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91403A -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로부터아피게닌-7-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로부터아피게닌-7-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403A
KR20030091403A KR1020020029417A KR20020029417A KR20030091403A KR 20030091403 A KR20030091403 A KR 20030091403A KR 1020020029417 A KR1020020029417 A KR 1020020029417A KR 20020029417 A KR20020029417 A KR 20020029417A KR 20030091403 A KR20030091403 A KR 20030091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c
apigenin
glucuronide
water
reflux esophag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9520B1 (ko
Inventor
손의동
황완균
이율표
Original Assignee
손의동
황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의동, 황완균 filed Critical 손의동
Priority to KR10-2002-002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520B1/ko
Priority to AU2003234352A priority patent/AU2003234352A1/en
Priority to PCT/KR2003/001037 priority patent/WO2003099306A1/en
Publication of KR2003009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52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 C07H17/06Benzopyran radicals
    • C07H17/065Benzo[b]pyrans
    • C07H17/07Benzo[b]pyran-4-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5Verbenaceae (Verbena family)
    • A61K36/855Clerodendrum, e.g. glorybow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리장나무 잎(Clerodendron trichotomumFolium)으로부터 아피게닌-7-O-β-D-글루쿠로니드(Apigenin-7-O-β-D-glucuronide; 이하 "AGC"라 함)를 분리하는 분리방법 및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장관 염증, 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누리장나무 잎의 추출물로부터 클로로포름, 에테르,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탈지시킨 다음, 비이온성 교환수지를 사용하여 당과 무기염을 제거하고 세파덱스 LH 20을 이용한 이차 컬럼을 통해 다량의 순수한 AGC를 수득할 수 있으며, 분리된 이 AGC가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에 기존의 약물보다 탁월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및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아피게닌-7-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Process for Preparing Apigenin-7-O-β-D-glucuronide from Clerodendron trichotomum Folium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astritis and reversal esophagitis}
본 발명은 위장관 질환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한국인은 맵고 짠 음식과 알코올성 음료를 과다 섭취에 따라 생기는 위염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런 자극성 음식물과 알코올 과다 섭취로 구토 증상이 빈번해짐에 따라 역류성 식도염의 유발 가능성도 높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에 대한 기초 연구와 치료 약물의 개발이 빈약한 상태에 있다. 오랫동안 위산은 소화성 궤양과 역류성 식도염 등 여러 위산 관련 질환의 주된 공격 인자로 인식되어 위산 근절을 궤양 치료의 주된 목표로 하여 치료 약물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특히 소화성 궤양과 역류성 식도염에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 약물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Nakamura K, et al;Jpn. J. Pharmacol. 32(3), pp445-56, 1982 ; Okabe S, et al;Jpn. J. Pharmacol. 69(4), pp317-23, 1995)
누리장나무(Clerodendron trichotomumTHUNB)는 낙엽관목(落葉灌木)으로서국내 중부 및 남부 지방에서 자생하는 식물로서, 누리장나무 및 동속 근연식물의 어린 가지와 잎의 생약명은 취오동(臭梧棟)이라 하고 알려진 성분으로는 렉틴(Kitagaki-Ogawa, H., et al;Eur. J. Biochem.,161, p779, 1986), 클레로덴드린(clerodendrin), 알칼로이드(alkaloid), 메소-이노시톨(meso-inositol), 글루코스, 아카세틴-7-글루쿠로노(1->2)-글루쿠로나이드(acacetin-7-glucurono(1->2)-glucuronide) 등이 있으며, 생리활성으로는 강압(降壓)작용, 진정(鎭靜)작용, 동속 식물(Clerodendron inerme)의 항염작용(抗炎症作用)(Somasundaram, S., et al;Biochem. Med. Metab. Biol.,36, p220, 1986)이 보고되어 있으며, 고혈압(高血壓) ( Lu. G.W., et al;J. Ethanopharmacol.,42. p77, 1994), 종독(腫毒), 중풍(中風), 창종(瘡腫), 풍(風), 피부염(皮膚炎)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874~875, 1998).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아피게닌-7--7-O-β-D-글루쿠로니드(AGC)이 소화성 궤양과 역류성 식도염에 효과적이라는 어떠한 개시도 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누리장 나무 잎으로부터 아피게닌-7-O-β-D-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과 분리한 아피게닌-7-O-β-D-글루쿠로니드를 함유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누리장나무 잎에서 AGC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이며,
도 2 는 아피게닌과 AGC의 흰쥐의 역류성 식도염에 대하여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 은 아피게닌과 AGC의 흰쥐의 위염에 대하여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4 는 아피게닌과 AGC의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위액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 는 아피게닌과 AGC의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위액의 p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 은 아피게닌과 AGC의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위액의 산 배출양의 변화를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 은 정상군(1), 역류성 식도염군(2), 아피게닌 투여군(3㎎/㎏, 3), AGC 투여군(0.3㎎/㎏, 4)의 역류성 식도염군에서 얻어진 식도 점막을 이용하여 지질의 과산화 정도를 말론디알데히드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누리장나무(Clerodendron trichotomum Herba) 잎으로부터 하기 화학식 1의 아피게닌-7-O-β-D-글루쿠로니드(AGC)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AGC 화합물은 누리장 나뭇잎의 물 또는 저급알콜 가용추출물을 클로로포름, 에테르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탈지시키고, 비이온성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당과 무기염을 제거시키고, 연속적으로 세파덱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순수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AGC 화합물의 분리공정을 설명하면,
누리장 나뭇잎을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용매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열수 추출한 후에 감압농축하여 엑스를 얻는 제 1단계;
상기의 엑스를 증류수에 녹여 현탁시킨 후, 여과하여 물 불용성 층과 물 가용성 층으로 나눈 다음에 물 가용성 층을 클로로포름, 에테르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비극성 유기 용매로 탈지시키는 제 2단계;
상기에 탈지된 물 가용부에서 클로로포름, 에테르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비극성 유기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용 비이온성 수지로 흡착시키는 제 3단계;
이어서 증류수로 용출한 당과 무기염을 제거시키고 10 내지 50% 에틸알코올 또는 메틸알코올로 용출하여 플라보노이드 함유 분획을 얻는 제 4단계;
이 플라보노이드 함유 분획을 세파덱스 LH 20과 같은 세파덱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순수한 AGC를 분리하는 일련의 단계를 통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피게닌-7-O-β-D-글루쿠로니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상기 AGC 화합물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약 0.5 ~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AGC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GC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AGC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AGC 화합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하루에 0.1 내지 500 mg/㎏체중의 양을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AGC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는 AGC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제형으로 소화성 궤양과 역류성 식도염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AGC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GC 화합물들은 소화성 궤양과 역류성 식도염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식품 조성물의 경우는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에는 100㎖를 기준으로 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AGC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소화성 궤양과 역류성 식도염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효과는 역류성 식도염모델에서의 효과검정을 위하여 흰쥐에서 수술로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시킨 모델을 응용하여 실험한 결과, 역류성 식도염 유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세포막의 과산화지질에 대한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AGC의 제조방법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건조상태의 누리장 잎 1 kg에 3 배 용량의 70% 메탄올을 가하고 40-60 ℃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2회 환류 가열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농축기(Eyela, FD-5N 일본)로 감압농축하여 100g의 농축 엑스를 얻은 후, 얻어진 엑스를 300㎖의 증류수에 녹여 현탁시킨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물 불용성 층과 물 가용성 층으로 나눈 다음에 물 불용성 층을 제거하고 물 가용성 층을 3000㎖의 클로로포름으로 탈지시켰다.
탈지공정을 거친 물 가용부를 감압농축기로 클로로포름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용 비이온성 수지(Amberite XAD-2)로 흡착시킨 후에 3000㎖의 증류수로 용출하여 당과 무기염을 제거시킨 후에 30% 메탄올로 용출하여 플라보노이드 함유 분획 3.2g을 얻었다. (도 1 참조)
이 플라보노이드 함유 분획 3.2g을 세파덱스 LH 20(Pharmacia, sweden)으로 세파덱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30% 에틸알콜, 6 ㎖/분, 5㎝×1m)을 수행하여 순수한 100㎎의 미황색의 AGC를 분리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기분석 실험 결과를 통하여 화합물을 분자량 632의 아피게닌-7-O-β-D-글루쿠로니드(AGC)로 동정 및 확인하였다.
mp: 216 ℃
(-)FAB MS(m/z) : 445[M-H]-, 269[M-(GlcUA=H)]-
1H-NMR(300㎒, DMSO-d 6);
7.94(2H, d,J=8.7㎐, H-2',6'), 6.93(2H, d,J=8.7㎐, H-3',5')
6.84(1H, s, H-8), 6.84(1H, s, H-3), 6.45(1H, d,J=1.5㎐, H-6)
5.25(1H, d,J=6.6㎐, GluUA anomeric H)
13C-NMR(75㎒, DMSO-d 6);
164.7(C-2), 103.4(C-3), 182.4(C-4), 161.5(C-5), 99.4(C-6),
162.8(C-7), 84.9(C-8), 157.3(C-9),105.7(C-10), 121.3(C-1'),
128.9(C-2'), 116.3(C-3'),161.7(C-4'), 116.3(C-5'), 128.9(C-6'),
99.6(GluUA:C-1), 72.9(GluUA:C-2), 75.8(GluUA:C-3),
71.4(GluUA:C-4), 75.5(GluUA:C-5), 170.5(GluUA:C-6)
실시예 2. AGC의 제조방법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건조상태의 누리장 잎 1 kg에 3 배 용량의 70% 에탄올을 가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농축 및 현탁을 하여 여과를 한 후, 물불용성 층과 물 가용성 층으로 나눈 다음에 물 불용성 층을 제거하고 물 가용성 층을 3000㎖의 클로로포름으로 탈지시켰다.
탈지공정을 거친 물 가용부를 감압농축기로 클로로포름 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용 비이온성 수지(Diaion HP-20)로 흡착시킨 후에 3000㎖의 증류수로 용출하여 당과 무기염을 제거시킨 후에 30% 에탄올로 용출하여 플라보노이드 함유 분획 3.2g을 얻었다.
실시예 1과 같은 기기분석 실험을 수행하여, 세파덱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통해 분리한 미황색의 화합물이 분자량 632의 아피게닌-7-O-β-D-글루쿠로니드(AGC)라는 것을 동정 및 확인하였다.
실험예 1. AGC의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약효실험
AGC의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Nakamura K, et al;Jpn. J. Pharamcol. 32(3), pp445-56, 1982)에 기재된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치료효과 측정방법을 응용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5주령의 스프라우그 도울리 (Spraugue-Dawley: SD)계 수컷 흰쥐 (한림동물)를 24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물은 충분한 양을 공급하였다. 체중을 측정한 다음 개복하여 위의 대만부를 결찰하고, 식도와 위의 경계를 이루는 분문부에 세로로 1cm의 상처를 주어 괄약근 운동이 비정상적으로 일어나게 하여 위산을 역류시키게 하였다.
위와 십이지장의 경계가 되는 유문부도 결찰하여 위산이 십이지장으로 이동하지 않고 식도로 역류하도록 하였다. 대조약물인 아피게닌(A3145, Sigma) 및 실시예 1에서 얻은 AGC를 각각 용량별로 십이지장에서 위방향으로 주사하고 봉합한 후 6시간 후에 경추탈골하여 식도를 적출하고, 위액을 채취하여 식도염의 정도를 관찰하고 위액의 양을 측정하였다.
5주령 스프라그 도울리 (Spraugue-Dawley: SD)계 수컷 흰쥐를 24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물은 충분한 양을 공급하였다. 체중을 측정한 다음 먼저 실험물질을 경구투여하고 1시간 후에 위염을 유발하는 인도메타신(I7378, Sigma)을 50㎎/㎏의 농도로 경구 투여한 후 5시간 후에 경추 탈골하여 위를 적출해 내어 3% 포르말린 (formalin)으로 고정한 후 위염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과산화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식도점막을 취한 후 트리스-염산 버퍼용액(pH 7.0)1㎖에 초음파 분쇄한다. 600×g, 4℃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0.3㎖에 삼염화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8%) 0.9㎖를 가한다. 그리고 나서 10,000×g, 4℃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1㎖에 TBA(1%) 0.25㎖를 가한 후 튜브를 식히고n-부탄올 2㎖을 가하고 3,000×g, 4℃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부탄올 분액층 1㎖를 가지고 532㎚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표준물질은 말론알데히드 비스-디메틸 아세탈을 사용한다. 결과는 p㏖/㎎ 단백질으로 표시하고 단백질 정량 분석은 브래드포드법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도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피게닌(10㎎/㎏)은 약 2.0를 나타내었으며 AGC(0.55㎎/㎏)은 약 1.7을 나타내었는 바, 이는 역류성 식도염에 대하여 위염을 유발하는 인도메타신만을 넣은 무처리군의 궤양지수(4)보다 현격하게 감소된 궤양지수를 갖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궤양지수 0은 궤양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1은 미미한 궤양 크기를 갖는 상태를 나타내며, 2는 30㎟이하의 궤양 크기를 갖는 상태를 나타내며, 3은 30㎟이상의 궤양 크기를 갖는 상태를 나타내며, 4는 점막의 완전한 궤양상태를 의미하며 대조군에 대해서 각각 *P<0.05임)
또한 도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위염에 있어서, 아피게닌과 AGC가 일정 투여농도(0.3㎎/㎏)에서 각각의 위점막 궤양면적이 1.7 및 0.4㎠을 나타내었는 바, 이는 위점막 궤양에 대하여 인도메타신만을 넣은 무처리군의 위점막 궤양면적(약 2.8㎠)보다 현격하게 감소된 위점막 보호작용을 갖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무처리군에 대해서 *P<0.05이고 아피게닌에 대해서는 #P<0.05임)
또한 도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위염에 있어서, 아피게닌과 AGC가 일정 투여농도(0.3㎎/㎏)에서 각각의 위액 용량이 0.9 및 0.8㎖을 나타내었는 바, 이는 위산 분비에 있어서 인도메타신만을 넣은 무처리군의 위액양(약 1.8㎖)보다 현격하게 감소된 위산 억제작용을 갖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무처리군에 대해서 각각 *P<0.05임)
또한 도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위에서 산도(pH)에 있어서, 아피게닌(0.3㎎/㎏)과 AGC(0.3㎎/㎏)가 위에서 산도가 각각 3.2 및 4.4를 나타내었는 바, 이는 위산에 대한 중화작용에 대하여 인도메타신만을 넣은 무처리군의 위산도(약 2.5)보다 현격하게 감소된 위산 중화작용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무처리군에 대해서 각각 *P<0.05임)
또한 도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피게닌(3㎎/㎏)과 AGC(0.3㎎/㎏)은 위에서의 전체 산 배출량이 각각 약 51 mEq/시간 및 49mEq/시간이었으며, 이는 인도메타신만을 넣은 무처리군의 전체산 배출량(145mEq/시간)보다 훨씬 감소된 산 배출량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는 결과였다.(무처리군에 대해서 각각 *P<0.05임)
도 7은 지질의 과산화 정도를 말론디알데히드 값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막지질의 과산화는 자유라디칼이 세포손상을 일으키면서 나타나는데, 지질과산화의 최종산물인 말론디알데히드는 특이적으로 TBA시약과 반응해 형광을 내며 과산화정도의 민감한 표식자가 된다(Buege JA, Aust SD.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Methods in Enzymol. 52,pp302-310, 1978).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서는 아피게닌(3㎎/㎏)과 AGC(0.3㎎/㎏)은 역류성 식도염에서의 말론디알데리드(MDA) 수준보다 현격하게 낮은 수준의 농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아피게닌과 AGC는 위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을 현격하게 치료하는 효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글루쿠론산이 결합된 형태의 AGC 화합물이 글루쿠론산이 비결합된 아피게닌보다 매우 탁월한 위점막 보호 및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에 효과적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누리장나무 잎 (Clerodendron trichotomumFolium)으로부터 분리된 아피게닌-7-O-β-D-글루쿠로니드(AGC)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의 새로운 치료 약물로 효과적인 효능을 나타내 위장관 계통의 주 질환인 위장관의 염증, 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누리장 나무(Clerodendron trichotomumFolium) 잎의 물 또는 저급알콜 가용추출물을 클로로포름, 에테르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탈지시키고, 비이온성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당과 무기염을 제거시키고, 연속적으로 세파덱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피게닌-7-O-β-D-글루쿠로니드 화합물(AGC)의 분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누리장 나무잎을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용매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열수 추출한 후에 감압농축하여 엑스를 얻는 제 1단계; 상기의 엑스를 증류수에 녹여 현탁시킨 후, 여과하여 물 불용성 층과 물 가용성 층으로 나눈 다음에 물 가용성 층을 클로로포름, 에테르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와 같은 비극성 유기용매로 탈지시키는 제 2단계; 상기에 탈지된 물 가용부에서 클로로포름, 에테르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비극성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용 비이온성 수지로 흡착시키는 제 3단계; 이어서 증류수로 용출한 당과 무기염을 제거시키고 30 내지 60% 에틸알코올 또는 메틸알코올로 용출하여 플라보노이드 함유 분획을 얻는 제 4단계; 이 플라보노이드 함유 분획을 세파덱스 LH 20과 같은 세파덱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수행하는 AGC의 분리방법.
  3. 아피게닌-7-O-β-D-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염증, 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피게닌-7-O-β-D-글루쿠로니드 화합물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약 0.5 ~ 50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5. 위장관 염증, 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아피게닌-7-O-β-D-글루쿠로니드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건강음료인 건강보조식품.
KR10-2002-0029417A 2002-05-27 2002-05-27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로부터아피게닌-7-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489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417A KR100489520B1 (ko) 2002-05-27 2002-05-27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로부터아피게닌-7-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AU2003234352A AU2003234352A1 (en) 2002-05-27 2003-05-27 Process for preparing apigenin-7-o-%a-d-glucuronide from clerodendron trichotomum folium
PCT/KR2003/001037 WO2003099306A1 (en) 2002-05-27 2003-05-27 Process for preparing apigenin-7-o-¥â-d-glucuronide from clerodendron trichotomum fol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417A KR100489520B1 (ko) 2002-05-27 2002-05-27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로부터아피게닌-7-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403A true KR20030091403A (ko) 2003-12-03
KR100489520B1 KR100489520B1 (ko) 2005-05-12

Family

ID=2957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4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9520B1 (ko) 2002-05-27 2002-05-27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로부터아피게닌-7-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89520B1 (ko)
AU (1) AU2003234352A1 (ko)
WO (1) WO20030993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65B1 (ko) * 2006-05-29 2008-01-28 주식회사 일신웰스 바나바로부터 코로솔산을 추출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5274A (zh) * 2013-02-05 2014-08-06 河北以岭医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芹菜素-7-o-β-D-葡萄糖醛酸苷制备方法及用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8936A (en) * 1982-08-20 1984-10-23 Repligen Corporation In vitro enzymatic process for producing glucuronides
JPH0773477B2 (ja) * 1989-11-13 1995-08-09 進徳 林 保健食品組成物の製造方法
JPH10158187A (ja) * 1991-07-02 1998-06-16 Shintoku Rin 薬品・食品組成物
JPH08301779A (ja) * 1995-05-01 1996-11-19 Sansho Seiyaku Co Ltd アトピー性皮膚炎用外用剤
JP2000178198A (ja) * 1998-12-11 2000-06-27 Lion Corp 細胞賦活剤
JP2000191542A (ja) * 1998-12-25 2000-07-11 Lion Corp 骨粗鬆症予防、治療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65B1 (ko) * 2006-05-29 2008-01-28 주식회사 일신웰스 바나바로부터 코로솔산을 추출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34352A1 (en) 2003-12-12
KR100489520B1 (ko) 2005-05-12
WO2003099306A1 (en) 200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8611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EP1239743B1 (en) Water-soluble bean-based extracts
JP6980791B2 (ja) 胃炎または消化性潰瘍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US864209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herbal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phritis
KR100489520B1 (ko)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로부터아피게닌-7-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518360B1 (ko) 토대황에서 분리한 퀘르세틴-3-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US2024011564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astritis or peptic ulcer comprising extract of cinnamomum cassia, fraction of said extract, isolate of said fraction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KR100892180B1 (ko) 귤껍질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 질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37432B1 (ko) 토대황에서 분리한 퀘르세틴-3-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함유하는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JP2005082546A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KR102588240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1196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7261B1 (ko) 고욤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41302B1 (ko) 디아세틸 토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WO2025009748A1 (ko) 당근잎 용암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AU2005220186B2 (en) Water soluble bean-based extracts
KR20040069413A (ko) 신경보호 활성을 갖는 팔카린디올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KR20230087021A (ko) 녹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100519090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지리강활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조성물
KR100527625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지리강활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40290B1 (ko)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40030257A (ko) 신규한 바이텍스 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546752B1 (ko) 산화질소생성을 유도하는 자이리톨유도체의 반복단위구조를 가지는 뒤영벌유충 유래 다당폴리머
KR20210079528A (ko) 셀러리 구연산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78857A (ko) 모링가 지하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