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6319Y1 -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 Google Patents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319Y1
KR200306319Y1 KR20-2002-0035405U KR20020035405U KR200306319Y1 KR 200306319 Y1 KR200306319 Y1 KR 200306319Y1 KR 20020035405 U KR20020035405 U KR 20020035405U KR 200306319 Y1 KR200306319 Y1 KR 200306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head
brush
head
su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희
Original Assignee
홍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재희 filed Critical 홍재희
Priority to KR20-2002-0035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3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3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44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for conveying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e.g.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청소기 본체로 흡입되는 흡입력으로 흡입헤드의 후방에 형성된 회전팬을 회전시키고, 흡입헤드의 전방에 형성된 브러쉬 로울러를 회전팬에 연결된 벨트로 회전시켜 바닥이나 카페트 위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이물질이 흡입헤드를 경유하여 청소기 본체의 집진실로 흡입되도록 구성되어져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지 않고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 브러쉬 로울러를 회전시켜서 이물체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Vacuum cleaning appointment suction head the brush is had built-in}
본 고안은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공흡입력을 이용하여 흡입헤드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팬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진공흡입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팬의 회전력을 벨트를 이용하여 흡입헤드의 입구측에 형성된 브러쉬 로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카페트 위에 있는 먼지나 머리카락 및 섬유사 등의 이물질이카페트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고, 분리된 이물질이 진공흡입력에 의해 흡입헤드를 경유하여 청소기 본체내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및 업소에서는 항상 그 내부의 공간이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시로 내부 공간의 구석 구석을 쓸거나 물걸로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의 이물체를 제거하게 된다.
청소를 하기 위해 먼저, 빗자루로 바닥을 쓸어낸 후 물걸레질을 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앉아 있던 많은 먼지가 내부 공간으로 비산되며, 청소를 끝낸 뒤 바닥에 다시 앉게 됨에 따라 그 효율이 낮아지는 원인이 있었다.
또한, 주부의 경우에는 허리를 장시간 굽힌 상태로 있게 됨에 따라 허리 디스크가 발생하는 다른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진공흡입력을 이용하여 바닥에 있는 이물체를 강제로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청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체가 내부의 공간으로 확산되거나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 편안한 자세에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제안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집진실과 구동실을 가지며 외부로 노출된 바퀴에 의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본체와, 흡입력 조절스위치를 가지며 유연성 호스로 본체에 연결된 손잡이 및 상단은 손잡이와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은 먼지를 흡입하는 브러쉬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연장관 그리고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된 파지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브러쉬 헤드는 하부에 로울러를 형성하여 헤드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브러쉬 헤드를 구성하는 본체에는 섬유나 고무를 나선형으로 감아 놓은 브러쉬 로울러가 청소하려는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브러쉬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구동수단인 모터를 구비하여 진공청소기의 구동과 함께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형성된 모터의 회전에 따라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바닥에 있는 이물체가 브러쉬 헤드와 연장관 및 유연성 호스를 통해 집진실내에 장착된 미도시한 필터내에 포집되고, 필터를 통해 여과된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브러쉬 헤드의 본체에 별도로 고정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브러쉬 로울러가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바닥면에 있는 이물체를 쉽게 쓸어 올림과 동시에 쓸어 올려진 이물체가 흡입력으로 흡입됨으로써, 깨끗한 바닥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브러쉬 헤드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브러쉬 로울러를 회전 시키기 위해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그에 따른 브러쉬 헤드의 제조 및 조립 공정수가 증가하게 되는 비생산적이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러쉬 로울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원이 모터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사용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흡입헤드측에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브러쉬 로울러를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지 않고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게 하는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청소기 본체로 흡입되는 흡입력으로 흡입헤드의 후방에 형성된 회전팬을 회전시키고, 흡입헤드의 전방에 형성된 브러쉬 로울러를 회전팬에 연결된 벨트로 회전시켜 바닥이나 카페트 위에 묻어 있는 이물체를 분리시켜고, 분리된 이물체가 흡입력에 의해 흡입헤드를 경유하여 청소기 본체내로 흡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와 진공 청소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에 있어서, 흡입헤드의 헤드커버만을 분리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흡입헤드 110 : 헤드몸체
111 : 흡입구 112 : 제 1베어링 삽입구
113 : 흡입가이드 114 : 충격방지용 부재
115 : 프론트 휠 116 : 안착공간부
117 : 격벽 117a : 흡입공
118 : 벨트가이드부 118a : 브러쉬 로울러용 안착부
118b : 회전팬 지지용 안착부 118c : 제 2베어링 삽입구
119 : 리어 휠 120 : 헤드커버
130 : 회전팬 131 : 회전팬 지지용 흡입부재
132 : 지지축 133 : 제 1베어링
134 : 유로 135 : 연결부
136 : 구동풀리 140 : 브러쉬 로울러
141 : 로울러 본체 142 : 제 2힌지축
143 : 제 2베어링 144 : 종동 풀리
145 : 브러쉬 150 : 벨트
160 : 소제구 161 : 개구부
162 : 힌지 163 : 소제구 커버
164 : 손잡이부 165 : 걸림부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헤드(100)와, 상기 흡입헤드(100)의 내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팬(130)과, 상기 흡입헤드(100)의 내측 전방에 역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브러쉬 로울러(140) 및 상기 회전팬(130)과 브러쉬 로울러(140)를 연결하는 벨트(150) 그리고 상기 회전팬(130)이 형성된 하부로 구비된 소제구(16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흡입헤드(100)는 내부로 제공되는 공간이 상하부로 구분되어 지도록 헤드몸체(110)와 헤드커버(120)로 구성되며, 헤드몸체(110)의 전방 하부에는 장공의 형태를 갖는 흡입구(111)가 다수개로 구획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흡입구(111)의 양측에 제 1베어링 삽입구(11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브러쉬 로울러(140)의 양측에 삽입된 제 2베어링(143)이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111)가 형성된 헤드몸체(110)의 전방 양측으로는 요홈형태를 갖는 흡입가이드(113)가 형성되어 먼지나 머리카락 및 섬유사 등의 이물체에 비해 다소 부피가 큰 휴지조각이나 음식물 부스러기 등이 흡입구(111)측으로 용이하게 흡입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가이드(113)가 형성된 헤드몸체(110)의 전방 전면에는 소정의 쿠션을 갖는 충격방지용 부재(114)가 형성되어 청소하는 과정에서 벽이나 기타의 물체와 부딪쳐서 헤드몸체(110)의 일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충격방지용 부재(114)는 고무재로 사용하였으나, 고무재 뿐만 아니라 쿠션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헤드몸체(110)의 전방 전면에만 부착 또는 고정시켜 사용하였으나, 그 좌우측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가이드(113)의 양측에는 직경이 작은 프론트 휠(115)을 형성하여 헤드몸체(110)의 밑면이 바닥면으로 부터 항상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헤드몸체(110)의 후방에는 만곡형의 안착공간부(116)가 흡입공(117a)을 갖는 격벽(117)에 의해 구분되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117)과 안착공간부(116)의 측벽을 연결하는 벨트가이드부(1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공간부(116)의 중앙 하부에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소제구(160)가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안착공간부(116)의 바깥측에는 직경이 큰 리어 휠(1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벨트가이드부(118)는 흡입구(111)의 가운데로 부터 수직인 상부와 안착공간부(116)의 가운데로 부터 수직인 상부에 각각 반원형태를 갖는 브러쉬 로울러용 안착부(118a)와 회전팬 지지용 안착부(11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팬 지지용 안착부(118b)의 중앙에는 회전팬 지지용 흡입부재(131)의 양측에 돌출된 지지축(132)에 끼워진 제 1베어링(133)이 삽입되는 제 2베어링 삽입구(118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공간부(116)의 양측에 대칭이 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제구(160)는 안착공간부(116)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161)와, 개구부(161)의 양측에서 그 하부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힌지(162)를 갖는 소제구 커버(16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162)와 마주보는 소제구 커버(163)에는 손잡이부(164)와, 개구부(161)의 일측면에 삽입 고정되는 걸림부(16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팬 지지용 흡입부재(131)는 헤드몸체(110)에 형성된 흡입구(111)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이물체가 진공청소기의 집진실내로 유입되는 가운데 그 흡입력에 의해 브러쉬 로울러(14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하 소정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팬(130)을 감싸도록 형성된 가운데 전방측이 개방되며 후방측이 중공인 형태의 유로(134)가 형성된 연결부(1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팬(130)의 양측을 지지하는 회전팬 지지용 흡입부재 (131)의 양측면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축(132)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 1베어링(133)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중에 벨트가이드부(118)가 위치하는 쪽에는 구동풀리(13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브러쉬 로울러(14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로울러 본체(141)의 양측에 제 2지지축(142)을 형성하여 제 2베어링(143)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로울러 본체(141)의 일측에는 종동 풀리(1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로울러 본체 (141)의 외주연부로 나선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브러쉬(1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풀리(136)와 종동풀리(144) 사이에는 벨트(150)가 개재되어 회전팬(130)과 함께 브러쉬 로울러(140)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풀리(136)와 종동풀리(144) 및 벨트(150)는 타이밍 풀리와 벨트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은 진공청소기이고, 210은 집진실이고, 211은 삽입구이고, 220은 청소기 본체이고, 230은 고정노브이고, 240은 작동 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는 헤드몸체 (110)와 헤드커버(120)의 후방으로 노출된 연결부(135)를 집진실(2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211)에 삽입한 후 미도시한 전원 케이블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은 다음 청소기 본체(220)의 상단에 형성된 작동 스위치(240)을 ON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내장된 미도시한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흡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흡입력으로 인해 헤드몸체(11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11)를 통해 공기가 흡입이 되며, 흡입된 공기는 격벽(117)에 형성된 흡입공(117a)을 통해 회전팬 지지용 흡입부재(131)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이동하게 되고, 그 내부로 이동한 공기는 연결부(135)의 내측면으로 제공된 유로(134)를 통해 집진실(210)로 흡입이 된다.
이와 동시에 격벽(117)에 형성된 흡입공(117a)을 통과한 공기가 회전팬 지지용 흡입부재(131)의 내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회전팬(130)을 강하게 회전시키게 되며, 회전팬(130)의 회전으로 인해 지지축(132)에 삽입 고정된 구동풀리(136)가 같이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구동풀리(136)의 회전으로 인해 이와 맞물려 있는 벨트(150)가 이동하게 됨에 따라 벨트가이드부(118)의 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종동풀리(144)가 연동됨으로써, 제 2힌지축(142)이 제 2베어링(143)으로 지지되어 있는 로울러 본체(141)가 형성하여 그 외주연부에 형성된 브러쉬(145)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브러쉬(145)가 회전됨에 따라 바닥면이나 카페트 윗면에 쌓여 있거나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이 분리가 되며, 분리가 된 이물질은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111) → 흡입구(111) → 회전팬 지지용 흡입부재(131) → 유로(134)를 통해 집진실(210)로 흡입이 된다.
이때, 이물체의 부피보다 큰 휴지조각 등은 헤드몸체(11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된 흡입가이드(113)를 통해 흡입구(111)내로 흡입이 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집진실로 흡입되어 모이게 된다.
또한, 넓은 면적을 청소하기 위해 흡입 헤드(100)를 이리 저리로 옮기는 과정에서 딱딱한 이물체와 부딪칠 경우, 그 전면에 고정된 충격방지용 부재(114)에 의해 충력력이 흡수됨으로써, 흡입 헤드(100)의 일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회전팬지지용 흡입부재(131)가 안착공간부(116)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 1베어링(133)에 의해 상하 미속각으로 회동 가능함에 따라 청소기 본체(220)를 밀거나 당길때 헤드몸체(110)의 하부가 항상 바닥면과 평행하게 됨으로써, 바닥이나 카페트 위에 있는 이물체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청소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머리카락이나 섬유사 등이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회전팬(130)에 걸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회전팬(130)의 회전력이 낮아지게 될 경우, 헤드몸체(110)의 후방 하부에 구비된 소제구(160)를 오픈시켜 회전팬(130)에 걸려 있는 머리카락이나 섬유사를 제거한 후 다시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흡입헤드의 내측에 설치된 회전팬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흡입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팬의 회전력을 벨트를 이용하여 흡입헤드의 입구측에 형성된 브러쉬 로울러를 강제로 회전시킴으로써, 바닥면이나 카페트 위에 있는 이물체를 쓸어 올림과 동시에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도록 하여 깨끗한 바닥이나 카페트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청소하는 과정에서 회전팬에 걸리게 되는 머리카락이나 섬유사 등을 그 후방 하부에 형성된 소제구를 통해 간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브러쉬 로울러를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시키지 않음으로써, 그에 따른 부품의 감소와 함께 전기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효과가 더 있다.

Claims (3)

  1. 청소기 본체로 흡입되는 흡입력으로 흡입헤드(100)의 후방에 형성된 회전팬(130)을 회전시키고, 흡입헤드(100)의 전방에 형성된 브러쉬 로울러(140)를 회전팬(130)에 연결된 벨트(150)로 회전시켜 바닥이나 카페트 위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시켜고, 분리된 이물질이 흡입헤드(100)를 경유하여 청소기 본체로 흡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100)는 회전팬(130)이 형성된 부위의 하부에 힌지 개폐되는 소제구(160)를 형성하여 회전팬(130)에 엉겨붙어 있는 머리카락이나 섬유사 등의 이물체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100)는 헤드몸체(110)의 전방 양측에 요홈형태를 갖는 흡입가이드(113)를 형성하여 부피가 큰 이물체가 흡입되도록 하고, 상기 흡입가이드(113)의 전방 전면에 충격방지용 부재(1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20-2002-0035405U 2002-11-27 2002-11-27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200306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405U KR200306319Y1 (ko) 2002-11-27 2002-11-27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405U KR200306319Y1 (ko) 2002-11-27 2002-11-27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319Y1 true KR200306319Y1 (ko) 2003-03-04

Family

ID=4940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405U KR200306319Y1 (ko) 2002-11-27 2002-11-27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3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303B1 (ko) * 2021-03-10 2022-03-25 고순정 진공청소기 헤드
WO2023176993A1 (ko) * 2022-03-14 2023-09-21 고순정 진공청소기 헤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303B1 (ko) * 2021-03-10 2022-03-25 고순정 진공청소기 헤드
WO2023176993A1 (ko) * 2022-03-14 2023-09-21 고순정 진공청소기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423B1 (ko) 스틱형 진공청소기
KR101031560B1 (ko) 흡입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556811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JP3784754B2 (ja) 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PT2449937T (pt) Aspirador para pavimentos sem revestimento
KR20090009425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KR20130103593A (ko) 청소기 헤드
JP2003250727A (ja) 叩き用回転ローラを具備した真空掃除機用吸込ブラシ組立体
GB2251178A (en) Vacuum cleaner
KR20130095823A (ko) 청소기 헤드
CN101152066B (zh) 吸尘器吸尘头及使用这种吸尘头的电动吸尘器
KR20130095824A (ko) 청소기 헤드
CN114466613B (zh) 用于真空清洁器具的清洁器头
JP2020517340A (ja) クリーニングローラからごみくずを除去するためのコーミングユニットを有する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20240012031A (ko) 청소기
KR101629300B1 (ko) 진공청소기
KR19990006704U (ko) 업라이트청소기
JP7614009B2 (ja) 吸込口体の回転ブラシおよびそれを備えた吸込口体
KR100207236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KR950008620B1 (ko) 진공청소기의 회전브러쉬 흡입구
KR200364055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3449514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970005510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KR0136314Y1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12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1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1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0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6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