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7628Y1 -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628Y1
KR200307628Y1 KR20-2002-0038965U KR20020038965U KR200307628Y1 KR 200307628 Y1 KR200307628 Y1 KR 200307628Y1 KR 20020038965 U KR20020038965 U KR 20020038965U KR 200307628 Y1 KR200307628 Y1 KR 200307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kraft paper
zone
paper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건기
Original Assignee
명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8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6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37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polyacryl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Abstract

강도가 좋은 종이를 2 내지 4겹 중첩하여 제조하는 중포장 지대에 있어서, 외지(外紙)의 미끄럼성을 감소시킨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가 개시된다. 상기 중포장용 지대에 있어서, 외지는 30 내지 80중량%의 세미화학 펄프 및 20 내지 70중량%의 재활용 펄프, 버진 펄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펄프로 이루어지며, 내지는 A크라프트지, 일반 크라프트지 및 B 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Anti-slip and heavy duty bag}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重包裝) 지대(紙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도가 큰 종이를 2 내지 4겹 중첩하여 제조하는 중포장 지대에 있어서, 외지(外紙)의 미끄럼성을 감소시킨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에 관한 것이다.
중포장 지대는 시멘트, 사료, 제당, 제분, 화학 등 무거운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지대로서, 통상적으로 크라프트지와 같은 강도가 강한 종이를 2 내지 4겹 중첩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은 중포장 지대의 제조에 사용되는 크라프트지는 화학펄프의 일종으로서, 무거운 내용물을 수용하고도 포장이 터지지 않도록 충분한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도 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크라프트지로 제조한 중포장 지대는 표면이 미끄러우므로, 무거운 내용물을 넣고 적층하면 서로 미끄러져 다수의 중포장 지대를 적층하여 쌓기 곤란하고, 이와 같은 문제점은 무거운 내용물을 넣은 지대를 작업 환경상 비스듬히 적층하여야 할 경우에 특히 심각한 문제를 유발한다. 또한 물류 및 적재 시스템 국제 규격화, 단일화에 의하여,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이동 중, 상품의 미끄럼 방지 기능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지대의 미끄럼 방지 문제가 제품의 운반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크라프트지로 제조한 중포장 지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포장 지대의 외지를 이루는 크라프트지에 유, 무기 소재를 코팅하거나 함침하는 기술,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콜로이드 실리카를 지류에 표면 및 내부에 첨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코팅이나 함침 처리하는 추가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여 일반적인 범용 제품에 적용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층하여 쌓은 경우, 또는 비스듬한 상태로 적재하는 경우에도 미끄러지지 않는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절개 정면도 및 상기 지대의 한쪽 면에 대한 횡단면도.
도 3 및 4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절개 정면도 및 상기 지대의 한쪽 면에 대한 횡단면도.
도 5 및 6는 각각 본 고안에 따라 외지와 내지 만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용 지대를 보여주기 위한 절개 정면도 및 상기 지대의 한쪽 면에 대한 횡단면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포장용 지대에 있어서, 외지는 30 내지 80중량%의 세미화학 펄프 및 20 내지 70중량%의 재활용 펄프, 버진 펄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펄프로 이루어지며, 내지는 A 크라프트지, 일반 크라프트지 및 B 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중포장 지대는 내지와 외지 사이에 A 크라프트지, 일반 크라프트지 및 B 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 1 내지 3장의 속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용 펄프는 지대의 외지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강도와 인쇄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1차 재활용 펄프, 2차 재활용 펄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지는 양이온계 고분자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지력증강제, 양이온성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상기 세미화학 펄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절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대의 한쪽 면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지대는 30 내지 80중량%의 세미화학 펄프 및 20 내지 70중량%의 재활용 펄프("고지 펄프"라고도 한다.) 또는 버진 펄프(Virgin Pulp)로 이루어진 외지(10), B-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 2장의 속지(20, 22), 및 A-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 내지(30)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40은 재봉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지대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절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대의 한쪽 면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지대는 30 내지 80중량%의 세미화학 펄프 및 20 내지 70중량%의 재활용 펄프 또는 버진 펄프로 이루어진 외지(10), OY 크라프트지, GKP 등의 B-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 한 장의 속지(20), 및 일반 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 내지(30)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40은 재봉부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중포장 지대를 구성하는 2 내지 4플라이 지대의 외지(10, 최겉지)에 세미화학 펄프(Semi Chemical Pulp: SCP)를 포함시킴으로서, 외지(10) 표면의 거칠음도를 증가시켜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여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의 외지(10)는 30 내지 80중량%의 세미화학 펄프 및 20 내지70중량%의 재활용 펄프, 버진 펄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펄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세미화학 펄프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외지(10) 표면의 거칠음도가 충분하지 않아 지대가 미끄러지기 쉬우며, 8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외지(10)의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도 등 물리적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세미화학 펄프(Semi Chemical Pulp: SCP)는 펄프 원료를 단시간의 화학적 처리에 의하여 조직을 연화(軟化)시키고 기계적 처리를 병용하여 제조한 펄프를 말하며, 통상 세미그라운드 펄프라고도 한다. 세미화학 펄프는 침엽수 대신에 활엽수를 사용하여, 고수율(高收率)로 값싼 펄프를 제조할 목적으로 미국에서 발전하였다. 세미화학 펄프의 화학처리에는 각종 처리약품이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중성 아황산염 완충용액 속에서 가압, 증해한 후, 칩 형태의 펄프를 리파이너로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최종 펄프로 만든다. 세미화학 펄프 속의 셀룰로오스 함유량은 쇄목(碎木) 펄프와 화학 펄프의 중간이고, 리그닌이 상당량 잔존하고 있다. 또한, 헤미셀룰로오스가 다량으로 잔존하고 있기 때문에 섬유 사이의 접착성이 강하여, 강도가 높은 종이를 만들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골판지 원료로 사용되고, 표백한 것은 신문용지, 일반모조지의 원료로 사용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이 단독으로 골판지, 신문용지, 일반모조지 등의 원료로만 사용되던 세미화학 펄프를 재활용 펄프 또는 버진 펄프와 혼합하여 지대의 외지(10)를 제조함으로써, 외지(10)의 표면을 거칠게 하여 지대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대로서 적절한 인장 강도 등 물리적 특징을 가지도록 하였다.
세미화학 펄프와 함께 본 고안에 따른 지대의 외지(10)를 구성하는 재활용 펄프는 1차 재활용 펄프(통상 AOCC라 한다.), 2차 재활용 펄프(통상 KOCC라 한다.)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재활용 펄프를 대신하여 또는 재활용 펄프와 함께 혼합하여, 종이로 가공되기 이전의 버진 펄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1차 재활용 펄프(AOCC)는 백상지 등을 주원료로 하는 재활용 폐지로서, 신문지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 주로 장섬유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2차 재활용 펄프(KOCC)는 신문지 등을 주원료로 하는 재활용 폐지로서, 주로 단섬유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재활용 펄프와 세미화학 펄프를 혼합하여 외지(10)를 제조하는 경우, 세미화학 펄프의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표면의 거칠음도가 증가하고, 미끄럼 방지 기능은 향상되나, 인쇄 물성 저하, 인장 강도 저하 등을 가져올 수 있으며, 특히 세미화학 펄프와 함께 사용되는 펄프가 2차 재활용 펄프(KOCC)일 경우 이와 같은 물성의 저하는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지(10)의 물리적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양이온계 고분자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지력증강제, 양이온성 전분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면, 염료와 안료의 고착 능력을 증가시켜 인쇄 적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계 고분자 아크릴 공중합체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쿼터너리나이트로젠 화합물이 2개 이상 아크릴 원료와 중합된 공중합체이다. 상기 첨가제의 첨가량은 세미화학 펄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첨가제의 첨가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인쇄 적성 및 지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3중량부를 초과하면 지력제 등 첨가제의 펄프 내로의 확산 및 지력 증강에 한계를 드러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지대의 외지는 통상의 종이 제조 공정과 유사하게, 세미화학 펄프와 재활용 펄프 또는 버진 펄프 원료를 해리하고, 농축한 다음, 초지를 제조하고, 압착, 탈수, 건조 및 재단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종이 제조공정에서는 종이의 강도 및 표면의 외관을 증가시키기 위한 캘린더링 공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지대의 제조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는, 원지 제조 공정 중, 종이 면을 매끄럽게 해주는 칼린더링 공정을 부분적으로 배제하여, 미끄럼 방지 및 종이의 거칠음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한면에 대하여만 캘린더링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의 속지 및/또는 내지(內紙)는 A 크라프트지, 일반 크라프트지, B 크라프트지 등 통상의 지대 속지 또는 내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A 크라프트지는 버진 펄프를 100% 사용하여 만든 크라프트지이고, 상기 일반 크라프트지는 버진 펄프 60 내지 70중량%에 1차 재활용 펄프(AOCC) 30 내지 40중량%가 배합된 크라프트지이다. 또한 B-크라프트지는 각종 지대의 내지 및 속지, 골판지의 표피 또는 PP 우븐백의 샌드위치 페이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상 1차 재활용 펄프(AOCC) 0 내지 40중량% 및 2차 재활용 펄프(KOCC)를 60 내지 100중량%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는 OY 크라프트지, GKP (Green Kraft Paper, 그린크라프트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지대는 미끄럼 방지할 수 있는 외지(10)를 포함하며, 기타 속지(20) 및 내지(30)는 지대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멘트 포대와 같이, 높은 인장강도를 요구하는 지대의 경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지대를 제조하되, 2장의 속지(20, 22) 및 내지(30)를 모두 A-크라프트지로 제조할 수 있으며, 설탕, 밀가루 포대의 경우 2장의 속지(20, 22)를 B-크라프트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내용물의 무게가 가벼운 사료 포대의 경우에는 실시예 2와 같은 구조의 지대를 제조하되, 1장의 속지(20) 및 내지(30)를 B-크라프트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지(10)와 내지(30) 만으로 본 고안의 지대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외지(10)와 내지(30)가 필요로 하는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가지도록 외지(10) 및/또는 내지(3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지대에 있어서, 지대의 상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재봉부(40)는 통상의 지대에서와 같이 크립테이프와 휠라코드를 대고 면실로 재봉한 마감처리 부분으로서, 필요에 따라 일반 크라프트지를 띠로 만들어서 보강지로 사용할 수 있다. 보강지는 상기 크립테이프보다 약간 작은 폭으로 만들어 지대 입구를 감싸듯이 밀착시키고, 크립테이프 및 휠라코트를 덧대어 봉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지대는 동일한 구조의 일반 지대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반면, 월등한 미끄럼 방지 성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와 같은 구조의 지대를 제조하되,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지대로서 외지(10)는 약 50중량%의 세미화학 펄프 및 약 50중량%의 버진 펄프로 제조하고, 1장의 속지(20) 및 내지(30)를 B-크라프트지로 제조한 경우("본 고안 제품"이라 한다)와, 종래의 지대로서 외지를 일반 크라프트지로 제조하고, 1장의 속지 및 내지를 B-크라프트지로 제조한 경우("종래 제품"이라 한다)의 인장 강도 및 미끄럼 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장 강도(세로) 인장 강도(가로) 마찰계수
본 고안 제품 5.77 3.43 0.945
종래 제품 5.75 3.44 0.815
이때 인장 강도(단위: kgf/cm2)는 포장 일반 산업 규격 M7014-80 종이 판지의 인장 강도 시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미끄럼성은 포장 일반 산업 규격 M7135-90 종이 및 판지의 마찰계수 시험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상기 표 1의 수치는 각 물성치를 5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1로부터, 본 고안에서와 같이 외지를 세미화학 펄프를 포함시켜 제조하면, 인장강도는 종래 제품과 유사하나 미끄럼성은 현저히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는 적층하여 쌓은 경우, 또는 비스듬히 적재하는 경우에도 미끄러지지 않아, 제품의 운반, 적재, 보관 등에 유리하며, 비교적 저렴한 세미화학 펄프를 사용하여 외지를 제조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중포장 지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는 시멘트, 제당, 제분, 사료, 양곡, 화학, 제지 등의 포장에 유용하다.

Claims (5)

  1. 중포장용 지대에 있어서, 외지는 30 내지 80중량%의 세미화학 펄프 및 20 내지 70중량%의 재활용 펄프, 버진 펄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펄프로 이루어지며, 내지는 A 크라프트지, 일반 크라프트지 및 B 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포장 지대는 내지와 외지 사이에 A 크라프트지, 일반 크라프트지 및 B 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크라프트지로 이루어진 속지를 더욱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펄프는 1차 재활용 펄프, 2차 재활용 펄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지는 양이온계 고분자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지력증강제, 양이온성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상기 세미화학 펄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중량부 포함하는 것인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지는 종이 제조공정 중 편면 및 양면의 캐린더링 공정이 배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
KR20-2002-0038965U 2002-12-30 2002-12-30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 KR200307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965U KR200307628Y1 (ko) 2002-12-30 2002-12-30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965U KR200307628Y1 (ko) 2002-12-30 2002-12-30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628Y1 true KR200307628Y1 (ko) 2003-03-17

Family

ID=4933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965U KR200307628Y1 (ko) 2002-12-30 2002-12-30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6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760U (ko) 2017-03-16 2018-10-01 김온순 고평량의 라이너지(klb)를 이용한 배송용 포장 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760U (ko) 2017-03-16 2018-10-01 김온순 고평량의 라이너지(klb)를 이용한 배송용 포장 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4253B2 (en) A pigment coated paperboard adapted for sterilizable packages
RU2202021C2 (ru) Бумажный или картонный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US6207242B1 (en) Laminated package with enhanced interior and exterior
ES2379897T5 (es) Método para producir un producto de papel
JP4828769B2 (ja) 紙または厚紙の積層体およびこの積層体の製造方法
EP3202979B1 (en) Liquid packaging paper
US4489120A (en) Archival container construction material
US7967949B2 (en) Packaging device and method for absorbing moisture
EP0994981B1 (en) Cardboard having great rigidity and packing made thereof
US7348067B1 (en) Composite paperboards and method of making composite paperboards
KR100858041B1 (ko) 성형가공 원지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성형가공된 종이용기
CA3214122A1 (en) Packaging paper
KR200307628Y1 (ko) 미끄럼 방지용 중포장 지대
CN1593910B (zh) 载带材料及载带
US20040157014A1 (en) Packaging device and method for absorbing moisture
JP2001073299A (ja) 嵩高板紙
US5085367A (en) Corrugated cardboard boxes with increased compression strength
KR101464346B1 (ko) 월보드의 제조 방법
JP2009161871A (ja) 防滑板紙
SK16352001A3 (sk) Spôsob vytvárania rýh v baliacom laminátovom materiáli, baliaci laminát a balenie
US20030129332A1 (en) Packaging device and method for absorbing moisture
SE545997C2 (en) Pallet outer packaging paper
KR100765693B1 (ko) 다층 크라프트지를 이용한 포장 지대
KR200346566Y1 (ko) 다층 크라프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지대
EP4286585A1 (en) White top kraftliner paper, method for producing said paper, use of the paper and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2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3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2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