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5958Y1 - 포장재 - Google Patents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958Y1
KR200305958Y1 KR20-2002-0032977U KR20020032977U KR200305958Y1 KR 200305958 Y1 KR200305958 Y1 KR 200305958Y1 KR 20020032977 U KR20020032977 U KR 20020032977U KR 200305958 Y1 KR200305958 Y1 KR 200305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bottle
insertion groove
packaging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프라스틱
Priority to KR20-2002-0032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95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박스 내부에 수납 포장되는 병들을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된 포장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소정 개수의 병을 박스에 수납 포장시 그 포장되는 병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된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소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배열되어 보강용 연결돌기들로 연결되고 포장되는 각 병의 상단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그 상단부의 외주면에 등간격 된 지점을 균일하게 접촉 지지되게 하는 다각 뿔 형상의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을 균등한 힘으로 분산되게 하는 십자 형상의 완충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재{PACKAGE}
본 고안은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깨지기 쉬운 유리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병을 박스(box)의 내부에 소납 포장할 때 인접된 병들끼리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주류나 음료 등을 수용하는 병은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통상 유리등의 소재로 제작되게 되는데, 이러한 유리는 취성이 크기 때문에 그대로 박스에 수용 포장할 경우 인접된 병들끼리 서로 부딪혀 깨지게 된다.
따라서, 박스에 포장되는 병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각 병들의 사이를 적당히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포장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그 포장재로서 스티로폼이나 골판지 등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스티로폼의 경우에는 사용 후 폐기 처분에 있어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었고, 골판지는 충격 흡수가 약하여 여러 장을 겹쳐서 사용하게 됨으로 낭비가 심하고 포장 작업이 불편한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박스 내부에 수납 포장되는 병들을 소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된 포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a ~ 7d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재의 제2 내지 제5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병 10 - 포장재
12 - 삽입홈 14 - 연결돌기
16 - 완충돌기 18 - 간격 유지용 돌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 개수의 병을 박스에 수납 포장시 그 포장되는 병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된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소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배열되어 보강용연결돌기들로 연결되고 포장되는 각 병의 상단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그 상단부의 외주면에 등간격 된 지점을 균일하게 접촉 지지되게 하는 다각 뿔 형상의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을 균등한 힘으로 분산되게 하는 십자 형상의 완충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장재의 가장자리에는 그 포장재를 적층 보관시 인접되게 적층되는 포장재들끼리 소정 간격을 유지되게 하기 위한 간격 유지용 돌출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은 사각뿔형상, 삼각뿔형상, 오각뿔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다각뿔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재는 그 표면에 상기 삽입홈들의 사이사이에 위치되게 통공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재는 그 표면에 상기 삽입홈들의 사이사이에 위치되게 상부로 돌출되는 보강돌기들을 더 형성하되, 상기 보강돌기들 중에서 중심부에 위치되는 2개는 그 보강돌기는 다른 보강돌기들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은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병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를 보인 평면도이고, 고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 도 4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포장재(10)는 소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배열되어 보강용 연결돌기(14)들에 의해 연결되도록 삽입홈(1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홈(12)은 포장되는 각 병의 상단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그 상단부의 외주면에 등간격 된 지점을 균일하게 접촉 지지되게 다각 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모서리부가 라운드 처린 된 사각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좋다.
이와 같은 삽입홈(12)에 의해 병(1)의 상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때, 그 삽입 지지되는 병(1)의 상단부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접촉되는 않고 등간격된 위치에서 접촉됨으로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그 충격은 병과 접촉되어 있는 부분을 통해 전달됨으로서 병(1)을 보호할 수 있다. 즉, 병의 상단부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외부의 충격이 병의 상단부에 전체적으로 전달되는데 반해, 본 고안은 병의 상단부 외주면의 일 부분만이 접촉되어 있음으로서 충격의 전달 역시 그 접촉된 부분으로만 전달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병으로는 충격이 전달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충격으로부터 병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12)의 상면에는 완충돌기(1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완충돌기(16)는 외부의 충격을 균등한 힘으로 분산되게 하도록 십자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됨이 좋다. 이러한 완충돌기(16)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서 상부에서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그 충격이 표면적이 넓은 십자 형상에 의해 골고루 분산됨으로서 그 충격이 병으로 전달되지 않아 수납되는 병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장재(10)는 적층 보관시에 그 적층되는 포장재(10)들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적층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 간격 유지용 돌출부(16)가 상기 포장재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이 간격 유지용 돌출부(16)에 의해 상기 포장재(10)들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적층됨으로서 포장재를 사용하고자 할 때 쉽게 순차적으로 하나씩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갖는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재(10)가 수납되는 병(1)들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박스(2)의 내부에 병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부호 (3)은 박스(2)에 수납되는 병(1)들이 세워지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하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장재(10)는 소정 개수의 병(1)을 박스(2)내에 수납 포장할 때 그 포장되는 병(1)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그 포장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박스(2)의 내부에 하판(3)을 위치시키고, 그 하판(3)에 병(1)이 세워지도록 하여 수납한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의 포장재(10)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덮는 것으로, 이때 포장재(10)에 구비된 삽입홈(12)들에 병(1)의 상단부들이 삽입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포장된 병들은 그 상단부가 삽입홈(12)에 삽입 지지됨으로서 소정간격이 유지됨으로서 인접된 병들끼지 서로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어 운반시 파손을 방지할 있다. 또한, 상기 병의 상단부 외주면에 등간격 된 임의 지점을 균등하게 접촉하여 지지함으로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병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포장된 상태에서 상부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삽입홈(12)이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 완충돌기(16)에 의해 그 충격이 분산됨으로서 한번 포장된 병들이 깨지는 경우는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도 7a ~ 7d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재의 제2 내지 제5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로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와 모든 구성 요소는 동일하나, 포장재(10)의 표면에 상기 삽입홈(12)들의 사이사이에 위치되게 통공(20)들이 더 형성된 것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통공(20)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재(10)를 이용하여 포장 작업을 할 경우 공기저항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서 자동화 라인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7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로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와 모든 구성 요소는 동일하나, 포장재(10)의 표면에 상기 삽입홈(12)들의 사이사이에 위치되게 상부로 돌출되는 보강돌기(22)들을 더 형성되어 있고, 그 보강돌기(22)들 중에서 중심부에 위치되는 2개는 그 보강돌기(22A,22B)는 다른 보강돌기(22)들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 것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보강돌기(22)들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재(10)에 휨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포장재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보강돌기(22)들 보다 더 돌출되도록 된 2개의 보강돌기(22A,22B)는 포장작업시 본 고안의 포장재(10)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다른 보강돌기(22)들 보다 더 돌출된 2개의 보강돌기(22A,22B)를 손으로 잡는 것에 의해 용이한 포장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7c는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로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와 모든 구성 요소는 동일하나, 상기 삽입홈(12)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병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홈(24)이 더 형성된 것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지지홈(24)은 병의 상단부를 눌러주도록 하면서 접촉되게 지지되는데, 이러한 제4 실시 예에 의하면, 병(1)의 상단부 외주면을 등간격 된 위치에서 균일하게 접촉됨과 아울러 병의 상단부 역시 등간격된 위치되어 균등하게 접촉 지지됨으로서 병에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줌은 물론 외부 충격시 병으로 전달되는 전달경로는 짧게 하여 보다 효과적인 병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4 실시 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2 실시 예의 통공(20)과 제3 실시 예의 보강돌기(22)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7d는 본 고안의 제5 실시 예로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서 삽입홈(12)의 형상을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한 것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재(10)에 구비되는 삽입홈(12)은 제1 실시 예와 같이 사각뿔형상, 혹은 제5 실시 예와 같이 삼각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외에 오각뿔형상 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병의 상단부를 삽입 지지하는 삽입홈(12)이 병의 상단부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이면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박스 내에 수납 포장되는 병들이 서로 부딪혀 깨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그 수납된 병들의 상단부를 전체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지지하는 한편 완충돌기를 십자형상으로 구성하여 외부에서의 충격을 분사시킴으로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병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소정 개수의 병을 박스에 수납 포장시 그 포장되는 병의 상단부가 삽입 지지되어 병들의 가격이 유지되게 포장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소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배열되어 보강용 연결돌기들로 연결되고 포장되는 각 병의 상단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그 상단부의 외주면에 등간격 된 지점을 균일하게 접촉 지지되게 하는 다각 뿔 형상의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을 균등한 힘으로 분산되게 하는 십자 형상의 완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의 가장자리에는 그 포장재를 적층 보관시 인접되게 적층되는 포장재들끼리 소정 간격을 유지되게 하기 위한 간격 유지용 돌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사각뿔형상, 삼각뿔형상, 오각뿔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다각 뿔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그 표면에 상기 삽입홈들의 사이사이에 위치되게 통공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그 표면에 상기 삽입홈들의 사이사이에 위치되게 상부로 돌출되는 보강돌기들을 더 형성하되, 상기 보강돌기들 중에서 중심부에 위치되는 2개는 그 보강돌기는 다른 보강돌기들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병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KR20-2002-0032977U 2002-11-04 2002-11-04 포장재 Expired - Fee Related KR200305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977U KR200305958Y1 (ko) 2002-11-04 2002-11-04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977U KR200305958Y1 (ko) 2002-11-04 2002-11-04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958Y1 true KR200305958Y1 (ko) 2003-03-04

Family

ID=4933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977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5958Y1 (ko) 2002-11-04 2002-11-04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9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60B1 (ko) 2007-04-30 2008-02-11 주식회사 매일해오름 식품용기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60B1 (ko) 2007-04-30 2008-02-11 주식회사 매일해오름 식품용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5612B2 (en) Tube lamp packaging assembly
US11104471B2 (en) Beverage container packaging
US7604120B2 (en) Cushion structure
US11338982B2 (en) Packaging part for securing an item to be packed in an outer packaging
US7360647B2 (en) Packaging system and method
US5950829A (en) Packaging including a shell for bottles
US20070138047A1 (en) Tray for protective packaging
KR200305958Y1 (ko) 포장재
US5875896A (en) Unified semiconductor wafer packaging system to unify irregular shape buffer materials
US20210130059A1 (en) Bottle shipping packaging
KR200316741Y1 (ko) 병 운반용 팔레트
KR20140099026A (ko) 쿠션부재가 마련된 포장박스
JP6384813B2 (ja) ガラス瓶の梱包装置
KR20130100644A (ko)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KR200458760Y1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CN202439969U (zh) 一种平板盛放装置
KR101394632B1 (ko)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US5439114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 article within a container
KR200253516Y1 (ko) 음극선관용 훤넬 포장재
JP2003170963A (ja) 瓶体収容箱
JPH0858845A (ja) 管状物の包装具
KR200199538Y1 (ko) 지관을 이용한 팔레트
JP4365658B2 (ja) 支持体
KR100718870B1 (ko) 포장재 구조
KR200184300Y1 (ko) 계란재치판과 골판지를 이용한 계란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10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1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