼(220)(230)에 투입된 면반죽과 속반죽은 상기한 스크류컨베이어(240)(250)의 구동에 의해 도 4의 몸체(210) 전면 양측에 형성한 면반죽공급구멍(260)과 속반죽공급구멍(270) 측으로 이송 및 배출된다.
면사출수단은 상기한 면반죽공급구멍(260)과 속반죽배출구멍(270)으로부터 공급되는 면반죽과 속반죽을 골고루 분산하여 속심(F)을 갖는 면(N)을 사출하는 것으로, 이러한 면사출수단의 바람직한 일 예로 본 고안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와같이 제1플레이트(300), 제2플레이트(400), 제3플레이트(500), 속심사출플레이트(600) 그리고 면사출플레이트(700)를 구비하였다.
먼저, 제1플레이트(3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면반죽과 속반죽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한 몸체(210)의 전면에 견고하게 밀착 설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1플레이트(300)의 배면 양측에는 스크류컨베이어(240(250)의 축(241)(251)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301)(302)을 각각 형성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결합홈(301)(302) 주변에는 면반죽배출구멍(320)을 갖는 면반죽안내홈(310)과 속반죽배출구멍(360)을 갖는 속반죽안내홈(350)을 각각 형성하여 스크류컨베이어(240)(250)를 통해 배출되는 면반죽과 속반죽을 수용 및 배출하도록 하였다.
이때, 속반죽배출구멍(360)은 상기한 결합홈(301)과 같은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면반죽배출구멍(320)은 결합홈(301)과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형성한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300)는 도 4에서와 같이 전면 상하부에 면반죽배출구멍(320)과 연결된 장홈형상의 면반죽안내홈(310)을 형성하고, 전면 중앙부에는 속반죽배출구멍(360)과 연결된 장홈형상의 속반죽안내홈(350)을 형성하였다.
제2플레이트(400)는 배면에 두개의 면반죽안내홈(410)과 한 개의 속반죽안내홈(450)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면반죽안내홈(410)과 속반죽안내홈(450)은 상기한 제1플레이트(300)의 배면에 형성한 면반죽안내홈(310) 및 속반죽안내홈(350)과 대면되도록 동일한 형상 및 위치를 갖는다. 그리고 면반죽안내홈(410)의 좌측 끝에는면반죽배출구멍(420)을 형성하고, 속반죽안내홈(450)의 양단에는 속반죽배출구멍(460)을 형성하였다.
또한, 제2플레이트(400)는 전면 중앙 상하부에 면반죽배출구멍(420)과 연결되는 장홈형상의 면반죽안내홈(410)을 각각 형성하고, 전면 중앙 양측에는 속반죽배출구멍(460)과 연결되는 장홈형상의 속반죽안내홈(450)을 각각 형성하였다.
제3플레이트(500)는 상기한 제2플레이트(400)의 전면에 형성한 면반죽안내홈(410) 및 속반죽안내홈(450)과 대면되도록 동일한 면반죽안내홈(510)과 속반죽안내홈(550)을 배면에 각각 형성하였다. 그리고 면반죽안내홈(510)과 속반죽안내홈(550) 양단에는 면반죽배출구멍(520)과 속반죽배출구멍(560)을 각각 형성하였다.
또한, 제3플레이트(500)의 전면 상하 양측부에는 각각의 면반죽배출구멍(520)과 연결된 장홈형상의 면반죽안내홈(510)을 4군데 형성하고, 전면 중앙에는 4개의 속반죽배출구멍(560)을 하나로 연결하는 장홈형상의 속반죽안내홈(550)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속반죽안내홈(550) 중 속반죽배출구멍(560) 측에는 속반죽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분산핀(570)을 설치하였다.
속심사출플레이트(600)는 상기한 제3플레이트(500)의 전면에 형성한 면반죽안내홈(510) 및 속반죽안내홈(550)과 대응되도록 동일한 형상의 면반죽안내홈(610)과 속반죽캐비티(650)를 배면에 각각 형성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면반죽안내홈(610) 양단에는 면반죽배출구멍(620)을 형성하고, 속반죽캐비티(650)에는 다수개의 노즐(660)을 속심사출플레이트(600)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였다.
면사출플레이트(700)는 배면 중앙에 면반죽캐비티(720)를 형성하고, 면반죽캐비티(720)에는 상기한 다수의 노즐(660)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사출구멍(730)을 형성하며, 이때 각각의 사출구멍(730)의 직경은 노즐(66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그리고 면반죽캐비티(720)의 상하부에는 다수의 러너(710)를 형성하여 상기한 제3플레이트(500)의 면반죽배출구멍(520)을 통해 공급되는 면반죽을 상기한 면반죽캐비티(720)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은 제1,2,3플레이트(300)(400)(500)와 속심사출플레이트(600) 및 면사출플레이트(700)가 상호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제2플레이트(400)의 전면과 배면, 제3플레이트(500)의 전면, 면사출플레이트(700)의 배면에 패킹(900)을 설치하였다.
이송장치는 면사출플레이트(700)를 통해 사출되는 면(N)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면사출플레이트(700)의 직하방에 벨트컨베이어(B)를 설치하여 사출되는 면(N)을 이송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커터(820)는 벨트컨베이어(B)를 따라 이송되는 면(N)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것으로, 벨트컨베이어(B)가 설치된 프레임(215)의 상면 양측에는 스프링(810)을 갖는 핀(800)을 실린더(미도시) 등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되도록 설치하고, 이러한 핀(800)에는 커터(820)의 양단부를 결합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죽공급장치(200)에 설치된 각각의 호퍼(220)(230)를 통해 면반죽과 속반죽이 구분 투입되면, 면반죽과 속반죽은 각각의 호퍼(220)(230) 하부에 설치된 2개의 스크류컨베이어(240(250) 회전에 의해 면반죽공급구멍(260)과 속반죽공급구멍(270) 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1,2,3플레이트(300)(400)(500)와 속심플레이트(600) 및 면사출플레이트(700)를 통해 속심(F)을 갖는 면(N)으로 사출된다.
이러한 속심(F)을 갖는 면(N)의 사출과정 중 먼저, 면반죽의 배출경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한 반죽공급장치(200)의 면반죽공급구멍(260)을 통해 상하로 배출되는 면반죽은 제1,2,3플레이트(300)(400)(500)와 속심사출플레이트(600)의 면반죽안내홈(310)(410)(510)(610)의 안내와 면반죽배출구멍(320)(420)(520)(6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속심사출플레이트(600)로 배출된다.
따라서, 면반죽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점차 분산 및 배출되는데, 제1,2플레이트(300)(400)에서 2개인 면반죽배출구멍(320)(420)은 제3플레이트(500)에서 4개로 증가되고, 속심사출플레이트(600)에서는 8개까지 증가된다.
따라서, 속심사출플레이트(600)의 면반죽배출구멍(620)을 통해 배출되는 면반죽은 도 5에서와 같이 최종적으로 면사출플레이트(700)의 러너(710)를 통해 면반죽캐비티(720)로 유입된 후, 면반죽캐비티(720)에 형성된 다수의 사출구멍(730)을 통해 외부로 사출된다.
한편, 속반죽의 배출경로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반죽공급장치(200)의 속반죽공급구멍(270)을 통해 배출되는 속반죽은 제1,2,3플레이트(300)(400)(500)의 배면과 전면에 형성된 속반죽안내홈(350)(450)(550)의 안내와 속반죽배출구멍(360)(460)(56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속심사출플레이트(600)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속반죽도 면반죽과 마찬가지로 양측으로 점점 분산되는데, 제1플레이트(300)에서 하나인 속반죽배출구멍(360)은 제2플레이트(400)에서 2개로 증가되고, 제3플레이트(500)에서는 4개로 증가된다. 특히, 본 고안은 제3플레이트(500)의 전면에 형성된 속반죽안내홈(550) 중 각각의 속반죽배출구멍(560) 측에 분산핀(570)을 설치하여 가일층 속반죽의 고른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3플레이트(500)의 속반죽배출구멍(560)을 통해 각각 배출되는 속반죽은 속심사출플레이트(600)의 속반죽캐비티(650)에 모두 유입된 후, 도 5에서와 같이 속반죽캐비티(650)에 설치된 다수의 노즐(660)을 통해 면사출플레이트(700)의 외부로 사출된다.
따라서, 면사출플레이트(700)는 노즐(660)과 이러한 노즐(660)이 삽입된 사출구멍(730)을 통해 면반죽과 속반죽을 함께 사출하므로 속심(F)을 갖는 면(N)을 계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한편, 중공형상의 면(N)을 생산하고자 할 때에는 호퍼(230)에 속반죽을 넣지 않으므로 중공형상의 면(N)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본 고안은 반죽공급장치(200)를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되는 면반죽과 속반죽이 제1,2,3플레이트(300)(400)(500)와 속심사출플레이트(600) 및 면사출플레이트(700)를 통해 그 배출압력이 골고루 분산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사출구멍(730)을 통해 배출되는 각각의 면(N)은 그 굵기 및 사출속도가 일정하여 고른 품질의 면(N)을 얻게 된다.
그리고 사출구멍(730)을 통해 사출되는 속심(F)을 갖는 면(N)은 도 1에서와 같이 벨트컨베이어(B)에 의해 이송되는데, 이송되는 과정 중 커터(820)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포장단계로 이송된다. 즉,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간격마다 핀(800)을 승하강시키면, 핀(800)과 함께 커터(820)도 승하강되어 벨트컨베이어(B) 상의 면(N)을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추가적인 커팅공정 없이 도 8에서와 같은 일정한 길이의 면(N)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분산핀의 경우 제3플레이트 외에 다른 플레이트의 면반죽안내홈이나 속반죽안내홈에도 설치 가능한 것이고, 또한 제1,2,3플레이트 외에 보다 더 효과적인 면반죽과 속반죽의 분산을 위해 추가적으로 플레이트를 설치하거나 줄이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반죽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면반죽과 속반죽을 다수의 면반죽안내홈, 속반죽안내홈, 면반죽배출구멍 그리고 속반죽배출구멍을 통해 골고루 분산시켜 사출하게 된다. 따라서, 속심을 갖는 다수의 면은 사출과정 중에 끊어지지 않고 모두가 균일한 품질을 갖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면사출플레이트를 통해 사출되는 속심을 갖는 면을 커터의 승하강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면의 사출과 커팅 및 이송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므로 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반죽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면반죽과 속반죽을 속심을 갖는 면의 형태로 사출하는 것에 있어서,
    면반죽과 속반죽의 고른 분산을 통해 속심(F)을 갖는 면(N)을 사출하며, 다수의 플레이트를 갖는 면사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사출수단은 면반죽과 속반죽을 고르게 분산하여 배출하도록 면반죽안내홈(310) 및 속반죽안내홈(350)과 면반죽배출구멍(320) 및 속반죽배출구멍(360)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반죽공급장치(200)에 밀착 설치한 제1플레이트(300)와;
    상기 제1플레이트(300)에 밀착 설치하며, 면반죽과 속반죽을 고르게 분산하여 배출하도록 면반죽안내홈(410)과 및 속반죽안내홈(450)과 면반죽배출구멍(420) 및 속반죽배출구멍(460)을 각각 형성한 제2플레이트(400)와;
    상기 제2플레이트(400)와 밀착 설치하며, 면반죽과 속반죽을 보다 고르게 분산하여 배출하도록 면반죽안내홈(510) 및 속반죽안내홈(550)과 면반죽배출구멍(520) 및 속반죽배출구멍(560)을 각각 형성한 제3플레이트(500)와;
    상기 제3플레이트(500)와 밀착 설치하며, 면반죽과 속반죽을 분산하여 배출하도록 다수의 면반죽안내홈(610)과 면반죽배출구멍(620) 및 속반죽캐비티(650)를형성하고, 상기 속반죽캐비티(650)에는 속반죽을 속심(F)으로 사출하도록 다수의 노즐(660)을 설치한 속심사출플레이트(600)와;
    상기 속심사출플레이트(600)와 밀착 설치하며, 면반죽을 분산하여 배출하도록 러너(710)와 면반죽캐비티(720)를 형성하고, 상기 면반죽캐비티(720)에는 상기 노즐(660)이 삽입되는 사출구멍(730)을 다수 형성한 면사출플레이트(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반죽안내홈(310(410)(510)(610)과 속반죽안내홈(350)(450)(550)은 면반죽과 속반죽의 안내 및 고른 분산을 위하여 장홈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플레이트(500)의 속반죽안내홈(550)에는 속반죽배출구멍(560)을 통해 배출되는 속반죽이 보다 골고루 분산되도록 분산핀(57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1,2,3플레이트(300)(400)(500)와 속심사출플레이트(600) 및 면사출플레이트(700)는 상호 기밀하게 밀착 설치되도록 패킹(90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
KR20-2003-0007862U 2003-03-17 2003-03-17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15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862U KR200315851Y1 (ko) 2003-03-17 2003-03-17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862U KR200315851Y1 (ko) 2003-03-17 2003-03-17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851Y1 true KR200315851Y1 (ko) 2003-06-11

Family

ID=4940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862U Expired - Fee Related KR200315851Y1 (ko) 2003-03-17 2003-03-17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8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95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ultiple food extrudates
KR930009396B1 (ko) 고체 형상 식품재료를 가소성 식품재료로 피복한 덩어리모양 피복식품의 제조법 및 그의 장치
KR101674423B1 (ko) 제과용 디포지터
JP2979131B2 (ja) 丸みを有する食品シート状生地の間欠吐出装置
KR101137914B1 (ko) 다중 구조의 속재료를 충진함과 동시에 외관을 땅콩 모양으로 성형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CN111820254B (zh) 馄饨注馅装置
KR200315851Y1 (ko) 속심을 갖는 면 제조장치
KR100529831B1 (ko) 원형만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99610A (ko) 어묵으로 만두피를 제작한 만두 제조 시스템
KR980006235U (ko) 중공되는 국수제조장치
US9028733B2 (en) Methods for producing multiple food extrudates
KR100525164B1 (ko) 아이스크림 콘 과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665521B1 (ko) 면류 제조장치
KR20020078160A (ko) 메밀냉면 또는 국수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15130A (ko) 또띠아용 반죽볼 성형기의 롤링 유니트
EP0476073A1 (en) Cookie production with extrusion heat treatment and post extrusion mixing and baking
CN210130316U (zh) 一种馄饨注馅装置
KR200219424Y1 (ko) 다색 떡 성형장치
JP4009673B2 (ja) 可食性容器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70067365A (ko) 기능성 재료를 포함하는 별속떡국 제조방법
KR0162155B1 (ko) 소스 내장형 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15884681B (zh) 含有粒状物的组合食品的成形方法
JP2994324B2 (ja) 外側食品材料が束状を形成した食品の製造装置
KR20250086298A (ko) 꽈배기형 떡볶이떡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떡
KR20100032700A (ko) 액체첨가쫀디기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3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3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512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