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15468Y1 -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 - Google Patents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468Y1
KR200315468Y1 KR20-2003-0008166U KR20030008166U KR200315468Y1 KR 200315468 Y1 KR200315468 Y1 KR 200315468Y1 KR 20030008166 U KR20030008166 U KR 20030008166U KR 200315468 Y1 KR200315468 Y1 KR 200315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meter
water supply
side wall
meter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일승
Original Assignee
최일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일승 filed Critical 최일승
Priority to KR20-2003-0008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46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의 설치현장에 바로 투입하여 시공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1인의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직립하는 통체로서, 상수도관을 연결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단관(10)이 측벽(4)을 관통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뚜껑이 덮여지는 입구(6)가 몸체 중간부위의 횡단면적 보다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Ground box for protecting water gauge and valve system and so on}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 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의 설치현장에 바로 투입하여 시공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수도 시설에서 공급관으로부터 수용가로의 분배지점 등에 제수변 또는 계량기를 설치하기 위하여 해당지점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일정 크기의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하여 왔다. 이 박스는 1인의 작업자가 들어가 밸브 또는 계량기를 설치, 보수할 수 있게 하는 크기로 제공된다.
이러한 작업은 일반 도로 또는 주택가에서 실시되는데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며칠씩 걸리므로 따라 보행자 또는 차량운전자에게 상당한 불편함을 주었다.
또한, 종래의 박스는 보통 작업환경의 제약으로 상하단의 단면적이 동일한 육면체로 제작하고 그 위에 뚜껑을 설치하게끔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형상은 뚜껑을 크게 하여야 하고 몰탈을 많이 사용하여야 하는 등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미리 제작된 상수도 시설용 박스를시공현장에 투입하고 설치함으로써 계량기 또는 제수변의 매설을 신속하게 마무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한 경제적인 상수도 시설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박스 4 ; 측벽
6 ; 입구 8 ; 뚜껑
10 ; 단관 12 ; 밸브
14 ; 발판
위와 같은 목적은, 1인의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직립하는 통체로서, 상수도관을 연결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단관이 측벽을 관통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뚜껑이 덮여지는 입구가 몸체의 횡단면적 보다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박스(2)는 입구(6)가 좁고 하부가 넓은 원뿔기둥 형태로서, 미리 만들어진 성형틀에 의해 대량 성형된다. 재질은 콘크리트이거나 강화플라스틱인 에프알피(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일 수도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비용, 강도면에서 유리하도록 철근콘크리트가 추천되고 이는 이하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사항이다.
도2의 단면도에는 철근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박스(2)는 높이가 1000mm ~1200mm 정도되며, 입구(6)의 직경이 대략 600mm ~650mm 정도이므로 입구를 통해성인 1인이 내부로 들어가 계량기(M) 등을 설치하거나 보수할 수 있게 하는 크기를 가진다.
박스의 바닥(16)은 선택적인 사안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4)과 유사한 두께의 바닥(16)이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4에서와 같이 바닥이 없을 수도 있다. 바닥이 없는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로 현장에서 설치하게 된다. 몸체의 측벽(4) 두께는 약 100mm 정도이며, 상단 입구(6)에는 반경방향으로 경사진 환형 턱(6a)이 구비된다. 이 환형 턱에 뚜껑(8)이 덮여지게 되는데, 이런 구조에 의해 빗물 등의 침입이 방지된다.
박스의 하단에서 일정 높이(약 200mm 정도)에는 단관(10)이 측벽(4)을 관통하게끔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단관(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되도록 2개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3개가 T자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수 공급관(도시생략) 내지 분배관이 이 단관에 연결되며, 각 단관(10)에는 밸브(12)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M) 등이 이 단관 사이에 설치된다.
단관(10)의 직경은 사용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로써 일반 계량기용인 경우에는 40mm~50mm 정도의 직경일 것이다.
측벽(4) 내부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박스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2~3개의 발판(14)이 설치된다. 발판은 디귿(??) 형태로 절곡한 철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박스의 양생시 성형틀에 장치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박스(2')의 몸체가 가운데가 불룩한 항아리와 같은 형태이다. 측벽(4')에는 역시 수개의 발판(14)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단관(10)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몸체의 형태 이외의 사항은 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박스(2')는 바닥이 없는 형태로서 굴곡이 많아 바닥을 고르게 하기 곤란한 시공현장에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로를 굴착하고 제수변 또는 계량기 등의 상수도 제반시설을 설치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통행자에게 주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부피가 적어 거리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며,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최소로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인의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직립하는 통체로서, 상수도관을 연결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단관(10)이 측벽(4)을 관통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상기 측벽(4)에는 수개의 발판(14)이 설치되고; 뚜껑이 덮여지는 입구(6)가 몸체 중간부위의 횡단면적 보다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원뿔기둥의 형상이며 그 재질은 철근 콘크리트 또는 에프알피(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가운데가 불룩한 항아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
KR20-2003-0008166U 2003-03-19 2003-03-19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 Expired - Fee Related KR200315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166U KR200315468Y1 (ko) 2003-03-19 2003-03-19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166U KR200315468Y1 (ko) 2003-03-19 2003-03-19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468Y1 true KR200315468Y1 (ko) 2003-06-02

Family

ID=4933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166U Expired - Fee Related KR200315468Y1 (ko) 2003-03-19 2003-03-19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4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8728B2 (en) Manhole device
PL179105B1 (pl) Urzadzenie do umieszczania podzespolów, czynnych i biernych punktów zbiorczych laczy telekomunikacyjnych PL
CN106013954A (zh) 一种组合围挡的施工方法
KR100579440B1 (ko) 거푸집-철근 일체형 피씨패널 및 그 조립구조
US5263298A (en) Procedure for making in-situ manholes for underground electric and telephone lines ductwork
KR20110009395U (ko) 안전성을 갖춘 오폐수 정화조용 맨홀 뚜껑 받침 어셈블리
KR200315468Y1 (ko) 상수도 제수변 또는 계량기 박스
CN107237492A (zh) 定型圆柱形模板的安装方法
CN109057169B (zh) 一种预制水泥构件的钢筋连接结构
KR100876150B1 (ko) 침하방지대가 구비된 송배전용 전력맨홀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100900679B1 (ko) 부식방지 복합맨홀
KR200424087Y1 (ko) 콘크리트 정화조
KR101085796B1 (ko) 콘크리트 기초 일체형 기둥 정착구조
KR100561748B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KR200233297Y1 (ko) Frp특수틀을 이용한 조립식 오수맨홀
KR200306393Y1 (ko) 자원재생형 지중매설관
KR200387721Y1 (ko)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프리캐스트 거푸집
KR100654634B1 (ko) 상수도 제수밸브 관리용 조립식 맨홀
KR200369895Y1 (ko) 맨홀 지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맨홀 구조물
JPH1146432A (ja) 電線地中管路用函体及びその管路用マンホール構造
KR19990041358U (ko) 휀스지주 설치용 거푸집
KR200313313Y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CN103850163A (zh) 桥式钢板路面体系及其施工方法
KR100274747B1 (ko) 전주의 설치공법 및 그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3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3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1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13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