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13418Y1 -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418Y1
KR200313418Y1 KR20-2003-0003550U KR20030003550U KR200313418Y1 KR 200313418 Y1 KR200313418 Y1 KR 200313418Y1 KR 20030003550 U KR20030003550 U KR 20030003550U KR 200313418 Y1 KR200313418 Y1 KR 200313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infrared radiation
radiation member
support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숙
Original Assignee
김행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행숙 filed Critical 김행숙
Priority to KR20-2003-0003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4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4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이나 맥반석, 세라믹 등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부재를 방석이나 보료 또는 침구 등에 부착하기 위한 원적외선 방사부재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 출원 등록 고안을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저면에 결합홈을 두고, 이에 결합되도록 지지면을 형성하여 별도로 구성되는 결속구가 끼워져 접착 고정되도록 하여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저면과 결속구의 사이에 지지면의 높이만큼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방사부재의 연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구를 필름으로 감싼 지지수단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개량한 한 것이다.
방사부재의 상부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신체로의 원적외선 방사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정구를 필름으로 감싼 지지수단의 결합구가 완전히 외부로부터 차폐되고 상부가 덮여져 보호되도록 하여 방사부재와 결합구 사이의 이물질 침투를 최대한 억제함은 물론 외력으로 부터 보호되어 고정구를 접착시킨 필름의 접착상태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사용수명의 연장과 제품의 고급화와 함께 신지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the sticking structure for emanation goods of mattress}
본 고안은 옥이나 맥반석, 세라믹 등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부재를 방석이나 보료 또는 침구 등에 부착하기 위한 원적외선 방사부재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본인의 선 출원 등록 고안을 개량하여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저면에 지지면를 두고 이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별도로 구성되는 결속구가 끼워져 접착 고정되도록 하고,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저면과 결속구의 사이에 지지면의 높이만큼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에 방사부재의 연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구를 필름으로 감싼 지지수단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부착된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상부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하여 신체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증가시키도록 함으로써 신체로의 원적외선 방사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방사부재의 연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구를 필름으로 감싼 지지수단의 결합구가 완전히 외부로부터 은폐된다.
상기 지지수단의 상부가 덮여져 보호되도록 하여 방사부재와 결합구 사이의 이물질 침투를 최대한 억제함은 물론 외력으로 부터 보호되어 고정구를 접착시킨 필름의 접착상태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사용수명의 연장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인의 선 등록 고안 등록번호 20-0265271"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는 도 5에서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부재(6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게재구가 형성된 고정구(62)의 양단에, 필름(63)(63')이 고정구(62)를 감싸는 상태가 되도록사이에 두고 게재구의 내측에서 필름(63)과 필름(63')의 접착으로 접착부(64)와 함께 원적외선이 방사되게 방사부재(60)가 노출되도록 결합구(65)를 형성하며, 결합 구(65)에 원적외선 방사부재(60)의 지지턱(60')이 지지되게 결합시켜 고정구(62)의 외측에 양단의 필름(63)(63')을 시트(66)에 일체로 부착시켜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선 등록 고안은 원적외선 방사부재(60)를 단일체로 구성하고 연부에 지지턱(60')을 두어 이 지지턱(60')의 상부에 필름으로 접착한 고정구(62)가 커버링 상태로 위치되어 지지되도록 한 것으로,
윈적외선 방사부재(60)의 상면 중 지지턱(60')에 해당되는 부위가 고정구(62)에 가려져 은폐됨으로써 신체에 접촉되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 원적외선방사부재(60)의 상부면 전체를 신체와 접촉시킬 수 없어 크기에 비해 원적외선 방사량이 적어 실효성이 감소된다.
또한 필름과 고정구로 구성되는 방사부재의 지지수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이어서 방사부재와 결합구 사이의 틈새가 노출되게 되고 이곳으로 각종 이물질이 침투되어 비위생적이게 됨은 물론 잦은 하중과 외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게 되어 시트와의 접착부나 결합구 중간의 필름간 접착부위가 쉽사리 손상되어 사용수명의 단축과 제품의 신뢰성의 상실을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착된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상부면 전체를 신체와 접촉가능하도록 하여 신체로의 원적외선 방사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방사부재와 결합구 사이의 이물질 침투를 최대한 억제하여 위생효과를 향상함은 물론 지지수단이 외력으로 부터 보호되도록 하여 필름의 접착상태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수명의 연장되고, 제품의 고급화와 함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저면에 무단회동이 방지되도록 원형을 제외한 임의 형태의 지지면을 두고 이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별도로 구성되는 결속구의 돌출부가 끼워져 접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저면과 결속구의 내측면 사이에 지지면의 높이만큼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에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연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구를 필름으로 감싼 지지수단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이는 요부 절취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기존의 구조를 보이는 요부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적외선 방사부재 11 : 지지면
12 : 결합홈 20 : 결속구
21 : 지지턱 22 : 돌출부
30 : 이격공간 40 : 지지수단
41 : 고정구 42 , 42' : 상, 하측 필름
43 : 결합구 44 : 접착부
도 2는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로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옥이나 맥반석, 세라믹 등의 부재로 구성되는 원적외선 방사부재(10)의 저부 지지면(11)에 원형으로 결합홈(12)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기는 무단 회동이 방지되도록 원형을 제외한 타원형, 삼각, 사각,오각, 육각, 팔각, 열십자(+)형태 등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 임의 형태의 결합홈(12)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홈(12)을 통해 원적외선 방사부재(10)와 일체로 결합되며 내열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원적외선 방사부재(10)와 동일 계통의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속구(20)를 별도로 구성하되, 상기 결속구(20)는 지지턱(21)의 가운데, 결합홈(12)에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12)과 같은 형태의 돌출부(22)가 일체로 돌출 구성되어 결합홈(12)에 끼워져 접착 고정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옥이나 맥반석, 세라믹 등과 동일한 소재라면 통해 원적외선 방사부재(10)와 결속구(20)의 위치가 위와 아래로 바뀌어도 효과는 동일하다.
또한 상호 결합된 원적외선 방사부재(10)의 지지면(11)과 결속구(20)의 지지턱(21)사이에는 결합홈(12)과 돌출부(22)가 결합되면서, 지지수단(40)의 높이에 해당하는 이격 공간(30)이 형성되며 이 이격공간(30)에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고정구(41)를 상, 하측 필름(42)(42')으로 감싸고 상기 지지면(11)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결합구(43)의 내연부에 접착부(44)가 형성되도록 하는 공지의 지지수단(40)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으로, 원적외선 방사부재(10)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재(10)의 지지면(11A)에 결합홈(12)을 열십자(+)로 형성한 것으로, 결합구(12)에 끼워지는 지지수단(40)의 고정구(41) 및 결합구(43)와 결속구(20)의 돌출부(22) 또한 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
(S)는 시트를 보인 것이며, (M)은 매트를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결속구(20)에 돌출부(22)가 상향으로 돌출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턱(21)의 돌출부(22)상에 선등록 고안에서와 같이 고정구(41)의 표면에 필름(42)(42')을 접착시켜 구성하는 지지수단(40)을 얹어 결합구(43)내에 결속구(20)의 돌출부(22)가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원적외선 방사부재(10)의 지지면(11)에 형성된 결합홈(12)의 내벽면과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 한 후 상기 결합홈(12) 내에 결속구(20)의 돌출부(22)가 끼워지도록 눌러 결합시키면 지지면(11)외측의 부분이 지지수단(40)의 일부를 덮어 보호하는 상태에서 접착제를 통해 원적외선 방사부재(10)와 결속구(20)가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호 결합된 원적외선 방사부재(10)의 지지면(11)과 결속구(20)의 지지턱(21)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30)내에는 지지수단(40)의 일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상태로서 접착부(44)가 있는 결합구(43)의 내연부는 외부로부터 은폐 보호되는 상태이며 원적외선 방사부재(10)는 지지면(11) 및 이 지지면(11)과 상호 결합된 지지수단(40)의 결합구(43)가 원형이 아니므로 원적외선 방사부재(10)가 지지수단(40)에서 독자적으로 무단 회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3의 (가)와 같이 지지수단(40)에 원적외선 방사부재(10)와 결속구(20)를결합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부재(10)를 매트의 시트(S)상에 균일하게 배열시킨 상태에서 지지수단(40)의 상, 하측 필름(42)(42')을 고주파 열 접착을 통해 시트(S)에 열 용착시키게 되며 용착 후 용착 부위 이후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다른 실시예로 도 3의 (나)와 같이 소재절약과 함께 저부에서 발열되는 히터의 열이 잘 전도되도록, 원적외선 방사부재(10)를 설치할 수 있게 배열에 맞추어 고정구(41)를 하측 필름(42')에 균일하게 배열시킨 상태에서 상측 필름(42)을 덮어 상, 하측 필름(42)(42')을 고주파 열 접착을 통해 열 용착시켜 결합구(43)측의 필름은 제거하여 지지수단(40)을 구성한 다음 지지수단(40)에 원적외선 방사부재(10)와 결속구(20)를 결합시켜 매트(M)에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매트의 시트(S)에 부착된 본 고안의 원적외선 방사부재(10)는 기존과 같이 지지수단에 가려지는 지지턱(60')을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 원적외선 방사부재(10)의 상부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신체와 접촉시킬 수 있게 됨으로 신체로의 원적외선 방사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체와 접하지 못하는 부위에 마련되는 원적외선 방사부재(10) 형성된 결합홈(12)에 결합되는 결속구(20)의 결합구성을 통해 제품의 고급화를 시킬 수 있게 되며 ,
또한 지지수단(40)의 결합구(43)내연부가 원적외선 방사부재(10)에 의해 가려져 은폐되는 것이어서 원적외선 방사부재(10)와 결합구(43) 사이의 틈새가 없어지게 되어 이물질이 침투가 방지된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재(10)의 커버링으로 인해 지지수단(40)에 가해질 수있는 외력을 감소할 수 있게 되어 시트(S)와의 접착부나 결합구(43) 중간의 필름간 접착부(44)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는 부착된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상부면 전체를 신체와 접촉 가능토록 할 수 있어 신체로의 원적외선 방사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방사부재와 결합구 사이의 틈새를 없애 이물질 침투를 최대한 억제하여 위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지지수단이 외력으로 부터 보호됨으로써 필름의 접착상태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되어 사용수명의 연장과 제품의 고급화와 함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옥이나 맥반석, 세라믹 등의 부재로 구성되는 원적외선 방사부재(10)의 저부 지지면(11)에 결속구(20)의 돌출부(22)가 결합되도록 결합홈(12)이 일체로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부재(10)와;
    상기 지지면(11)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결합홈(12)과;
    상기 결합홈(12)과 접착되는 돌출부(22)와, 상기 결합홈(12)과 동일한 형태로 지지턱(21)상에 일체로 돌출 구성되어 결합홈(12)에 끼워져 접착 고정되는 돌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12)을 통해 원적외선 방사부재(10)와 일체로 결합되는 결속구(20)와;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고정구(41)를 상, 하측 필름(42)(42')으로 감싸고 결합구(43)의 내연부에 접착부(44)가 형성되도록 하는 공지의 지지수단(40)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된 원적외선 방사부재(10)의 저면과 상기 결속구(20)의 지지턱돌출부위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30)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수단(40)에 원적외선 방사부재(10)와 결속구(20)를 결합시키고, 원적외선 방사부재(10)를 매트의 시트(S)상에 균일하게 배열시킨 상태에서 지지수단(40)의 상, 하측 필름(42)(42')을 시트(S)에 용착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원적외선 방사부재(10)를 설치할 수 있게 배열에 맞추어 고정구(41)를 하측필름(42')에 균일하게 배열시킨 상태에서 상측 필름(42)을 덮어 상, 하측 필름(42)(42')을 용착시켜 결합구(43)측의 필름은 제거하여 지지수단(40)을 구성한 다음 지지수단(40)에 원적외선 방사부재(10)와 결속구(20)를 결합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
KR20-2003-0003550U 2003-02-04 2003-02-04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 KR200313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550U KR200313418Y1 (ko) 2003-02-04 2003-02-04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550U KR200313418Y1 (ko) 2003-02-04 2003-02-04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184A Division KR100566328B1 (ko) 2003-05-28 2003-05-28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418Y1 true KR200313418Y1 (ko) 2003-05-16

Family

ID=4940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550U KR200313418Y1 (ko) 2003-02-04 2003-02-04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4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381232S (en) Combined pillow and detachable pad assembly unit
NO992371D0 (no) Engangsbleie med integrert festesone pÕ det ytre lag
EP1745450A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a passive sensor array with a mattress for patient monitoring
DE69800393D1 (de) Deckbettbezug
KR100566328B1 (ko)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
KR200313418Y1 (ko) 침구용 원적외선 방사부재의 부착구조
CA1195366A (en) Electric hotplate with a mounting ring around it
JP3300903B2 (ja) 調理用プレートのための保持枠装置
US4327727A (en) Collecting bag for artificial intestinal outlets
USD401943S (en) Power head for a sprayer
USD428135S (en) Adhesive melter heater element
KR200313452Y1 (ko) 세라믹 매트의 세라믹 결합구조
KR101142401B1 (ko) 수맥 차단 매트 및 수맥 차단 침대
KR200188034Y1 (ko) 침구용 매트리스
USD418709S (en) Sleeping mat slipcover
KR200239225Y1 (ko) 침구류용 표면부재의 설치구조
KR200212406Y1 (ko) 표면 부재 부착 구조
JP2507368Y2 (ja) 化粧廻り縁の取付け構造
KR200226610Y1 (ko) 원적외선 방사 소재가 매설된 깔개
JPH0724629B2 (ja) 調理器の蓋体
KR200157449Y1 (ko) 매트 틀
KR200315579Y1 (ko) 매트리스용 시트지의 원적외선 방사체 고정구조
JPH0726454Y2 (ja) 流し台用天板
KR200330565Y1 (ko) 온열매트
KR200299738Y1 (ko) 매트에 결착되는 건강보호구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20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2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8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