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102Y1 - Automatic slot machine for instant noodle - Google Patents
Automatic slot machine for instant nood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7102Y1 KR200307102Y1 KR20-2002-0034208U KR20020034208U KR200307102Y1 KR 200307102 Y1 KR200307102 Y1 KR 200307102Y1 KR 20020034208 U KR20020034208 U KR 20020034208U KR 200307102 Y1 KR200307102 Y1 KR 20030710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ramen
- basket
- coupled
- lid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5000008446 instant noodles Nutrition 0.000 title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027/006—Cooking-vessels e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pas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고안은 라면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송용 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체인으로 지지대에 의해 결합된 바스켓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용기 투출장치로 부터 투출되는 용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뒤 용기의 내부로는 라면 투출장치로 부터 투출되는 라면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라면이 담겨진 용기에는 승강용 모우터와 연결된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이에 맞물려진 래크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뚜껑체를 하강시켜 용기의 상측부를 폐쇄하도록 한뒤 뚜껑체에 결합된 물공급관과 스프공급관으로 설정된 량만큼의 물과 스프를 용기의 내부로 공급하게 하고 뚜껑체에 결합된 히터에는 전원이 공급되면서 발열하여 용기 내부의 라면,스프,물들을 설정된 시간동안 가열을 하여 끓인 다음에는 승강용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뚜껑체를 상승시켜 용기의 상측부를 개방하게 하고 곧이어 이송용 모우터를 다시 가동시켜서 라면이 담긴 용기 및 바스켓을 기체의 인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자동으로 끓여진 라면을 인출하여 먹을 수 있도록 된 라면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This issue relates to a ramen vending machine. In particular, a basket coupled by a support is a chain moved by the operation of a transfer motor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fed from the container dispensing device while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ramen discharged from the ramen dispensing device can be supplied to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ramen is lowered the lid body while the rack engaged with it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connected to the lifting motor in a linear motion After closing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supply pipe coupled to the lid body and the amount of water to the soup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heater coupled to the lid body is heated to generate heat if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fter boiling the soup and water for a set time, the lid body is operated by the lifting motor. To raise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and immediately start the transfer motor so that the container and basket containing the ramen can be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gas outlet,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and eat the automatically boiled ramen. Ramen vending machines are served.
Description
본고안은 라면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송용 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체인으로 지지대에 의해 결합된 바스켓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용기 투출장치로 부터 투출되는 용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뒤 용기의 내부로는 라면 투출장치로 부터 투출되는 라면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라면이 담겨진 용기에는 승강용 모우터와 연결된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이에 맞물려진 래크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뚜껑체를 하강시켜 용기의 상측부를 폐쇄하도록 한뒤 뚜껑체에 결합된 물공급관과 스프공급관으로 설정된 량만큼의 물과 스프를 용기의 내부로 공급하게 하고 뚜껑체에 결합된 히터에는 전원이 공급되면서 발열하여 용기 내부의 라면,스프,물들을 설정된 시간동안 가열을 하여 끓인 다음에는 승강용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뚜껑체를 상승시켜 용기의 상측부를 개방하게 하고 곧이어 이송용 모우터를 다시 가동시켜서 라면이 담긴 용기 및 바스켓을 기체의 인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자동으로 끓여진 라면을 인출하여 먹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용기와 라면의 공급 및 물과 스프의 공급 그리고 가열에 이르기 까지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라면을 인출하여 먹을 수 있으며 히터가 용기 내부의 물에 잠기면서 물과 스프 그리고 라면들을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신속하게 라면을 끓일 수 있어 끓여진 라면을 신속하게 자판기로 부터 뽑아 먹을 수 있고 모터에 의해 바스켓과 뚜껑체를 운동시키기 때문에 정확한 동작을 얻을 수 있어 오동작의 우려를 일소하는 동시에 잔고장의 우려가 없도록 된 라면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This issue relates to a ramen vending machine. In particular, a basket coupled by a support is a chain moved by the operation of a transfer motor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fed from the container dispensing device while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ramen discharged from the ramen dispensing device can be supplied to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ramen is lowered the lid body while the rack engaged with it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connected to the lifting motor in a linear motion After closing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supply pipe coupled to the lid body and the amount of water to the soup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heater coupled to the lid body is heated to generate heat if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fter boiling the soup and water for a set time, the lid body is operated by the lifting motor. To raise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and immediately start the transfer motor so that the container and basket containing the ramen can be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gas outlet,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and eat the automatically boiled ramen. It is easy to take out and eat ramen because all the process is done automatically, such as supply of container and ramen, supply of water and soup, and heating, and water, soup and ramen Because it is a direct heating method, the ramen can be boiled quickly. The boiled ramen can be quickly taken out of the vending machine and eaten. The basket and the lid are moved by the motor, so the correct operation can be obtained. To the ramen vending machine Will.
종래의 라면 자동판매기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진다.Conventional ramen vending machines have a very complicated configuration.
상기와 같이 복잡한 구성에 의해 오동작이 수시로 발생되었었고 잔고장도 많이 발생되어 잦은 수리와 보수를 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Due to the complex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lfunctions were frequently generated, and a lot of troubles were generated, which had problems of frequent repairs and repairs.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라면 용기를 슬라이딩시켜 전열판에 안착시킨뒤 상기 전열판의 발열에 의해 용기 내부의 라면을 가열하는 간접 가열 방식이기 때문에 가열시 오랜시간이 소요되어진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iques require a long time when heating because the indirect heating method for sliding the ramen container seated on the heat transfer plate and then heat the ramen inside the container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transfer plate.
따라서, 상기 라면 자동판매기에서 라면을 뽑아 먹는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should be spent to extract the ramen from the ramen vending machine.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The purpose of this article to solve and complement these conventional problems,
용기와 라면의 공급 및 물과 스프의 공급 그리고 가열에 이르기 까지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간편하게 라면을 인출하여 먹을 수 있으며 히터가 용기 내부의 물에 잠기면서 물과 스프 그리고 라면들을 직접 가열하는방식이므로 신속하게 라면을 끓일 수 있어 끓여진 라면을 신속하게 자판기로 부터 뽑아 먹을 수 있고 모우터에 의해 바스켓과 뚜껑체를 운동시키기 때문에 정확한 동작을 얻을 수 있어 오동작의 우려를 일소하는 동시에 잔고장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All the processes from the supply of containers and ramen, the supply of water and soup, and the heating are done automatically so that you can take out the ramen more easily and eat the water. Because it is a quick way to boil ramen quickly, you can quickly brew boiled ramen from the vending machine and eat the basket and the lid by the motor to get the correct motion. Provide the purpose of avoiding concer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이송용 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체인으로 지지대에 의해 결합된 바스켓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용기 투출장치로 부터 투출되는 용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뒤 용기의 내부로는 라면 투출장치로 부터 투출되는 라면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라면이 담겨진 용기에는 승강용 모우터와 연결된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이에 맞물려진 래크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뚜껑체를 하강시켜 용기의 상측부를 폐쇄하도록 한뒤 뚜껑체에 결합된 물공급관과 스프공급관으로 설정된 량만큼의 물과 스프를 용기의 내부로 공급하게 하고 뚜껑체에 결합된 히터에는 전원이 공급되면서 발열하여 용기 내부의 라면,스프,물들을 설정된 시간동안 가열을 하여 끓인 다음에는 승강용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뚜껑체를 상승시켜 용기의 상측부를 개방하게 하고 곧이어 이송용 모우터를 다시 가동시켜서 라면이 담긴 용기 및 바스켓을 기체의 인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자동으로 끓여진 라면을 인출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면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 basket, which is joined by the support, is a chain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otor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supplied from the container dispensing device while performing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ramen can be supplied to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ramen, and the rack engaged by the pinion connected to the lifting motor moves downward to close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while linearly moving, and then is coupled to the lid.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soup supply pipe supply the amount of water and soup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heater coupled to the lid generates heat by heating the ramen, soup, and water in the container for a predetermined time. Next, the lid is raised by the lifting motor to ope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y operating the air transfer motor again, the container and the basket containing the ramen can be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gas outlet,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the automatically boiled ramen and eat the purpose of this paper. .
도1은 본고안 라면 자동 판매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nding ramen vending machine
도2는 본고안 라면 자동 판매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ramen vending
도3내지 도9는 본고안 라면 자동 판매기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3 to 9 is a function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ending ramen vending machine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1-지지케이스 102-안내공101-Support Case 102-Guide
103-브라켓 111-이송용 모우터103-Bracket 111-Motor
112-감속기 113-출력축112 reducer 113 output shaft
114-구동스플로킷 115-체인114-Drive Sprocket 115-Chain
116-연동스플로킷 117-연동축116 Interlocking Sprockets
121-바스켓 122-배출관121-Basket 122-Drain
123-지지대 125-지지판123-support 125-support plate
126-로울러 131-고정판126-roller 131-fixed plate
132-프레임 133-지지판132-frame 133-support plate
134-이동공 135-고정핀134-hole 135-pinning pin
141-승강용 모우터 142-감속기141-Elevation Motor 142-Reduction Gear
143-구동축 144-피니언143-drive shaft 144-pinion
151-래크 152-승강공151-Lack 152-Elevator
153-승강대 154-뚜껑체153- Platform 154-lid
155-히터 156-물공급관155-heater 156-water supply pipe
157-스프공급관 161-용기157-soup supply line 161-container
162-라면162-Ramen
본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용기 투출장치로 부터 투출되는 용기(161)를 공급받은뒤 용기(161)의 내부로라면 투출장치로 부터 투출되는 라면(162)을 공급받기 위해 설치되는 바스켓(121)과,After receiving the container 161 to be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dispensing apparatus an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161, the basket 121 is installed to receive the ramen 162 discharged from the dispensing apparatus;
상기 바스켓(121)을 직선상으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바스켓의 이동수단과,A basket moving means for reciprocating the basket 121 in a straight line;
상기 바스켓(121)에 안착된 용기(161)의 상측부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설치되는 뚜껑체(154)와,A lid body 154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61 seated on the basket 121;
상기 뚜껑체(154)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뚜껑체의 승강수단과,Lifting means of the lid body for elevating the lid body 154 up and down,
상기 뚜껑체(154)에 결합되어 바스켓(121)의 용기(161)내부로 물과 스프를 공급하는 물공급관(156)및 스프공급관(157)과,A water supply pipe 156 and a soup supply pipe 157 that are coupled to the lid 154 and supply water and soup into the container 161 of the basket 121,
상기 물공급관(156)및 스프공급관(157)에 의해 용기(161)내부로 공급된 물과 스프 및 라면(162)을 가열하기 위해 뚜껑체(154)에 결합되는 히터(155)를 구비한 구성이다.The water supply pipe 156 and the soup supply pipe 157 is provided with a heater 155 coupled to the lid body 154 to heat the soup and the ramen 162 and the water supplied into the container 161. to be.
그리고, 상기 바스켓의 이동수단은 바스켓(121)의 외주연부로 일측을 부착하고 있는 지지대(123)와,And, the moving means of the basket is a support 123 attached to one side to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basket 121,
상기 지지대(123)의 타측부를 지지케이스(101)의 안내공(102)을 통과시켜서 고정하고 있는 체인(115)과,The chain 115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123 by passing the guide hole 102 of the support case 101;
상기 체인(115)을 결합하고 있는 지지케이스(101)양측의 출력축(113)과 연동축(117)에 결합된 구동스플로킷(114)및 연동스플로킷(116)과,A drive sprocket 114 and an interlocking sprocket 116 coupled to the output shaft 113 and the interlocking shaft 117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case 101 to which the chain 115 is coupled;
상기 체인(115)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스플로킷(114)의 출력축(113)과 연결되는 브라켓(103)에 고정된 감속기(112)와,A reducer 112 fixed to the bracket 103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113 of the drive sprocket 114 to move the chain 115;
상기 감속기(112)를 작동시키기 위해 감속기(112)에 결합되는 이송용 모우터(111)로 구비하였다.It was provided as a transfer motor 111 coupled to the speed reducer 112 to operate the speed reducer 112.
또한, 상기 바스켓(121)의 안정되고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바스켓(121)의 저부로 부착된 지지판(125)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로울러(126)를 더 구비하였다.In addition, the roller 121 was further provided with a roller 126 that is coupled and rotated to the support plate 125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asket 121 for a stable and smooth movement of the basket 121.
그리고, 상기 바스켓(121)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바스켓(121)의 저부로 연결되는 배출관(122)을 더 구비하였다.Further, a discharge pipe 122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asket 121 was further provided to allow the water supplied to clean the inside of the basket 121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뚜껑체의 승강수단은 뚜껑체(154)와 승강대(153)로 연결되어 있고 기체에 고정된 고정판(131)의 프레임(132)내부로 장착되어 있는 래크(151)와,In addition, the lifting means of the lid body is connected to the lid body 154 and the lifting table 153 and the rack 151 is mounted inside the frame 132 of the fixed plate 131 fixed to the body;
상기 래크(151)를 승강시키기 위해 래크(151)와 맞물림되는 피니언(144)과,A pinion 144 meshed with the rack 151 to elevate the rack 151,
상기 피니언(144)을 회전시키기 위해 피니언(144)과 구동축(143)을 연결하고 있는 프레임(132)에 고정된 감속기(142)와,A reducer 142 fixed to the frame 132 connecting the pinion 144 and the drive shaft 143 to rotate the pinion 144,
상기 감속기(142)를 작동시키기 위해 감속기(142)에 결합되는 승강용 모우터 (141)로 구비하였다.Elevated motor 141 coupled to the reducer 142 to operate the reducer 142 was provided.
그리고, 상기 래크(151)의 승강 범위를 단속하기 위해 프레임(132)의 일측면과 지지판(133)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고정핀(135)과,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pins 135 connecting one side of the frame 132 and the support plate 133 to control the lifting range of the rack 151,
상기 고정핀(135)들 사이로 결합되는 래크(151)에 형성된 승강공(152)을 더 구비하였다.It was further provided with a lifting hole 152 formed in the rack 151 coupled between the fixing pins 135.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먼저, 바스켓(121)과 뚜껑체(154)의 초기 위치는 도3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직선상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First, the initial positions of the basket 121 and the lid 154 are maintained in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즉, 상기의 뚜껑체(154)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그 하측부에바스켓(121)이 위치되어 있게 된다.That is, the lid 154 is moved to the upper side and the basket 121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thereof.
상기와 같은 초기의 위치에서 라면 자동 판매기의 코인통(도시안됨)으로 사용자가 코인을 투입하고 라면 선택 보턴을 누르면 콘트롤박스의 지시에 의해 지지케이스(101)의 브라켓(103)으로 장착된 이송용 모우터(111)가 구동을 하게 된다.If the user puts the coin into the coin box (not shown) of the ramen vending machine at the initial position as described above and presses the select button, the transfer box is mounted to the bracket 103 of the support case 101 by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box. The motor 111 is driven.
상기 이송용 모우터(111)가 구동되면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감속기(112)에 의해 감속된뒤 출력축(113)으로 출력되어진다.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while the transfer motor 111 is driven is decelerated by the reducer 112 and then output to the output shaft 113.
그리고, 상기 출력축(113)으로 출력되는 회전력은 구동스플로킷(114)을 회전시키고 아울러 구동스플로킷(114)과 연동축(117)의 연동스플로킷(116)을 연결하고 있는 체인(115)이 이동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force output to the output shaft 113 rotates the drive sprocket 114 and the chain connecting the drive sprocket 114 and the interlocking sprocket 116 of the interlocking shaft 117 ( 115) will move.
또한, 상기 체인(115)의 이동에 의해 체인(115)과 지지대(123)로 연결되어 있는 바스켓(121)도 이동을 시작하면서 도4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동스플로킷(114)방향으로 바스켓(121)이 이동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asket 121 connected to the chain 115 and the support 123 by the movement of the chain 115 also starts to move, and the basket (121)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sprocket 114 as shown in FIG. 121) is moved.
즉, 상기 바스켓(121)과 체인(115)을 연결하고 있는 지지대(123)는 지지케이스(101)의 안내공(102)을 관통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의 지지대(123)는 안내공 (102)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support 123 connecting the basket 121 and the chain 115 is coupled through the guide hole 102 of the support case 101, the support 123 is the guide hole 102.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can be performed inside the.
상기와 같은 바스켓(121)은 일정 거리를 이동한 후에는 센서(도시안됨)의 감지작용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를 하게 된다.The basket 121 stops at a position set by a sensing action of a sensor (not shown) after mo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와 같이 바스켓(121)이 정지를 하게 되면 용기 투출장치(도시안됨)에서 한개의 용기(161)가 투출되면서 바스켓(121)의 내부로 용기(161)가 도4에 나타낸 바와같이 안착이 되어진다.When the basket 121 is stopped as described above, one container 161 is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dispensing apparatus (not shown), and the container 161 is seated in the basket 121 as shown in FIG. Lose.
그리고, 상기 바스켓(121)에 용기(161)가 안착되면 다시 이송용 모우터(111)가 작동되면서 바스켓(121)및 용기(161)를 연동스플로킷(116)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When the container 161 is seated on the basket 121, the transfer motor 111 is operated again to move the basket 121 and the container 161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sprocket 116.
상기와 같이 연동스플로킷(116)방향으로 이동되는 바스켓(121)및 용기(161)는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한 후에는 센서의 감지작용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서 도5와 같이 정지를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basket 121 and the container 161 which ar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sprocket 116 are moved by a set distance, the basket 121 and the container 161 are stopped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정지하고 있는 바스켓(121)의 용기(161)내부로는 라면 투출장치(도시안됨)에서 투출되는 한개의 라면(162)이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기(161)내부로 떨어지면서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a single ramen 162 discharged from the ramen dispensing apparatus (not shown) is dropped into the container 161 inside the container 161 of the basket 121 that is stopp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located.
또한, 상기 용기(161)의 내부로 라면(162)을 공급받은 뒤에는 다시 이송용 모우터(111)가 작동되면서 바스켓(121)과 용기(161)를 이동시켜 도6에 나타낸 바와같이 뚜껑체(154)와 일직선상으로 놓이도록 한다.In addition, after the ramen 162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61, the transfer motor 111 is operated again to move the basket 121 and the container 161 to cover the lid body as shown in FIG. 154) to be in line with.
상기와 같이 바스켓(121)과 라면(162)을 담고 있는 용기(121)가 뚜껑체(154)와 일직선상으로 놓이면 고정판(131)에 장착된 승강용 모우터(141)가 작동을 개시 하면서 감속기(141)의 구동축(143)을 구동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ainer 121 containing the basket 121 and the ramen 162 is placed in line with the lid 154, the lifting motor 141 mounted on the fixing plate 131 starts operation, and the speed reducer is operated. The driving shaft 143 of 141 is driven.
그리고, 상기 구동축(143)에 연결된 피니언(144)이 회전하면서 이와 맞물려 있는 프레임(132)내부의 래크(151)를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키게 된다.Then, the pinion 144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143 rotates to lower the rack 151 inside the frame 132 meshed with the pinion 144 in the downward direction.
또한, 상기 래크(151)의 하강에 의해 래크(151)에 연결된 승강대(153)도 프레임(132)의 이동공(134) 내부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승강대(153)에 연결된 뚜껑체 (154)도 하강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latform 153 connected to the rack 151 by the lowering of the rack 151 is also lowered along the inside of the moving hole 134 of the frame 132 and the lid 154 connected to the platform 153 is also You will descend.
물론, 상기 뚜껑체(154)에 결합되어 있는 물공급관(156)과 스프공급관(157)그리고 히터(155)도 뚜껑체(154)와 함께 하강하는 상태가 된다.Of course, the water supply pipe 156 and the soup supply pipe 157 and the heater 155 that are coupled to the lid 154 is also lowered with the lid 154.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강되는 뚜껑체(154)의 저면이 바스켓(121)에 안착되어 있는 용기(161)의 상측 주연부와 접촉하는 순간 승강용 모우터(141)가 정지를 하기 때문에 뚜껑체(154)는 용기(161)의 상측부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도7에 나타낸 바와같이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n, as the lifting surface motor 141 stops at the moment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154 descending as described above contacts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ontainer 161 seated on the basket 121, the lid 154 is stopped. ) Is kept in a stopped state as shown in FIG. 7 in a state where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161 is closed.
상기와 같이 용기(161)의 상측부를 뚜껑체(154)에 의해 폐쇄시킨 다음에는 물공급관(156)과 스프공급관(157)을 통해 설정된 양만큼의 물과 스프가 도6과 같이 공급되어진다.After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61 by the lid 154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and the soup in the amount set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56 and the soup supply pipe 157 is supplied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용기(161)내부로 일정량의 물과 스프가 공급 완료되면 히터 (155)가 발열하면서 용기(161)내부의 물과 스프 그리고 라면(162)을 일정 시간동안 가열하여 끓이는 상태가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soup are supplied into the container 161, the heater 155 generates heat and heats the water, soup, and ramen 162 inside the container 161 for a predetermined time to boil.
그리고, 상기와 같이 히터(155)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가열이 완료된 후에는 승강용 모우터(141)가 작동되면서 래크(15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됨에 따라 뚜껑체(154)도 상승하여 도8에 나타낸 바와같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태가 된다.Then, after the heating is complet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heater 155 as described above, as the lifting motor 141 is operated to move the rack 151 upwards, the lid 154 is also raised to FIG. 8. As shown in the figure, the state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와 같이 뚜껑체(154)가 원위치로 복귀 완료하면 이송용 모우터(111)가 작동되면서 바스켓(121)과 끓여진 라면(162)을 담고 있는 용기(161)를 연동스플로킷(116)방향으로 이동시킨뒤 도9에 나타낸 바와같이 정지를 하게 된다.When the lid 154 completes the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motor 111 is operated, and the container 161 containing the basket 121 and the boiled ramen 162 is interlocked with the sprocket 116. Direction, and stop as shown in FIG.
즉, 상기의 바스켓(121)과 용기(161)가 정지한 위치에는 자동판매기의 인출구(도시안됨)가 위치해 있기 때문에 도9의 위치에 정지를 시킨 것이며 상기의 끓여진 라면(162)을 담고 있는 용기(161)를 사용자가 인출하여 라면(162)을 먹을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outlet (not shown) of the vending machine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basket 121 and the container 161 are stopped, the stop is made at the position of FIG. 9 and contains the boiled ramen 162. The user can take out the container 161 to eat the ramen 162.
한편, 도1과 도2에 나타낸 바스켓(121)의 저부로 부착된 지지판(125)의 로울러(126)는 상기 바스켓(121)의 받쳐 하중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바스켓(121)의 안정되고 원활한 이동을 위해 부가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oller 126 of the support plate 125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asket 121 shown in Figs. 1 and 2 distributes the load of the basket 121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stable and smooth movement of the basket 121. It is added for.
또한, 상기 바스켓(121)의 저부로 연결되는 배출관(122)은 바스켓(121)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부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122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asket 121 is added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clean the inside of the basket 12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즉, 본고안 자동판매기의 청소 보턴을 누르면 도3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스켓(121)과 뚜껑체(154)가 일직선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물공급관(156)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서 바스켓(121)내부로 떨어지게 된다.That is, pressing the cleaning button of the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basket 121 and the lid 154 is in a state that th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56 in the basket 121 in a straight line, the basket 121 Will fall inside.
따라서, 상기 바스켓(121)내부로 떨어진 물에 의해 바스켓(121)내부의 먼지나 이물질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상기의 물은 배출관(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 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dust or foreign matter inside the basket 121 may be removed by the water dropped into the basket 121, and the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122.
그리고, 상기 프레임(132)의 일측면과 지지판(133)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고정핀(135)은 래크(151)에 형성된 승강공(152)으로 결합되어 있는바, 이는 상기 래크(151)의 안정된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고 래크(151)의 승강 범위를 단속하기 위해 부가한 것이다.And, a plurality of fixing pins 135 connecting one side of the frame 132 and the support plate 133 is coupled to the lifting hole 152 formed on the rack 151, which is the rack 151 A stable coupling structure can be obtained and added to interrupt the lifting range of the rack 151.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이송용 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체인으로 지지대에 의해 결합된 바스켓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용기 투출장치로 부터 투출되는 용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뒤 용기의 내부로는 라면 투출장치로 부터 투출되는 라면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라면이 담겨진 용기에는 승강용 모우터와 연결된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이에 맞물려진 래크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뚜껑체를 하강시켜 용기의 상측부를 폐쇄하도록 한뒤 뚜껑체에 결합된 물공급관과 스프공급관으로 설정된 량만큼의 물과 스프를 용기의 내부로 공급하게 하고 뚜껑체에 결합된 히터에는 전원이 공급되면서 발열하여 용기 내부의 라면,스프,물들을 설정된 시간동안 가열을 하여 끓인 다음에는 승강용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뚜껑체를 상승시켜 용기의 상측부를 개방하게 하고 곧이어 이송용 모우터를 다시 가동시켜서 라면이 담긴 용기 및 바스켓을 기체의 인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자동으로 끓여진 라면을 인출하여 먹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용기와 라면의 공급 및 물과 스프의 공급 그리고 가열에 이르기 까지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라면을 인출하여 먹을 수 있으며 히터가 용기 내부의 물에 잠기면서 물과 스프 그리고 라면들을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신속하게 라면을 끓일 수 있어 끓여진 라면을 신속하게 자판기로 부터 뽑아 먹을 수 있고 모터에 의해 바스켓과 뚜껑체를 운동시키기 때문에 정확한 동작을 얻을 수 있어 오동작의 우려를 일소하는 동시에 잔고장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In this way, this paper is a chain that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otor so that the basket coupled by the support can be supplied with the container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dispensing device during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fter receiving the ramen discharged from the extraction device, the rack containing the ramen is engaged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connected to the lifting motor, and the rack engaged with the linear movement lowers the lid to close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The amount of water and soup set by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soup supply pipe coupled to the lid body ar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fter boiling for a while, the lid is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otor and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And then immediately start the transfer motor so that the container and basket containing the ramen can be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of the gas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and eat the automatically boiled ramen. All the processes from feeding and water and soup to heating and heating are done automatically, so you can take out the ramen more easily.The heater is soaked in the water inside the container to heat the water, soup and ramen directly. This makes it possible to boil ramen so that you can quickly brew boiled ramen from the vending machine and use it to move the basket and the lid by the motor to get accurate movements, eliminating the risk of malfunction and avoiding the risk of trouble. Has an effec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4208U KR200307102Y1 (en) | 2002-11-15 | 2002-11-15 | Automatic slot machine for instant nood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4208U KR200307102Y1 (en) | 2002-11-15 | 2002-11-15 | Automatic slot machine for instant nood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7102Y1 true KR200307102Y1 (en) | 2003-04-10 |
Family
ID=4933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34208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7102Y1 (en) | 2002-11-15 | 2002-11-15 | Automatic slot machine for instant nood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7102Y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1083B1 (en) | 2007-12-07 | 2008-03-06 | (주)앤앤아이테크 | Product loading device of vending machine and vending machine using the same |
KR101051976B1 (en) * | 2008-08-18 | 2011-07-26 | 박영채 | Container transfer device of ramen cooking machine |
KR101816848B1 (en) * | 2017-07-20 | 2018-01-11 | 이주형 | Vending machine for instant noodles |
KR20180071074A (en) | 2016-12-19 | 2018-06-27 | 최재빈 | Automatic ramen vending machine using pressure vessel |
KR20190021962A (en) | 2017-08-24 | 2019-03-06 | 최정환 | 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
KR20190037813A (en) | 2017-09-29 | 2019-04-08 | 최정환 | Apparatus for shutting a lid of pressure cooker in ramen vending machine |
KR20190037809A (en) | 2017-09-29 | 2019-04-08 | 최정환 | Apparatus for shutting a lid of pressure cooker in ramen vending machine |
KR20190037811A (en) | 2017-09-29 | 2019-04-08 | 최정환 | Apparatus for shutting a lid of pressure cooker in ramen vending machine |
-
2002
- 2002-11-15 KR KR20-2002-0034208U patent/KR200307102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1083B1 (en) | 2007-12-07 | 2008-03-06 | (주)앤앤아이테크 | Product loading device of vending machine and vending machine using the same |
KR101051976B1 (en) * | 2008-08-18 | 2011-07-26 | 박영채 | Container transfer device of ramen cooking machine |
KR20180071074A (en) | 2016-12-19 | 2018-06-27 | 최재빈 | Automatic ramen vending machine using pressure vessel |
KR101816848B1 (en) * | 2017-07-20 | 2018-01-11 | 이주형 | Vending machine for instant noodles |
KR20190021962A (en) | 2017-08-24 | 2019-03-06 | 최정환 | Ramen supply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
KR20190037813A (en) | 2017-09-29 | 2019-04-08 | 최정환 | Apparatus for shutting a lid of pressure cooker in ramen vending machine |
KR20190037809A (en) | 2017-09-29 | 2019-04-08 | 최정환 | Apparatus for shutting a lid of pressure cooker in ramen vending machine |
KR20190037811A (en) | 2017-09-29 | 2019-04-08 | 최정환 | Apparatus for shutting a lid of pressure cooker in ramen vend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692802B (en) | Intelligent cooking machine | |
KR930003091B1 (en) | Food auto cooker | |
KR200307102Y1 (en) | Automatic slot machine for instant noodle | |
US5784854A (en) | Perforating and plugging device for a machine for dispensing dyes or fluid products in general | |
CN105303701B (en) | The raw material feed device of cup type automatic vendor | |
KR200282531Y1 (en) | moving tray in automatic vending machine | |
KR20070039748A (en) | Ramen vending machine | |
KR101030073B1 (en) | Frying equipment | |
KR20170042172A (en) | Multi-functional automatic disinfection device of bottle | |
KR20180045959A (en) | Ramen automatic vending machine being disclosed heater panel | |
CN113331673B (en) | Automatic wisdom snack machine of culinary art | |
JP7234689B2 (en) | beverage dispenser | |
CN118711298A (en) | A food intelligent stir-frying, packaging, cleaning and selling system and use method | |
CN107886624B (en) | Automatic heating system and method and automatic vending machine | |
CN214414669U (en) | Cooking equipment | |
KR100602566B1 (en) | Cup washing machine | |
CN210006149U (en) | junction transmission device applied to noodle selling machine and noodle selling machine | |
JP3921478B2 (en) | Cooked water exchange device and cooked rice system using it | |
KR200274281Y1 (en) | Automatic cooking machine | |
CN210673072U (en) | Be applied to transmission of selling face machine | |
KR200307104Y1 (en) | Automatic slot machine for instant noodle | |
KR102038288B1 (en) | Vessel conveying device of food vending machine | |
KR0137419B1 (en) | Cup conveying device of cup vending machine | |
CN110956744B (en) | Single-barrel automatic meal separating machine | |
KR100441373B1 (en) | Automatic cook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115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02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11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