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8788Y1 -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 - Google Patents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788Y1
KR200308788Y1 KR20-2003-0000061U KR20030000061U KR200308788Y1 KR 200308788 Y1 KR200308788 Y1 KR 200308788Y1 KR 20030000061 U KR20030000061 U KR 20030000061U KR 200308788 Y1 KR200308788 Y1 KR 200308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andcuffs
diaphragm
teeth
slide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수
김기숙
Original Assignee
권정수
김기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수, 김기숙 filed Critical 권정수
Priority to KR20-2003-0000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7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78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5/00Handcuffs ; Finger cuffs; Leg irons; Handcuff holsters; Means for locking prisoners in automobil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갑의 몸체내의 기구틀들에 수갑의 이동고리의 래치트부를 걸어 걸림 작동시키는 걸음편이 탄성력있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걸음편이 수갑의 측면에서 밀어 작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레버에 의하여 제어토록 하는 수갑의 형성에 있어서의 상기 기구틀들의 사이에 격판을 형성하여 수갑의 이동고리의 톱니이빨이 간막이홈으로 구획된 것만이 몸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단으로 해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이동고리의 톱니이빨의 간막이홈이 슬라이드 안내이동하는 격판에 좌,우절결경사턱을 형성하여 이동고리가 이동되는 이동고리이동통로의 틈새를 최소화하면서 1차 및 2차적으로 방지턱의 형성으로 얇은판이나 핀 등의 끼워넣음을 방지함으로써, 수갑의 무단해지를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에 관한 것으로,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한쪽에 톱니이빨(111)이 2중으로 다수 형성된 래치트부(110)를 가지는 이동고리와; 또한 반원호 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고리(100)의 다른 한쪽에 회동축(210)으로 연결되며, 이 회동축(210)에 한쪽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에 장방형상의 몸체(220)가 일체로 형성된 1쌍의 고정고리(200)와; 이 1쌍의 고정고리의 몸체내의 기구틀들에 걸음편이 판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장착되고, 상기 걸음편(400)을 강제 구속할 수 있는 슬라이드레버(800);로 구성된 수갑에 있어서, 상기 기구틀(600)들의 사이에 일측이 절결된 절결부(340)를 가지는 격판(300)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3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획벽(320)의 가름턱(321)에 연이어서 좌,우로 절결한좌,우절결경사턱(322)(323)이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통로(700)에서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과의 틈새를 최소화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The handcuffs with slide lever}
본 고안은 수갑의 측면에서 열쇠를 밀어 슬라이드레버를 완전 잠금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해지방지용 수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갑의 몸체내의 기구틀들에 수갑의 이동고리의 래치트부를 걸어 걸림 작동시키는 걸음편이 탄성력있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걸음편이 수갑의 측면에서 밀어 작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레버에 의하여 제어토록 하는 수갑의 형성에 있어서의 상기 기구틀들의 사이에 격판을 형성하여 수갑의 이동고리의 톱니이빨이 간막이홈으로 구획된 것만이 몸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단으로 해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이동고리의 톱니이빨의 간막이홈이 슬라이드 안내이동하는 격판에 좌,우절결경사턱을 형성하여 이동고리가 이동되는 이동고리이동통로의 틈새를 최소화하면서 1차 및 2차적으로 방지턱의 형성으로 얇은판이나 핀 등의 끼워넣음을 방지함으로써, 수갑의 무단해지를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수갑이 제안되어 왔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갑은 고정고리와 걸음편을 연결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다수개의 고정핀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범법자가 외부 축의 중심을 향해서 강한 충격을 주면 고정고리로부터 고정핀이 이탈됨으로서 쉽게 해체되었고, 또 수갑의 걸음편을 외부에 끼워넣은 축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하였기 때문에, 범법자가 외부의 강한 충격을 주어 상기 축을 절단 또는 이탈시키어 수갑을 분리/해체하는 일이 빈번하였으며, 또한, 외부로부터 머리핀 등과 같은 미세한 핀을 밀어넣어 상기 걸음편의 해지를 조작함으로서 수갑을 무단으로 해지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93-204호, 제1993-2996호 및 제1996-3984호 등을 통하여 종래의 이러한 수갑구조를 꾸준히 개량하였으며, 특히 수갑을 사람의 손목에 사용할 때에 발생되는 문제점 및 핀에 의해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갑구조에 관하여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예시의 수갑들은 걸름편들이 판스프링의 좌,우 이동으로 판스프링의 절곡부가 걸음편의 머리부를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이동고리의 톱니이빨이 걸음편을 강제로 유동치 못하여 수갑의 완전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판스프링에 의하여 구속되지 않고 판스프링은 걸음편의 탄력을 돕고 수갑몸체의 측면에서 밀어서 슬라이드 작동되는 슬라이드레버에 의하여 상기걸음편의 머리부를 강제 고정시키어 수갑을 강제로 완전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갑에 있어서는 슬라이드레버의 이동으로 판스프링을 이동시키는 것에 비하여 판스프링의 훼손 등의 염려는 없으나, 슬라이드레버의 장착으로 격판을 형성할 수 없는 것이어서 이동고리의 톱니이빨을 이중으로 형성된 해지방지용 수갑을 형성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버에 의하여 장착할 수 없었던 격판을 예를들어 슬라이드레버가 수갑몸체의 측면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격판의 일측을 절결하여 슬라이드레버가 슬라이드이동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함으로써, 수갑의 이동고리의 톱니이빨을 간막이홈으로 구획하여 이중으로 형성하여, 톱니이빨의 간막이홈이 격판에 슬라이드 안내는 동시에, 수갑몸체내의 걸음편도 상기 톱니이빨과 대응되는 2개의 걸음편이 각각 탄성력있게 분리 구동되도록 하고, 또한 이동고리의 톱니이빨이 슬라이드 안내이동하는 격판에 좌,우절결경사턱을 형성하여 이동고리의 래치트부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유지면서 그의 통로의 틈새를 다단으로 최소화하여 얇은 판이나 핀 등의 강제해지용 부재의 투입으로 인하여 이동고리의 래치트부와 걸음편의 이빨의 사이로 투입되어 이맞물림이 강제로 해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 2, 제 3 의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한쪽에 톱니이빨이 2중으로 다수 형성된 래치트부를 가지는 이동고리와; 또한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고리의 다른 한쪽에 회동축으로 연결되며, 이 회동축에 한쪽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에 장방형상의 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1쌍의 고정고리와; 이 1쌍의 고정고리의 몸체내의 기구틀들에 걸음편이 판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장착되고, 상기 걸름편을 강제 구속할 수 있는 슬라이드레버;로 구성된 수갑에 있어서, 상기 기구틀들의 사이에 일측이 절결된 절결부를 가지는 격판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의 구회벽의 가름턱에 연이어서 좌,우로 절결한 좌,우절결경사턱이 성형되도록하여 상기 이동통로에서 이동고리의 래치트부의 이빨과의 틈새를 다단으로 최소화함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름턱과 좌,우로 절결한 좌,우절결경사턱은 상기 격판의 구획벽의 전,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의 정면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의 배면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 몸체부분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의 슬라이드레버가 걸음편을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의 슬라이드레버가 키에 의하여 해지된 상태의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의 걸음편이 키에 의하여 해지되어 이동고리가 걸음편에서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고리 110 : 래치트부
111 : 이빨 120 : 간막이홈
200 : 고정고리 300 : 격판
320 : 구획벽 321 : 가름턱
322,323 : 절결경사턱 400 : 걸음편
410 : 톱니 420 : 걸림턱
430 : 힌지부 500 : 판스프링
600 : 기구틀 610 : 공간
800 : 슬라이드레버 810 : 하향돌출편
820 : 고정홈 830 : 유동홈
840 : 키접촉면 850 : 연장로드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정면 분리 사시도이고, 또한 도 2 는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배면 분리 사시도이며, 또한 도 3 은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 몸체부분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또한 도 4 는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슬라이드레버가 걸음편을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또한 도 5 는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슬라이드레버가 키에 의하여 해지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또한 도 6 은 본 고안의 해지방지용 수갑의 걸음편이 키에 의하여 해지되어 이동고리가 걸음편에서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고리(100), 고정고리(200),격판(300), 걸음편(400), 판스프링(500), 기구틀(600) 및 슬라이드레버(800) 등의 기본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동고리(100)는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한쪽에 바깥둘레에 톱니이빨(111)들이 2중으로 다수 형성된 래치트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트부(110)의 톱니이빨(111)들의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간막이홈(12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격판(300)의 구획벽(320)에 안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고리(100)의 다른 한쪽에는 후술하는 고정고리(200)들과 회동축(210)으로 결합되어, 이동고리(100)가 고정고리(200)들에 대하여 회동축(210)을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고리(200)들은 상기 이동고리(100)와 마찬가지로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고리(100)에 회동축(210)으로 결합되어, 이 회동축(210)에 한쪽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은 장방형상의 몸체(220)가 일체로 형성되는 1쌍을 구성부품으로 이루고 있다.
이 몸체(220)들의 사이에는 상기 격판(300), 걸음편(400), 판스프링(500), 기구틀(600) 및 슬라이드레버(800)들이 결합되면서 고정핀(도시생략)들에 의하여 고정되어 도 3 및 도 4 와 같이 이동고리(10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70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기구틀(600)은 대략 장방형상으로 성형되어 중앙에 개구부(620)를 가지는 공간(6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610)의 한쪽에 개구요홈(640)들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슬라이드레버(800)의 연장로드부(850)가 슬라이드이동가능한 통로를 구성하게 되며, 또한 다른 한쪽에는 키(900)가 회전가능하게 키구동홈(6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구틀(600)의 사방에는 고정핀구멍(630)들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고리(200)의 고정핀구멍(230)과 맞대어 고정핀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구틀(600)은 그의 전,후방에 상기 이동통로(700)쪽으로 돌출된 하향구속턱(660)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로(700)에서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톱니이빨(111)과의 틈새를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걸음편(400)은 대략 망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쪽에 힌지구멍(430)이 형성되어 이 힌지구멍(430)에 고정축(450)이 관통하여 고정고리(200)의 고정핀구멍(230)에 고정축(450)의 양쪽 끝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다른 한쪽은 상기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과 결합가능한 래치트톱니(410)가 다수개(도면에서는 3개)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톱니(410)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걸림턱(420)과 상향걸림돌출편(4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420)은 후술하는 키가 접촉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걸음편(400)을 들어 올려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고리(100)의 톱니이빨(111)과 이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420)에 대하여 위쪽으로 상향걸림돌출편(440)이 형성되어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버(800)를 밀어서 슬라이드레버(800)의 하향돌출편(810)과 맞대어 접촉토록하여 상기 걸음편(400)이 강제로 움직이지 못하도록함으로써, 걸음편(400)이 상기 이동고리(100)의 톱니이빨(111)과의 강제 이맞물림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걸음편(400)의 래치트톱니(410)의 전방(도 4에서 톱니의 우측)에 수직선상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는 하향경사홈(4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향경사홈(460)은 상기 기구틀(600)의 개구부(620)에 위치하여 얇은판 등의 유입을 저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 슬라이드레버(8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안쪽에 대략 "V"자형상의 고정홈(820)과 유동홈(830)이 일정깊이로 파여 있으며, 상기 홈들에 이웃하여 하향돌출편(810)이 돌출되고 또한 상기 하향돌출편(810)에 연이어서 끝단에 키접촉면(840)이 대략 "V"자형상으로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이 키접촉면(840)은 도 4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900)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레버(800)의 하향돌출편(810)과 걸음편(400)의 상향걸림돌출편(440)과의 접촉을 해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접촉면(840)의 반대방향에는 연장로드부(850)가 튀어나와 형성되어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구틀(600)들의 개구요홈(640)들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개구요홈(640)들은 반구형상의 단면으로 양쪽의 기구틀(600)들이 결합되었을 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레버(800)의 연장로드부(85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개구요홈(640)들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사각 등의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슬라이드레버(800)의 연장로드부(850)의 단면을 사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레버(800)와 걸음편(400)의 사이에는 대략 "ㄷ"자형상의 판스프링(500)이 장착되며, 판스프링(500)의 절곡부(510)가 도 4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레버(800)의 고정홈(820) 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동홈(830)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510)와 대응되는 쪽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결되어 분할된 지지끝단(52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판스프링(500)의 지지끝단(520)들에는 걸음편(400)들이 지지되어 걸음편(400)들이 고정축(450)을 중심으로 각각 탄력있게 유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고안은 상기 기구틀(600)들의 사이에 일측이 절결된 절결부(340)를 가지는 격판(300)이이 장착된다. 격판(300)은 대략 장방형상의 박판의 철판으로써 중앙에 장방형상의 공간(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사방에는 역시 상기 고정고리(200)의 몸체(220)와 기구틀(600)의 사방에 형성된 고정핀구멍(230, 630)들과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는 고정핀구멍(3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격판(300)은 상기 1쌍의 고정고리(200)의 몸체(220)를 구획하면서 상기 격판(300)을 중심으로 다른 1쌍의 기구틀(600)과 걸음편(400)들이 결합되어 구획하게 된다.
또한, 격판(300)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격판(300)의 구획벽(320)의 전,후방에 가름턱(321)에 연이어서 좌,우로 절결한 좌,우절결경사턱(322, 323)이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통로(700)에서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과의 틈새를 다단으로 최소화하고 있다.
상기 격판(300)의 가름턱(321)에 연이어서 좌,우로 절결한 좌,우절결경사턱(322, 323)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고리(100)가 이동고리이동통로(700)에 삽입되었을 때, 도 5 와 같이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양쪽 이빨(111)들의 바로 위에 위치하면서 상호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격판(300)의 절결부(340)의 형성은 상기 슬라이드레버(800)의 연장로드부(850)의 이동에 간섭을 주지않기 위하여 절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고리(100)가 이동고리이동통로(700)에 삽입될 때, 격판(300)의 가름턱(321)에 의하여 이동고리(100)의 간막이홈(120)이 안내되어 이동고리이동통로(700)의 진입을 안내하게 되며, 이때 이동고리(100)가 이동고리이동통로(700)를 진입할 때 상기 격판(300)의 좌,우절결경사턱(322, 323)은 간섭을 하지 않을 정도의 틈새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상기 격판(300)을 중심으로 기구틀(600)과 걸음편(400)들이 결합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기구틀(600)과 걸음편(400)들의 결합과 동일하므로, 그의 결합설명에 대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격판(300)을 중심으로 결합되는 기구틀(600)과 걸음편(400)들 중에서 한쪽의 걸음편(400)의 톱니(410)가 상기 이동고리(100)의 이빨(111)과 결합가능하게 되며, 또한 다른 쪽의 걸음편(400)의 톱니(410)는 상기 이동고리(100)의 대응되는 이빨(111)과 결합가능하게 된다.
이때, 격판(300)의 구획벽(320)은 상기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을 구획하는 간막이홈(120)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안내하게 되며, 초기에 가름턱(321)에 의하여 안내되어 이동고리이동통로(700)를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고리(100)의 톱니이빨(111)이 걸음편(400)에 맞물림된 상태에서 화살표시방향으로 키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레버(800)를 밀어 넣으면 슬라이드레버(800)의 하향돌출편(810)이 걸음편(400)의 상향걸림돌출편(440)과 접촉되어 걸음편(400)의 이빨이 이동고리의 이빨과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어 이동고리(100)를 강제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키구동홈(650)에 키(900)를 넣어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버(800)를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걸음편(400)과 슬라이드레버(800)의 고정을 해지할 수 있게 되며, 이동고리(100)를 몸체(220)로 밀어 넣으면 이동고리(100)의 톱니이빨(111)이 걸음편(400)의 래치트톱니(410)를 넘어서 이동가능하게 되며, 이때 걸음편(400)의 고정축(450)을 중심으로 유동하여 이동고리(100)의 톱니이빨(111)의 래치트 이동을 허락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키(9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키(900)가 걸음편(400)의 걸림턱(420)을 들어올려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고리(100)의톱니이빨(111)의 이동을 완전히 허락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판(300)의 가름턱(321)에 연이어서 절결경사턱(322, 323)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도 2 와 같이 앞쪽의 절결경사턱(322)이 전방으로 경사지면서 하향절결되어 외부에서 얇은 판 또는 폭이 좁은 판재가 이동고리이동통로(700)로 진입되더라도, 상기 절결경사턱(322)이 이동고리이동통로(700)의 틈새를 최소화하고 있어서 불법 해지물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상기 이동고리이동통로(700)에 외부로부터 머리핀 등과 같은 미세한 핀 또는 철편이 밀어 넣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상기 걸음편의 해지에 의하여 수갑을 무단으로 해지할 수 없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슬라이드레버에 의하여 장착할 수 없었던 격판을 예를들어 슬라이드레버가 수갑몸체의 측면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격판의 일측을 절결하여 슬라이드레버가 슬라이드이동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함으로써, 수갑의 이동고리의 톱니이빨을 간막이홈으로 구획하여 이중으로 형성하여, 톱니이빨의 간막이홈이 격판에 슬라이드 안내는 동시에, 수갑몸체내의 걸음편도 상기 톱니이빨과 대응되는 2개의 걸음편이 각각 탄성력있게 분리 구동되도록 하고, 또한 이동고리의 톱니이빨이 슬라이드 안내이동하는 격판에 좌,우절결경사턱을 형성하여 이동고리의 래치트부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유지면서 그의 통로의 틈새를 다단으로 최소화하여 얇은 판이나 핀 등의 강제해지용 부재의 투입으로 인하여 이동고리의 래치트부와 걸음편의 이빨의 사이로 투입되어 이맞물림이 강제로 해지되는 것을 막을 수있도록 함으로써, 제 2, 제 3 의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2)

  1. 반원호 형상을 이루며 한쪽에 톱니이빨(111)이 2중으로 다수 형성된 래치트부(110)를 가지는 이동고리와; 또한 반원호 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고리(100)의 다른 한쪽에 회동축(210)으로 연결되며, 이 회동축(210)에 한쪽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한쪽에 장방형상의 몸체(220)가 일체로 형성된 1쌍의 고정고리(200)와; 이 1쌍의 고정고리의 몸체내의 기구틀들에 걸음편이 판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장착되고, 상기 걸음편(400)을 강제 구속할 수 있는 슬라이드레버(800);로 구성된 수갑에 있어서,
    상기 기구틀(600)들의 사이에 일측이 절결된 절결부(340)를 가지는 격판(300)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3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획벽(320)의 가름턱(321)에 연이어서 좌,우로 절결한 좌,우절결경사턱(322, 323)이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통로(700)에서 이동고리(100)의 래치트부(110)의 이빨(111)과의 틈새를 최소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름턱(321)과 좌,우로 절결한 좌,우절결경사턱(322, 323)은 상기 격판(300)의 구획벽(320)의 전,후방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
KR20-2003-0000061U 2003-01-02 2003-01-02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 Expired - Fee Related KR200308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061U KR200308788Y1 (ko) 2003-01-02 2003-01-02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061U KR200308788Y1 (ko) 2003-01-02 2003-01-02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788Y1 true KR200308788Y1 (ko) 2003-03-28

Family

ID=4940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061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8788Y1 (ko) 2003-01-02 2003-01-02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7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794B1 (ko) 2012-04-09 2012-10-08 이종용 수갑형 통신선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선로 감시 시스템
KR102756964B1 (ko) * 2024-02-08 2025-01-21 주식회사 테라원 키 걸림 방지 타입의 수갑 및 키 걸림 방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794B1 (ko) 2012-04-09 2012-10-08 이종용 수갑형 통신선로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선로 감시 시스템
KR102756964B1 (ko) * 2024-02-08 2025-01-21 주식회사 테라원 키 걸림 방지 타입의 수갑 및 키 걸림 방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4931B2 (en) Rekeyable lock cylinder assembly with adjustable pin lengths
CA2621975C (en) A multifunctional lock
US20080314106A1 (en) Programmable lock cylinder assembly
MX2010010593A (es) Cerradura de cilindro y mecanismo de cierre auxiliar.
US8056378B2 (en) Rekeyable lock cylinder and rekeying method thereof
KR200261652Y1 (ko) 해지방지용 수갑
KR20070084173A (ko) 키 재설정 가능 잠금 실린더
CA2859987C (en) Combination lock
KR200308788Y1 (ko) 슬라이드레버를 가지는 수갑
EP1365091A1 (en) Flexible shackle with a replaceable shackle and a replaceable lock core
KR200344023Y1 (ko) 무단해지방지용 수갑
KR100488579B1 (ko) 해지방지용 수갑
KR200263671Y1 (ko) 해지방지용 수갑
KR200261653Y1 (ko) 해지방지용 수갑
KR100503750B1 (ko) 해지방지용 수갑
KR200257618Y1 (ko) 해지방지용 수갑
KR100488577B1 (ko) 해지방지용 수갑
KR100539171B1 (ko) 수갑
KR100488578B1 (ko) 해지방지용 수갑
AU2010201641B9 (en) A Latch and a Latchset
JP5008341B2 (ja) 可変シリンダ錠
KR200346981Y1 (ko) 수갑의 잠금해제스프링
KR200375214Y1 (ko) 곡면 걸음편을 가지는 수갑
KR200379233Y1 (ko) 무단해제편 유입방지 수갑
KR200279056Y1 (ko) 수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1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3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1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42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630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