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050A -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93050A KR20030093050A KR1020020030928A KR20020030928A KR20030093050A KR 20030093050 A KR20030093050 A KR 20030093050A KR 1020020030928 A KR1020020030928 A KR 1020020030928A KR 20020030928 A KR20020030928 A KR 20020030928A KR 20030093050 A KR20030093050 A KR 200300930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onants
- consonant
- basic
- displayed
- ke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3열 4행 12개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는 전화기용 키패드의 숫자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의 자모음을 기본 창제 원리와 발음 법칙에 따라 자음군과 모음군을 나누어 숫자키에 배치시켜 놓아, 보다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한글 문자 입력을 위한 자음과 모음의 배치 및 입력 방법 중 특히 모음의 배치 및 입력 방법이 불편하여, 버튼간의 이동 횟수 및 누름 횟수가 많아져서 입력 속도가 늦으며, 또한 한 개의 키에 많은 문자가 배치되어 시각적으로 복잡하여 문자의 위치 인식 및 숙지에 어려움이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본 단모음 「ㅏ」, 「ㅓ」, 「ㅗ」, 「ㅜ」, 「ㅣ」를 5개의 숫자키에 각각 할당 배치시켜 놓음으로서, 10개의 기본 모음을 입력할 경우에 버튼간의 이동이 필요없이 단 1-2회의 누름만으로 보다 빠르고 손쉽게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으며, 문자의 위치인식 및 숙지가 쉬우며, 문자 입력 방법 또한 매우 간편하여 누구나 손쉽고 편리하게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상의 3열 4행 12개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는 전화기용 키패드의 숫자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의 기본 창제 원리와 발음 법칙에 따라 자음군과 모음군으로 나누어 배치시켜 놓음으로서 보다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한글 문자 입력을 위한 자음과 모음의 배치 및 입력 방법 중 특히 모음의 경우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지(ㅡ),인(ㅣ) 3개의 음소만으로 모음을 구성하여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는 바,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복모음 "ㅞ"를 입력하기 위하여 무려 5번의 버튼간 이동 및 5회의 누름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ㅏ」와 「ㅓ」, 「ㅗ」와 「ㅜ」,「ㅡ」, 「ㅣ」 네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4개의 키에 할당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거의 마찬가지로 "ㅞ"를 입력하려면 3번의 버튼간 이동 및 6회의 누름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그 밖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사 모음과 사용 빈도수가 많은 복모음 등을 2-3개씩 묶어 여러 개의 키에 할당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버튼간의 이동 횟수 및 누름 횟수는 다소 줄일 수 있으나, 한 개의 키에 많은 문자가 배치되어 시각적으로 복잡할 뿐 만 아니라, 문자의 위치 인식 및 숙지에 어려움이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 4와 도 5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한글의 창제 원리와 발음 법칙에 따라 자음군 5개와 모음군 5개로 나누어 이를 10개의 숫자키에 나누어 배치시켜 놓음으로서, 숫자키를 이용하여 누구나 손쉽고 빠르게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예로서 모음을 3개의 숫자키에 나누어 배치시킨 구성도
도 2는 종래 예로서 모음을 4개의 숫자키에 나누어 배치시킨 구성도
도 3은 종래 예로서 모음을 5개의 숫자키에 나누어 배치시킨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 배열 시스템의 일례로서 자음군과 모음군을
키패드의 좌우 양쪽으로 나누어 배치시킨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 배열 시스템의 또 다른 일례로서 자음군과
모음군을 키패드의 상하 양쪽으로 나누어 배치시킨 구성도.
통상의 3열 4행 12개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는 전화기용 키패드의 숫자키에 한글 자모를 배치함에 있어서, 우선 기본 자음을 「ㄱ,ㄴ」, 「ㄷ,ㄹ」, 「ㅁ,ㅂ」, 「ㅅ,ㅈ」, 「ㅇ,ㅎ」으로 그룹 지어 5개의 숫자키에 할당 배치시키고,
그중 나중에 표기된 문자 「ㄴ,ㄹ,ㅂ,ㅈ,ㅎ」은 해당 버튼을 연속 2회 눌러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며, 또한 거친 음 「ㅋ,ㅌ,ㅍ,ㅊ」은 각각 그에 대응하는 기본 단자음 「ㄱ,ㄷ,ㅂ,ㅈ」이 표기된 숫자키를 3회 연속 누름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서, 기본 자음 14개의 입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모음은 「ㅏ」, 「ㅓ」, 「ㅗ」, 「ㅜ」, 「ㅣ」로 나누어 자음이 배치되고 남은 나머지 5개의 숫자키에 각각 할당 배치시켜 놓고,
「ㅑ」는 「ㅏ」를 2회 연속 누름으로서, 「ㅕ」는 「ㅓ」를 2회 연속 누름으로서, 「ㅛ」는 「ㅗ」를 2회 연속 누름으로서, 「ㅠ」는 「ㅜ」를 2회 연속 누름으로서, 「ㅡ」는 「ㅣ」를 2회 연속 누름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서 기본 모음 10자의 입력이 최대 2회 이내의 누름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복모음의 경우는 각 모음의 해당 키를 결합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눌러 간단히 입력시킬 수 있으며, 단 복모음 "ㅢ"를 입력시킬 경우에 한하여 「ㅣ」가 표시된 숫자키를 3회 연속 누름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입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자음 사용시 발생하는 특수한 경우를 대표도인 도 4를 기본으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본 자음 14자 이외에 쌍겹자음 「ㄲ,ㄸ,ㅃ,ㅉ」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 그에 대응하는 기본 단자음「ㄱ,ㄷ,ㅂ,ㅈ」이 위치해 있는 해당 숫자키를 눌러 디스플레이 시킨 후에, 기능키 「*」를 1회 눌러 줌으로서 마지막에 디스플레이된 문자와 똑같은 문자가 추가로 표기될 수 있도록 하며,
만약 종성 받침 자음에 이어 종성 받침과 같은 키버튼 내에 있는 다른 자음을 복합 종성 받침 자음 또는 다음 글자의 초성 자음으로 연속하여 입력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기능키 「*」를 1회 눌러 일단 최종 디스플레이된 자음과 같은 자음을 하나더 디스플레이시킨 다음에, 다시 「*」버튼을 계속하여 2회 또는 3회를 누를 경우에는 최종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문자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문자로 순차적으로 바뀌어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대기시간을 필요로 한다거나, 버튼간을 여러번 이동하거나 여러 차례 누르지 않고도 손쉽고 빠르게 문자를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예를 들어 "끈기"라는 단어를 입력시키고자 할 경우의 키 입력 순서는 「1」→「*」→「5」→「5」→「1」→「1」→「*」→「*」→「5」가 된다.
또한 쌍겹자음을 초성 자음으로 사용할 경우, 필요한 초성 쌍겹자음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고 나서 중성 모음을 입력하게되면, 일단 기본적으로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한 개의 자음만을 취하여 문자를 구성하도록 하고, 다시 기능키 「*」를 1회 눌러 줌으로서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2개의 자음이 쌍겹자음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서, 쌍겹자음이 잘못 분리되는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즉, 예를 들어 "새끼"라는 단어를 입력시키고자 할 경우의 키 입력 순서는 「8」→「2」→「5」→「1」→「*」→「5」→「*」로 하여 "색기"로 잘못 입력됨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한글의 창제 원리와 발음 법칙에 따라 자음군과 모음군을 분류 배치시켜 놓음으로서, 문자의 위치인식 및 숙지가 쉬우며, 문자 입력 방법 또한 매우 간편하여 누구나 손쉽고 편리하게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10개의 기본 모음을 입력할 경우에 버튼간의 이동이 필요 없이 단 1-2회의 누름만으로 보다 빠르고 손쉽게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녔다.
Claims (3)
- 통상의 3열 4행 12개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는 전화기용 키패드의 숫자키에 한글 자모를 배치함에 있어서,기본 자음을 「ㄱ,ㄴ」, 「ㄷ,ㄹ」, 「ㅁ,ㅂ」, 「ㅅ,ㅈ」, 「ㅇ,ㅎ」으로 그룹 지어 5개의 숫자키에 할당 배치시키고, 처음에 표기된 자음은 1회 그 뒤에 표기된 자음은 2회 연속 누름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거친 음 「ㅋ,ㅌ,ㅍ,ㅊ」은 각각 그에 대응하는 기본 단자음 「ㄱ,ㄷ,ㅂ,ㅈ」이 표기된 숫자키를 3회 연속 누름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기본 자음 14개의 입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기본 모음은 「ㅏ」, 「ㅓ」, 「ㅗ」, 「ㅜ」, 「ㅣ」로 나누어 자음이 배치되고 남은 나머지 5개의 숫자키에 할당 배치시켜 놓고, 「ㅑ」는 「ㅏ」를 2회 연속 누름으로서, 「ㅕ」는 「ㅓ」를 2회 연속 누름으로서, 「ㅛ」는 「ㅗ」를 2회 연속 누름으로서, 「ㅠ」는 「ㅜ」를 2회 연속 누름으로서, 「ㅡ」는 「ㅣ」를 2회 연속 누름으로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기본 모음 10자의 입력이 버튼간의 이동 없이 단 1-2회의 누름만으로 보다 빠르고 손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기본 자음 14자 이외에 쌍겹자음 「ㄲ,ㄸ,ㅃ,ㅉ」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 그에 대응하는 기본 단자음「ㄱ,ㄷ,ㅂ,ㅈ」이 위치해 있는 해당 숫자키를 눌러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 후에, 기능키 「*」를 1회 눌러 줌으로서 마지막에 디스플레이된 문자와 똑같은 문자가 추가로 표기될 수 있도록 하며,만약 종성 받침 자음에 이어 종성 받침과 같은 키버튼 내에 있는 다른 자음을 복합 종성 받침 자음 또는 다음 글자의 초성 자음으로 연속하여 입력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기능키 「*」를 1회 눌러 최종 자음과 같은 자음을 일단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 다음, 계속하여 2회 또는 3회를 누를 경우에는 최종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문자와 함께 같이 배치되어 있는 키의 다른 문자로 순차적으로 바뀌어 디스플레이하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대기시간을 필요로 한다거나, 버튼간을 여러번 이동하거나 여러 차례 누르지 않고도 손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쌍겹자음을 초성 자음으로 사용할 경우, 필요한 초성 쌍겹자음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고 나서 중성 모음을 입력하게되면, 일단 기본적으로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한 개의 자음만을 취하여 문자를 구성하도록 하고, 다시 기능키 「*」를 1회 눌러 줌으로서 최종으로 디스플레이된 2개의 자음이 쌍겹자음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서, 쌍겹자음이 잘못 분리되는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30928A KR20030093050A (ko) | 2002-06-01 | 2002-06-01 |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30928A KR20030093050A (ko) | 2002-06-01 | 2002-06-01 |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3050A true KR20030093050A (ko) | 2003-12-06 |
Family
ID=3238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30928A KR20030093050A (ko) | 2002-06-01 | 2002-06-01 |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93050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9554A (ko) * | 2002-07-24 | 2004-01-31 | 강윤기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
KR100439000B1 (ko) * | 2002-07-23 | 2004-07-03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동일한 입력키에 배치된 문자를 연달아 입력하는 방법 |
KR100800606B1 (ko) * | 2006-09-26 | 2008-02-05 | (주)대한기독교서회미디어 | 한글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
-
2002
- 2002-06-01 KR KR1020020030928A patent/KR2003009305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9000B1 (ko) * | 2002-07-23 | 2004-07-03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동일한 입력키에 배치된 문자를 연달아 입력하는 방법 |
KR20040009554A (ko) * | 2002-07-24 | 2004-01-31 | 강윤기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
KR100800606B1 (ko) * | 2006-09-26 | 2008-02-05 | (주)대한기독교서회미디어 | 한글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6115345A1 (en) |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 |
KR100371381B1 (ko) |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 |
KR100750653B1 (ko) | 한글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100599873B1 (ko) |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
KR100322914B1 (ko) |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 |
KR20030093050A (ko) |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
KR100336493B1 (ko) |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 |
KR200290417Y1 (ko) |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 |
KR100690775B1 (ko) | 특수키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 |
KR100362747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 |
JP3259619B2 (ja) | 仮名入力装置 | |
KR100918082B1 (ko) | 사전식 순서 및 사용 빈도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 |
KR100486866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 |
KR100450587B1 (ko) |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 |
KR100577675B1 (ko) | 한글 키패드 | |
KR100536553B1 (ko) | 한글 키패드 | |
KR20020012823A (ko) |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KR100637745B1 (ko) | 한글 키패드 | |
KR20090100509A (ko) | 일본어 입력장치 및 방법 | |
KR960043680A (ko) | 콤팩트 한글 키보드 | |
JP2002116862A (ja) |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 |
JPS58214935A (ja) | 日本語入力方式 | |
JP4348590B2 (ja) | 電子機器の文字入力装置 | |
JPS62286162A (ja) | 中文キ−ボ−ド | |
CN118259762A (zh) | 基于30键键盘的形码全拼输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