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5594A - 열연코일의 구상화 소둔 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열연코일의 구상화 소둔 열처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95594A KR20030095594A KR1020020032869A KR20020032869A KR20030095594A KR 20030095594 A KR20030095594 A KR 20030095594A KR 1020020032869 A KR1020020032869 A KR 1020020032869A KR 20020032869 A KR20020032869 A KR 20020032869A KR 20030095594 A KR20030095594 A KR 200300955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 hot rolled
- coil
- annealing
- rolled co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29910000975 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0962 carbon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098 hot ro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953 recrystallis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34 he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307 hel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SWQJXJOGLNCZEY-UHFFFAOYSA-N helium atom Chemical compound [He] SWQJXJOGLNCZE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1
- CKFGINPQOCXMAZ-UHFFFAOYSA-N methanediol Chemical compound OCO CKFGINPQOCXMAZ-UHFFFAOYSA-N 0.000 claims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29910001562 pear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60 cold roll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97 cold ro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1 decarbu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67 intermediat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36 steel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46 thermal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LMUWJTUNRZDIH-UHFFFAOYSA-N [Mn].[Si].[P] Chemical compound [Mn].[Si].[P] CLMUWJTUNRZDI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NTLIPZTSJSULJ-UHFFFAOYSA-N chromium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Cr].[Mo] VNTLIPZTSJSUL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49 continuous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2 strain hard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LEONUFNNVUYDNQ-UHFFFAOYSA-N vanadium atom Chemical compound [V] LEONUFNNVUYDN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0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by controlling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diode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 G04G5/02—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by temporarily changing the number of pulses per unit time, e.g. quick-feed meth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의 냉간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열처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는 구상화소둔 열처리에 있어서, 0.3 - 1.7 중량 %의 탄소를 함유한 탄소강 또는 특수강을 연속주조하여 슬라브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브를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열간압연한 후 열연코일로 권취하는 단계;와 상기 열연코일을 베치식 소둔로에 장입하는 단계;와 650 - 800℃로 가열된 환원성 분위기 가스를 상기 베치식 소둔로의 내부 커버 내로 직접 유입시켜 상기 장입된 열연코일을 전체적으로 직접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열연코일을 베치식 소둔로 내에서 300 - 400℃로 1차 유지시키고 600 - 700℃로 2차 유지시키는 단계와; 이후 목표로 하는 구상화소둔 온도범위까지 가열하여 상기 탄소강 또는 특수강의 퍼얼라이트 조직을 층상에서 구상의 형태로 완전 소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연코일의 구상화 소둔 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연코일의 구상화 소둔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간압연된 열연코일을 냉간가공에 앞서 강판의 퍼얼라이트 조직을 구상화시키는 소둔 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생활용품이나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는 구조용 탄소강판과 특수강판은 중간 제품인 냉간압연강판을 압연기나 인발기 또는 압출기와 같은 공작기계를 이용 2차 기계가공하여 최종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최종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기계가공시 가공물의 물성은 중간 제품인 냉간압연된 강판의 물성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냉연강판의 가공성은 열간압연 후 소둔 열처리 조건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냉연강판(steel sheet)은 연속주조한 슬라브를 재결정 이상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열간압연하여 후판으로 권취한 다음 코일상태의 열연강판을 그대로 또는 등분하여 소둔 열처리하게 되고, 이와 같이 생산된 열연강판을 계속해서 상온상태로 냉간압연(cold rolled)한 다음 후속 가공공정과 열처리공정을 거쳐서 최종 제품이 제조된다.
여기서 열간압연 후에 소둔 열처리를 실시하는 이유는 열간압연한 상태 그대로는 냉간압연시 롤(roll) 가공상의 경도치가 높아서 냉간압연하기 곤란하고 코일은 길이가 길고 폭이 넓으므로 강판 중 어느 일부분의 재질이 불균일하기 때문에 냉간압연을 행하기에는 부적합한 경우가 많아 이러한 재질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재질상의 문제점은 탄소강의 경우 열간압연된 강판의 조직이 층상의 퍼얼라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코일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에 따라 미세조직 특성인 결정립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상은 열간압연 공정 중 코일의 위치별 냉각속도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 일반적인 결과이다. 이렇게 불균질한 퍼얼라이트 조직상태로는 냉간압연 및 최종 제품의 가공공정에서 경도치가 높아 가공성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열간압연후 소둔 열처리를 하여 층상의 퍼얼라이트 조직을 구상으로 만들어 줌과 동시에 코일의 미세조직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행하여지는 구상화소둔 공정의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구상화 소둔공정에 사용되는 로(furnace)는 크게 두 가지형태가있으며 로의 형식에 따라 베치식(Batch Annealing Furnace)과 연속식(Continuous Annealing Line)소둔로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베치식 소둔로는 그 형태가 엎어진 종의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종형(Bell type)이라고도 불리어진다. 연속식 소둔로는 터널 형태의 로 내부로 강판이 지나 가면서 소둔이 되므로 설치면적이 크고 로 내부 분위기를 제어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저급강종에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고급강종에 주로 사용되는 베치식 소둔로를 위주로 설명한다.
종래의 베치식 소둔로는 코일 받침대 상부에 열연코일을 쌓고 여러 개로 쌓여진 코일의 외부를 내부커버로 덮은 다음 내부 커버 외부를 외부 커버로 덮어서 2중으로 밀폐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코일과 코일 사이에는 열전달판을 깔아 두며 내부커버 안쪽 바닥에는 열전대와 분위기 가스를 유입 및 유출시키기 위한 가스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원인 가스버너는 내부 커버와 외부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서 열원이 코일을 직접가열하지 않는 간접가열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베치식 소둔로를 간접가열식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은 열원으로 직접 코일을 가열할 경우 직접 접촉하는 코일부분의 온도가 높고 가열원에서 멀어진 부분의 온도가 낮게 되는 온도편차와 이로 인한 국부변형을 방지하고, 열원에 의한 코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베치식 소둔로를 이용하여 구상화 소둔 열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코일을 받침판 상부에 적층하고 내,외부 커버를 씌운 다음 질소 가스를 유입시켜 내부 커버 내를 퍼징하여 균질화(pursing)한다. 이러한 상태에서가스 버너를 작동하여 외부 커버와 내부 커버 사이를 가열(heating)하고 가열된 열원이 적층된 코일에 전도되어 목표로 하는 구상화소둔 온도에 도달하게 되고 이 온도에서 적정시간 유지(soaking)한 다음 서서히 냉각(cooling)하여 소둔 처리가 끝난 코일을 취출하게 된다.
여기서 구상화소둔 공정의 분위기가스는 통상 질소가스(N2)와 수소가스(H2)를 혼합하여 환원성 상태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구상화소둔 전처리 공정인 퍼징에 의하여 내부 커버내의 처리공간에 존재하는 산화성 분위기와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며, 이와 같이 열처리 분위기를 제어하여 소둔 처리 후에 강판의 표면에 산화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탈탄을 방지 하게 된다. 이러한 분위기 열처리에 의하여 소둔후의 강판표면은 미려하고 깨끗한 특성을 얻게 된다.
그리고 코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가스버너를 이용하여 로내부를 가열시키는데 종래의 베치식 소둔로는 2중으로 구성된 구조상 먼저 내부 커버와 외부 커버 사이의 공간을 가열하고 이렇게 가열된 내부커버의 복사열에 의하여 적층된 코일을 간접적으로 가열하게 되어 있다. 가스 버너에 사용되는 에너지원은 LPG 또는 LNG 연료를 사용하며 일정한 가열속도로 조절하면서 가열하여 코일을 구상화 소둔시킨다.
이상과 같은 구조와 소둔공정에 따라 이루어지는 종래의 소둔 열처리 방법과 장치는 간접가열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로 인한 장점도 있지만 다음과 같은 보다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 시키고 있다.
첫째; 열연코일을 목표하는 구상화 소둔 온도까지 가열시키기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통상적으로 권취된 열연코일은 약 30톤 가까이 되므로 복사열에 의한 간접가열방식을 취할 경우 코일 내부까지 목표온도로 가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0시간 이상 가열시켜야 한다.
둘째; 장기간 가열하여야 하므로 연료인 LPG 또는 LNG 가스의 소모량이 증가한다.
셋째; 가열에 장시간 소요되므로 사용하는 소둔로의 용량에 대한 단위 시간당 제품생산량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구상화소둔 공정상의 생산성 한계는 다음 공정인 강판의 냉간압연 공정과 연계되어 전체적인 냉연강판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넷째; 열연코일을 장시간 가열시 코일의 길이방향, 즉 코일의 Top부 , Middle부, Tail부의 재질이 편차가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불균질한 재질이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코일의 Top부가 열원을 제일 먼저 받아서 가열되기 때문에 장시간 가열시 코일의 중심부보다 더 많은 열원을 받아 과소둔(over-annealing)되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코일의 Tail부에도 약간 발생되고 있다. 과소둔이 일어나면 기존 열연코일에 존재하던 층상의 퍼얼라이트가 부분적으로 재고용되어 다시 석출하는 재생 퍼얼라이트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재생 퍼얼라이트가 코일의 Top부에서 발생할 우려가 높아 장시간 가열은 구상화소둔에 역행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며 코일의 길이방향에 대한 균질한 재질을 위해서는 과소둔을 방지해야 한다.
결국 종래의 베치식 소둔로는 가열(heating)과 유지(soaking) 그리고냉각(cooling)으로 이루어진 세부공정에서 가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 근원적인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열연강판의 소둔 열처리 공정인 가열과 유지 그리고 냉각공정은 연속적으로 처리되며 각 공정별 사이클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강종별 및 두께별 그리고 용도에 따라 전체적인 구상화 소둔공정 시간은 각각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상화소둔 사이클을 기본적으로 유지한다면 코일 하나에 30톤 가량 나가는 대단위 열연코일을 처리하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간접가열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기존의 베치식 소둔로 구조로 인하여 최소한의 가열시간을 목표로 하는 전체적인 구상화소둔 공정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방안은 지금까지 알려진바 없고 해결하기도 쉽지 않다. 특히 가열공정에서 가열사이클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안은 더욱 더 찾기 곤란한 한계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연코일을 베치식 소둔로를 이용하여 구상화 소둔시키는 열처리 공정에서 가열시간을 단축하여 전체적으로 균질한 재질을 얻어 냉연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또한 전체 공정의 원가 즉, 에너지를 절감하고 이로 인하여 공정시간을 단축하여 전체적으로 보아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베치식 소둔로를 이용한 열연강판의 가열과 유지 및 냉각의 3가지 연속공정으로 이루어진 열연코일의 구상화소둔 공정에 있어서 첫 번째 공정인 가열공정의 가열사이클을 단축하여 균질한 재질로 인한 품질향상과 에너지 절감 및 공정단축으로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상화 소둔로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곡선과 종래 소둔로의 가열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판의 냉간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열처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는 구상화소둔 열처리에 있어서, 0.3 - 1.7 중량 %의 탄소를 함유한 탄소강 또는 특수강을 연속주조하여 슬라브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브를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열간압연한 후 열연코일로 권취하는 단계;와 상기 열연코일을 베치식 소둔로에 장입하는 단계;와 650 - 800℃로 가열된 환원성 분위기 가스를 상기 베치식 소둔로의 내부 커버 내로 직접 유입시켜 상기 장입된 열연코일을 전체적으로 직접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열연코일을 베치식 소둔로 내에서 300 - 400℃로 1차 유지시키고 600 - 700℃로 2차 유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열연코일을 베치식 소둔로 내에서 유지시켜 상기 탄소강 또는 특수강의 퍼얼라이트 조직을 층상에서 구상의 형태로 완전 소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연코일의 구상화 소둔 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가열원으로 사용한 환원성 분위기 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 또는 헬륨 가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여기에 수소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수소가스의 함량은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12% 이하의 범위로 선정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둔 열처리를 실시하기 위하여, 0.3 - 1.7중량 %의 탄소를 함유한 탄소강 또는 특수강의 열연코일을 구상화 소둔시키는 베치식 소둔로에 있어서, 다수의 열연코일을 받치는 코일 받침대;와 상기 코일 받침대와 쌓여진 열연코일을 외부 공간과 격리시켜 밀폐시키며 분위기 제어가 가능한 내부커버;와 상기 내부커버의 외부를 둘러싸며 분위기 제어가 가능한 외부커버;와 상기 코일받침대와 외부커버 사이 공간 또는 코일받침대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곳 또는 모든 공간에 설치된 열전대;와 적층된 상기 열연코일과 상기 내부커버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가열된 고온의 분위기 가스를 유입,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분출구; 그리고 상기 가스분출구와 연통되어 있으며, 소둔용 베치식 소둔로의 외부에 설치되어 소둔로의 가열원인 환원성 분위기 가스를 가열시키는 가열히터;를 포함하는 열연코일 구상화 소둔용 베치식 소둔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소둔로에 환원성 분위기 가스를 가열하기 위하여 분위기 가스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가열된 분위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통시키며 가열히터 내부를 통과하는 가열 통로 그리고 상기 가열히터 내부를 흐르는 분위기 가스를 가열하는 발열체로 이루어진 가열히터를 더욱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내부커버와 외부 커버 사이의 바닥부에 LNG 또는 LPG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버너가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더욱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베치식 소둔로의 내부 커버 내 즉 소둔 열처리 처리공간(inner-cover)내에 가열된 고온의 환원성 분위기가스를 직접(direct) 투입시켜열연코일을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열된 환원성 가스를 열연코일이 적층된 처리공간내로 직접투입 시키게 되면 전체적인 로 내부의 처리공간과 열연코일이 동시에 급가열 되어 소둔하고자 하는 열연코일의 가열속도를 증가시켜 목표로 하는 구상화 소둔온도 범위까지 빠른 속도로 도달시킴으로써 가열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적정 가열시간으로 인하여 코일의 길이방향에 대한 재질이 균질화되는 잇점도 있다. 이 뿐만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가열원으로 분위기 가스 자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사용하므로 고온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연코일의 산화와 탈탄 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열공정의 가열사이클 시간의 단축으로 인하여 구상화소둔 공정상의 에너지 절감, 균질한 재질의 품질 향상 및 공정단축으로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공정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한 강판은 0.3 - 1.7 중량 %의 탄소를 함유한 탄소강과 특수강을 모두 포함한다. 특수강의 경우 니켈, 크롬 몰리브덴, 텅스텐 또는 바나듐 등을 미량 첨가하여 강판에 특수한 기계적 특성을 부여는 강종으로서 특수원소의 첨가량이 4 중량 % 미만이며, 기본적인 조직이 퍼얼라이트인 것을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탄소강 및 특수강은 실리콘 망간 인, 황, 구리 등을 미량 포함하고 있으나 이러한 원소들은 강판의 제조과정 중 불가피하게 불순물로 포함되는 수준을 대상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구상화 소둔 열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베치식 소둔로(1)는 크게 코일 받침대(10)와 내부커버(13) 그리고 외부커버(15)로 나누어진 2중 구조로 되어 있다. 코일 받침대(10) 상부에는 소둔 대상인 열연코일(11)이 적층되며 적층되는 코일과 코일 사이에는 열전달 디스크(17)가 놓여지게 된다. 내부 커버(13)와 코일 받침대(10) 사이 또는 코일 받침대(10) 중간의 공간에는 열전대(19)를 설치하고, 내부커버(13)와 코일 받침대(10) 사이의 공간에 환원성 분위기 가스를 유입,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분출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 분출구는 베치식 소둔로의 열처리 용량에 따라 그 설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스분출구(21)는 소둔로 외부에 설치된 분위기 가스 가열히터(23)와 연결되어 있다. 분위기 가스 가열히터(23)는 가스 유입구(25)와 가스 배출구(27) 사이에 단열체(29)로 둘러쌓인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열히터(23) 내부를 흐르는 가스가 가열될 수 있도록 발열체(31)가 설치되어 있다. 발열체(31)의 종류는 가열통로의 길이와 가열 목표온도에 따라서 칸탈선이나 슈퍼칸탈선과 같은 발열체가 선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히터(23)는 발열체의 열량으로 가열가스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커버(13)와 외부 커버(15) 사이의 바닥부에 LNG 또는 LPG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버너(22)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소둔로를 이용하여 열연코일을 구상화 소둔 시키는 열처리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열연코일(11)들을 코일받침대(10) 위에 크레인을 이용하여 차례로 적층한다. 열연코일(11)의 적층시 코일중간 중간에는 가열이 진행될 때 코일의 열전도성을 좋게 하기 위한 열전달 디스크(17)를 쌓아 둔다.
그리고 질소가스(N2)를 가스토출구(21)를 통하여 주입시킨 후 퍼징을 행한다. 이러한 퍼징 과정은 소둔 시 처리공간 내의 산화성 분위기를 제거하여 구상화소둔 처리 후의 강판의 산화물 형성방지와 탈탄방지 효과를 위해 행해지는 전처리 공정이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퍼징을 행한 후 외부커버(15)와 내부커버(13) 사이의 공간을 가스버너(23)를 이용하여 LNG 연료를 발화시켜 가열시킨다. 이와 같이 열연코일과 직접 접촉되지 않은 외부 공간을 먼저 가열하게 되면 복사열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간접적으로 가열되어 가열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 때 가열 온도는 소둔로 하단부에 구비된 열전대(19)로 확인한다.
퍼징과 동시에 소둔로 외부에 설치된 가열히터(23)를 작동시키고 가열히터(23) 내부로 환원성 분위기 가스를 유입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환원성 분위가 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 또는 헬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수소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가열히터(23)를 통과하는 분위기 가스는 650℃ - 800℃의 고온으로 가열된 다음 가스분출구(21)를 통하여 직접 열연코일이 적층되어 있는 내부 커버(13) 내의 열처리 공간으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고온의 환원성 분위기 가스를 열연코일이 적층된 소둔 열처리 공간으로 직접 유입시키면 열처리공간의 열적 에너지가 소둔 처리대상인 열연코일(11)에 곧바로 전달되어 목표로 하는 구상화소둔 온도까지 쉽고 빠르게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열연코일의 직접가열 방식은 아래 표1에 나타나 있듯이 간접가열 방식에 비해 열효율이 약 20% 이상 증가된다.
구분 | 간접식 가열 | 직접식 가열 | 비고 |
가열시간 | Tb; 25 시간 | Ta: 17-20 시간 | ΔT: 5-8시간(20-32% 단축) |
그리고 처리용량의 필요에 따라 외부커버(15) 내에 설치되어 있는 버너(22)를 이용하여 LNG 연료를 발화시켜 내부커버와 외부커버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구상화소둔 처리를 진행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상화소둔 공정 진행에 따르는 가열사이클의 개선효과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간접가열 방식에서는 가열시간이 Tb인 반면 본 발명의 직접가열 방식에 따른 가열시간은 Ta로 나타나 ΔT 만큼의 시간단축이 얻어 진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5에서 8시간 정도 단축되어 20 - 32%의 가열사이클 단축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에 나타낸 실험치는 3회 테스트 후의 평균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구상화소둔 가열 과정은 시차적으로 2단 유지가열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단 유지가열을 행하는 이유는 열연코일을 급격히 가열할 경우 강판표면이 상호 달라 붙어서 리코일링시 매끄럽게 코일링이 되지 않는 현상 즉, 스티커(stick)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가열온도별로 가열 후 일정시간 유지하는 구간을 갖도록 하여 강판에 발생하는 열응력을 최소화 시켜 스티커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티커 현상은 강판의 두께에 따라 발생 유무가 달라 지므로 얇은 강판일 경우 2단 유지가열을 행하고 두꺼운 강판일 경우 바로 목표온도까지 가열 또는 2단 가열 중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2단 유지가열 방식에 따른 가열온도와 가열시간 분포는 표2에 나타낸 바와 같다.
구분 | 1차 유지가열 | 2차 유지가열 |
가열온도 (℃) | 300 - 400 | 600 - 700 |
가열시간(min) | 30 - 180 | 30 - 90 |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열온도가 300 - 400℃에서의 가열시간은 30-180min으로 선정하고, 가열온도가 600-700℃에서의 가열시간은 30-90min으로 선정하였다. 스티커 현상은 주로 600℃ 이상의 고온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경향을 반영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열온도가 600-700℃에서 열응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유지시간으로 최소한 30min으로 선정한 것이다.
표 3은 본 발명의 구상화소둔 공정 진행에 따르는 환원성 분위기가스의 가열온도를 강종류와 강판 두께에 따라 선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가열온도(℃) | 강판의 두께(mm) | |
탄소강 | 특수강 | |
650 | 1.0 이하 | 0.5 이하 |
750 | 1.1 - 3.0 | 0.6 - 2.5 |
800 | 3.1 - 8.0 | 2.6 - 7.0 |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구상화소둔 대상 강종류를 탄소강과 특수강으로 나누었으며 두께는 탄소강의 경우 1.0 - 8.0mm으로 하고, 특수강은 0.5 - 7.0mm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분위기가스 가열온도를 650 - 800℃로 분류하여 적용할 수 있는 강종류와 강판 두께를 살펴 보면, 먼저 분위기가스 온도가 650℃에서는 일반강이 1.0mm 이하, 특수강이 0.5mm 이하로 하고 750℃에서는 일반강이 1.13.0mm , 특수강이 0.62.5mm로 하고, 800℃에서는 일반강이 3.18.0mm , 특수강이 2.67.0mm로 지정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연코일을 구상화 소둔할 경우 간접방식이 아닌 직접방식으로 가열하므로서 가열시간을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소둔의 목적 즉, 퍼얼라이트 조직의 구상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시간을 단축시킴으로서 다음과 같은 연쇄적인 효과를 얻을 수있다.
즉, 조직이 구상화 되어 후속공정인 냉연강판의 냉간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최종제품의 열처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열연코일의 장시간 가열에 따르는 과소둔 현상을 방지하여 코일의 길이방향에 따른 균질한 재질을 얻어서 냉연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둔 공정에서 가열공정의 가열사이클을 단축하여 단축된 시간에 비례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공정이 단축되어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 0.3 - 1.7 중량 %의 탄소를 함유한 탄소강 또는 특수강을 연속주조하여 슬라브를 제조하는 단계;와상기 슬라브를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열간압연한 후 열연코일로 권취하는 단계;와상기 열연코일을 베치식 소둔로에 장입하는 단계;와650 - 800℃로 가열된 환원성 분위기 가스를 상기 베치식 소둔로의 내부 커버 내로 직접 유입시켜 상기 장입된 열연코일을 전체적으로 직접 가열하는 단계;와상기 열연코일을 베치식 소둔로 내에서 300 - 400℃로 1차 유지시키고 600 - 700℃로 2차 유지시키는 단계와;상기 열연코일을 베치식 소둔로 내에서 유지시켜 상기 탄소강 또는 특수강의 퍼얼라이트 조직을 층상에서 구상의 형태로 완전 소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연코일의 구상화 소둔 열처리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환원성 분위기 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 또는 헬륨 가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여기에 수소가스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코일의 구상화 소둔 열처리 방법.
- 0.3 - 1.7 중량 %의 탄소를 함유한 탄소강 또는 특수강의 열연코일을 구상화 소둔시키는 베치식 소둔로에 있어서,다수의 열연코일을 받치는 코일 받침대;와상기 코일 받침대와 쌓여진 열연코일을 외부 공간과 격리시켜 밀폐시키며 분위기 제어가 가능한 내부커버;와상기 내부커버의 외부를 둘러싸며 분위기 제어가 가능한 외부커버;와상기 코일받침대와 외부커버 사이 공간 또는 코일받침대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곳 또는 모든 공간에 설치된 열전대;와적층된 상기 열연코일과 상기 내부커버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가열된 고온의 환원성 분위기 가스를 유입,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분출구; 그리고 상기 가스분출구와 연통되어 있으며, 베치식 소둔로의 외부에 설치되어 소둔로의 가열원인 환원성 분위기 가스를 가열시키는 가열히터; 를포함하는 열연코일 구상화 소둔용 베치식 소둔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히터는 환원성 분위기 가스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가열된 분위기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통시키며 가열히터 내부를 통과하는 가열 통로 그리고 상기 가열히터 내부를 흐르는 분위기 가스를 가열하는 발열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코일 구상화 소둔용 베치식 소둔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와 외부 커버 사이의 바닥부에 LNG 또는 LPG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버너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욱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코일 구상화 소둔용 베치식 소둔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32869A KR20030095594A (ko) | 2002-06-12 | 2002-06-12 | 열연코일의 구상화 소둔 열처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32869A KR20030095594A (ko) | 2002-06-12 | 2002-06-12 | 열연코일의 구상화 소둔 열처리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5594A true KR20030095594A (ko) | 2003-12-24 |
Family
ID=3238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32869A Abandoned KR20030095594A (ko) | 2002-06-12 | 2002-06-12 | 열연코일의 구상화 소둔 열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95594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2434B1 (ko) * | 2006-05-25 | 2007-10-02 | 주식회사 포스코 | 소둔로 내의 분위기가스 주입장치 |
KR101049356B1 (ko) * | 2008-08-19 | 2011-07-13 | 한국전력공사 | 탄소강의 결정립계 균열을 방지하는 방법 |
KR101433430B1 (ko) * | 2011-12-12 | 2014-08-26 | 주식회사 포스코 | 방향성 전기강판의 열처리장치 |
CN119040573A (zh) * | 2024-10-30 | 2024-11-29 | 湖南华菱涟源钢铁有限公司 | 一种高碳钢的制备方法及高碳钢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80378A (en) * | 1993-04-23 | 1995-01-10 | Ga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batch coil annealing metal strip |
US5431495A (en) * | 1994-03-11 | 1995-07-11 | Gas Research Institute | Temperature probe for determining carbon sooting temperatures of oil mixtures on steel strips |
JPH07216497A (ja) * | 1994-02-03 | 1995-08-15 | Sumitomo Metal Ind Ltd | 高疲労強度の薄鋼板または薄鋼板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1200316A (ja) * | 2000-01-17 | 2001-07-24 | Nkk Corp | 高炭素熱延鋼板の製造方法 |
-
2002
- 2002-06-12 KR KR1020020032869A patent/KR20030095594A/ko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80378A (en) * | 1993-04-23 | 1995-01-10 | Ga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batch coil annealing metal strip |
JPH07216497A (ja) * | 1994-02-03 | 1995-08-15 | Sumitomo Metal Ind Ltd | 高疲労強度の薄鋼板または薄鋼板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5431495A (en) * | 1994-03-11 | 1995-07-11 | Gas Research Institute | Temperature probe for determining carbon sooting temperatures of oil mixtures on steel strips |
JP2001200316A (ja) * | 2000-01-17 | 2001-07-24 | Nkk Corp | 高炭素熱延鋼板の製造方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2434B1 (ko) * | 2006-05-25 | 2007-10-02 | 주식회사 포스코 | 소둔로 내의 분위기가스 주입장치 |
KR101049356B1 (ko) * | 2008-08-19 | 2011-07-13 | 한국전력공사 | 탄소강의 결정립계 균열을 방지하는 방법 |
KR101433430B1 (ko) * | 2011-12-12 | 2014-08-26 | 주식회사 포스코 | 방향성 전기강판의 열처리장치 |
CN119040573A (zh) * | 2024-10-30 | 2024-11-29 | 湖南华菱涟源钢铁有限公司 | 一种高碳钢的制备方法及高碳钢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73960A (en) | Method and facility for manufacturing seamless steel pipe | |
WO1996032507A1 (fr) | Equipement pour fabriquer des bandes en acier inoxydable | |
CN104561504A (zh) | 一种整体铸造热轧板带支撑辊的热处理方法 | |
CN112872064B (zh) | 一种酸洗用低碳热轧窄带钢氧化铁皮控制工艺 | |
CN107858494A (zh) | 低温高磁感取向硅钢的生产方法 | |
CN118854172A (zh) | 一种1860MPa级绞线用低碳高强复相热轧盘条及其制造方法 | |
CN111545720A (zh) | 一种降低渗碳齿轮钢带状组织的成型工艺 | |
CN101748264B (zh) | 一种耐候钢板坯的加热方法 | |
CN114410893A (zh) | 一种退火态热作模具钢的超细晶化组织热处理工艺 | |
CN118895460A (zh) | 一种热轧复相1770MPa级预应力绞线用盘条及其制造方法 | |
CN101275201B (zh) | 一种取向电工钢及其制造方法 | |
KR20030095594A (ko) | 열연코일의 구상화 소둔 열처리 방법 | |
JP2012219295A (ja) | 方向性電磁鋼板の仕上焼鈍用インナーケースと仕上焼鈍方法 | |
CN113502436B (zh) | 塑料模具钢板的生产方法及塑料模具钢板 | |
JP2006257486A (ja) | 方向性電磁鋼板の焼鈍方法及び方向性電磁鋼板のバッチ焼鈍用インナーカバー | |
CN114453430A (zh) | 一种防止高磁感取向硅钢冷轧断带的控制方法 | |
CN110366602A (zh) | 用于奥氏体晶粒细化的热循环 | |
CN114959194A (zh) | 一种热轧铁素体不锈钢的罩式退火工艺 | |
JP4490789B2 (ja) | 鋼板の連続焼鈍方法 | |
CN114164329A (zh) | 一种提升高碳铬轴承钢加热生产效率的工艺 | |
KR102560881B1 (ko) | 워크롤 국부 열처리 방법 | |
CN115647075B (zh) | 一种薄规格65Mn钢的柔性化生产方法 | |
JP4604370B2 (ja) |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 |
SU1766986A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холоднокатаной полосовой стали | |
CN114247750B (zh) | 一种改善中碳合金冷镦钢热轧坯应力裂纹的工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30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