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5325Y1 -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325Y1
KR200305325Y1 KR20-2002-0034416U KR20020034416U KR200305325Y1 KR 200305325 Y1 KR200305325 Y1 KR 200305325Y1 KR 20020034416 U KR20020034416 U KR 20020034416U KR 200305325 Y1 KR200305325 Y1 KR 200305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ixing
wire harness
band cable
c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회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4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3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32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밴드케이블의 밴드부 일단과 고정구 사이의 간격을 줄임과 동시에 밴드케이블의 내측면에 유동방지돌기를 구비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구의 크기를 줄여 밴드케이블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차체패널에 와이어 하네스를 한 덩어리로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가요성이 있으며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장방향으로 한 가닥 이상의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된 밴드부와, 차체패널에 돌출 되게 형성된 스텃볼트에 삽설되도록 나사공이 수직하게 통공 형성된 고정부와, 고정부의 내측에서 연결되면서 밴드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고정부의 나사공과 평행하게 관통 형성된 삽입공의 일측면에 파형부를 고정 결합하도록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wire harness fixing band cable}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케이블의 밴드부 일단에 연결 결합된 헤드부와 고정부간의 간격을 줄여 설치공간을 좁히고 고정부의 높이를 높여 고정부를 고정하게 되는 스텃볼트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많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와이어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서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밴드케이블은 와이어 하네스를 한꺼번에 묶어서 와이어 하네스를 정리하도록 하는 고정부재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의 밴드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밴드케이블을 사용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밴드케이블(10)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파형부(22)가 형성되며 와이어 하네스(60)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밴드부(20)와, 밴드부(20)의 일단과 연결되며 차체패널(50)의 소정위치에 돌출 형성된 스텃볼트(52)(stud bolt)로써 고정되도록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통공된 나사공(32)이 형성된 고정부(30)와, 고정부(3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삽입공(42)의 내측면에는 파형부(22)와 치합 결합되는 헤드부(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20)의 일측면에 형성된 파형부(22)는 다수개가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파형부(22)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헤드부(40)의 삽입공(42)에는 탄성턱(44)이 절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턱(44)은 자유 상태 하에서 상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일방향으로 형성된 파형부(22)에 탄력 상태 하에서의 연쇄적인 미끄러짐과 소정부위의 파형부(22)에서의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30)는 정방형의 얇은 판 형상이며 중앙부분에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몸체(31)를 구비한 고정판(34)과, 고정판(34)에서 일정 길이의 장방형의 얇은 판으로 연장되며 상향 또는 하향으로 곡률져 와이어 하네스(60)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판(36)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31)의 중공 부분이 나사공(32)이 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공(32)의 내부에는 고정턱(33)이 구비되어 차체패널(50)의 스텃볼트(52)를 일정 깊이 삽입 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헤드부(40)는 고정판(34)과 안착판(36)의 접한 부분에 형성되어삽입공(42)으로 밴드부(20)를 휘게 하여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밴드케이블(10)은 밴드부(20)의 타단부가 와이어 하네스(60)를 감은 상태에서 헤드부(40)의 삽입공(42)으로 끼워지면서 일방향으로 형성된 파형부(22)에 탄성턱(44)이 연쇄적으로 미끄러져 소정부위의 파형부(22)에 위치 고정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60)를 안정되게 묶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밴드케이블은 고정부의 부피가 커서 차체패널의 좁은 곳에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밴드케이블의 안착판의 면적이 넓어 밴드부로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켜도 와이어 하네스가 요동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밴드케이블의 고정부 부피를 줄이고 헤드부에 밴드부의 일단을 연결하여 밴드케이블의 설치 공간상의 제한을 줄이고 밴드부에 의해 고정된 와이어 하네스의 요동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차체패널에 와이어 하네스를 한 덩어리로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가요성이 있으며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장방향으로 한가닥 이상의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된 밴드부와, 차체패널에 돌출 되게 형성된 스텃볼트에 삽설되도록 나사공이 수직하게 통공 형성된 고정부와, 고정부의 일측에서 연결되면서 밴드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고정부의 나사공과 평행하게 관통 형성된 삽입공의 내측면에 파형부를 고정 결합하도록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밴드케이블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밴드케이블을 사용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케이블을 사용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밴드케이블 20,120: 밴드부
22,122: 파형부 30,130: 고정부
32,131: 몸체 32,132: 나사공
33,133: 고정턱 34: 고정판
36: 안착판 40,140: 헤드부
42,142: 삽입공 44,144: 탄성턱
50,150: 차체패널 52,152: 스텃볼트
60,160: 와이어 하네스 124: 유동방지돌기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케이블을 사용한 사용상태도이다.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차체패널(150)에 와이어 하네스(160)를 한 덩어리로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가요성이 있으며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부(122)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장방향으로 한 가닥 이상의 유동방지돌기(124)가 형성된 밴드부(120)와, 차체패널(150)에 돌출 되게 형성된 스텃볼트(152)에 삽설 되도록 나사공(132)이 수직하게 통공 형성된 고정부(130)와, 고정부(130)의 일측에서 연결되면서 밴드부(120)의 일단과 연결되며 고정부(130)의 나사공(132)과 평행하게 관통 형성된 삽입공(142)의 내측면에서 파형부(122)를 고정 결합하도록 형성된 헤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밴드케이블(110)은 와이어 하네스(160)를 감싸 고정하기 위해 가요성이 있는 밴드부(120)와, 와이어 하네스(160)와 밴드부(120)를 차체패널(150)의 스텃볼트(152)에 삽입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0)와, 고정부(130)의 일측에 통공 형성되어 밴드부(120)의 일단에 연결되며 밴드부(120)가 삽입되며 파형부(122)를 고정하는 헤드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부(120)는 와이어 하네스(160)를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가요성이 있고,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방향으로 단턱진 파형부(122)가 형성되어 후술할 헤드부(140)의 탄성턱(144)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120)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가닥 이상의 유동방지돌기(124)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유동방지돌기(124)는 밴드부(120)의 내측면 중앙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160)를 감쌀 때 가압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가닥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130)는 차체패널(150)에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텃볼트(152)에 삽입될 수 있는 나사공(132)이 형성된 몸체(131)로 형성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30)의 몸체(131) 굵기는 스텃볼트(152)의 직경보다 약간 크면 된다.
상기 스텃볼트(stud bolt)(152)는 공지된 볼트의 일종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30)는 삽입된 스텃볼트(15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높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나사공(132)의 내측면에는 스텃볼트(152)에 고정부(130)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턱(1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턱(133)은 나사공(132)의 좌·우측에 형성되는데 각각의 전면은 스텃볼트(152)의 외경에 맞게 라운드(round)져 있다.
상기 고정턱(133)은 플렉시블(flexible)하고 그 전면이 각각 스텃볼트(152)의 나사산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턱(133)을 플렉시블하게 하는 이유는 용이하게 밴드케이블(110)을 스텃볼트(152)에서 분리시키거나 설치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헤드부(140)는 밴드부(120)의 일단과 연결되고 고정부(13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140)의 삽입공(142)에는 밴드부(120)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 및 크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공(142)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밴드부(120)의 파형부(122)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단턱진 탄성턱(1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턱(144)은 일방향으로 형성된 파형부(122)에 탄력 상태 하에서의 연쇄적인 미끄러짐과 소정부위의 파형부(122)에서의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3에서 원 안의 도면은 밴드부(120)를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160)는 밴드케이블(110)의 밴드부(120) 내측면에 올려놓고 밴드부(120)를 굽혀 헤드부(140)의 삽입공(142)에 삽입시킨다.
상기 밴드부(120)가 삽입공(142)에 일정 삽입되면서 탄성턱(144)에 파형부(122)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밴드부(120)의 유동방지돌기(124)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160)는 가압되어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케이블(110)의 고정부(130)를 차체패널(150)의 스텃볼트(152)에 삽입한다.
상기 고정부(130)의 나사공(132)에 스텃볼트(152)가 일정 삽입되면 고정턱(133)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스텃볼트(152)가 나사공(132)의 외부로 돌출 되지 않도록 고정부(13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의하면, 밴드케이블의 밴드부 일단과 고정부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와이어 하네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정부의 크기를 작게 하여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의 내측면에 유동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차체패널에 와이어 하네스를 한 덩어리로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가요성이 있으며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장방향으로 한 가닥 이상의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된 밴드부와;
    상기 차체패널에 돌출 되게 형성된 스텃볼트에 삽설되도록 나사공이 수직하게 통공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서 연결되면서 상기 밴드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의 나사공과 평행하게 관통 형성된 삽입공의 내측면에서 상기 파형부를 고정 결합하도록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돌기는 상기 밴드부의 내측면 중앙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한 가닥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가압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내부에 상기 스텃볼트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2002-0034416U 2002-11-18 2002-11-18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Expired - Fee Related KR200305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416U KR200305325Y1 (ko) 2002-11-18 2002-11-18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416U KR200305325Y1 (ko) 2002-11-18 2002-11-18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325Y1 true KR200305325Y1 (ko) 2003-02-26

Family

ID=4933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416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5325Y1 (ko) 2002-11-18 2002-11-18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3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761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경신 끼움식 밴드케이블
KR20220108888A (ko) * 2021-01-27 2022-08-04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정렬용 밴드케이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761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경신 끼움식 밴드케이블
KR102264934B1 (ko) 2019-10-22 2021-06-14 주식회사 경신 끼움식 밴드케이블
KR20220108888A (ko) * 2021-01-27 2022-08-04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정렬용 밴드케이블
KR102496087B1 (ko) * 2021-01-27 2023-02-07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정렬용 밴드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20302A1 (en) Crimp terminal and wire fixing structure
JP2012115021A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KR200431314Y1 (ko) 밴드케이블
US20070029451A1 (en) A separator element for a mesh cable duct and a mesh cable duct comprising such element
KR200305325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43110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200393275Y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부재
JP2012029484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のバンドクランプ
KR100820765B1 (ko)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KR200387582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US11682503B2 (en) Connector for device
KR200426813Y1 (ko) 밴드 케이블
KR200413714Y1 (ko) 밴드케이블
KR200391066Y1 (ko) 밴드케이블
KR200428595Y1 (ko) 밴드 케이블
KR200421637Y1 (ko) 원형 밴드 케이블
KR20038814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KR20034744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구조
KR200431313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347449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KR20080022457A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KR102302904B1 (ko) 결합력이 향상된 차량의 보스 결합용 케이블밴드
KR200427626Y1 (ko) 편심형 밴드케이블
CN220476126U (zh) 线缆固定座和电气设备
KR200405978Y1 (ko) 밴드케이블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1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1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