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1429Y1 -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429Y1
KR200301429Y1 KR20-2002-0031306U KR20020031306U KR200301429Y1 KR 200301429 Y1 KR200301429 Y1 KR 200301429Y1 KR 20020031306 U KR20020031306 U KR 20020031306U KR 200301429 Y1 KR200301429 Y1 KR 200301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handling mechanism
lens
contac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콘택츠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콘택츠렌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콘택츠렌즈
Priority to KR20-2002-0031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4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429Y1/ko
Priority to US10/688,315 priority patent/US20040150238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12/08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12/086Container, accessorie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 취급기구에 관한 것으로 ,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일체로 상기 콘택트렌즈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오목한 렌즈 안착부를 형성한 콘택트렌즈 취급기구를 구성하며, 상기 콘택트렌즈 취급기구를 이용하여 렌즈를 용기로부터 꺼냄으로써 손가락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콘택트렌즈를 보다 청결하게 인체의 안구에 착용할 수 있어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청결하고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취급기구{CONTACT LENS SCOOP}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 취급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택트렌즈를 소독용기 또는 보관용기로부터 손으로 만지지 않고 꺼내어 손가락으로부터의 오염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보다 청결하게 인체의 안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콘택트렌즈 취급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콘택트렌즈 착용자 들이 콘택트렌즈 용기로부터 렌즈를 꺼내고자 할 때 손가락으로 꺼냄으로써 오염이 되거나 용액이 넘쳐흐르는 등, 불편함이 뿐만 아니라 손으로 렌즈를 계속 만짐으로써 비위생적이며, 부드럽고 약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또는 일회용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경우 잘못 손으로 만질 경우 손상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시중에 대량으로 판매되고 있는 일회용 렌즈의 경우에는 병에 들어있지 않고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물방울형의 용기에 넣어 알미늄 호일로 실링 한 제품이 많은데 이 경우에 본 취급기구를 사용치 않을 경우 손가락으로 렌즈를 꺼내게 되며 이렇게 하면 용액이 넘치고 렌즈가 오염되며 파손되기도 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콘택트렌즈를 소독용기 또는 보관용기로부터 손으로 만지지 않고 꺼낼 수 있는 콘택트렌즈 취급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콘택트렌즈를 소독용기 또는 보관용기로부터 손으로 만지지 않고 꺼내어 보다 청결하게 인체의 안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택트렌즈 취급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콘택트렌즈 착용기구에 관한 것으로 ,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일체로 상기 콘택트렌즈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가 볼록한 렌즈 안착부를 형성한 콘택트렌즈 취급기구를 구성하며, 상기 콘택트렌즈 취급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오염과 파손을 예방하고 본 콘택트렌즈 취급기구의 부드럽고 오목한 상부를 거꾸로 뒤집어서 콘택트렌즈의 볼록한 면(렌즈의 바깥면)에 근접시키면 렌즈가 표면장력으로 가볍게 보울 부분에 부착되어짐으로써 용기로부터 콘택트렌즈를 손쉽게 꺼낼 수 있으며, 또는 콘택트렌즈 취급기구의 부드럽고 오목한 상부위에 콘택트렌즈의 볼록한 면(렌즈의 바깥면)에 근접시키 떠 올려서 용기로부터 콘택트렌즈를 손쉽게 꺼낼 수 있으며, 꺼낸 후에 상기 콘택트렌즈를 보다 청결하게 인체의 안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콘택트렌즈 취급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콘택트렌즈 취급기구를 이용해 용기내의 콘택트렌즈를 꺼낼 수 있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콘택트렌즈 취급기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콘택트렌즈 취급기구 20:손잡이부
30:연결부 40:렌즈 안착부
42:내부면 44:홀
46:개구부 50:콘택트 렌즈
60:용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콘택트렌즈 취급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콘택트렌즈 취급기구를 이용해 용기내의 콘택트렌즈를 꺼낼 수 있는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은 안구에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하게 보울 형상으로 이루어진 콘택트렌즈(50)를 보관용기 또는 소독용기(60)로 부터 손으로 만지지 않고 꺼낼 수 있는 콘택트렌즈 취급기구(10)에 관한 것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20)와, 상기 손잡이부(20)와 일체로된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의 하부에 일체로 상기 콘택트렌즈(50)가 가볍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오목하고 하부가 볼록한 렌즈 안착부(40)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렌즈 안착부(40)는 콘택트렌즈(50)가 안착되게 상부가 오목한 내부면(42)과 하부가 볼록한 외부면을 이루며 중앙이 원형으로 개구된 홀(44)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콘택트렌즈 취급기구(10)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렌즈(50)를 보관용기 또는 소독용기(60)로부터 손으로 만지지 않고 콘택트렌즈 취급기구(10)를 이용하여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독용기(60)의 내부에 소독용액(70)이 담겨진 상태에 콘택트렌즈(50)를 넣어 소독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콘택트렌즈(50)를 꺼내어 보관하든지 사람의 안구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택트렌즈 취급기구(10)를 이용해서 소독용기(60) 내의 콘택트렌즈(50)를 꺼내어야 한다.
이때 상기 콘택트렌즈 취급기구(10)의 손잡이부(20)를 손으로 잡고 연결부(30)와 일체로 된 오목한 렌즈 안착부(40)를 콘택트렌즈(50)의 볼록한 면(렌즈의 바깥면)에 근접시켜 떠 올릴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손잡이부(20)를이용하여 소독용기(60)내의 콘택트렌즈(50)를 들어 올리면 렌즈 안착부(40)의 내부면(42)이 오목한 보울 부분에 콘택트렌즈(50)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렌즈 안착부(40)의 오목한 내부면(42)에 콘택트렌즈(50)의 볼록한 면에 얹혀져서 꺼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렌즈 안착부(40)의 중앙 홀(44)을 통하여 용액을 배제하게 되며 콘택트렌즈(50)의 볼록한 면이 본 취급기구의 하단 오목한 면에 표면장력으로 부드럽게 달라붙는다.
이때 콘택트 렌즈 취급기구(10)를 들어올려 콘텍트렌즈(50)를 용기로부터 간단하게 꺼내어 눈에 착용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콘택트렌즈 취급기구의 사시도로서, 상기 일실시예의 구성에서 렌즈안착부(40)의 일측이 적당한 크기로 개구된 개구부(46)가 형성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콘택트렌즈 취급기구(1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20)와, 상기 손잡이부(20)와 일체로된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의 하부에 일체로 상기 콘택트렌즈(50)가 가볍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오목하고 하부가 볼록한 렌즈 안착부(40)를 이루며, 상기 렌즈 안착부(40)는 콘택트렌즈(50)가 안착되게 상부가 오목한 내부면(42)과 하부가 볼록한 외부면을 이루며 중앙이 원형으로 개구된 홀(44)과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46)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콘택트렌즈 취급기구(10)의 손잡이부(20)를 손으로 잡고 소독용기의 콘택트렌즈(50)를 꺼낼 때 렌즈 안착부(40)의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46)측을 콘택트렌즈(50)의 하측에 근접시켜 떠 올릴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손잡이부(20)를 이용하여 소독용기내의 콘택트렌즈(50)를 들어 올리면 렌즈안착부(40)의 개구부(46)을 통해 오목한 내부면(42)에 콘택트렌즈(50)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렌즈 안착부(40)의 오목한 내부면(42)에 콘택트렌즈(50)의 볼록한 면이 얹혀져서 꺼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렌즈 안착부(40)의 중앙 홀(44)과 일측의 개구부(46)을 통하여 용액을 배제하게 되며 콘택트렌즈(50)의 볼록한 면이 본 취급기구의 오목한 내부면(42)에 부드럽게 달라붙는다. 이때 콘택트렌즈 취급기구(10)를 들어올려 콘택트렌즈(50)를 용기로부터 간단하게 꺼내고, 상기 렌즈 안착부(40)의 오목한 내부면(42)에서 콘택트렌즈(50)가 개구부(46)에 의해 손쉽게 떨어져 눈에 착용하기 용이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콘택트렌즈 취급기구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소독용기 또는 보관용기로부터 손으로 만지지 않고 손쉽게 꺼낼 수 있으며, 본 콘택트렌즈 취급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콘택트렌즈를 보다 청결하게 인체의 안구에 착용할 수 있어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콘택트렌즈를 보관용기 또는 소독용기로부터 손으로 만지지 않고 꺼낼 수 있는 콘택트렌즈 취급기구에 있어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일체로 상기 콘택트 렌즈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오목하고 하부가 볼록한 렌즈 안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안착부는 콘택트렌즈가 안착되게 하부가 볼록한 돌기형을 이루며 중앙이 원형으로 개구된 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안착부는 콘택트렌즈가 안착되게 하부가 볼록한 돌기형을 이루며 중앙이 원형으로 개구된 홀과 일측이 적당한 크기로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 취급기구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KR20-2002-0031306U 2002-10-21 2002-10-21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KR200301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306U KR200301429Y1 (ko) 2002-10-21 2002-10-21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US10/688,315 US20040150238A1 (en) 2002-10-21 2003-10-17 Apparatus for taking out a contact lens from its keeping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306U KR200301429Y1 (ko) 2002-10-21 2002-10-21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429Y1 true KR200301429Y1 (ko) 2003-01-24

Family

ID=3282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306U KR200301429Y1 (ko) 2002-10-21 2002-10-21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150238A1 (ko)
KR (1) KR2003014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513B1 (ko) 2022-10-28 2023-12-22 오태순 렌즈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8320B1 (ja) * 2012-12-07 2013-06-12 メディトレック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補助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2887A (en) * 1960-05-12 1964-05-12 Martinez Miguel Applicator for contact lenses
US3177874A (en) * 1960-05-19 1965-04-13 Nylacore Corp Contact lens applicator
US4088359A (en) * 1977-01-21 1978-05-09 Buchanan Jr Richard S Contact lens inserter
US4167283A (en) * 1977-07-25 1979-09-11 Feldman Michael A Apparatus for applying a soft contact lens
US4123098A (en) * 1977-07-25 1978-10-31 Shoup Leo E Contact lens insertion and retraction device
US4308947A (en) * 1979-10-09 1982-01-05 Arnhem Erik M Contact lens holding and applicator device
US4387921A (en) * 1979-12-10 1983-06-14 Licata Joseph G Contact lens application
US4479672A (en) * 1983-01-05 1984-10-30 Jermyn Arthur C Contact lens inserter
US4512602A (en) * 1983-11-17 1985-04-23 England Robert C Device for inserting and removing contact lenses
USD296791S (en) * 1985-10-17 1988-07-19 Kolack David H Contact lens manipulator
US4703964A (en) * 1986-06-27 1987-11-03 Ranani Ami C Tinted contact lens fitter
US5236236A (en) * 1991-10-25 1993-08-17 Girimont John V Process and implements for cleaning, rinsing, storing and inserting a contact lens
CA2197621C (en) * 1997-02-14 2005-06-14 Mel Perusse Contact lens applicator
US6398277B1 (en) * 2001-03-15 2002-06-04 Mcdonald Marguerite B. Contact lens inser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513B1 (ko) 2022-10-28 2023-12-22 오태순 렌즈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50238A1 (en) 200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42425C (en) Contact lens case
RU2550330C2 (ru) Бутылка со съемным дном
EP3045071B1 (en) Contact lens dispensing container
US3343657A (en) Contact lens conditioning facility
KR20180114014A (ko) 콘택트 렌즈 패키징
HK1121006A1 (en) Contact lens package
US20140159397A1 (en) Contact-lens putting support tool
GB2551530B (en) Contact lens container
KR200301429Y1 (ko) 콘택트렌즈 취급기구
CN112040808B (zh) 隐形眼镜盒
ES3002007T3 (en) Ear drop applicator
ES2947087T3 (es) Aplicación de gotas para los ojos
KR101456798B1 (ko) 이유클립
JP4474057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ース
JP5468715B1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ケース
ES2985635T3 (es) Aplicador de soluciones oftálmicas en envases de monodosis y un kit que contiene el mismo
JP2014157172A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ケース
KR102445578B1 (ko) 위생적인 콘택트 렌즈 보관용 케이스
KR102403456B1 (ko) 콘택트렌즈 보관통
JP2001070026A (ja) 底部変形可能なレンズ容器
JP2004121541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ケース
US20250073064A1 (en) Systems for contact lens movement and storage
JP2014157171A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ケース
JP2014016413A (ja) コンタクトレンズ吸着具
JP2003102763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取り外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02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1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0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0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1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10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11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6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