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306Y1 - 모헤어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모헤어 조립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5306Y1 KR200315306Y1 KR20-2003-0005166U KR20030005166U KR200315306Y1 KR 200315306 Y1 KR200315306 Y1 KR 200315306Y1 KR 20030005166 U KR20030005166 U KR 20030005166U KR 200315306 Y1 KR200315306 Y1 KR 2003153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hair
- guide
- chassis
- groove
- b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도어나 창문의 틈새를 외부와 밀폐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모헤어를 샤시에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도록, 작업대에 고정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하나 또는 두 개의 모헤어의 선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안내홈을 형성하고 있는 모헤어 안내부재와, 상기 모헤어 안내부재의 안내홈과 샤시의 삽입홈이 수편선상으로 위치되도록 하면서 샤시를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안내홈에 위치한 모헤어를 샤시의 삽입홈으로 이동시켜 삽입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모헤어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에는 모헤어가 조립되는 샤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을 따라서 이동하는 높이 조절기가 제공되고, 상기 모헤어 안내부재는 모헤어의 선단부가 끼워져 모헤어의 일정길이를 안내하는 서로 대향되는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부와, 이 안내부에 조립되어 안내부를 베이스에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끝단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에는 샤시에 모헤어를 삽입한 후 모헤어를 항상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안내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위치와 방향으로 절단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모헤어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나 창문의 틈새를 외부와 밀폐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모헤어(mohair)를 샤시에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모헤어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의 도어나 창문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며, 이러한 틈새를 통하여 외부의 먼지와 소음 또는 비바람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밀폐부재가 설치된다.
창호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밀폐부재로서 산양과 같은 동물의 털을 가공하거나 합성섬유를 띠 형상으로 제작한 모헤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모헤어의 통상적인 구조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융모와, 이 융모를 일정한 폭을 유지하며 띠 형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모헤어가 조립될 수 있도록 창호를 제작하기 위한 샤시에는 모헤어 삽입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삽입홈은 하나 또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어 있다.
모헤어의 조립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샤시의 삽입홈 일측단부에 모헤어의 선단부를 끼우고, 이를 송곳과 같은 것으로 샤시의 삽입홈 끝단부까지 잡아당긴 후, 샤시의 길이에 맞도록 모헤어를 절단하는 방법으로 조립한다.
그리고 다른 샤시에 모헤어를 삽입하려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모헤어를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모헤어의 조립은 한번에 하나의 모헤어만 조립할 수 있고 한번에 2개의 모헤어를 동시에 조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헤어를 조립할 때마다 비교적 좁은 폭으로 이루어진 샤시의 삽입홈에 모헤어의 선단부를 끼워야 함으로 작업이 어렵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샤시의 삽입홈에 끼워진 모헤어를 절단할 때, 삽입홈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절단하기가 쉽지 않아 모헤어의 조립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번에 2개의 모헤어를 동시에 조립할 수 있으며, 모헤어를 조립할 때마다 샤시의 삽입홈에 모헤어의 선단부를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모헤어의 절단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모헤어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작업대에 고정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하나 또는 두 개의 모헤어의 선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안내홈을 형성하고 있는 모헤어 안내부재와, 상기 모헤어 안내부재의 안내홈과 샤시의 삽입홈이 수편선상으로 위치되도록 하면서 샤시를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안내홈에 위치한 모헤어를 샤시의 삽입홈으로 이동시켜 삽입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모헤어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 홈에는 모헤어가 조립되는 샤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기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헤어 안내부재는 모헤어의 선단부가 끼워져 모헤어의 일정길이를 안내하는 서로 대향되는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부와, 이 안내부에 조립되어 안내부를 베이스에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끝단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에는 샤시에 모헤어를 삽입한 후 모헤어를 절단할 수 있도록 안내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위치와 방향으로 절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헤어 조립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헤어 조립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헤어 조립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분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모헤어 조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로서, 부호 2는 베이스를 지칭한다.
상기 베이스(2)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몸체(4)와, 이 몸체(4)의 상부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6)과, 이 슬롯(6)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8)을 갖는다.
이러한 베이스(2)는 몸체(4)를 도시되지 않은 작업대와 같은 피고정체에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8)에는 모헤어가 조립되는 샤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기(10)가 제공된다.
상기 높이 조절기(10)는 슬라이드 홈(8)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는 이동판(12)과, 이동판(12)에 형성된 나사홈에 승강 가능하게 나사 조립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부(14)로 이루어지며, 이 승강부(14)는 슬롯(6)을 통하여 베이스 몸체(4) 외부로 연장되어 베이스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베이스(2)의 상부에는 모헤어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모헤어 안내부재(16)가 설치된다.
상기 모헤어 안내부재(16)는, 모헤어의 선단부가 끼워져 모헤어의 일정길이를 안내하는 안내홈(18)이 형성된 안내부(20)와, 이 안내부(20)의 양측에 조립되어 안내부(20)를 베이스(2)에 고정하는 고정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홈(18)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하나 또는 2개의 모헤어가 동시에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안내홈(18)이 구비된 안내부(20)의 일측단은 대략 45도의 경사면(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경사면(24)은 모헤어가 끼워지는 샤시의 일측면과 면접촉되어 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헤어가 샤시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2)는 모헤어 안내부(20)보다 길이가 길에 이루어지며, 모헤어 안내부(20)를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상하부 내측에는 걸림턱(26)(28)이 형성되고, 하부 외측으로는 플랜지(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2)에는 안내부(20)의 경사면(24)과 동일한 위치와 방향으로 절단홈(32)이 형성되어, 샤시에 모헤어를 삽입한 후 모헤어를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헤어 안내부재(16)가 베이스(2)에 하나만 설치된 것을 예로서 설명하고 있는데, 크기가 다른 모헤어를 조립하기 위하여 도 3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헤어의 안내홈 크기가 다른 모헤어 안내부재를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헤어 안내부재(16)의 조립은, 고정부(22)의 상하 걸림턱(26)(28)에 안내부(20)를 끼우고, 고정부(22) 양측에서 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34)로 안내부(20)를 고정한다.
그리고 이렇게 조립된 모헤어 안내부재(16)의 고정은, 베이스(2)에 형성된슬롯(6)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부(22)의 플랜지(30)와 베이스(2)를 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36)로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은 모헤어 조립장치에는 모헤어 안내부재(16)에 삽입된 모헤어의 선단부를 잡아당겨 샤시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부재(38)가 제공된다.(도 4참조)
상기 삽입부재(38)는 스냅링 등을 착탈할 때 사용되는 스냅링 플라이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 스냅링 플라이어는 끝단부가 아래쪽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벌어져 플라이어를 오므리면 그 끝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모헤어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모헤어(M)를 삽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먼저 모헤어(M)의 통상적인 구조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융모(40)와, 이 융모(40)를 일정한 폭을 유지하며 띠 형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4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모헤어(M)가 조립될 수 있도록 창호를 제작하기 위한 샤시(S)에는 모헤어 삽입홈(44)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삽입홈(44)은 하나 또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어 있다.
모헤어(M)를 샤시(S)에 조립하기 위하여 먼저, 롤 형태로 감긴 각각의 모헤어(M)를 융모(40)가 마주보도록 고정부(42) 선단을 모헤어 안내부(20)에 각각 끼워 넣는다.
그 다음 모헤어(M)를 삽입하려는 샤시(S)를 높이 조절기(10)에 올려놓고, 안내부(20)의 안내홈(18)과 샤시(S)에 형성된 모헤어 삽입홈(44)이 일치되도록 승강부(14)를 조절한다.
그리고 샤시(S)를 안내부(20)쪽으로 밀어 안내부(20)의 경사면(24)에 샤시(S)의 선단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한손으로 샤시(S)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삽입부재(38)를 모헤어(M)의 선단부에 위치시켜 오므르면 삽입부재(38)의 끝단부가 벌어지면서 모헤어(M)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삽입부재(38)를 샤시(S) 방향으로 당기면 모헤어(M)가 안내부(20)의 안내홈(18)을 따라서 샤시(S)의 모헤어 삽입홈(44)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샤시(S)의 모헤어 삽입홈(44) 길이만큼 모헤어가 삽입되면 삽입부재(38)를 모헤어(M)에서 분리하고 고정부(22)에 형성된 절단홈(32)을 따라서 컷터 등을 이용하여 모헤어(M)를 절단하면 모헤어(M)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한번에 2개의 모헤어를 샤시(S)에 조립할 수 있어 모헤어의 조립을 빠르게 할 수 있게되며, 컷팅된 모헤어(M)의 선단부는 안내부(20)의 안내홈(18) 끝단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다른 샤시를 안내부(20)의 경사면(24)에 접촉시킨 후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모헤어를 연속적으로 조립하면 되는데, 이에 따라 모헤어(M)의 선단부는 안내부(20)에 항상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모헤어의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샤시(S)의 모헤어 삽입홈(44) 끼워진 모헤어를 절단할 때, 상기 고정부(22)에는 안내부(20)의 경사면(24)과 동일한 위치와 방향으로 절단홈(32)이 형성되어, 삽입홈(44)의 길이와 항상 동일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한번에 2개의 모헤어를 조립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하나의 모헤어를 조립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모헤어 조립장치는, 한번에 2개의 모헤어를 동시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모헤어의 조립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모헤어를 조립할 때마다 샤시의 삽입홈에 모헤어의 선단부를 끼우지 않아도 됨으로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모헤어의 절단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모헤어의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 작업대에 고정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하나 또는 두 개의 모헤어의 선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안내홈을 형성하고 있는 모헤어 안내부재와, 상기 모헤어 안내부재의 안내홈과 샤시의 삽입홈이 수편선상으로 위치되도록 하면서 샤시를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안내홈에 위치한 모헤어를 샤시의 삽입홈으로 이동시켜 삽입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모헤어 조립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 홈에는 모헤어가 조립되는 샤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기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헤어 조립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헤어 안내부재는 모헤어의 선단부가 끼워져 모헤어의 일정길이를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부와, 이 안내부에 조립되어 안내부를 베이스에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끝단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헤어 조립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샤시에 모헤어를 삽입한 후 모헤어를 항상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안내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위치와 방향으로 절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헤어 조립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5166U KR200315306Y1 (ko) | 2003-02-21 | 2003-02-21 | 모헤어 조립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5166U KR200315306Y1 (ko) | 2003-02-21 | 2003-02-21 | 모헤어 조립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5306Y1 true KR200315306Y1 (ko) | 2003-06-09 |
Family
ID=4940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5166U Expired - Fee Related KR200315306Y1 (ko) | 2003-02-21 | 2003-02-21 | 모헤어 조립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530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6837B1 (ko) * | 2008-07-10 | 2009-07-08 | 주식회사천경그린 | 창문프레임에 모헤어를 장착하는 방법 및 장치와 청소구 |
KR102032745B1 (ko) | 2019-05-20 | 2019-10-17 | 케이에스토스템 주식회사 | 미닫이문용 외부공기 차단 프로파일 |
-
2003
- 2003-02-21 KR KR20-2003-0005166U patent/KR200315306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6837B1 (ko) * | 2008-07-10 | 2009-07-08 | 주식회사천경그린 | 창문프레임에 모헤어를 장착하는 방법 및 장치와 청소구 |
KR102032745B1 (ko) | 2019-05-20 | 2019-10-17 | 케이에스토스템 주식회사 | 미닫이문용 외부공기 차단 프로파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79306A (en) | Cutting-off machine for a venetian blind | |
US5799557A (en) | Venetian blind cutting machine | |
EP0179467B1 (en) | Automotive door window pane guide device | |
US3098520A (en) | Drapery apparatus | |
KR200315306Y1 (ko) | 모헤어 조립장치 | |
US11448010B2 (en) | Ladder tape device for a venetian blind | |
EP0943767A3 (de) | Tür- oder Fensterbeschlag | |
CN221194704U (zh) | 一种推拉滑轮组高度调节导向装置 | |
SK281253B6 (sk) | Upínacie zariadenie na rozoberateľné spojenie dvoch profilových dielov | |
US6758650B2 (en) | Bar guiding device in a feeder for feeding machine tools | |
EP0020784A1 (en) | Lead wire forming apparatus for electrical parts | |
JP2004027629A (ja) | スライドレール式上吊り引戸のスライド規制構造 | |
US20040065182A1 (en) | Cutter module for use in a Venetian blind cutting machine | |
WO2021141853A1 (en) | Tension adjustment system for a drive member of a covering | |
JPH1162365A (ja) | 吊戸の吊垂移動装置 | |
JPH0978934A (ja) | ウィンドガラス昇降機構のワイヤ支持装置 | |
CN110805364B (zh) | 一种门窗定位器 | |
KR100906837B1 (ko) | 창문프레임에 모헤어를 장착하는 방법 및 장치와 청소구 | |
JPH0529443Y2 (ko) | ||
CN220909375U (zh) | 偏心调节式传动锁点连接块及锁点传动系统 | |
ATE224990T1 (de) | Falz-hebelgetriebe für fenster oder türen | |
SE9303016D0 (sv) | Tryckmediumdrivet verktyg | |
GB2421978A (en) | Shoot bolt mechanism with channel forming member | |
KR200205902Y1 (ko) | 블라인드용 브라켓 | |
JP4835130B2 (ja) | エレベータ乗場ドア装置の調整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据付調整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221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05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22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