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1193Y1 - 리필용 비닐팩 - Google Patents

리필용 비닐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193Y1
KR200301193Y1 KR20-2002-0030802U KR20020030802U KR200301193Y1 KR 200301193 Y1 KR200301193 Y1 KR 200301193Y1 KR 20020030802 U KR20020030802 U KR 20020030802U KR 200301193 Y1 KR200301193 Y1 KR 200301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pack
contents
outlet
cap
p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연
Original Assignee
(주)신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명 filed Critical (주)신명
Priority to KR20-2002-0030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19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imparting a motion to the valve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및 식품, 샴푸, 린스, 액체세제 등과 같은 액체제품을 담을 수 있는 리필용 비닐팩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따라 쓰는 유출구 및 이곳에 체결되는 캡의 구조를 개선하는 동시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비닐팩을 꺼꾸로 매달아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닐팩 내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리필시의 불편함이나 캡을 열고 닫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 종전과 같이 비닐팩이 옆으로 쓰러지면서 내용물이 주변으로 흘러 나오는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또한 꺼꾸로 사용하는 비닐팩의 내용물을 따라 쓸 때 간단한 누름조작만에 의해 선택적으로 내용물을 쉽게 뽑아낼 수 있도록 한 원터치 방식의 내용물 유출수단을 포함하는 리필용 비닐팩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필용 비닐팩{Vinyl pack for refill}
본 고안은 음료 및 식품, 샴푸, 린스, 액체세제 등과 같은 액체제품을 담을 수 있는 리필용 비닐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따라 쓰는 유출구 및 이곳에 체결되는 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비닐팩을 꺼꾸로 매달아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닐팩 내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리필시의 불편함이나 캡을 열고 닫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또 종전과 같이 비닐팩이 옆으로 쓰러지면서 내용물이 주변으로 흘러 나오는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리필용 비닐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및 식품, 샴푸, 린스, 액체세제 등과 같은 액체제품의 경우 리필용 비닐팩에 들어있는 것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기존의 리필용 비닐팩은 단순한 비닐팩 형태로 되어 있어서, 용기에 내용물을 따라 쓸 때 흘리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즘에 시판되는 것들은 비닐팩(10)의 일측에 별도의 유출구(11) 및 캡(12)이 부착되어 있어서,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3은 손잡이 구멍을 나타낸다.
그러나, 위와 같이 유출구, 캡, 손잡이 구멍 등을 갖춘 리필용 비닐팩의 경우에도 내용물을 용기에 따라 쓸 때 캡을 열고 닫는 번거로움이나 캡 분실에 따른 보관상의 불편함 등이 여전히 존재하고, 또 보관시 비닐팩 자체가 연질의 포장으로 되어 있다보니 약간의 충격에도 쉽게 넘어지면서 내용물 유출에 따른 비닐팩 자체 및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는 소지가 높은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기존의 리필용 비닐팩의 경우 내용물의 점도에 따라 소량이 남았을 때에는 짜내어 쓰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 그대로 버리는 경우가 흔하고, 이에 따른 환경오염 및 낭비적인 요소가 강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따라 쓰는 유출구 및 이곳에 체결되는 캡의 구조를 개선하는 동시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비닐팩을 꺼꾸로 매달아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닐팩 내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리필시의 불편함이나 캡을 열고 닫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 종전과 같이 비닐팩이 옆으로 쓰러지면서 내용물이 주변으로 흘러 나오는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리필용 비닐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꺼꾸로 사용하는 비닐팩의 내용물을 따라 쓸 때 간단한 누름조작만에 의해 선택적으로 내용물을 쉽게 뽑아낼 수 있도록 한 원터치 방식의 내용물 유출수단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출구 및 캡을 갖는 비닐팩으로 이루어진 리필용 비닐팩에 있어서, 상기 비닐팩의 후단에는 걸이 구멍을 형성하여 고정수단으로 벽면에 꺼꾸로 매달아 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아래쪽으로 위치되는 유출구 및 캡에는 내용물의 자연유출을 막고 선택적으로 뽑아쓸 수 있는 내용물 유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팩을 꺼꾸로 매달아 놓을 수 있는 고정수단은 큐방 또는 양면 테이프 또는 집게 중의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팩 내의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뽑아쓸 수 있는 내용물 유출수단은 비닐팩을 누르는 압력에 의해 벌어지거나 자체 탄성에 의해 복원가능한 "X"자형 절개부를 갖는 실리콘 탄성마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팩 내의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뽑아쓸 수 있는 내용물 유출수단은 캡의 중앙에 유출구를 갖는 요입부를 형성하고, 이곳에 스프링과 함께 누름버튼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하여 유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원터치 방식의 버튼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을 포함하는 요입부의 한쪽 옆에는 외부와 통하면서 비닐팩의 내부 윗쪽 후단까지 연장되는 대기압 튜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출구 및 누름버튼을 갖는 요입부는 유출구상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리필용 비닐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필용 비닐팩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유출구 및 캡 부위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필용 비닐팩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유출구 및 캡 부위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필용 비닐팩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유출구 및 캡 부위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리필용 비닐팩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유출구 및 캡 부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닐팩 11 : 유출구
12 : 캡 13 : 손잡이 구멍
14 : 걸이 구멍 15 : 큐방
16 : "X"자형 절개부 17 : 실리콘 탄성마개
18 : 보조캡 19 : 요입부
20 : 스프링 21 ; 누름버튼
22 : 대기압 튜브 23 : 스티커
24 : 밸브체 25 : 계량컵
26 : 가이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필용 비닐팩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제품을 담고 있는 비닐팩(10)의 후단부에 걸리 구멍(14)를 형성하고, 이곳을 통해 일종의 흡착구인 큐방(15)을 걸어 벽면 등에 꺼꾸로 매달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닐팩(10) 속의 내용물을 아래쪽에서 뽑아내어 사용할 수 있다.
아래쪽으로 위치되는 유출구(11) 및 캡(12)에는 비닐책(10) 속의 내용물이 저절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면서 선택적으로 뽑아쓸 수 있도록 해주는 내용물 유출수단, 예를 들면 실리콘 탄성마개(17)를 유출구(11)와 캡(12) 사이에 장착한다.
이때의 실리콘 탄성마개(17)는 내용물 유출을 위한 "X"자형 절개부(16)를 가지면서 소정의 굴곡진 단면구조를 갖고 있어서 자체적인 탄성력을 발휘하여 내용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받아낼 수 있게 되므로, 꺼꾸로 되어 있는 비닐팩(10) 속의 내용물이 저절로 쏟아지는 일을 없게 된다.
비닐팩(10)을 꺼꾸로 고정시키는 수단으로는 위의 큐방(15) 이외에 양면 테이프나 집게를 사용할 수 있는데, 양면 테이프의 경우에는 걸이 구멍을 옆으로 길게 형성한 후 이곳을 양면 테이프로 한번 감싼 다음 벽 등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집게의 경우에는 비닐팩(10)의 후단부를 길게 찝은 후 집게에 있는 자체 고리 등을 벽에 있는 못 등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비닐팩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후단 이외에 몇군데 양면 테이프나 큐방을 더 구비하여 비닐팩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비닐팩(10)은 캡(12)에 스티커(23)를 붙혀 밀봉한 상태로 시판을 함으로써, 내용물의 유출과 소비자들의 불신을 막을 수 있고, 제품의 신뢰를 높이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비닐팩의 사용시 스티커 제거 후 큐방 등을 이용하여 꺼꾸로 매달아 놓은 상태에서 비닐팩을 화살표 방향으로 살짝 누르면, 이때의 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실리콘 탄성마개의 "X"자형 절개부를 벌리면서 빠져 나오게 되므로, 내용물을 쉽게 뽑아서 쓸 수 있고, 이렇게 꺼꾸로 매달아 놓은 상태로 사용함에 따라 비닐팩 내의 내용물을 잔량없이 거의 완전히 비울 수 있으므로, 기존 세워서 쓰는 비닐팩에 비해 경제적이다.
또한, 기존의 비닐팩의 경우에는 비닐팩 성형시 세워놓을 수 있는 수단을 갖추기 위하여 하단부를 넓게 만들었으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비닐팩의 경우에는 비닐팩 전체 둘레를 2겹으로 그대로 밀봉시켜서 만들 수 있으므로, 비닐팩의 제조와 관련한 원가절감의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필용 비닐팩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여기서는 내용물 유출수단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팩(10)의 유출구(11)에 체결되어 있는 캡(12)의 중앙에 요입부(19)를 형성하고, 요입부(19) 내에는 내용물이 나오는 홀을 막을 수 있는 밸브체(24)를 갖는 누름버튼(21)을 장착한다.
이때의 누름버튼(21)은 요입부(19)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20)에 의해 항상 아래쪽으로 탄성을 받게 하여 누름버튼(21)을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누름버튼(21)의 길이중간에는 가이드(26)를 형성하여 누름버튼(21)의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누름버튼(21)의 둘레에는 보호캡(18)을 별도로 구비하여 누름버튼(21)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밸브체(24)는 조립성을 위해 누름버튼(21)의 로드에 별도로 조립하는 구조로 장착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비닐팩의 사용시 누름버튼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밸브체가 홀을 열어주게 되므로, 내용물을 뽑아서 쓸 수 있으며, 적당량의 내용물을 뽑은 후 누르고 있던 누름버튼을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홀을 다시 막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리필용 비닐팩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여기서는 내용물의 유출을 보다 용이하게 해주는 수단을 보여준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2)에 있는 누름버튼(21)의 한쪽 옆에서 길다란 대기압 튜브(22)를 비닐팩(10)의 내부 윗쪽 후단까지 연장하여 비닐팩(10)의 내부와 외부가 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름버튼(21)의 조작을 통해 내용물을 뽑아쓸 때 내용물이 훨씬 수월하게 나오게 되므로, 비닐팩 사용시의 편리함을 좀더 추구할 수 있다.
이때의 대기압 튜브는 캡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한 후 조립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리필용 비닐팩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여기서는 비닐팩 내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뽑아쓰는 수단과 내용물 유출수단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 유출수단을 구성하는 요입부(19), 스프링(20), 누름버튼(21) 등을 유출구(11)상에 직접 형성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캡(12)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며, 누름버튼(21)을 아래에서 위로 누르면 내용물을 유출구(11)가 갖는 홀을 통해 직접 뽑아서 쓸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내용물을 정량씩 뽑아쓸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이를 위하여 중앙에 돌출부가 있는 계량컵(25)이 구비되고, 사용시 계량컵(25)의 돌출부위로 누름버튼(21)을 누르면 내용물이 계량컵 속으로 채워지고, 이때의 눈금을 읽어 원하는 양만큼 뽑아낼 수 있으므로, 세제류와 같이 비교적 양을 맞춰서 원하는 곳에 부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음료 및 식품, 샴푸, 린스, 액체세제 등과 같은 액체제품을 담을 수 있는 리필용 비닐팩을 꺼꾸로 매달아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비닐팩 속에 있는 내용물을 남김없이 전량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또한 리필시의 불편함이나 캡을 열고 닫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 꺼꾸로 매달려 있는 비닐팩의 내용물을 따라 쓸 때 간단한 누름조작만에 의해 선택적으로 필요한 양의 내용물을 쉽게 뽑아낼 수 있으므로, 사용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종전과 같이 비닐팩이 옆으로 쓰러지면서 내용물이 주변으로 흘러 나오는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주변환경을 깨끗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유출구(11) 및 캡(12)을 갖는 비닐팩(10)으로 이루어진 리필용 비닐팩에 있어서,
    상기 비닐팩(10)의 후단에는 걸이 구멍(14)을 형성하여 고정수단으로 벽면에 꺼꾸로 매달아 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아래쪽으로 위치되는 유출구(11) 및 캡(12)에는 내용물의 자연유출을 막고 선택적으로 뽑아쓸 수 있는 내용물 유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비닐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팩(10)을 꺼꾸로 매달아 놓을 수 있는 고정수단은 큐방(15) 또는 양면 테이프 또는 집게 중의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비닐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팩(10) 내의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뽑아쓸 수 있는 내용물 유출수단은 비닐팩(10)을 누르는 압력에 의해 벌어지거나 자체 탄성에 의해 복원가능한 "X"자형 절개부(16)를 갖는 실리콘 탄성마개(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비닐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팩(10) 내의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뽑아쓸 수 있는 내용물 유출수단은 캡(12)의 중앙에 유출구(11)를 갖는 요입부(19)를 형성하고, 이곳에 스프링(20)과 함께 누름버튼(21)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하여 유출구(11)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원터치 방식의 버튼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비닐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21)을 포함하는 요입부(19)의 한쪽 옆에는 외부와 통하면서 비닐팩(10)의 내부 윗쪽 후단까지 연장되는 대기압 튜브(2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비닐팩.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11) 및 누름버튼(21)을 갖는 요입부(19)는 유출구(11)상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비닐팩.
KR20-2002-0030802U 2002-10-16 2002-10-16 리필용 비닐팩 Expired - Fee Related KR200301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02U KR200301193Y1 (ko) 2002-10-16 2002-10-16 리필용 비닐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02U KR200301193Y1 (ko) 2002-10-16 2002-10-16 리필용 비닐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193Y1 true KR200301193Y1 (ko) 2003-01-15

Family

ID=4939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802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1193Y1 (ko) 2002-10-16 2002-10-16 리필용 비닐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1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283B1 (ko) 2013-01-08 2013-08-26 이병석 모유 보관팩 및 이를 포함하는 유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283B1 (ko) 2013-01-08 2013-08-26 이병석 모유 보관팩 및 이를 포함하는 유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68461A1 (en) Reuseable housing for flexible pouch with fitment
ES2190172T3 (es) Cartucho de recarga para dispositivo expendedor de bebida y dispositivo adaptado a tal cartucho.
US5806717A (en) Low cost dispensing bags for liquid soap with a measuring chamber and sealed exit spout for dispensing in a simplified dispensing mechanism
WO2008104854A3 (en) Dispensing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CN101522542B (zh) 用于一次性纸巾的容器的关闭装置
KR200301193Y1 (ko) 리필용 비닐팩
US20060249524A1 (en) Personal sanitary wipe dispensing device
US6382472B1 (en) Viscous fluid dispenser
JP4226161B2 (ja) 液体ディスペンサーとそれに使用するカートリッジ式容器
KR200372911Y1 (ko) 분리형 펌프식 액상 화장품 용기
JP7274136B1 (ja) 詰め替え容器用の内容物取出装置及びそれを含む詰め替え容器
JP2002104546A (ja) 小出し装置
KR102005819B1 (ko) 음료 포장용 파우치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JP2002002760A (ja) 液垂れ防止注出キャップ
JP5573168B2 (ja) 袋状容器
JP4553657B2 (ja) 定量注出器
KR200367256Y1 (ko) 경구섭취용 내용물의 포장용기
JP2008007306A (ja) ゴミ入れ付容器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JP3165808B1 (ja) 液体取出装置
JP4717258B2 (ja) コンパクト容器
CN100357164C (zh) 容器与涂抹器
JP6063254B2 (ja) スクイズ容器
KR101807220B1 (ko) 리필 용기가 탑재된 알뜰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0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1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0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6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