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4694Y1 -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 Google Patents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694Y1
KR200304694Y1 KR20-2002-0034705U KR20020034705U KR200304694Y1 KR 200304694 Y1 KR200304694 Y1 KR 200304694Y1 KR 20020034705 U KR20020034705 U KR 20020034705U KR 200304694 Y1 KR200304694 Y1 KR 200304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case
guide
sliding member
members
exhib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모
박점기
윤석길
위성봉
정진현
김종관
진교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모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모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모듈
Priority to KR20-2002-0034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69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2Clamps or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fastening, or connecting glass plates, pan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05Aligning device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전면 유리의 개방폭을 보다 넓게 확장할 수 있도록 전면유리를 1,2차 개방에 의해 완전히 개방토록 하여 문화유물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전시용 진열장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조명장치가 구비된 상부 조명장치부와, 조습제가 내장된 하부장과, 상기 상부 조명장치부와 하부장을 연결하는 다수의 유리로 구성된 전시용 진열장에 있어서, 상부 조명장치부를 구성하는 세로틀부재의 내측 및 하부장의 상면에 세로틀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설치되어 상·하부 가로틀부재를 관통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상·하부 가로틀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가이드봉에 일면이 연결되며 그 반대면에 다수의 롤러가 구비된 내측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진열장의 전면유리를 상하부에서 지지하며 내측면에 다수의 롤러가 구비된 외측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내·외측 슬라이딩부재에 구비된 롤러가 삽입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가이드홈이 양면에 형성되어 내측 슬라이딩부재와 외측 슬라이딩부재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내측 슬라이딩부재와 중간 연결부재에 의해 1차 개방된 전면유리가 중간 연결부재와 외측 슬라이딩부재 의해 2차 개방되도록 구성된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Passive showcase with perfect opening structure}
본 고안은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화유물 등을 외부환경과 차단된 상태에서 보존 및 전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시용 진열장에 유물의 수납 및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전면유리의 개방폭을 증가시킨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화유물을 박물관 또는 전시관에 전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진열장은 수장기능과 전시기능이 동시에 만족되어야 하며, 외부환경으로부터 격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문화유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형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전시용으로 사용되는 전시용 진열장은 전/후/좌/우 4면이 유리로 구성된 4면 독립장 및 상면을 포함한 5면이 유리로 구성된 5면 독립장 및 전면이 유리로 구성되어 벽면에 매입 설치되는 벽부장 및 낮고 작은 유물에 사용되는 조감장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일반적인 4면 전시용 독립장의 경우 유물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조명장치가 구비된 상부 조명장치부와, 진열장 내부의 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습제가 내장된 하부장과, 상기 상부 조명장치부와 하부장을 연결하는 전/후/좌/우 유리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4면 전시용 독립장은 일반적으로 도자기나 금속 등의 광택이 나는작은 유물이 횡열로 전시되어 디스플레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전후면이 좌우측면 보다 긴 길이를 구비한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유물의 유지관리를 위해 4면중 일면의 유리를 개폐식으로 설치하게 되었다.
즉, 종래의 전시용 진열장은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 개폐를 위해 금속제 후레임에 유리를 끼워 넣은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게 되고, 이중 여닫이식의 경우 일측면에 경첩을 용접취부하여 개방토록 구성되며, 미닫이식의 경우 금속 후렘임 하부에 호차를 취부하여 개방토록 구성되었으나, 금속제 후레임은 관람자 시선으로부터 전시물을 가로막고 외관상 미려치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에 상관없이 개폐식으로 설치된 유리에 의한 진열장의 밀폐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이 설치되고 있으나, 미닫이식의 경우, 유리와 가스켓이 밀착된 상태에서 유리의 슬라이딩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어 가스켓이 마찰력에 의해 손상 또는 탈락되어 밀폐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1998-0046017)호에서는 사면이 밀폐되며, 내부에는 조습제가 내장되고 수개의 유리 선반 및 조명장치가 내설되는 진열공간이 있는 진열장으로서, 진열장의 진열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전,후면 및 좌,우측면 가로틀부재에 복수개의 지지로울러 및 지지로울러를 타고 이동 하는 레일을 설치하여 전면 유리문을 설정된 폭만큼 좌,우측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9와 같이 좌,우측면 가로틀부재(110)의 내면에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130)가 양측에 부착된 슬라이딩 후레임(120)이 가로틀부재(110)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후레임(120)의 전면에 복수개의 슬라이딩 로울러(140)를 설치한 후, 이 슬라이딩 로울러를 타고 이동하는 레일이 전면 가로틀부재(100)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어, 전면 유리를 진열장의 전방으로 잡아당겨 가스켓과 유리를 분리시킨 후, 유리를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설정된 폭만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진열장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열장의 경우 전면유리의 일방향 이동에 의한 개방폭이 대략 2/3정도로서 미개방부분이 존재하여 그 부분에 위치한 문화유물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전면 유리를 다른 방향으로 다시 이동시켜야 함으로써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전면유리의 개방폭을 보다 넓게 확장할 수 있도록 전면유리를 1,2차 개방에 의해 완전히 개방토록 하여 문화유물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전시용 진열장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조명장치가 구비된 상부 조명장치부와, 조습제가 내장된 하부장과, 상기 상부 조명장치부와 하부장을 연결하는 다수의 유리로 구성된 전시용 진열장에 있어서, 상부 조명장치부를 구성하는 세로틀부재의 내측 및 하부장의 상면에 세로틀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설치되며 상·하부 가로틀부재를 관통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상·하부 가로틀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가이드봉에 일면이 연결되며 그 반대면에 다수의 롤러가 구비된 내측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진열장의 전면유리를 상하부에서 지지하며 내측면에 다수의 롤러가 구비된 외측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내·외측 슬라이딩부재에 구비된 롤러가 삽입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가이드홈이 양면에 형성되어 내측 슬라이딩부재와 외측 슬라이딩부재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중간 연결부재 또는 외측 슬라이딩부재 중 어느 한쪽 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에 따라 전면유리가 1차 개방되고, 나머지 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전면유리 2차 개방되어 완전한 개방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개방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상부 개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하부 개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볼스프링과 스토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 5 는 본 고안의 볼스프링 및 스토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하부 가이드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은 종래의 진열장 개폐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상부 조명장치부 (B) : 하부장
(C) : 전면유리 (D) : 측면유리
(10)(10`) : 외측 슬라이딩부재 (11) : 롤러
(20)(20`) : 중간 연결부재 (21) : 가이드홈
(22) : 원형봉 (30)(30`) : 내측 슬라이딩부재
(31) : 롤러 (40)(40`) : 가이드
(41) : 고정용 플레이트 (42) : 가이드 블록
(43) : 고정블록 (44) : 높이조절용 볼트
(45) : 힌지점 (46)(46`) : 가이드봉
(50)(50`) : 볼스프링 (51) : 볼
(52) : 스프링 (53) : 브라켓
(54) : 설치홈 (55)(55`) : 요홈
(56) : 제 1 스토퍼 (57) : 제 2 스토퍼
(60)(60`) : 가로틀부재 (61)(61`) : 세로틀부재
(70) : 체결구 (80) : 가스켓
(100) : 전,후측면 가로틀부재 (110) : 좌,우측면 가로틀부재
(120) : 슬라이딩 후레임 (130) : 지지로울러
(140) : 슬라이딩 로울러 (150) : 슬라이딩 가이드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개방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중간 연결부재(20)의 내외측에 내측 슬라이딩부재(30)와 외측 슬라이딩부재(10)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된 내,외측 슬라이딩부재(30,10)는 각각 독립적인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내측 슬라이딩부재(30)와 중간 연결부재(20)에 의해 전면유리(C)가 측면방향으로 일정폭 개방되고, 또한 중간 연결부재(20)와 외측 슬라이딩부재(10)에 의해 일정폭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전체적으로완전한 개방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었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상부 개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하부 개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전면유리(C)를 상하부에서 각각 고정하는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는 서로 대칭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롤러(11)가 상하 2열로 설치되었다.
또한, 상기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는 외측 슬라이딩부재와 동일하게 다수의 롤러(31)가 외측면에 상하 2열로 설치되고, 그 반대면이 가이드봉(46,46`)에 연결되었다.
한편,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와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재(20,20`)는 평행한 한쌍의 가이드홈(21)이 내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외측 슬라이딩부재와 내측 슬라이딩부재를 중간에서 연결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홈(21)의 상하부에 원형봉(22)이 설치되어 삽입된 롤러(11,3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었다.
즉, 중간 연결부재(20,20`)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에 설치된 롤러(11)가 삽입되고,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에 설치된 롤러(31)가 삽입되어 내,외측 슬라이딩부재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간 연결부재(20,20`)를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에서 독립적인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 및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를이용하여 전면유리(C)를 이단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와 중간 연결부재(20,20`)에 의한 개방 및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와 중간 연결부재(20,20`)에 의한 개방이 동시에 진행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스토퍼 및 볼스프링이 각 부재에 설치되었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볼스프링과 스토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의 내면 양끝단과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의 외면 양끝단에 제 1 스토퍼(56)가 설치되고, 상기 중앙 연결부재(10,20`)의 내외면에 각각 연결되도록 일부분이 돌출되는 볼스프링(50,50`)이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의 내면 중앙부와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의 외면 중앙부에 내설되며, 상기 제 1 스토퍼(56)와 볼스프링(50,50`)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스토퍼(57) 및 요홈(55,55`)이 중앙 연결부재(20,20`)의 내외면 중앙부에 설치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었다.
도 5 는 본 고안의 볼스프링 및 스토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볼스프링(50,50`)은 내,외측 슬라이딩부재의 외면 및 내면에 각각 형성된 설치홈(54)에 스프링(52)과 볼(51)이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스프링(52)의 탄력에 의해 볼(5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라켓(53)이 설치홈(54)의 개구부측에 설치된 것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볼스프링(50,50`)과 제 1,2 스토퍼(56,57)는 그 설치높이를 달리하여 각 부재의 슬라이딩시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치되었다.
즉, 도 5와 같이 볼스프링(50,50`)의 설치높이가 롤러와 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중앙부에 설치된 경우, 제 1,2 스토퍼(56,57)는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전면유리의 개폐시 서로 걸리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며, 내,외측 슬라이딩부재 및 중간 연결부재의 형상에 따라 그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시용 진열장의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로틀부재(60,60`) 및 측면유리(D)에 설치된 가스켓(80)이 전면유리(C)의 슬라이딩운동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면유리(C)를 진열장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전면유리(C)와 가스켓(80)을 분리시킨 후 슬라이딩운동이 진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세로틀부재(61`)의 내면 및 하부장(B)의 상단부에 가이드(40,40`) 및 가이드봉(46,46`)이 설치되었다.
상기 가이드(40,40`)는 고정용 플레이트(41)와, 상기 고정용 플레이트(41)의 상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블록(42)으로 구성되어 상부 조명장치부(A)의 좌우측 세로틀부제(61`)의 내면 및 하부장(B)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42)에 설치된 가이드봉(46,46`)이 가로틀부재(60,60`)를 관통하여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에 연결됨으로서 전면유리(C)의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때, 전면유리(C)를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부 조명장치부(A)에 설치된 가이드(40`)와 하부장(B)에 설치된 가이드(40)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는 제작시 많은 어려움을 수반하게 되며,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부장(B)에 설치된 가이드(40)의 기울임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하부 가이드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하부장(B)에 설치된 가이드(40)는 고정용 플레이트(41)의 일측이 하부장(B)에 고정된 고정블록(43)에 힌지결합되고, 그 타측에 높이조절용 볼트(44)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이 높이조절용 볼트(44)의 체결정도에 따라 힌지점(45)을 중심으로 고정용 플레이트(41)가 회전하여 가이드봉(46)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은 진열장의 개방시 공기압착기를 이용하여 전면유리(C)를 전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전면유리(C)를 지지하는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 및 이에 연결된 중간 연결부재(20,20`),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는 가이드(40,40`) 및 가이드봉(46,46`)에 의해 안내되어 진열장의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면유리(C)가 원활하게 이동되지 않을 경우, 하부장(B)에 설치된 가이드(40)의 높이조절용 볼트(44)를 조정하여 상부 조명장치부(A)에 설치된 가이드(40`)와 하부장(B)에 설치된 가이드(40)의 평행상태를 맞추어줌으로써 전면유리(C)를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진열장의 전방으로 전면유리(C)를 돌출시켜 가스켓(80)과 전면유리(C)를 분리시킨 후, 전면유리(C)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중간 연결부재(20)와 외측 슬라이딩부재(10) 중 어느 한 부재가 먼저 슬라이딩 운동을 진행하여 전면유리를 일부 개방하게 되고, 이후 나머지 한 부재가 슬라이딩 운동을진행하여 전면유리(C)를 완전히 개방하게 되며, 이는 각 부재에 설치된 볼스프링(50,50`)과 제 1,2 스토퍼(56,57)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중간 연결부재(20)가 먼저 슬라이딩 운동을 시작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내측 슬라이딩부재(30)에 구비된 볼스프링(50)과 중간 연결부재(20,20`)에 형성된 요홈(55)의 연결상태가 우선적으로 해제되어 전면유리(C)는 개방되기 시작하고, 중간 연결부재(20,20`)와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가 일정거리를 이동하여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에 구비된 제 1 스토퍼(56)와 중간 연결부재(20,20`)에 구비된 제 2 스토퍼(57)가 마주 닿게 됨으로써 1차 개방이 완료되며, 이후 전면유리(C)를 계속 진행시킴에 따라 중간 연결부재(20,20`)와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에 구비된 볼스프링(50`)과 요홈(55`)의 연결상태가 해제되어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만이 진행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됨으로써 2차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어 전면유리(C)는 완전한 개방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측 슬라이딩부재 및 내측 슬라이딩부재가 중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중간 연결부재의 내측 및 외측에서 독립적인 슬라이딩운동 구현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전면유리의 개방폭을 완전히 확장하여 진열장의 내부에 진열된 문화유물의 유지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조명장치가 구비된 상부 조명장치부(A)와, 조습제가 내장된 하부장(B)과, 상기 상부 조명장치부(A)와 하부장(B)을 연결하는 다수의 유리로 구성된 전시용 진열장에 있어서,
    상부 조명장치부(A)를 구성하는 세로틀부재(61`)의 내측 및 하부장(B)의 상면에 세로틀부재(61`)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한쌍의 가이드 블록(42)이 상면에 설치된 고정용 플레이트(41)로 구성된 가이드(40,40`)와,
    상기 가이드 블록(42)에 설치되어 상·하부 가로틀부재(60,60`)를 관통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가이드봉(46,46`)과,
    상기 가로틀부재(60,6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가이드봉(46,46`)에 일면이 연결되며 그 반대면에 다수의 롤러(31)가 구비된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와,
    상기 진열장의 전면유리(C)를 상하부에서 지지하며 내측면에 다수의 롤러(11)가 구비된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와,
    상기 내·외측 슬라이딩부재에 구비된 롤러(31,11)가 삽입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가이드홈(21)이 양면에 형성되어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와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재(20,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장(B)에 설치된 가이드(40)는 고정용 플레이트(41)의 일측이 하부장(B)에 고정된 고정블록(43)에 힌지결합되고, 그 타측에 높이조절용 볼트(44)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높이조절용 볼트(44)의 체결정도에 따라 가이드(40)의 기울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의 내면 양끝단과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의 외면 양끝단에 제 1 스토퍼(56)가 설치되고, 상기 중앙 연결부재(20,20`)의 내외면에 각각 연결되도록 일부분이 돌출되는 볼스프링(50,50`)이 외측 슬라이딩부재(10,10`)의 내면 중앙부와 내측 슬라이딩부재(30,30`)의 외면 중앙부에 내설되며, 상기 제 1 스토퍼(56)와 볼스프링(50,50`)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스토퍼(57) 및 요홈(55,55`)이 중앙 연결부재(20,20`)의 내외면 중앙부에 설치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4. 제 1 항에 있어서,
    볼스프링(50,50`)은 내,외측 슬라이딩부재의 외면 및 내면에 각각 형성된 설치홈(54)에 스프링(52)과 볼(51)이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스프링(52)의 탄력에 의해 볼(5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라켓(53)이 설치홈(54)의 개구부측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KR20-2002-0034705U 2002-11-20 2002-11-20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Expired - Lifetime KR200304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705U KR200304694Y1 (ko) 2002-11-20 2002-11-20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705U KR200304694Y1 (ko) 2002-11-20 2002-11-20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694Y1 true KR200304694Y1 (ko) 2003-02-15

Family

ID=4933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705U Expired - Lifetime KR200304694Y1 (ko) 2002-11-20 2002-11-20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6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21B1 (ko) * 2007-08-21 2009-01-14 주식회사 리스피엔씨 전면개폐형 진열장
CN114010017A (zh) * 2021-11-18 2022-02-08 成都海关技术中心 能倾斜观赏的昆虫标本保湿展示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21B1 (ko) * 2007-08-21 2009-01-14 주식회사 리스피엔씨 전면개폐형 진열장
CN114010017A (zh) * 2021-11-18 2022-02-08 成都海关技术中心 能倾斜观赏的昆虫标本保湿展示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99560A1 (en) Shelf for display of goods
US9217273B2 (en) Apparatus for restricting access to a retail store aisle
EP1120070A1 (fr) Structure de rangement à panneaux articulés.
NO802367L (no) Stoettekonstruksjon for paneler.
US11478088B2 (en) Museum showcase with a guide system for a sliding door
KR200304694Y1 (ko)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KR101270318B1 (ko) 개폐문시스템
US1583720A (en) Adjustable sign
KR20160061051A (ko) 전통 창호형 칸막이
US3534935A (en) Sliding display or storage units and catch mechanisms therefor
KR200304695Y1 (ko) 완전개방구조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KR102362958B1 (ko) 인출 구조를 갖춘 벽부착형 찬넬식 선반
KR100187643B1 (ko)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US5065805A (en) Display enclosure and segmented flexible closure therefor
US6052944A (en) Object with forward and subsequent lateral displacement of forward movable surfaces
EP0582775A1 (en) Cabinet for containing and displaying glasses
KR101038279B1 (ko) 전시용 진열장
KR100419155B1 (ko) 리치-인 타입쇼케이스의 자동닫힘 슬라이드도어구조
JP4787422B2 (ja) 移動パネル連接式間仕切り装置
KR100463138B1 (ko) 문화재 전시용 독립형 밀폐 진열장
KR100485693B1 (ko) 문화재 전시용 4면 독립형 진열장
US2692016A (en) Triple track storm and screen window
KR100408956B1 (ko) 리치-인타입쇼케이스의자동닫힘슬라이드도어구조의도어정지구조
CN110273501A (zh) 一种吊顶的灯槽结构装置及其安装方法
CN222285120U (zh) 平移门立式展示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12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1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416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