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5519Y1 -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519Y1
KR200305519Y1 KR20-2002-0031080U KR20020031080U KR200305519Y1 KR 200305519 Y1 KR200305519 Y1 KR 200305519Y1 KR 20020031080 U KR20020031080 U KR 20020031080U KR 200305519 Y1 KR200305519 Y1 KR 200305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upport member
collecting cup
fastening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호
임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1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5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5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는, 청소기 본체에 마련된 흡입유로와 연통하는 흡입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컵; 상기 집진컵의 흡입포트에 고정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먼지봉투 지지부재; 및 상기 집진컵의 내부에 그 입구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유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봉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먼지봉투에 먼지가 포집되기 때문에, 포집된 먼지를 청소할 때, 집진컵으로부터 먼지봉투만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버리면 되므로 편리하며, 또한, 이 과정에서 먼지가 날리거나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게 되므로 매우 위생적이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흡입포트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체결홈과,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체결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와 적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DUST COLLECTOR FOR STICK-TYPE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형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0), 이 청소기 본체(10)의 흡입유로(13)에 단부에 연결된 브러쉬(20),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모터(30) 및 상기 진공모터(30)에 의해 상기 흡입유로(1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오물을 분리 수거하는 집진장치(40)를 구비한다.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하부 하우징(11)(12)으로 구성되며, 이 상,하부 하우징(11)(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진공모터(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손잡이(50)가 구비된다.
상기 집진장치(40)는 집진컵(60)과 먼지필터(70)를 구비한다.
상기 집진컵(60)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유로(13)와 연통되는 흡입포트(61)를 가진다. 상기 흡입포트(61)에는 집진컵(60)의 내부로 유입된 먼지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 플레이트(62)가 마련된다. 상기 먼지필터(70)는 집진컵(60)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이에 의해 집진컵(6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는 상기 먼지필터(70)에 걸러져 포집된다.
한편, 상기 집진컵(60)의 하측에는 후크(63)를 가지는 착탈버튼(64)이 스프링(65)에 의하여 외측으로 탄지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12)의 상응하는 위치에는 후크(63)와 맞물리는 걸림턱(66)이 형성된다. 집진컵(60)은 이 착탈버튼(64)의 조작에 의하여 청소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먼지필터(70)는 상기 집진컵(60)의 내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록킹장치로 결합되며, 도 1 및 도 2에 구성된 것과 같이 미세한 통공을 갖는 컵 형상을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필터(70)에 마련된 고정용 돌기(77)와 집진컵(60)에 마련된 걸림홈(67)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용 돌기(77)가 상기 걸림홈(67)에 끼워맞춰짐으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흡입유로(13)를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된 먼지는 먼지필터(70)를 통과하지 못함으로써 집진컵(60)에 포집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스틱형 진공청소기에 있어서는, 먼지필터(70)에 의해 걸러진 먼지가 집진컵(60)에 포집되기 때문에, 포집된 먼지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집된 먼지의 청소시 먼지가 날리고 작업자의 손에 먼지가 묻는 등 비위생적이다라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스틱형 진공청소기는, 집진컵(60)에 먼지가 포집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먼지의 역류가 일어날 소지가 많아 흡입유로(13)의 단부에 역류방지 밸브(62)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 구성 부품수가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먼지봉투를 사용함으로써 포집된 먼지의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먼지가 날리거나 손에 묻지 않아 위생적이며, 또한, 먼지 역류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먼지 역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청소기의 구조적인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스틱형 진공청소기에 적용된 집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조립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청소기 본체 13;흡입유로
100;집진컵 101;흡입포트
110;먼지봉투 지지부재 120;고정수단
121;체결홈 122;체결돌기
123;플랜지부 130;먼지봉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는, 청소기 본체에 마련된 흡입유로와 연통하는 흡입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컵; 상기 집진컵의 흡입포트에 고정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먼지봉투 지지부재; 및 상기 집진컵의 내부에 그 입구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유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봉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먼지봉투에 먼지가 포집되기 때문에, 포집된 먼지를 청소할 때, 집진컵으로부터 먼지봉투만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버리면 되므로 편리하며, 또한, 이 과정에서 먼지가 날리거나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게 되므로 매우 위생적이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흡입포트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체결홈과,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체결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와 적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면,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홈을 일치시켜 삽입한 후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어긋나도록 지지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지지부재를 간단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먼지봉투가 꽉 차 집진컵에서 잘 탈거되지 않을 때,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시킴으로써 먼지봉투를 쉽게 탈거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집진장치를 제외한 청소기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는, 집진컵(100), 먼지봉투 지지부재(110), 고정수단(120) 및 먼지봉투(130)를 구비한다.
상기 집진컵(100)은 청소기 본체(10)(도 1 참조:이하 같다)의 흡입유로(13)와 연통하는 흡입포트(101)를 구비하며, 청소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집진컵(100)의 상부는 진공모터(30)와의 유로 형성을 위해 개방되어 있다.
상기 먼지봉투 지지부재(110)는 상기 집진컵(100)의 흡입포트(101)에 상기 고정수단(12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먼지봉투 지지부재(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집진컵(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고정수단(120)은 상기 흡입포트(101)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홈(121)과, 상기 지지부재(110)의 외주면에 상기 체결홈(1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설된 체결돌기(122)와, 상기 체결돌기(122)와 적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110)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2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120)을 이용한 지지부재(110)의 결합은, 상기한 체결홈(121)과 체결돌기(122)를 일치시켜 지지부재(110)를 흡입포트(101)에 삽입한후 상기 체결홈(121)과 체결돌기(122)가 어긋나도록 지지부재(110)를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시켜 체결돌기(122)가 흡입포트(101)의 내주면 양측에 걸리도록 하여 지지부재(110)를 결합한다. 이 때, 상기 플랜지부(123)는 집진컵(100)의 외부에서 흡입포트(101)의 양측에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부재(110)는 이탈되지 않고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지지부재(110)를 집진컵(100)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예에서는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체결홈(121)과 체결돌기(122)를 가지는 고정수단(120)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체결홈(121)과 체결돌기(122)는 그 수를 도시예의 경우로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3개 또는 4개의 체결홈 및 체결돌기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먼지봉투(130)는 통상의 청소기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장착보드(131)에 형성된 구멍(132)를 집진컵(100)의 내부로 돌출된 지지부재(110)에 끼우는 것으로 집진컵(100)에 설치된다.
청소가 시작되면, 브러쉬(20)(도 1 참조)을 통하여 각종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유로(13) 및 흡입포트(101)를 통하여 유입되며, 이 공기는 상기 흡입포트(101)의 지지부재(110)에 설치된 먼지봉투(130)를 거쳐 배기된다. 이 때,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는 먼지봉투(130)에서 걸러져 포집되며, 정화된 공기만이 진공모터(30)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집진장치는, 기밀성이 확보된 먼지봉투를 이용하여 먼지를 포집하므로, 집진컵의 내부에 먼지가 쌓이는 일이 없으며, 진공모터로유입되는 먼지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 먼지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집진컵의 용적의 일부만을 사용하여 먼지를 포집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먼지봉투를 사용하기 때문에, 집진컵의 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더 많은 양의 오물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먼지봉투(130)에 오물이 가득차 더이상의 수용할 수 없게 되면, 일단 상기 집진컵(100)을 청소기 본체(10)로부터 탈거시킨 후, 집진컵(100)의 상부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하여 먼지봉투(130)를 집진컵(100)에서 이탈시켜 제거하고 새로운 먼지봉투로 교체한다.
이 때, 먼지가 과도하게 포집된 먼지봉투를 이탈시키려 할 때, 먼지봉투(130)의 장착보드(131)의 후퇴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흡입포트(101)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부재(110)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먼지봉투를 집진컵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먼지봉투에 먼지가 포집되기 때문에, 포집된 먼지를 청소할 때, 집진컵으로부터 먼지봉투만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버리면 되므로 편리하며, 또한, 이 과정에서 먼지가 날리거나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게 되므로 매우 위생적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먼지봉투 지지부재가 체결돌기와 체결홈에 의해 착탈이 용이하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봉투가 꽉 차 집진컵에서 잘 탈거되지 않을 때, 상기 지지부재를 분리시킴으로써 먼지봉투를 쉽게 탈거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 선호도 입장에서 매우 만족스러운 스틱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청소기 본체에 마련된 흡입유로와 연통하는 흡입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컵;
    상기 집진컵의 흡입포트에 고정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먼지봉투 지지부재; 및
    상기 집진컵의 내부에 그 입구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유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봉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흡입포트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체결홈과,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체결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와 적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홈을 일치시켜 삽입한 후 지지부재를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어긋나도록 하여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2002-0031080U 2002-10-18 2002-10-18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0305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080U KR200305519Y1 (ko) 2002-10-18 2002-10-18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080U KR200305519Y1 (ko) 2002-10-18 2002-10-18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519Y1 true KR200305519Y1 (ko) 2003-03-03

Family

ID=4940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080U KR200305519Y1 (ko) 2002-10-18 2002-10-18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5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1221C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use in vacuum cleaner
AU2003220720B2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100398687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KR100390608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44323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JP3930737B2 (ja) 多重サイクロン真空掃除機
CA2292317C (en) Stick-type vacuum cleaner
JP3926321B2 (ja) 真空掃除機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
JP2009504309A (ja) キャニスタ型に転換可能な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KR100485714B1 (ko) 백레스 진공청소기
JP2004181207A (ja) 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JP2004275720A (ja) 真空掃除機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用フィルター組立体
KR100478638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WO2002078506A1 (en) Air cleaner with washable filter
KR200305519Y1 (ko)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657923B1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식 집진유니트
KR200306457Y1 (ko) 스틱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299695B1 (ko) 스틱형 진공청소기
KR100767662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의 집진필터 장탈착 구조
KR100420168B1 (ko) 진공 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JP7388299B2 (ja) 電気掃除機
KR100598899B1 (ko) 핸디형 청소기의 필터 어셈블리
JP2003210369A (ja) 電気掃除機
KR20040080093A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구조
KR100701175B1 (ko) 캐니스터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0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0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