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90671A - 편직기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편직기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671A
KR20030090671A KR10-2003-7011992A KR20037011992A KR20030090671A KR 20030090671 A KR20030090671 A KR 20030090671A KR 20037011992 A KR20037011992 A KR 20037011992A KR 20030090671 A KR20030090671 A KR 20030090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ook
transfer hook
transfer
loo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7534B1 (ko
Inventor
울리치 호프만
Original Assignee
울리치 호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1112277 external-priority patent/DE10112277C1/de
Application filed by 울리치 호프만 filed Critical 울리치 호프만
Publication of KR2003009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5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9/00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속된 방적사를 가진 편직기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새로운 스티치(stitch)를 형성하는 뜨개 또는 작업 바늘의 후크에 의하여 방적사는 루프의 형태로 존재하는 스티치를 통하여 지나가게 되고, 뜨개 또는 작업바늘은 바늘후크의 아래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될 수 있는 아래로 포인팅된 트랜스퍼 후크가 연장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의 슬롯을 구성한다. 트랜스퍼 후크는 동시에 컨트롤되는 가로지르는 움직임에 의하여 슬롯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트랜스퍼 후크는 무빙레버(moving lever)의 단부를 형성하고, 이의 다른 단부는 컨트롤 풋트(foot)의 형태로 되며, 이의 지지(bearing)는 플랫스프링에 의하여 컨트롤트랙 내에서 컨트롤 풋트를 외부로 압축하고 레버의 그루브와 관련되는 도그(dog)의 형태로 된다. 상기는 종래의 모든 적용되는 기술보다 뜨개상에서 간단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작은 뜨개 크기를 허용한다.

Description

편직기를 위한 장치{DEVICE FOR MACHINE KNITTING}
루프형성(loop formation)을 위하여 이전에 채택된 모든 방법에서, 마지막에 형성된 루프는 바늘머리(head of needle)로서 구체화되어지는 후크에 의해 유지되며, 바늘이 나아가게 되는 바와 같이 분권위치(shunt position)로 된다. 그곳에서부터, 바늘후크 내에 새로이 잡혀진 방적사를 통하여, 분권 재위치(shunt reposition)에 의한 바늘의 수축에서, 닫혀진 루프가 발생되며 다음으로 신-루프(new loop)는 구-루프(old loop)를 통하여 드로운(drawn)되어지고 후면부에 걸쳐서 버려(cast off)진다. 그러므로 바늘후크는 두개의 작업을 가지는데, 마지막 루프를 유지하고 뜨개질 상품(knitted good)은 그 지점까지 형성되고, 새로운방적사를 잡고 루프로 패션되어진다.
트랜스퍼 후크(transfer hook)가 바늘치크(needle cheek)의 슬롯(slot)으로 잠기게(plunge)될 때, 루프형성을 위한 장치의 사용은 확실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에 결정적으로 의존한다. 바늘과 트랜스퍼 후크가 상대적으로 조잡한 피치(pitch)들에 대하여 역방향 움직임에서 트랜스퍼 후크가 바늘치크(needle cheek)로 들어갈 수 있는 적절한 확실성을 제공하는 동일한 몸체(shank) 두께를 가진다는 것은 이미 장점이 된다. 매우 미세한(fine) 피치들로서, 바늘 채널(channel)에서의 측면 움직임과 루프 형성소재의 측면 일직선(straightness)에서 벗어남(deviation)은 트랜스퍼 후크가 슬롯으로 들어가는 것 대신에 바늘 슬롯의 측면벽을 때리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에서는, 루프형성이 바아(bar)의 상부 가장자리 위쪽의 더 큰 거리에서 발생되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이 더 커지며, 따라서 측면 일직선에서 벗어남은 과장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독일에서 공개되고, 심사된 특허 출원 DE AS 26 47 185호 로부터,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속된 방적사를 가지는 편직기를 위한 방법이 공지되어지고, 여기서 방적사는 이전에 형성된 루프를 통하여 루프 내를 통과하게 되고, 새로운 루프를 형성하는데, 새로운 루프는 다음 방적사가 잡힐 때까지 루프형성의 시작점(onset)에서 이전에 형성된 루프가 루프 형성부위에 도달하게 되는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서 단단하게 유지되어진다.
독일특허공개 DE 29 50 147 A1 호로부터, 래치(latch)없는 바늘을 가진 편직기가 또한 공지되며, 바늘 실린더 축에 수직하게 상대적으로 긴 몸체부분들은 방사 슬롯(radial slot) 내에서 셀렉터 소재(selector element)로서 배열되어 있고, 컨트롤 장치에 의하여 바늘에 가로지르게 그리고 피벗가능하게 움직이게 될 수 있다.
독일특허 DE 29 09 963 C2 호로부터, 편직기를 위한 방법과 장치는 바늘몸체의 전면부 상에서 바늘 각각은 부가적인 부분, 바늘과 같이 가이드 되고 길이방향으로 컨트롤되어지며, 루프가 버려(cast-off)지도록 넓혀지며 새로운 루프가 드로운될 때가지 유지되는 부가적인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있다.
종래의 모든 뜨개방법(knitting method)에서 넓히는 공정(widening process)이 필요하며, 이는 넥(neck)으로부터 치크(cheek)까지 상승에 의하여 바늘의 진척(advancement)에서 수행된다. 동시에 바늘치크(needle cheek)는 래치를 지지하도록 사용되거나, 또는 복합바늘(compound needle)에 있어서 닫힘소재(closing element)를 가이드하고 수용하도록 사용된다.
공지된 래치바늘(latch needle)에서, 방적사는 다수의 미끄럼저항(sliding resistance)을 극복해야한다. 우선 바늘치크의 상승(rise)으로 인하며, 다음으로 후면에서 개방된 래치를 따라서,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바늘의 수축(retraction)으로 래치스푼(latch spoon)을 통하여 넓혀지고 후크로 상승된다. 복합바늘에 있어서, 닫힘소재가 바늘치크 내에서 사라져야한다는 것은 문제가 되나, 닫힘위치 내에서 후크를 덮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것은 정확한 실시예에서 한계로 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속된 방적사(yarn)를 가진 편직기(machine knitting)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방적사는 뜨개바늘(knitting needle)의 후크부분에 의하여 이전에 형성된 루프(loop)를 통하여 루프 내에 통과되고, 새로운 루프를 형성하며, 바늘후크(needle hook)의 아래에서 뜨개바늘은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아래쪽으로 방향화된 트랜스퍼 후크(transfer hook)가 도입되어지는 슬롯(slot)을 가진다.
도 1 내지 4는 최소한의 루프 높이를 위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트랜스퍼 후크와 바늘후크 사이의 일련의 움직임을 기본적으로 도시하는 모습
도 5는 트랜스퍼 후크의 가로지르는 움직임이 없는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를 위한 형식을 도시한 모습
도 6과 7은 가이드 래치(latch)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트랜스퍼 후크의 가로지르는 움직임이 없는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를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모습
도 9와 10은 루프를 형성 소재의 셋트를 도시하는 모습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5 내지 도 17의 형식뿐만 아니라 도 5와 도 8의 형식으로 바늘실린더(needle cylinder)의 상부부분에서 바늘채널(needle channel)을 통하여, 부분적인 절단(cutaway)되어 나타낸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모습
도 15는 바늘몸체(shank)의 중앙부분 내의 트랜스퍼 후크 몸체의 지지대를 도시하는 모습
도 16은 몸체의 후면부분 내에 배치된 뜨개바늘과 유사한 스프링 부분을 가진 트랜스퍼 후크부분을 도시하는 모습
도 17은 경편기를 위하여 도 16에 따른 적용예을 도시하는 모습
도 18과 19는 바늘의 두께에 대해 루프가 측면적으로 넓혀진 트랜스퍼 후크에 대하여 특히 확대된 모습
도 20 내지 28은 트랜스퍼 후크의 추가적인 형식을 가진 루프 형성을 도시하는 모습
도 29 내지 31은 트랜스퍼 후크부분의 추가적인 형식을 도시하는 모습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바늘 후크 3a : 니들치크
4 : 바늘 슬롯 9 : 트랜스퍼 후크몸체
10 : 트랜스퍼 후크 11 : 스프링 부분
12 : 컨트롤 버트 15: 텐터링 패드
24 : 래치 43 : 지지면
청구항 1 내지 8에서 규정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금까지 채택된 모든 방법보다 간단하고 확실하게 더 작은 루프높이를 만드는 뜨개(knitting) 또는 루프형성을 위한 장치의 공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의 두 가지 다른 원리를 나타낸다. 어떻게 본 발명의 목적이 얻어지는 지로부터 기인되는 장점과 함께, 바늘 스트로크(needle stroke)들은 극단적으로 짧고, 바늘의 길이방향 움직임에서 미끄럼 저항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얻어진다. 뜨개된 물품과 이와 관련된 루프패턴은 실제로 상당한 균일성으로 생산되어질 수 있다. 나아가, 컴팩트한 구성요소도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매우 정확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턴 어라운드(turn around)될 때 효과적인 트랜스퍼 후크(transfer hook)의 바깥쪽으로 피벗팅은 바늘 후크로 방적사의 공급과 루프의 캐스팅-오프를 촉진한다. 구성요소들이 작기 때문에, 유효수명(service life)은 길게 된다. 이 모든 것은 매우 경제적이게 하며, 생산비용을 적게 유지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적 장점들은 종속항 제 2 항 내지 7 항 그리고 9 항과 10항에서 개시되고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실시예는 루프형성소재의 설계 특징과 바늘캠(needle cam)위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에 의해 트랜스퍼 후크의 컨트롤된 내부의 움직임과 관련된다.
청구항 4에 따른 실시예는 트랜스퍼 후크를 중심적으로 가이드하고 설계의 목적을 제공한다.
청구항 5와 6의 추가적인 특징은 바늘 치크로부터 트랜스퍼 후크로 루프 포착(grasping)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바늘가이드(needle guide) 내의 섬유기계(textile machine)내에 존재하는 허용오차(tolerance)가 제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허용오차는, 방사방향 예를 들어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 내에서 바늘하부로부터 실린더 캠부분의 내부면까지 그리고 바늘채널 내의 측면적으로는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더 단점적인 효과를 가지며 더 섬세한 바늘을 가진다. 따라서, 바늘유도 내의 허용오차를 균등하게 하기위한 요구들과, 측면 움직임과 이에 가로지르는 움직임 사이들은 만나게 된다. 트랜스퍼 후크의 경편기 내의 바늘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은 따라서 간단하게 된다.
또한, 청구항 5의 실시예는 루프형성소재의 가로지르는 방향내에서 허용오차를 위한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또한 트랜스퍼 후크의 중앙유도에 대한 대안을 제공한다.
청구항 7에 따른 추가적인 특징은 바아(bar) 내의 새로운, 사용되지 않은 루프형성소재의 사용을 간단하게 한다.
청구항 9의 실시예는 후크 컨트롤과 관련하여 트랜스퍼 후크의 다양한 변형을 그대로 포함한다.
청구항 10의 실시예는 바늘유도와 캐스트오피의 형태로 바늘실린더의 기능이 드롭와이어(drop wire)에 의해 인수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경편기에 대하여 적절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 내지 31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루프형성 소재의 전면부의 움직임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10배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후면부에서의 실시예는 도 5와 8의 부분과 동일하다. 두개의 루프형성 소재의 탄력성 압축(resilient pressing)으로 인하여, 바늘캠(needle cam) 내에 제공되어지는 특별한 컨트롤 부분들이 필요함이 없이 지지면의 아래에 돌출부(projection)의 크기의 순서로 트랜스퍼 후크의 가로지르는 움직임 또한 허용된다. 따라서, 바늘후크(2)의 높이를 넘어 연장되는 치크상승(cheek rise, 3)과 지지면(bearing face)을 향한 트랜스퍼 후크의 돌출부는 생략되어진다. 루프높이는 그 정도 양으로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은 기본 위치를 도시한다. 점선으로 도시된 녹오버(knockover) 가장자리(7) 위쪽에, 바늘후크(2)는 새로운 방적사(yarn)를 수용하기 위한 터크(tuck) 위치 내에 있다. 트랜스퍼 후크 몸체(transfer hook shank, 9)의 전면 지지면(bearing face, 43)의 앞부분은 바늘치크(needle cheek) 뒤의 리세스(recess, 41) 내에 있으며, 트랜스퍼 후크(10)가 바늘슬롯(needle slot, 4) 내에 위치되어지고, 가장 최근에 형성된 루프를 명확하게 한다. 바늘후크(1)는 치크(3a)의 높이와 일렬로 되고, 지지면 아래 트랜스퍼 후크 부분(9)의 돌출부는 없다. 이는 트랜스퍼 후크 부분의 제작에 있어서 중요한 장점이 된다.
도 2에서, 바늘후크(2)는 구-루프(old loop)를 통하여 신-루프를 드로잉(drawing)하기 위한 위치로 후퇴된다. 트랜스퍼 후크(10)의 전면 지지면(43)의 상부가장자리로 인하여, 트랜스퍼 후크는 바늘후크로부터 이격되어 움직이게 되고, 슬라이드표면(40)의 결과로 이를 지나서 움직이게 된다.
도 3으로부터, 트랜스퍼 후크의 계속된 앞쪽방향 움직임에서, 그 바깥쪽 위치는 보존되어지며, 또한 이러한 드로잉에서 노우케트(noucat)와 같은 오목부(concavity, 46)는 트랜스퍼 후크(10)의 뒤쪽(45)에 제공되어지고, 이러한 오목부는 구-루프를 통한 신-루프의 드로잉을 위한 영역의 넓은 실린더 채널 내에서 트랜스퍼 후크(10)의 중앙유도(central guidance)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나아가 도 1의 리세스(41)와 같이 길게 연속되는 바늘(1)의 슬롯(4) 대신에, 노우케트와 같은 오목부(4a) 또는 상부에서 개방된 채널이 제공되어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바늘후크가 트랜스퍼 후크의 바깥쪽 위치로 다시 앞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는 스프링부분이 없는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가 구체적으로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트랜스퍼 후크(10)의 바깥쪽 움직임은 슬라이드 표면(40)에 의해 유효하게 되나, 반면에 내부방향 움직임은 도 1의 뒤쪽 내의 몸체(9)상에서 작용하는 바늘캠(needle cam) 내의 적절한 위치에서 제공되는 작은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 42)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도 5는 트랜스퍼 후크(10)의 가로지르는 움직임이 없는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를 위한 실시예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바늘(needle, 1,2,3)의 완전한 몸체두께로 주어진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는 바늘채널(needle channel) 내에서 가이드 되어진다. 트랜스퍼 후크(10)의 두개의 편편한 지지표면(43)들은 바늘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제공되어지며, 그리고 이러한 지지표면들 사이에서는 바늘치크(3a)로의 침투깊이에 의해 트랜스퍼 후크(10)가 아랫방향으로 이동되고 배치되는 비유적확대(figurative extension)에서, 작은 리세스(시이소오)는 규정된 베이스(base)를 보장한다. 컨트롤 버트(control butt, 12) 위쪽의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는 스프링부분(6)을 가지며, 바늘캠이 부착되어진 후에 캠의 내부면(8)은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를 바늘몸체(1)에 대해 누르며, 바늘채널의 하부에 대하여 후면부를 누른다. 몸체지지부 아래의 트랜스퍼 후크(10)의 작은 돌출부는 바늘치크(3a) 내의 슬롯(4) 내의 트랜스퍼 후크가 그 위쪽에 위치된 루프를 결속하는 것을 보장하는데 충분하다. 바늘몸체(1)의 후면부 내에 제공되고 제 2 캠 트랙(cam track) 내에 가이드되는 컨트롤 버트는 보여질 수 없다.
래치(latch, 24)는 지지면(43) 상에서 명확하게 트랜스퍼 후크(10) 내에 제공되어진다. 이는 바늘치크(3a)의 슬롯(4)내에 미끄러지고, 바늘(2)에 대한 트랜스퍼 후크(10)의 중앙유도를 보장한다.
도 6에서,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내의 래치(24)는 확대되어 도시되고 있다. 이는 압축상에서 원형(래치 24)의 완두콩 모양 섹터가 지지대의 아랫면 상의 중앙부에서 압축되는 방법으로, 도 7과 같이 일렬로 된 두개의 펀치(punch, 25)는 몸체(9)의 전면 지지면의 양쪽면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공됨으로서 형성되어진다. 최종적인 래치(24)는 치크(3a)의 바늘 그루브(groove, 4) 내에 미끌어지고, 바늘(2)에 대한 트랜스퍼 후크(10)의 중앙유도를 보장한다.
도 8은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를 위한 도 5의 장치의 장점적인 사용을 도시한다. 이러한 기계에서, 복합바늘(compound needle)들은 잘 알려져 있다. 바늘과 닫힘소재(closing element)들은 개별적으로 움직이지는 않지만, 오히려 열(row)로서, 소위 바아(bar) 내에서 움직인다. 바늘과 닫힘소재 각각은 컨트롤된 바아를 특별히 필요로 한다. 바늘(1,2,3)들과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 양자 모두는 단지 단일의 바아 내에서 수용되어질 수 있다. 텐터링 패드(tentering pad, 15)는 후면부위에서 채널 하부(33)에 대하여 바늘(1,2,3)을 누른다. 거기서, 채널들은 바늘몸체(1)의 높이로 옵셋(offset) 되어지나, 전면부분에서는 슬라이드 표면(16)이 제공되고, 그 아래에서는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의스프링부분(11)은 가능한 바늘후크(2)에 대하여 트랜스퍼 후크(10)의 작은 상대적인 움직임을 필요로 한다. 스프링 부분(11)은, 트랜스퍼 후크(10)에 관한 바늘(2)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하여 컨트롤 룰러(control ruler, 23)에 의하여 결속되는 채널(22)을 가지는 외부로 방향화된 익스텐션(extension, 21)으로 변경되어진다. 스프링 부분(11)이 없는 형태, 즉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의 고체후면부분을 가지는 형태 또한 가능하다. 바늘(1)에 대한 트랜스퍼 후크 몸체(9)의 정확한 접촉은 슬라이드 표면(16) 상에서 형성되고 텐터링 패드(15)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나 연장되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익스텐션(extension)에 의하여 유효하게 되어질 수 있다.
도 5와 도 8에서 도시된 바늘후크(2) 아래의 뒤편 상의 리세스(recess)는 도 1 내지 4의 장치의 형태에 적절하게 되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 표면(16)은 티타늄 질소코팅이 또한 제공되는 경화되며, 연마된 스틸 스트립(steel strip)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라믹 또는 서멧(cermet) 실시예들은 마모방지(abrasion proof) 플라스틱 표면으로서 또한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9와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바늘(1,2,3)과 트랜스퍼 후크(9,10)를 구성하는 세 개의 소재들은 본 경우에서 하나의 바아(bar) 내에서 나란히 있는 3개의 소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셋트를 형성한다.소재들은 바아 내의 작동위치에 상응하는 정확한 간격에서 억누르는(stamped-out) 특징을 가진 포일(foil, 44) 내에 지지되어진다. 소재가 삽입되어진 후에, 포일(44)은 제거되고 버려진다. 만일 필요하다면 3개 이상의 소재가 셋트로 조합되어질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9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트랜스퍼 후크(10)의 가로지르는 방향의 움직임은 발생하지 않는다. 트랜스퍼 후크(10)는 버려지는(casting off) 가장자리(7) 위쪽에서, 바늘치크(3a) 상에 위치하는 최종루프를 포획하고, 새로운 방적사는 바늘후크(2) 내로 도입되어진다.
도 12는 구-루프를 통하여 신-루프를 드로잉(drawing)하기 위하여 방적사가 신-루프 내로 형성되는 바늘후크(2)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트랜스퍼 후크(10)는 낮은 위치 내에 유지된다.
도 13에서는, 트랜스퍼 후크(10)는 위쪽으로 움직여진다. 구-루프는 과정(process) 내의 바늘헤드(needle head) 위쪽에서 캐스트 오프(cast off) 되며, 따라서 신-루프는 바늘 후크(2) 내에서 만들어진다.
도 14에서, 바늘(1,2,3)은 바깥쪽으로 그리고 다시 위쪽으로 움직이며, 따라서 신-루프는 바늘치크(3a) 상에 도달된다. 이러한 형상은 서로 볼 수 있는 바늘후크(2), 바늘치크(3a) 그리고 트랜스퍼 후크(10)의 구조적 관계를 만드는데, 다시 말해서 바늘후크(2)는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즉 측면도에서 왼쪽으로, 트랜스퍼 후크(10)가 바늘치크(3a)로 침투되어지는 것과 동일한 범위까지 이동된다.
도 15는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가 어떻게 바늘몸체(1)의 중앙부(5) 내에 수용되어지는 지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바늘(1)의 몸체는 그곳에서 분리되는데, 하부구획(측면도에서 왼쪽부분)은 바늘치크(3a) 및 바늘후크(2)와 병합되나, 상부부분(측면도에서 오른쪽 부분)은 스프링 부분(6)으로서 구체화된다. 스프링부분(6)은 어떠한 허용오차없이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를 바늘몸체(1)의 상부가장자리 상으로 압축하여, 몸체지지부 아래의 트랜스퍼 후크(10)의 약간의 돌출부가 확실하게 바늘치크(3a)의 채널(4) 내의 트랜스퍼 후크가 이들 위쪽에 위치하는 루프를 포착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 16의 형태는 특별하게 장점적이다. 여기서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는 바늘(1,2,3)의 완전한 몸체두께로 바늘채널 내에 가이드 되어진다. 컨트롤버트(12)의 아래에서, 트랜스퍼 후크(10)는 뜨개바늘(knitting needel)과 유사한 스프링부분(11)을 가지며, 따라서 바늘캠(needle cam)이 설치되어진 후에 캠의 내부면(8)이 바늘몸체(1)로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를 압축하고 바늘채널하부에 대하여 뒷부분을 압축한다. 제 2 캠트랙(cam track) 내에서 가이드 되어지는 바늘몸체(1)의 후면부내에 제공되는 컨트롤버트는 도시되지 않는다.
도 17은 경편기를 위한 도 16의 장치의 장점적인 사용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계에서 복합바늘(compound needle)은 잘 확립되어져 있다. 바늘과 닫힘소재(closing element)들은 개별적으로 움직이지는 않지만, 오히려 열(row)로서, 소위 바아(bar) 내에서 움직인다. 바늘과 닫힘소재 각각은 컨트롤된 바아(bar)를 특별히 필요로 한다. 바늘(1,2,3)들과 트랜스퍼 후크(10) 부분, 몸체(9)는 단지 단일의 바아 내에서 수용되어질 수 있다. 텐터링 패드(tentering pad, 15)는 후면부내에서 바늘(1,2,3)을 채널 하부(33)에 대해 누르나, 전면부분 내에서 슬라이드 표면(16)은, 트랜스퍼 후크부분(9)의 스프링부위(11)가 바늘후크(2)에 관하여 가능한 트랜스퍼 후크(10)의 작은 상대적인 움직임이 필수적으로 되는 것 아래에서 제공되어진다. 이러한 목적은 컨트롤 버트(17),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채널 룰러(channel ruler)로 트랜스퍼 후크의 피트(feet)를 컨트롤하고 둘러싸는 컨트롤 버트(17)에 의해 제공되어진다. 스프링 부분(11)이 없는 형태, 즉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의 단단한 후면부분을 가진 형태 또한 가능하다.
도 18과 도 19는 도 15의 바늘그루브(needle groove, 4)로 도입되기 위한 측면 옵셋(offset)을 가진 트랜스퍼 후크의 확대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그곳을 약화시키는 부위는 루프를 포착하는 것으로만 제공되며, 바늘후크(2)에 다소 경사지게 구체화되는 트랜스퍼 후크(10)의 추가적인 하향움직임 상에서 도 11에서 도면부호 7로 표시된 녹오버 가장자리 a-a 까지는 오름 슬라이드 레일(18)을 통하여 완전한 몸체두께까지 확장되어지며, 따라서 방적사 상에서 주된 인장강도(tensilestress)를 흡수할 수 있다.
도 20에서 바늘실린더(1a)의 상부부분내의 바늘채널 내에서, 바늘(1)은 이러한 확대된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후면 컨트롤버트(도 29의 도면부호 31)로 그곳에서 제공된 캠트랙(cam track)으로 된 공지의 방법으로서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보이지 않으며 채널벽체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부분(bearing part)은 바늘의 상부 가장자리 상에서 위치되어지고, 지지점(27)으로서 트랜스퍼 후크(10)를 가진 레버(lever, 13)의 채널(28)에 의하여 관련되는 러그(lug, 29)를 가지는 곳인 플랫스프링(flat spring, 26)으로 상부에서 개방되어진다. 플랫스프링(26)은 바깥쪽으로 방향화된 초기 인장을 가지며, 컨트롤 노브(control knob, 12)를 캠(19)의 상부에 위치하는 도 20과 도 22의 컨트롤 트랙(20, 20a, 20b)으로 압축하여, 트랜스퍼 후크가 피벗가능하게 방사적으로 그리고 수직하게 움직이도록 한다.
바늘후크(2)의 아래에 위치하는 바늘(1)의 평면부분(5)은, 기본위치로 도시되어지는 트랜스퍼 후크(10)가 침투할 수 있는 슬롯(4)을 가진다(도 20 내지 도 22). 트랜스퍼 후크(10)는 평면부분(5)의 슬롯(4)으로부터 나아가게 되는, 즉 윗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바늘(1)의 어떠한 최종루프라도 회수한다. 도 1은 슬롯(4)을 가지는 바늘(1)의 상응하는 부분 상에서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트랜스퍼 후크(10)는 평면부분(5)과 구속되는 부위에서 완전한 바늘두께를 가질 수 없다. 따라서 미세한 바늘의 경우에 있어서, 바늘(1)이 슬롯(4)의 부위내에서 다소 넓혀지는 것이 장점이 되며, 가능한 가장 안정적인 트랜스퍼 후크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도 22는 바늘 슬롯(4)으로의 트랜스퍼 후크(10)의 하락움직임(plunging motion)을 도시한다. 평면부분(5)은 어떤 오작동이 트랜스퍼 후크(10)가 슬롯(4)으로 피벗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방해하는 경우에 있어서, 휘어짐(deflection)이 가능하도록 바늘하부로부터 다소 차감(offset)되어진다. 플랫스프링(26)의 초기응력으로 인하여, 레버(13)의 컨트롤 노브(12)는 수직한 컨트롤 트랙(20a)에 대해 압축되어지는데, 즉 바늘(1)의 슬롯(4)으로 그리고 슬롯으로부터의 트랜스퍼 후크(10)의 피벗팅은 컨트롤 트랙(20a, 20b)에 의해 수행되어진다.
도 23 내지 도 28은 루프형성을 도시한다. 구-루프는 바늘의 터크위치(tuck position) 내의 트랜스퍼 후크(10)에 의해 잡혀진다.
도 29는 트랜스퍼 후크(10)의 컨트롤을 위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트랜스퍼 후크는 바늘(1)의 몸체 위쪽에 삽입되어진 록커소재(rocker element, 30) 상에 위치되어지는데, 록커소재는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위하여는풋트(foot, 31)를 가지며, 가로지르는 움직임을 위하여는 양쪽 단부상에서 번갈아 돌출되고 후면부는 도시되지 않은 바늘캠 내의 상승된 프로파일 부위에 의해 교대되는 상승된 부위(raised area, 32)를 가진다. 피벗팅 움직임 대신에 트랜스퍼 후크(10)의 길이방향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루프형성은 도 23내지 도 28에 대하여 기술된 바와 같다.
도 30은 길이방향 움직임과 가로지르는 움직임이 단일의 컨트롤 지점으로 가능한 트랜스퍼 후크(10)의 움직임을 위하여 특별히 장점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은 스프링작동 하에서 바늘슬롯(도 20, 22)으로 들어가고, 트랜스퍼 후크(10)의 후면부에 배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캠트랙 내에서 컨트롤 되어지는 헤어핀(hair pin)형태로 휘어진 닫힘소재(34)에 의해 제공되어진다. 트랜스퍼 후크(10)의 가로지르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 트랙은 뒤쪽으로부터 치아(tooth, 35)와 관련되는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 트랙을 가져야만 한다.
도 31은 또한 루프형성 부분들의 장점적인 설계를 도시한다. 여기서, 바늘몸체를 통하여 변위될수 있는 견고한 부분으로부터, 닫힘소재(37)는 탄성부분(resilient part)으로 위쪽으로 병합되며, 그 단부 상에서 컨트롤 캠(36)은 트랜스퍼 후크(10)로부터 맞은편 방향으로 포인트된다. 길이방향 움직임과 가로지르는 움직임은 작은 컨트롤 캠(36)을 통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수행되어질 수있다.
기술된 실례들은 고성능 환편기를 위한 적용들이다. 기술된 루프형성은 이중표면 뜨개상품(double-faced knitted goods)을 제작하기 위하여 캠실린더(1a)에 수직하게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다이얼(dial) 내에서 얻어질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 여전히 다른 루프형성들은 본 발명으로서 얻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 또는 링크-링크 기계(links-links machine) 내에서 얻어질 수도 있다. 기술된 방법은 횡편기 및 웨프트 편직기(weft knitting machine)를 위하여 장점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것들 내에서 복합바늘은 잘 알려져 있지만, 미세한 피치(pitch)로서 이들은 기술된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것들에서, 루프형성소재, 즉 바늘과 트랜스퍼 후크들은 뜨개상품의 섬세함에 의존하는 피치간격(pitch spacing)에서 소위 바아(bar)에 결속되어진다. 따라서 이들은 개별적으로는 움직이지 않지만, 다소 열(row)로서 움직인다. 바늘바아는 기계컨트롤 하에서 짧은 스트로크(stroke)로 움직일 수 있는 바아캐리어(bar carrier)에 안전결속된다. 도 11 내지 14에 따른 루프형성은 이러한 기계들에 대하여 또한 적절하게 된다.

Claims (10)

  1. 하나이상의 연속된 방적사를 가지며, 방적사는 뜨개바늘의 후크부분에 의하여 이전에 형성된 루프를 통하여 루프 내에 통과되어지고 새로운 루프를 형성하며, 뜨개바늘(1,2)은 바늘후크(2)의 아래에서 수직방향으로 아래로 방향화된 트랜스퍼 후크의 움직임이 도입될 수 있는 슬롯(4)을 가지는 편직기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트랜스퍼 후크(10)는 동시에 컨트롤될 수 있는 가로지르는 움직임에 의하여 슬롯(4)으로 도입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바늘후크(2)에 대하여 트랜스퍼 후크의 위방향 움직임에서, 트랜스퍼 후크(10)의 앞쪽 지지면(43)은 바늘(1) 상에 제공된 오목부(치크 3a)에 의하여 슬롯(4,4a)과 관련되는 트랜스퍼 후크(10) 부위의 깊이에 의하여 바늘후크에 수직하게 이격되어 움직일 수 있으며, 트랜스퍼 후크(10)의 내부로의 움직임은 스프링작용(6,11) 하에서 유효하게 되거나 또는 텐터링 패드(15)를 지나서 돌출되는 스프링부분에 의하여 몸체(9)의 단단한 부분, 후면부를 통하여 유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슬롯(4)을 포함하는 치크(3a)의 길이는 트랜스퍼 후크(10) 그리고 지지면(43)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보다 짧으며, 그리고 트랜스퍼 후크(10)의 내부로의 움직임은 바늘캠 상에서 제공되어지는 슬라이드 레일(42)에 의하여 유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슬롯(4)으로의 도입을 위한 트랜스퍼 후크(10)는 오름슬라이드 레일(18)의 형태로 트랜스퍼 후크부분(9)의 완전한 몸체두께로 유도되는 측면 오프셋을 가지며, 또는/및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는 뜨개바늘(1,2)의 길게된 슬롯(4) 내에 가이드되어질 수 있으며, 바깥쪽으로 경사지며 부가적으로 역으로 될 수 있는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의 제한된 얇음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래치(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트랜스퍼 후크(10)의 후면(45) 상에서 또는/및 바늘(1)의 슬롯(4) 대신에, 몸체두께를 넘어 노우캐트의 가장자리를 측면적으로 확대하는 노우캐트와 같은 오목부(46,4a)를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 또는 바늘(1)의 몸체는 트랜스퍼 후크(10)의 몸체(9)가 바늘몸체(1)에 대하여 압축되어질 수 있는 분리된 스프링부분(6,11)을 가지며, 스프링부분(6)의 분리부분 아래에서 컨트롤 버트(12)가 배치되거나 또는 스프링부분(11)은 채널(22)을 포함하는 연장부(21)에 분리부분 위쪽에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다수의 루프형성 소재,각각 바늘(1,2,3) 그리고 트랜스퍼 후크(9,10),를 포함하고 작업위치에 상응하는 위치내에서 이들을 고정하는 리텐션 포일(44)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트랜스퍼 후크(10)는 변위가능한 레버(13)의 단부를 형성하며, 이들 다른 단부는 컨트롤버트로서 구체화되며, 이들의 지지점(27)은 레버(13)의 그루브(28)를 수용하는 러그(29)를 구성하며, 플랫스프링(26)에 의하여 컨크롤 버트(12)를 컨트롤 트랙(20a,20b)으로 바깥쪽으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트랜스퍼 후크(10)는 바늘채널 내에 수직하게 변위될 수 있으며 바늘(1) 위쪽의 바늘부위(5)로 삽입되어질 수 있는 록커소재(31,32)의 상단부 상에서 배치되어지며, 로커소재의 경사움직임은 종국컨트롤 캠(32)에 의하여 유효하게 되고, 길이방향 움직임은 중간부에 설치되고 기울임을 허용하는(도 29) 컨트롤버트(31)에 의하여 유효하게 되며, 또는 바늘(1) 몸체의 중앙부분(5) 내에서 헤어핀형 스프링 닫힘소재(34)는 그 위쪽에 배치되며, 트랜스퍼 후크(10)로부터 이격되고 아래로 방향화된 컨트롤 치아(35)를 가지거나(도 30), 또는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바늘(1) 몸체의 위쪽에 삽입되어질 수 있는 닫힘소재(37)의 상단부 상에서 배치되어지며, 닫힘소재는 트랜스퍼 후크(10)로부터 이격된 컨트롤 캠(36)을 가지는 것(도 31)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루프형성 소재(바늘 1) 및 상응하는 트랜스퍼 후크(10)들은 서로 바아 내에서 결속되어지며, 바아 캐리어들은 열(row)로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37011992A 2001-03-14 2002-03-12 편직기를 위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27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1112277 DE10112277C1 (de) 2001-03-14 2001-03-14 Vorrichtung zum maschinellen Maschenbilden
DE10112277.2 2001-03-14
DE10152856A DE10152856C1 (de) 2001-03-14 2001-11-01 Vorrichtung zum maschinellen Maschenbilden
DE10152856.6 2001-11-01
PCT/DE2002/000866 WO2002072936A2 (de) 2001-03-14 2002-03-12 Vorrichtung zum maschinellen maschenbild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671A true KR20030090671A (ko) 2003-11-28
KR100627534B1 KR100627534B1 (ko) 2006-09-21

Family

ID=2600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9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7534B1 (ko) 2001-03-14 2002-03-12 편직기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95784B2 (ko)
EP (1) EP1368520B1 (ko)
JP (1) JP2004532359A (ko)
KR (1) KR100627534B1 (ko)
CN (1) CN100436686C (ko)
BR (1) BR0208059A (ko)
CZ (1) CZ20032149A3 (ko)
DE (1) DE10152856C1 (ko)
WO (1) WO200207293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661B1 (ko) * 2005-09-22 2008-04-29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편직 공구
US10209002B2 (en) 2016-03-07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il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4217B4 (de) * 2002-10-31 2006-04-27 Groz-Beckert Kg Strickwerkzeug für Strick- oder für Kettenwirkmaschinen
DE50308273D1 (de) * 2002-10-31 2007-11-08 Groz Beckert Kg Maschenbildungselemente für Strick- und für Kettenwirkmaschinen
DE10335464B4 (de) * 2003-08-02 2006-06-14 Groz-Beckert Kg Verfahren zum maschinellen Maschenbilden mit zugehörigen Maschenbildungselementen
EP1710336B1 (de) * 2005-04-07 2009-06-10 H. Stoll GmbH &amp; Co. KG Stricknadel mit einem verschiebbaren, arretierbaren Nadelfuss
EP1760176A1 (fr) * 2005-08-29 2007-03-07 Anton Percy Spielmann Dispositif pour tricoter des mailles à l'envers et à l'endroit sur une même fonture
US9618009B2 (en) 2013-12-30 2017-04-11 Regal Beloit America, Inc. Centrifugal blower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09750413B (zh) * 2019-02-28 2023-09-29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横机的复合针
CN109706615B (zh) * 2019-02-28 2023-09-29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横机中的复合针
CN110029436B (zh) * 2019-04-11 2024-02-09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横机的翻针传动机构
CN110438655B (zh) * 2019-08-13 2024-04-02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横机的复合针
CN113512815B (zh) * 2021-07-16 2022-10-18 广州市赛德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经编机槽针
CN115748083A (zh) * 2022-10-10 2023-03-07 泉州精镁科技有限公司 一种子母织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7503A (en) * 1928-01-17 1932-09-13 Hemphill Co Knitting machine needle assemblage
DE2647185C3 (de) * 1976-10-19 1981-01-08 Ulrich 7470 Albstadt Hofmann Verfahren zur maschinellen Maschenbildung
IT1104303B (it) * 1978-12-21 1985-10-21 Conti Gianni Macchina da maglieria con aghisenza paletta cooperanti con elementi ad uncino esterni
DE2908022A1 (de) * 1979-03-01 1980-09-04 Terrot Strickmaschinen Gmbh Schiebernadel fuer strickmaschinen
DE2909963C2 (de) * 1979-03-14 1983-02-03 Ulrich 7470 Albstadt Hofmann Verfahren zur maschinellen Maschenbildung
DE3706856C1 (de) * 1987-03-04 1988-03-03 Groz & Soehne Theodor Gestanztes Strickwerkzeug fuer Textilmaschinen,insbesondere Strick- und Wirkmaschinen
CN2231265Y (zh) * 1995-09-25 1996-07-17 林再兴 构造经改进的织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661B1 (ko) * 2005-09-22 2008-04-29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편직 공구
US10209002B2 (en) 2016-03-07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il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8520B1 (de) 2013-01-09
CN1545579A (zh) 2004-11-10
BR0208059A (pt) 2004-03-02
DE10152856C1 (de) 2003-04-24
WO2002072936A2 (de) 2002-09-19
WO2002072936A3 (de) 2002-12-12
CZ20032149A3 (cs) 2004-01-14
JP2004532359A (ja) 2004-10-21
KR100627534B1 (ko) 2006-09-21
EP1368520A2 (de) 2003-12-10
US6895784B2 (en) 2005-05-24
US20040093910A1 (en) 2004-05-20
CN100436686C (zh)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534B1 (ko) 편직기를 위한 장치
US3828582A (en) Improv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two part needles
EP2148949B1 (en) Highly reliable sinkerless knitting machine with latch needles
KR101573668B1 (ko) 플러시 제조를 위한 싱커 세트
US5463882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cut pile mechanism
US4608841A (en) Knitting machine having a needle bed
JPS62125053A (ja) 横編機
EP0533414B1 (en) Flat knitting machine
KR100924292B1 (ko)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EP0717797B1 (en) Device for holding down the stitches being formed in a flat knitting machine
KR100469828B1 (ko) 횡편기의실안내장치
US4574596A (en) Stitch-forming machine
US4197722A (en) Knitting machine
KR100779874B1 (ko) 기계적 루프의 형성을 위한 편물기 또는 경편기용 루프 형성 장치
US4197721A (en) Method for forming of stitches and knitting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2232288B1 (ko)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US2960854A (en) Knitting machine
US3307376A (en) Knitting machine
CN211057361U (zh) 一种双针筒织机成圈机构
US371567A (en) Knitting-machine
EP0421242A2 (en)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retention sinkers
US2030261A (en) Yarn controlling member
EP3798339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JP2726958B2 (ja) 二段ベッド横編機
US4644763A (en) Knitting machine with electromagnetic needle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10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