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308Y1 -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 - Google Patents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1308Y1 KR200301308Y1 KR20-2002-0027162U KR20020027162U KR200301308Y1 KR 200301308 Y1 KR200301308 Y1 KR 200301308Y1 KR 20020027162 U KR20020027162 U KR 20020027162U KR 200301308 Y1 KR200301308 Y1 KR 2003013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closure
- cleaner
- hook
- sweeping
- brush ro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2—Implements with several different trea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동력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인력에 의한 전후 왕복 운동으로 쓸기와 걸래질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경량의 구조로서 쓸고 닦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선택적으로 쓸기 또는 닦기가 가능하고, 외부 동력의 사용없이 인력으로서 쓸기와 닦기가 가능하며, 걸래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걸래의 면적이 넓어 걸래질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전후 방향으로 길고 일정 폭을 갖도록 이루어진 외함(1)의 전, 후 저면으로 바퀴(15, 15a)를 형성하고, 전면 바퀴축(150)에 벨트(17)로서 결합되어 바퀴의 회전력으로 회동하는 쓸기용 브러쉬 봉(10)을 형성하며, 브러쉬 봉의 배후에 개폐되도록 쓰레기 함(12)을 형성하며 외함의 저면 중앙부분에 제 1 걸래 고정부(13)를 형성하고, 외함의 상부 전후면에 제 2,3 걸래 고정부(16, 16a)를 형성하여 걸래를 착탈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며, 상기 브러쉬 봉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조정레버(14)를 형성하되, 외함 상부 중앙부분에 밀대 결합부와 파지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무동력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인력에 의한 전후 왕복 운동으로 쓸기와 걸래질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소규모 영업 장소에서 바닦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빗자루를 이용하여 쓰레기나 먼지를 쓸어낸 후에 물걸래 등을 이용하여 닦아내는 것이 보편적이며, 전기 동력을 이용하는 진공 청소기 역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의 비질과 걸래질을 분리하여 수행하는 경우에는 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되므로 청소 자체가 매우 힘들고 번거로운 일로 여겨지고 있다.
물론 전기를 동력으로하는 진공 청소기의 경우에는 과다한 인력의 소모를 다소 줄이며 깨끗하게 진공 흡입하므로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잇점은 있으나, 이 역시 진공 청소기 자체 중량이 무거워 끌고 다니는데 상당한 힘이 필요하고, 자주 꺼내어 작은 범위를 청소하기에는 설치와 제거가 힘들고 번거로워 전체 집안을 청소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주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비질과 걸래질 또는 진공 청소기 사용의 단점을 보충하고자 빗자루의 경우에는 극세사의 정전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미세 먼지까지 흡착할 수 있는 제안이 실용화되어 있고, 또는 고탄성의 브러쉬를 이용하여 장방형 함체에 내장시켜 마치 칠판지우개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바닦을 청소할 수 있도록 제안되어 실용화되어 있다.
상기 빗자루 대용으로 개발된 제품들은 가볍고 취급이 간편하여 폭 넓게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비질이 끝난 후 걸래질을 2차적으로 해야하는 번거로움은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결과적으로 쓸고 닦는 일은 번거롭고 힘든 일이 될 수밖에 없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여 보다 간편하게 쓸고 닦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과 함께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경량의 구조로서 쓸고 닦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선택적으로 쓸기 또는 닦기가 가능하여 수시로 사용이 가능한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외부 동력의 사용없이 인력으로서 쓸기와 닦기가 가능한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걸래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걸래의 면적이 넓어 걸래질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밀대에 의한 입식 청소와 밀대를 제거한 좌식 청소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선택 폭을 넓게한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전후 방향으로 길고 일정 폭을 갖도록 이루어진 외함의 전, 후 저면으로 바퀴를 형성하고, 전면 바퀴축에 벨트로서 결합되어 바퀴의 회전력으로 회동하는 쓸기용 브러쉬 봉을형성하며, 브러쉬 봉의 배후에 개폐되도록 쓰레기 함을 형성하며 외함의 저면 중앙부분에 제 1 걸래 고정부를 형성하고, 외함의 상부 전후면에 제 2,3 걸래 고정부를 형성하여 걸래를 착탈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며, 상기 브러쉬 봉의 승강 위치를 조절하는 조정레버를 형성하되, 외함 상부 중앙부분에 밀대 결합부와 파지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청소기를 도시한 길이 방향의 종단면도.
도 2a는 청소기의 브러쉬봉 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 상태도.
도 2b는 도 2a 부분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청소기의 브러쉬봉 부분의 평면 상태도.
도 4는 청소기의 걸래 고정부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
도 5는 청소기의 걸래 고정부 작동 상태도.
도 6은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로 사용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걸래 청소기로 사용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6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외함 10 : 브러쉬 봉
11 : 걸래 지지판 12 : 쓰레기 함
13 : 제 1 걸래 고정부 14 : 조정레버
15, 15a : 바퀴 16, 16a : 제 2, 3 걸래 고정부
17 : 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길고 일정 폭을 갖도록 이루어진 외함(1)의 전, 후 저면으로 바퀴(15, 15a)를 형성하고, 전면 바퀴(15)의 후면에 강모 브러쉬 봉(10)을 마련하여 전면 바퀴축(150)에 "H" 프레임 형태의 연결지지대(23)로서 상기 바퀴축(150)을 중심으로 브러쉬 봉(10)이 승강하도록 이루며, 상기 바퀴축(150)에 벨트(17)로서 결합하여 바퀴의 회전력으로 브러쉬 봉(10)이 연동하도록 이루는 한편 상기 연결지지대(23)의 중앙부에는 연결지지대를 승강, 고정하는 조정레버(14)를 형성하여 이룬다.
또한, 브러쉬 봉(10)의 배후에는 개폐되는 쓰레기 함(12)을 형성하며 외함(1)의 저면 중앙부분에는 힌지 회전하는 가압봉(136)을 갖는 제 1 걸래 고정부(13)를 형성하고, 외함의 상부 전후면에 스프링 탄성으로 걸래의 단부를 눌러 고정하는 제 2,3 걸래 고정부(16, 16a)를 형성하여 걸래를 착탈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며, 외함(1) 상부 중앙부분에 밀대 결합부(20)와 파지부(22)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걸래 고정부(13)는 외함(1)의 중심부 폭 방향 양단에 힌지축 결합한 링크(130)와 링크 선단에 힌지 결합한 로크(132)로서 2절하여 이루고, 로크 위치에는 외함(1)에 고정한 로크핀(134)을 고정 형성하여 이루고, 양단의 링크(130)에 걸래 고정봉(136)을 결합하여 로크(132)의 잠김 위치에서 걸래 고정봉(136)에 걸래의 일단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외함(1)은 저면으로 바퀴(15, 15a)에 비해 브러쉬 봉(10)이 돌출되도록 마련하고 쓰레기 함(12) 위치 까지는 바닦에 근접하게 형성하되, 제 1걸래고정부(13) 위치로부터 외함(1)의 후면 위치까지는 전면에 비해 바닦면으로부터 다소 높게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공간에 쿠션을 갖는 걸래 지지판(11)을 부착하여 이룬다.
상기 외함의 전면에 비해 후면을 바닦으로부터 높게하는 것은 사람의 힘으로 밀는 경우 쓰레기의 청소와 동시에 걸래의 바닦 접촉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며 동일평면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걸래의 두께로 인하여 브러쉬 봉이 바닦면에서 들리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쓸기가 원활치 못하여 걸래의 오염이 빨라져 청소가 불량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걸래 지지판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될 수도 있다.
이는 바퀴에 의한 청소기의 원활한 구름을 유지하면서도 걸래를 바닦면에 밀접하게 유지하고자 스프링(210)으로서 외함 저면에 걸래 고정판(21)을 고정하여 하향 탄발 설치하여 이루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로서 18은 청소기의 밀대를, 190, 192는 걸래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제 작용에 대하여 이하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청소기는 쓸기와 닦기가 동시에 가능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쓸기위한 청소기의 작용을 살펴본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레버(14)를 수직 상태로 위치하게 되면 탄발스프링의 압력에 의하여 "H" 프레임 형태의 연결지지대(23)가 하향되면서 브러쉬 봉(10)이 바닦면 가까이 이동하여 청소기를 전후로 움직이면 브러쉬 봉에 쓰레기, 먼지 등이 쓸려 후방에 형성한 쓰레기 함(12)으로 유입되면서 쓸어내는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브러쉬 봉(10)은 청소기 저면 전 표면을 걸래질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정레버(14)를 당겨 레버의 2절된 부분을 꺽어두게 되면 스프링 탄발압력으로 위치가 고정되고 이때 브러쉬 봉(10)은 바퀴(15)의 축(150)을 기준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여 외함(1) 내부로 몰입되어 쓸기 작용을 상실한다.
상기와 같이 쓸기 작용을 배제하는 경우 도 7 도시와 같이 제 2걸래 고정부(16)와 제 3 걸래고정부(16a) 사이에 외함의 저면을 경유하도록 걸래(190)를 걸어 지렛대와 같이 이루어진 고정부의 스프링 탄성으로 걸래를 끼워 고정하고 청소기를 왕복동 시킴으로서 걸래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쓸기와 닦기가 동시에 가능한 작용을 살펴본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 봉(10)이 하향 위치로 조절한 상태에서 제 1걸래 고정부(13)에 걸래(192)의 일단을 고정하되, 걸래는 외함(1)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된 걸래고정봉(136)에 끼어 걸래지지판(11) 사이에 고정되는 것으로 걸래의 단부를 위치시키고 나면 링크(130)를 힌지축 중심으로 회동시켜 로크핀(134)에 로크(132)를 걸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걸래(192)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나면 걸래의 다른 일단은 외함의 저면을 휘감아 제 3걸래 고정부(16a)에 지렛대 레버를 눌러 끼워 고정하면 다른 일단 역시 스프링 압력으로 견고하게 고정이 된다.
따라서 청소기 전방에서는 쓸기 바퀴 구동과 연동하도록 벨트(17)로 연결된 브러쉬 봉(10)에 의한 쓸기 작용이 일어나고 청소기 후방에서는 바닦면에 밀접한 위치에 장착된 걸래(192)에 의한 걸래질 작용이 동시에 일어나게 되므로 쓸기와 닦기가 동시에 실현되는 것이다.
여기서 걸래(190, 192)는 외함 저면 후부에서 주로 작용하며 걸래 저표면은 후부의 바퀴(15a)에 비해 미세하게 하향 돌출된 위치로 선정함이 바람직하며 이 돌출은 청소기 가압시 쿠션재로 이루어지는 걸래지지판(11)의 완충에 의하여 바퀴 구동을 방해하지 아니하면서도 바닦에 밀접한 상태를 유지케하여 깨끗하게 닦아 낼 수 있는 것이다.
걸래질이 종료되면 로크(132)를 젖혀 해방시킨 후 링크(130)를 회동시켜 걸래를 분리하고 제 3 걸래 고정부(16a) 역시 지렛대 레버의 스프링 부분을 눌러 걸래를 빼내어 세탁을 하고 재사용하면 된다.
상기 청소기 외함(1)은 사용자의 힘이 쓸기와 닦는 동작에 고르게 안배되도록 상부에 밀대 결합부(20)를 마련하고 이 결합부에 밀대(18)를 탈착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시 입식 상태에서 청소가 가능하고, 또는 작은 면적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밀대를 제거한 상태에서 파지부(22)에 손을 끼워 왕복동시키면서 청소를 할 수 있다.
한편, 도 8도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래 지지판(11)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걸래 지지판을 쿠션재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단순 판재로 이루어지는 걸래 고정판(21)을 형성한 것으로서 걸래의 밀착력을 위해 스프링(210)의 탄발력으로 걸래를 바닦면에 향상 밀접하도록 작용한다.
물론 스프링(210)은 바퀴의 이동을 위한 구름 작용시 완충을 이룸으로서 이역시 보장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상기 쓰레기 함에 연통하는 밀대 구조를 부가하는 경우에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장치와 연결하여 진공 흡입과 동시에 걸래질이 가능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경량의 구조로서 쓸고 닦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선택적으로 쓸기 또는 닦기가 가능하여 수시로 사용이 가능하며, 외부 동력의 사용없이 인력으로서 쓸기와 닦기가 가능하고, 걸래의착탈이 용이하면서도 걸래의 면적이 넓어 걸래질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밀대에 의한 입식 청소와 밀대를 제거한 좌식 청소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선택 폭을 넓게한 등의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 무동력 청소기에 있어서,청소기는 외함(1)의 전, 후 저면으로 바퀴(15, 15a)를 형성하고, 전면바퀴(15)의 후면에 강모 브러쉬 봉(10)을 마련하여 전면 바퀴축(150)에 "H" 프레임형태의 연결지지대(23)로서 상기 바퀴축(150)을 중심으로 브러쉬 봉(10)이 승강하도록 이루며, 상기 바퀴축(150)에 벨트(17)로서 결합하여 바퀴의 회전력으로 브러쉬 봉(10)이 연동하도록 이루는 한편 상기 연결지지대(23)의 중앙부에는 연결지지대를 승강, 고정하는 조정레버(14)를 형성하여 이루고,상기 브러쉬 봉(10)의 배후에는 개폐되는 쓰레기 함(12)을 형성하며 외함(1)의 저면 중앙부분에는 힌지 회전하는 가압봉(136)을 갖는 제 1 걸래 고정부(13)를 형성하고,외함의 상부 전후면에 스프링 탄성으로 걸래의 단부를 눌러 고정하는 제 2,3 걸래 고정부(16, 16a)를 형성하여 걸래를 착탈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며,외함(1) 상부 중앙부분에 밀대 결합부(20)와 파지부(22)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래 고정부(13)는 외함(1)의 중심부 폭 방향양단에 힌지축 결합한 링크(130)와 링크 선단에 힌지 결합한 로크(132)로서 2절하여 이루고, 로크 위치에는 외함(1)에 고정한 로크핀(134)을 고정 형성하여 이루고,양단의 링크(130)에 걸래 고정봉(136)을 결합하여 로크(132)의 잠김 위치에서 걸래 고정봉(136)에 걸래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함(1)은 저면으로 바퀴(15, 15a)에 비해 브러쉬 봉(10)이 돌출되도록 마련하고 쓰레기 함(12) 위치 까지는 바닦에 근접하게 형성하되, 제 1걸래 고정부(13) 위치로부터 외함(1)의 후면 위치까지는 전면에 비해 바닦면으로부터 다소 높게 이격되도록 형성하며, 이 공간에 쿠션을 갖는 걸래 지지판(11)을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래 지지판은 외함(1) 저면에 스프링(210)으로 탄지 결합된 쿠션이 없는 걸래 고정판(21)을 고정하여 하향 탄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20010795 | 2002-04-10 | ||
KR2020020010795 | 2002-04-1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1308Y1 true KR200301308Y1 (ko) | 2003-01-24 |
Family
ID=4932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7162U KR200301308Y1 (ko) | 2002-04-10 | 2002-09-10 |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1308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11838A (zh) * | 2018-04-12 | 2018-08-17 | 扬州金威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快拆式模块化清扫装置 |
CN112471989A (zh) * | 2020-10-28 | 2021-03-12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一种清洁系统 |
-
2002
- 2002-09-10 KR KR20-2002-0027162U patent/KR20030130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11838A (zh) * | 2018-04-12 | 2018-08-17 | 扬州金威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快拆式模块化清扫装置 |
CN112471989A (zh) * | 2020-10-28 | 2021-03-12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一种清洁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55599A (en) | Carpet cleaning brush assembly | |
CA2403272A1 (en) | Wet/dry floor cleaning unit and method of cleaning | |
KR102232959B1 (ko) | 물걸레 청소기 | |
KR101398554B1 (ko) | 밀대형 청소기 | |
CN210541392U (zh) | 一种清洁机器人铲条分离结构 | |
KR200301308Y1 (ko) | 쓸기 겸용 걸래 청소기 | |
CN111904347B (zh) | 一种屋顶除尘器及使用方法 | |
CN2857785Y (zh) | 一种扫地、拖地一体机 | |
US20210330169A1 (en) | A Cleaning Apparatus | |
KR200461088Y1 (ko) |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 |
CN216020874U (zh) | 一种便于使用的清洁工具 | |
CN2153326Y (zh) | 折叠挤水式拖把 | |
JPH1052386A (ja) | 払掃機能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吸込み具 | |
CN221616904U (zh) | 一种多功能扫把 | |
CN2778182Y (zh) | 地板清扫器 | |
CN205268081U (zh) | 一种清洁组件 | |
CN222149943U (zh) | 一种具有双清洁面的拖把 | |
CN221956617U (zh) | 一种驾驶式洗地机中的刮地组件 | |
CN222693324U (zh) | 清洁桶 | |
KR102197592B1 (ko) | 밀대 청소기 | |
CN220588217U (zh) | 一种可夹持除尘纸清洁装置 | |
CN215016862U (zh) | 一种便于清洁的家用拖把 | |
KR102197584B1 (ko) | 밀대 청소기 | |
CN215305605U (zh) | 一种可翻转拖把 | |
CN211749377U (zh) | 一种易清洁除尘拖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910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01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91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