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5971Y1 - 신선식품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신선식품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971Y1
KR200305971Y1 KR20-2002-0033952U KR20020033952U KR200305971Y1 KR 200305971 Y1 KR200305971 Y1 KR 200305971Y1 KR 20020033952 U KR20020033952 U KR 20020033952U KR 200305971 Y1 KR200305971 Y1 KR 200305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m
main body
sealed
fresh fo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20-2002-0033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97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이나 보관중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는 신선식품 포장용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2개 이상의 용기 사이에 냉각팩을 안착시켜 그 보냉 유지가 좋은 신선식품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부 개구가 필름으로 밀폐되는 본체 상부에 뚜껑이 씌워 결합되어지는 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둘레로 상부로 일정 높이의 벽체를 형성하여 그 상부가 역시 필름으로 밀폐 형성한 제 2 용기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용기의 저부면에 함몰 형성한 요부를 구비하여 냉동팩을 개재시킨 것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부 개구가 필름으로 밀폐되는 본체의 상부로 연장된 벽체를 구비한 상하 한 쌍의 본체가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어 형성된 공간부에 냉동팩을 개재해서된 것에 의해 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본체 또는 제 2 용기의 벽체 둘레에, 냉동팩을 수용하도록 걸림턱을 갖는 요부가 구비되게 성형된 것에 의해 비교적 큰 용기 등에서 그 효과를 보다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신선식품 포장 용기{Container for wraping fresh food}
본 고안은 운반이나 보관중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는 신선식품 포장용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2개 이상의 용기 사이에 냉각팩을 안착시켜 그 보냉 유지가 좋은 신선식품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선도를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는 식품들은 진열 쇼케이스의 냉장실이나 냉동실 등에 전시판매되나, 이러한 제품은 그 물품을 구매하여 운반하는동안에 그 신선도가 떨어질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샐러드를 포장해서 배달하는 식품 등에서 팩 속의 물을 얼려서 냉각재로써 사용하여 용기 또는 포장지나 상자에 포장해서 운반함으로써 운반하는 시간 동안에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단순히 용기와 냉각팩을 함께 담아 운반하는 상자나 포대에 넣어서 그 신선도를 유지하는 것이 고작이다.
물론 용기 상부를 필름으로 밀봉하는 주지의 음식 포장방식과, 그 포장 용기 상부에 뚜껑을 씌우는 주지의 수단에서 상기 뚜껑을 덮기 전에 냉각팩을 개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순방식으로 그 냉각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어도 2 이상의 포장 용기를 한 몸체로 결합하면서, 냉동팩을 보다 효율적으로 내재시켜서 그 신선도를 효과적으로 갖게 한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상부 개구가 필름으로 밀폐되는 본체 상부에 뚜껑이 씌워 결합되어지는 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둘레로 상부로 일정 높이의 벽체를 형성하여 그 상부가 역시 필름으로 밀폐 형성한 제 2 용기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용기의 저부면에 함몰 형성한 요부를 구비하여 냉동팩을 개재시킨 것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부 개구가 필름으로 밀폐되는 본체의 상부로 연장된 벽체를 구비한 상하 한 쌍의 본체가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어 형성된 공간부에 냉동팩을 개재해서 된 것에 의해 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본체 또는 제 2용기의 벽체 둘레에, 냉동팩을 수용하도록 걸림턱을 갖는 요부가 구비되게 성형된 것에 의해 비교적 큰 용기 등에서 그 효과를 보다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b는 그 결합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b는 그 결합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개구가 필름(12)으로 밀폐되는 본체(10) 상부에 뚜껑이 씌워 결합되어지는 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둘레로 상부로 일정 높이의 벽체(21)를 형성하여, 그 상부가 역시 필름(22)으로 밀폐 형성한 제 2 용기(20)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용기(20)의 저부면에 함몰 형성한 요부(23)를 구비하여 냉동팩(30)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상부 개구가필름(42)으로 밀폐되는 본체(40)의 상부로 연장된 테두리(41)를 구비한 상하 한 쌍의 본체(40)가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어 형성된 공간부(43)에 냉각팩(30)을 개재해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시 실시예들의 또다른 예로써, 도 6a 및 도 6b와 도 6c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40) 또는 제 2용기(20)의 벽체(21) 둘레면에, 냉각팩(30)을 수용하도록 걸림턱(51)을 갖는 요부(50)가 구비되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면 둘레면에 요부(50)를 구성한 것은 용기의 높이가 비교적 큰 것은 사이에 개재된 냉동팩만으로는 그 신선도를 충분히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추가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2 이상의 식품을 결합한 식품을 제공하는 용기이면서,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이다.
본체(10)와 제 2 용기(20) 각각에 야채샐러드와 과일샐러드, 또는 어느 일 측에 토스트 등과 같은 식품을 넣고, 그 사이에 냉각팩(30)을 개재함으로써, 신선한 음식을 취식할 수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냉각팩(30)에 의해 그 냉기가 대부분의 면적으로 접촉된 본체(10) 상부면과, 제 2 용기(20)의 저면으로 전달되면서 그 곳에 내장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운반도중 신선도가 유지된 식품의 용기 본체(10)와 뚜껑이 되는 제 2 용기(20)를 분리하여 각각의 필름(11,21)을 떼어내고 취식하면 되는 것이다.(도 4참조)
물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도 5의 경우도 같다. 다만 용기 본체(40)가 대칭된 동일 구성이면서 서로 그 밀봉 필름(42)을 대응되게 하고 용기 자체에 상부로 연장된 단턱형의 테두리(41)를 주어서 냉각팩(30)의 내장 공간부(43)를 확보한 점에 상이성이 있으며, 그 상부 개구 연단이 상호 결합되기 위한 걸림턱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에서와 같이 용기 본체의 높이가 큰 용기의 경우에는 그 냉각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으므로 용기의 벽체 둘레에 걸림턱(51)을 갖는 요부(50)가 구비되므로써 그 안에 냉각팩(30)을 수용시켜서 보다 낳은 신선도 유지를 할 수 있게 하였다.
물론 상기한 포장 용기는 주지의 아이스박스나 단열 포장지 또는 포대는 물론 냉동탑차에 의해 수납 운반됨으로써 그 신선도를 유지하는 시간을 장시간으로 할 수 있음은 더할나위가 없는 사실일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적어도 2 이상의 신선도 유지를 필요로 하는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에 적당한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신선식품 배달에 유용한 효과를 줄 것이다.

Claims (3)

  1. 상부 개구가 필름(12)으로 밀폐되는 본체(10) 상부에 뚜껑이 씌워 결합되어지는 식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둘레로 상부로 일정 높이의 벽체(21)를 형성하여, 그 상부가 필름(22)으로 밀폐되는 제 2 용기(20)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용기의 저부면에 함몰 형성한 요부(23)를 구비하여 냉각팩(30)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신선식품 포장 용기.
  2. 상부 개구가 필름(42)으로 밀폐되는 본체(40)의 상부로 연장된 테두리(41)를 구비한 상하 한 쌍의 본체(40)가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어 형성된 공간부(43)에 냉동 팩(30)을 개재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신선식품 포장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40) 또는 제 2용기(20)의 벽체(21) 둘레에, 냉각팩(30)을 수용하도록 걸림턱(51)을 갖는 요부(50)가 구비되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 신선식품 포장 용기.
KR20-2002-0033952U 2002-11-13 2002-11-13 신선식품 포장 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05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952U KR200305971Y1 (ko) 2002-11-13 2002-11-13 신선식품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952U KR200305971Y1 (ko) 2002-11-13 2002-11-13 신선식품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971Y1 true KR200305971Y1 (ko) 2003-03-04

Family

ID=4940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952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5971Y1 (ko) 2002-11-13 2002-11-13 신선식품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9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051B1 (ko) * 2022-07-05 2023-03-03 하늘농산(주) 생삼류 포장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051B1 (ko) * 2022-07-05 2023-03-03 하늘농산(주) 생삼류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5369A (en) Water and ice cooler combination
US6405557B1 (en) Cooler floor support tray
US20170275075A1 (en) Vacuum Sealed Container for Perishable and Non Perishable Goods
AU784857B2 (en) Portable container for refrigerated or frozen goods
US8640487B2 (en) Refreezable container
US20070101754A1 (en) Portabl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CA2406250C (en) Food container having separable refrigerant section
US20100301056A1 (en) Portable Compartmentalized Thermal Food Container
CN101415622A (zh) 运送冷却货物的容器
US20150253056A1 (en) Food Container
US2409279A (en) Refrigeration apparatus
US20040124114A1 (en) Hot chilly thermal totes
KR200305971Y1 (ko) 신선식품 포장 용기
US20180312323A1 (en) Cooler buddy
US5924304A (en) Insulated holder for lunch boxes
KR100707276B1 (ko) 육류의 냉장 운반용 포장 용기
JPH0142539Y2 (ko)
KR200488834Y1 (ko) 식품보관용 냉장용기
KR20230010910A (ko) 육류의 냉장상태를 유지하는 운반용 포장 용기
KR200384921Y1 (ko) 보냉용 포장용기
JP2004250060A (ja) トレーパック運搬用包装容器
KR20210033689A (ko) 단열재를 구비한 접이식 보냉가방
CN223132932U (en) Grape packaging structure capable of prolonging preservation shelf life
CN212424068U (zh) 一种保温包装箱
JPH0519168U (ja) 冷蔵輸送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1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1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