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12881Y1 -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881Y1
KR200312881Y1 KR20-2002-0032930U KR20020032930U KR200312881Y1 KR 200312881 Y1 KR200312881 Y1 KR 200312881Y1 KR 20020032930 U KR20020032930 U KR 20020032930U KR 200312881 Y1 KR200312881 Y1 KR 200312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side wall
lever
frame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성
Original Assignee
이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성 filed Critical 이우성
Priority to KR20-2002-0032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8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88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Landscapes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비자가 각기 자신의 취향별 향수의 선택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향수 샘플지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이격시키는 돌출턱과 샘플지를 배출시키는 샘플지 이송판의 이송로를 제공하는 레일홈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 좌우에 결합된 측벽 프레임과; 이 측벽 프레임 전면으로 그 하측부에 장착된 가이드 프레임과; 이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향수 추출포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측벽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샘플지 적재공간에서 적재된 샘플지중 1개 샘플지만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장착된 샘플지 가이드와; 상기 측벽 프레임중 일측벽 프레임의 외벽에 위치되게 결합된 향수용기 가이드와; 상기 측벽 프레임 배면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향수용기가 장착되는 일측벽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레버 가이드와; 상기 향수용기 가이드에 장착되며 상기 향수 추출포트에 호스로 연결되어 향수 추출포트를 통해 향수액이 압력에 의해 분무되도록 분무구를 갖는 향수용기와; 상기 일측벽 프레임에 볼트축으로 장착되어져 회전되며 중간부에 향수용기의 분무구를 누르는 프레싱 쿠션과 양측에 각기 레버 손잡이와 와이어 고정구를 갖는 레버와; 상기 와이어 고정구에 고정된 와이어가 연속해 권취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그 저면과 후측 및 일측벽 프레임의 일측에 각기 장착된 회전롤과; 이 각 회전롤중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과 그 후측에 장착된 회전롤 사이의 와이어에 장착되어 베이스 프레임의 레일홈에 삽입되는 샘플지 이송판 및 그 후측의 회전롤에서 권취되어지는 와이어의끝단이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측 일단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이 권취되도록 상기 레버 가이드에 장착되는 스프링롤이 구비됨을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Sample tester for perfume}
본 고안은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자가 각기 자신의 취향별 향수의 선택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견본제품의 향수 샘플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향수는 다른 일반 화장품에 비해 고가이어서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일반 화장품과 같이 소비자로 하여금 그 피부체질과 취향에 맞게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테스트할 수 있는 소량의 향수를 용기에 담아 무료 제공하는 소위 견본용 샘플을 제조하지 않는 실정이고,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이와 같은 실정에 의해 소비자로 하여금 향수의 선택 사용이 용이하도록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이어려운 관계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매출증대에 기여할 수 없었으며,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향수의 선택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판매자의 제품설명에만 의존하여 향수제품을 구매할 수밖에 없는 실정인지라 자신의 취향 충족을 위해서는 여러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해본 후에야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제품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는 불필요한 구매비용의 지출이 발생하는 경제적 부담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비자에게 다양한 제품의 향수 견본용 샘플을 추출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견본제품의 향수 샘플을 테스트하여 자신의 취향별 향수 및 타인을 위한 선물 선택 시,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구매비용의 지출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결해 주며 제조 및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소비자들에게 무료로 향수 샘플을 제공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는 매체의 일환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향수 샘플 추출 데이터를 통해 향수 소비자의 선호도 및 경향 등의 정보 분석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향수 샘플 추출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향수 샘플 추출장치의 구성과 동작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향수 샘플 추출장치의 동작상태도로서,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향수 샘플 추출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도 5의 실시예 내부를 도시한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프레임 11 : 돌출턱
12 : 레일홈 20a, 20b : 측벽 프레임
21 : 가이드 프레임 22 : 향수 추출포트
23 : 샘플지 가이드 24 : 향수용기 가이드
25 : 레버 가이드 30 : 향수용기
31 : 분무구 32 : 호스
40 : 레버 41 : 레버 손잡이
42 : 프레싱 쿠션 43 : 와이어 고정구
50, 51, 52 : 회전롤 53 :샘플지 이송판
54 : 스프링 55 : 스프링롤
60 : 레버승강 가이드 61 : 톱니
70 : 스토퍼 100 : 캐비닛
101 : 레지 111 : 레버홈
112 : 배출구 L : 샘플지
B : 볼트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는 1개의 향수 샘플지만을 배출하도록 향수 샘플지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이격시키는 돌출턱과 샘플지를 배출시키는 샘플지 이송판의 이송로를 제공하는 레일홈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 좌우에 결합된 측벽 프레임과;이 측벽 프레임 전면으로 그 하측부에 장착된 가이드 프레임과; 이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향수 추출포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측벽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샘플지 적재공간에서 적재된 샘플지중 1개 샘플지만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장착된 샘플지 가이드와; 상기 측벽 프레임중 일측벽 프레임의 외벽에 위치되게 결합된 향수용기 가이드와; 상기 측벽 프레임 배면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향수용기가 장착되는 일측벽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레버 가이드와; 상기 향수용기 가이드에 장착되며 상기 향수 추출포트에 호스로 연결되어 향수 추출포트를 통해 향수액이 압력에 의해 분무되도록 분무구를 갖는 향수용기와; 상기 일측벽 프레임에 볼트축으로 장착되어져 회전되며 중간부에 향수용기의 분무구를 누르는 프레싱 쿠션과 양측에 각기 레버 손잡이와 와이어 고정구를 갖는 레버와; 상기 와이어 고정구에 고정된 와이어가 연속해 권취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그 저면과 후측 및 일측벽 프레임의 일측에 각기 장착된 회전롤과; 이 각 회전롤중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과 그 후측에 장착된 회전롤 사이의 와이어에 장착되어 베이스 프레임의 레일홈에 삽입되는 샘플지 이송판 및 그 후측의 회전롤에서 권취되어지는 와이어의 끝단이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측 일단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이 권취되도록 상기 레버 가이드에 장착되는 스프링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향수 샘플지의 배출을 위한 레버의 잦은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스프링의 복원력상실과 과도한 레버의 승강동작에 의한 배출되는 향수 샘플지의 걸림을 방지하도록 레버의 승강동작속도를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일측벽 프레임과 레버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그 볼트축에 장착되고 그 후측부에 원호형태의 톱니를 갖는 레버승강 가이드와; 상기 레버의 와이어 고정구측 방향의 일면 적소에서 레버승강 가이드의 톱니와 이물림되게 장착되는 스토퍼와, 이 스토퍼의 이물림동작 및 해제를 위해 연결 장착된 스프링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향수 샘플 추출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향수 샘플 추출장치의 구성과 동작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향수 샘플 추출장치의 동작상태도로서,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는 몸체를 구성하는 골격구조로서, 1개의 테스트용 향수 샘플지만을 배출하도록 샘플지(L)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이격시키는 돌출턱(11)과 샘플지(L)를 배출시키는 샘플지 이송판(53)의 이송로를 제공하는 레일홈(12)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좌우에 결합된 측벽 프레임(20a)(20b)과; 이 측벽 프레임(20a)(20b) 전면으로 그 하측부에 장착된 가이드 프레임(21)과; 이 가이드 프레임(21)에 장착되는 향수 추출포트(22)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측벽 프레임(20a)(20b)에 의해 형성된 샘플지 적재공간(S)에서 적재된 샘플지중 1개 샘플지(L)만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장착된 샘플지 가이드(23)와; 상기 측벽 프레임(20a)(20b)중 일측벽 프레임(20b)의 외벽에 위치되게 결합된 향수용기 가이드(24)와; 상기 측벽 프레임 (20a)(20b) 배면 상단에 결합되어 일측벽(20b)으로 절곡된 형태의 레버 가이드(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를 이루고 있는 골격구조로서의 각 프레임은 용접에 의해 결합된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굳이 용접이 아닌 볼트나 리벳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여도 무방하므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향수용기 가이드(24)에 장착되며 상기 향수 추출포트(22)에 호스(32)로 연결되어 향수 추출포트(22)를 통해 향수액이 압력에 의해 분무되도록 분무구(31)를 갖는 향수용기(30)가 구비되고 상기 일측벽 프레임(20b)에 장착되어져 볼트축(B)으로 회전되며 중간부에 향수용기(30)의 분무구(31)를 누르는 프레싱 쿠션(42)과 양측에 각기 레버 손잡이(41)와 와이어 고정구(43)를 갖는 레버(4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40)의 와이어 고정구(43)에 고정된 와이어(W)가 연속해 권취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그 저면과 후측 및 일측벽 프레임(20b)의 일측에 각기 장착된 회전롤(50)(51)(52)이 구비되고, 이 각 회전롤(50)(51)(52)중 베이스 프레임(10)의 저면과 그 후측에 장착된 회전롤(51)(52) 사이의 와이어(W)에 장착되어 베이스 프레임(10)의 레일홈(12)에 삽입되는 샘플지 이송판(53) 및 그 후측의 회전롤(52)에서 권취되어지는 와이어(W)의 끝단이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후측 일단에 고정되는 스프링(54)과, 이 스프링(54)이 권취되도록 상기 레버 가이드(25)에 장착되는 스프링롤(5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향수 샘플지의 배출을 위한 레버(40)의 잦은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스프링(54)의 복원력상실과 과도한 레버(40)의 승강동작에 의한 배출되는 향수 샘플지(L)의 걸림을 방지하도록 레버(40)의 승강동작속도를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일측벽 프레임(20b)과 레버(40)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그 볼트축(B)에 장착되고 그 후측부에 원호형태의 톱니(61)를 갖는 레버승강 가이드(60)와; 상기 레버(40)의 와이어 고정구(43)측 방향의 일면 적소에서 레버승강 가이드(60)의 톱니(61)와 이물림되게 장착되는 스토퍼(70)와, 이 스토퍼(70)의 이물림동작 및 해제를 위해 연결 장착된 스프링(71)이 부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손잡이(41)를 아래로 하강시키면 레버(40)의 프레싱 쿠션(42)이 향수용기(30)의 분무구(31)를 누르게 되어 호스(32)를 통해 향수용기(30)내의 향수용액이 압력에 의해 향수 추출포트(22)로 추출 분무되고 이때, 이와 같은 레버(40)의 하강동작과 동시에 볼트(B)를 축으로 회전되는 레버(40)의 끝단은 승강되므로 그 끝단의 와이어 고정구(43)에 고정된 와이어(W)가 위로 당겨져 이 와이어(W)가 권취된 각 회전롤(50)(51)(52)이 회전하여 와이어(W)가 당겨지게 됨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스프링롤(55)에 권취된 스프링(54)이 인장되며, 이 당겨지는 와이어(W)에 의해 회전롤(51)(52)사이에 결합된 샘플지 이송판(53)이 베이스 프레임(10)과 측벽 프레임(20a)(20b)에 의해 형성된 샘플지 적재공간(S)에서 다량 적재된 샘플지(L)중 가장 하측에 위치한 샘플지(L) 하나만을 밀어내어 샘플지 가이드(23)에 의해 배출되는 샘플지(L)의 상단면에 분무된 향수액이 묻은 상태에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동작과 동시에 상기 레버(40)의 하강동작시 레버(40)의 스토퍼(70)는 레버승강 가이드(60)의 톱니(61)와 이물림되면서 스토퍼(70)의 앞부분이 하측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적절한 하강속도를 유지시키면서 아울러 레버(40)의하강동작이 이루어지게 하고 스프링(71)의 인장복원력으로 하여금 스토퍼(70)의 이물림 상태를 적절히 유지시킴에 따라 과도한 하강동작을 방지하여 스프링(54)의 인장복원력 상실 및 샘플지 걸림을 방지하게 된다.
만일, 이때 레버(40)를 놓쳐 하강동작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멈추어지더라도 스토퍼(70)가 이물림된 레버승강 가이드(60)의 톱니(61)가 원호형태이므로 이물림된 상태에서 스토퍼(70)의 앞부분이 톱니(61)에 걸려져 그 상태로 유지되어 전체 동작이 그 상태에서 멈추어짐에 따라 오동작이 발생됨을 방지하며 그 상태에서 다시 레버(40)를 마저 하강시키기만 하면 향수액이 분무된 샘플지(L)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스토퍼(70)가 레버승강 가이드(60)의 톱니(61)를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스프링(71)의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70)는 정위치로 돌아오게 되며 스토퍼(70)의 앞부분이 톱니(61)에 걸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54)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40)의 엔딩부 끝단이 하강되고 레버 손잡이(41)는 승강되는 초기상태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이 연속적으로 재동작되므로써 재차 향수액이 분무된 샘플지(L)의 연속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향수 샘플 추출장치를 이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 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향수 샘플 추출장치가 그 내부에 설치되며, 그 외부 전면에는 일측에 레버 손잡이(41)가 노출되며 레버(40)의 승하강구간을 형성한 레버홈(111)과, 레버(40)의 하강동작으로 인해 추출되는 향수가 분무된샘플지(L)가 배출되도록 하측에 형성된 샘플지 배출구(112)를 갖는 케이스(110)를 다수 구비하거나, 또는 하나의 큰 캐비닛(100)의 그 내측에 다수의 종행렬 구획으로 장착된 레지(101)에 본 고안의 향수 샘플 추출장치를 다수 설치하고 그 전면으로 각기 레버홈(111)과 샘플지 배출구(112)가 형성되게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제조사 및 향이 다른 각기 다양한 향수 제품의 테스트용 시제품을 골고루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캐비닛(100)의 하부에는 캐비닛(100)을 받쳐주는 역할과 사용되는 테스트용 향수 시제품의 리필 제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으로서의 역할을 겸한 베이스(102)와, 상기 캐비닛(100)의 배면에는 향수 시제품의 리필시를 위해 개폐하는 도어(103)가 설치된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에는 해당 향수 시제품의 제조사 및 향수의 설명 등을 담은 광고내용과 사진을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는 소비자로 하여금 다양한 제품의 향수 시제품 샘플을 추출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제품의 향수 샘플을 테스트하여 자신의 취향별 제품의 선택 사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구매비용의 지출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결함은 물론, 제조 및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매출증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개의 향수 샘플지만을 배출하도록 향수 샘플지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이격시키는 돌출턱과 샘플지를 배출시키는 샘플지 이송판의 이송로를 제공하는 레일홈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 좌우에 결합된 측벽 프레임과; 이 측벽 프레임 전면으로 그 하측부에 장착된 가이드 프레임과; 이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향수 추출포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측벽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샘플지 적재공간에서 적재된 샘플지중 1개 샘플지만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장착된 샘플지 가이드와; 상기 측벽 프레임중 일측벽 프레임의 외벽에 위치되게 결합된 향수용기 가이드와; 상기 측벽 프레임 배면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향수용기가 장착되는 일측벽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레버 가이드와; 상기 향수용기 가이드에 장착되며 상기 향수 추출포트에 호스로 연결되어 향수 추출포트를 통해 향수액이 압력에 의해 분무되도록 분무구를 갖는 향수용기와; 상기 일측벽 프레임에 볼트축으로 장착되어져 회전되며 중간부에 향수용기의 분무구를 누르는 프레싱 쿠션과 양측에 각기 레버 손잡이와 와이어 고정구를 갖는 레버와; 상기 와이어 고정구에 고정된 와이어가 연속해 권취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그 저면과 후측 및 일측벽 프레임의 일측에 각기 장착된 회전롤과; 이 각 회전롤중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과 그 후측에 장착된 회전롤 사이의 와이어에 장착되어 베이스 프레임의 레일홈에 삽입되는 샘플지 이송판 및 그 후측의 회전롤에서 권취되어지는 와이어의 끝단이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측 일단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이 권취되도록 상기 레버 가이드에 장착되는 스프링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벽 프레임과 레버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그 볼트축에 장착되고 그 후측부에 원호형태의 톱니를 갖는 레버승강 가이드와; 상기 레버의 와이어 고정구측 방향의 일면 적소에서 레버승강 가이드의 톱니와 이물림되게 장착되는 스토퍼와, 이 스토퍼의 이물림동작 및 해제를 위해 연결 장착된 스프링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손잡이가 노출되며 레버의 승하강구간을 형성한 레버홈과, 레버의 하강동작으로 인해 추출되는 향수가 분무된 샘플지가 배출되는 샘플지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
KR20-2002-0032930U 2002-11-04 2002-11-04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 Ceased KR200312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930U KR200312881Y1 (ko) 2002-11-04 2002-11-04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930U KR200312881Y1 (ko) 2002-11-04 2002-11-04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873A Division KR100462581B1 (ko) 2002-11-04 2002-11-04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881Y1 true KR200312881Y1 (ko) 2003-05-14

Family

ID=4940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930U Ceased KR200312881Y1 (ko) 2002-11-04 2002-11-04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8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798A (ko)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디엠솔루션 향수 시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798A (ko)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디엠솔루션 향수 시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4073A (en) One piece capsule with optional insert and tape seal
US3055293A (en) Storage and dispensing rack for cans and the like
US6293434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of bulk product
US10779663B2 (en) Dispenser for supports to be impregnated with an odour
US2035246A (en) Package and dispenser
IT9067169A1 (it) Estrattore di prodotti singoli, particolarmente per distributori automatici.
ITPD20120071A1 (it) Distributore a moneta con azionamento manuale
KR200312881Y1 (ko)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
KR100462581B1 (ko) 취향별 테스트용 향수 샘플 추출장치
ITMI20011128A1 (it) Dispositivo dosatore
US20050247724A1 (en) Cover dispenser
US1792763A (en) Dispensing mechanism
CN110751781A (zh) 一种节能式贩卖机出料装置
WO2011050799A1 (de) Verkaufs- und verpackungsautomat für lose lebensmittel
JP2605906B2 (ja) 袋搬出装置
US1575972A (en) Dispensing device
EP0466758A1 (en) Vending machine
US1048660A (en) Coin-controlled vending-machine.
JP4095023B2 (ja) 菓子等の販売装置
US2644614A (en) Popcorn dispenser
US20100084423A1 (en) Dental flosser dispenser apparatus
US4284207A (en) Drop shelf mechanism
CN209842767U (zh) 一种自动售货机
US1008867A (en) Receptacle for holding and dispensing articles.
US3087647A (en) Paper bag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04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4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1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5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