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89359A -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 Google Patents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359A
KR20030089359A KR1020020027537A KR20020027537A KR20030089359A KR 20030089359 A KR20030089359 A KR 20030089359A KR 1020020027537 A KR1020020027537 A KR 1020020027537A KR 20020027537 A KR20020027537 A KR 20020027537A KR 20030089359 A KR20030089359 A KR 20030089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motor
pickup device
barrel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성원
김찬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9359A/ko
Priority to JP2002374826A priority patent/JP2003338963A/ja
Priority to US10/330,601 priority patent/US6710936B2/en
Priority to CN02151712A priority patent/CN1459646A/zh
Publication of KR2003008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3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의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박형의 촬상 소자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 캠쳐를 위해 촬상 소자에 이미지를 집속시키기 위한 렌즈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기 위한 제 1, 제 2경통과,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에 상기 제 1, 제 2경통의 연장부가 끼워지며 상기 제 1, 제 2경통이 초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도 상기 제 1, 제 2경통을 고정시키는 하우징과, 일정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기어, 및 상기 모터 기어의 회전운동을 연직 수평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 1경통과 제 2경통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이격 거리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박형의 촬상 소자 모듈에서 이미지(image)의 정확한 집속을 위한 렌즈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이미지 줌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Module of image capturing unit have zoom function}
본 발명은 임의의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박형의 촬상 소자 모듈에 관한것으로 특히, 박형의 촬상 소자 모듈에서 이미지(image)의 정확한 집속을 위한 렌즈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이미지 줌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촬상소자라 함은, 비디오 카메라, 전자스틸 카메라, PC카메라, 단말기, PDA등에서 이미지의 인식을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근래 들어 휴대폰의 경우에도 통화만을 위한 일반적인 기능에서 탈피하고자 많은 시도가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상기 촬상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를 휴대폰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대화자간에 상대방에게 화상을 전송하고 동시에 상대방이 전해온 화상을 LCD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화상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 모듈인 카메라부와 연결되는 휴대폰은 그 형상에 따라 숫자(기능)버튼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상태에 있는 바(Bar)형과 버튼의 덮개로 상기의 버튼들을 차폐하는 커버를 갖는 플립(Flip)형과, 본체가 반으로 접혀지는 폴더(Folder)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보급된 상태이며, 최근에는 소형화 추세에 따라 폴더형의 휴대폰 보급이 더욱 증가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와 연결되는 휴대폰의 경우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의 이어 잭 형태의 홀형 수납부(1d)에 형합되는 착탈식 외장형 카메라부(2)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부(2)에도 이어 잭 형상의 홀형 수납부(2b)를 구비하도록 하며 이들의 연결을 위하여 더미플러그(3)가 설치되는데, 상기 더미 플러그(3)에는 상기 카메라부(2) 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3a)와 플러그 결합부(3c) 및 그 반대편에서 휴대폰(1)측으로 돌출되어 형합되기 위한 제2 돌출부(3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3b)는 휴대폰(1)의 본체부(1a)의 좌측면에 위치된 이어 잭 형태의 홀형 수납부(1d)를 통하여 휴대폰(1)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부(2)는 더미 플러그(3)를 매개로 하여 휴대폰(1)에 장착되고 사용자 기준으로 볼 때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사용자 혹은 상대방(인물 혹은 풍경)의 촬영방향을 조정하면서 촬영 가능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자는 휴대폰의 폴더부(1b)상에 구비된 LCD 표시창(1c)을 통하여 나타난 촬영 대상의 위치 및 각도를 보면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예는 폴더형 휴대폰의 외장형인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부(2)의 내부의 이미지 캠쳐를 위한 촬상소자 모듈의 내부 구조는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11)가 마련된 하우징(housing;10)을 구비한다.
이 하우징(10)의 일단부에는 홀더(holder;20)가 개재되는 바, 이 홀더(20)의 내부에는 이미지(image)의 정확한 집속을 위한 렌즈(lens;21)가 내장된다.
한편, 하우징(10)의 공간부(11)상에는 조리개 즉, 아이리스 필터(IR filter;30)가 에폭시(epoxy)수지(40)를 통해 접착 고정되며, 단부에는 세라믹 회로기판(50)이 역시 에폭시 수지(40)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
이 회로기판(50)의 상면에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51)가 마련된다.
이때 전술한 이미지 센서(51)는 다이 본딩(die bonding)을 한 후, 다시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을 통해 회로기판(50)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제적으로 촬상소자 모듈은 박형의 카메라를 구현하는 데,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를 적용하는 전자기기가 휴대가 가능한 전자기기의 경우는 피사체의 촬영시 피사체를 좀더 크게 찍고 싶거나 혹은 작게 찍고 싶은 경우 해당 전자기기의 위치를 피사체에 근접시키거나 혹은 이격시키는 등의 이송동작을 수행하여 찍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불편함이 발생되어진 원인은 근본적으로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미지(image)의 정확한 집속을 위한 렌즈의 위치가 경통 구조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박형의 촬상 소자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형의 촬상 소자 모듈에서 이미지(image)의 정확한 집속을 위한 렌즈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이미지 줌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휴대폰에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시키는 경우의 예시도.
도 2는 종래 촬상소자 모듈 팩키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의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의 동작 설명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에서의 렌즈 타입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의 동작 설명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의 특징은, 이미지 캠쳐를 위해 촬상 소자에 이미지를 집속시키기 위한 렌즈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기 위한 제 1, 제 2경통과,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에 상기 제 1, 제 2경통의 연장부가 끼워지며 상기 제 1, 제 2경통이 초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도 상기 제 1, 제 2경통을 고정시키는 하우징과, 일정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기어, 및 상기 모터 기어의 회전운동을 연직 수평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 1경통과 제 2경통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이격 거리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이격 거리 조정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되 일정 각의 대칭을 이루는 호타입의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해당 슬라이드 홈에 상기 제 1, 제 2경통의 타측 연장부재가 삽입되어지는 회전캠판과; 상기 회전캠판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기어에 기어 결합되어 있어 상기 모터기어의 회전력에 따라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캠기어로 구성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은, 상기 이격 거리 조정수단은 상기 모터기어와 나사산 결합을 통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른 상기 모터기어의 회전운동을 연직 수평운동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연장부재에 상기 제 1, 제2 경통의 타측 연장부재가 삽입되어진 캠기어로 구성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의 동작 설명 예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에서의 렌즈 타입 예시도이다.
따라서, 첨부한 도 3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렌즈를 잡아주기 위한 경통(102, 103)과,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에 상기 경통(102, 103)의 연장부가 끼워지며 상기 경통(102, 103)이 초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통(102, 103)을 고정시키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외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되 원판형이며 원중심을 기준으로 일정각의 대칭을 이루는 호타입의 슬라이드 홈(104b)이 형성되고 해당 슬라이드 홈(104b)에 상기 경통(102, 103)의 타측 연장부재(102a, 103a)가 삽입되어지는 회전캠판(104)과, 일정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05)와, 상기 모터(105)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기어(105a), 및 상기 회전캠판(104)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기어(105a)에 기어 결합되어 있어 상기 모터기어(105a)의 회전력에 따라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캠기어(104a)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경통(102)과 제 2경통(103)이 서로 최대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터(105)가 회전하여 상기 모터(105)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기어(105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모터기어(105a)에 기어 결합되어 있는 회전캠기어(104a)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캠기어(104a)가 회전캠판(104)의 원 중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캠판(104)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캠판(10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운데, 상기 회전캠판(104)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홈(104b)에 끼워져 있는 상기 제 1경통(102)과 제 2경통(103)의 연장부재(102a, 103a)는 호타입의 상기 슬라이드 홈(104b)을 따라 이송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경통(102)과 제 2경통(103)의 이격 거리가 짧아지게 되며, 이때 상기 제 1경통(102)과 제 2경통(103)내에 안착되어 있는 렌즈(도시하지 않았음)간의 이격거리 역시 짧아지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첨부한 도 5에서와 같이 렌즈간의 이격거리가 최대로 짧은 상태에서 모터(105)가 상술한 경우와 달리 역회전하여 상기 모터(105)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기어(105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모터기어(105a)에 기어 결합되어 있는 회전캠기어(104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캠기어(104a)가 회전캠판(104)의 원 중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캠판(104)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캠판(10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운데, 상기 회전캠판(104)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홈(104b)에 끼워져 있는 상기 제 1경통(102)과 제 2경통(103)의 연장부재(102a, 103a)는 호타입의 상기 슬라이드 홈(104b)을 따라 이송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경통(102)과 제 2경통(103)의 이격 거리가 최대로 벌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제 1경통(102)과 제 2경통(103)내에 안착되어 있는 렌즈(도시하지 않았음)간의 이격거리 역시 벌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경통(102)과 제 2경통(103)내에 안착되어 있는 렌즈가 구현되는 경우 즉, 제 1경통(102)에 안착되는 렌즈는 참조번호 102A와 같고 제 2경통(103)에 안착되는 렌즈는 참조번호 103A와 같다고 가정하면, 렌즈간의 거리가 최대로 벌어지면 즉, 제 1경통(102)과 제 2경통(103)이 최대로 벌어지는 경우는 줌의 기능이 없는 상태이며 렌즈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과정에서 줌 기능을 실행하게된다.
따라서, 렌즈간의 이격 거리가 최소화되어 있는 경우가 최대의 줌 기능을 갖게된다.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렌즈를 변경하면 상술한 바와 반대의 경우로 구현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 예와 달리 첨부한 도 7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도 있는데, 그 구조는 살펴보면, 렌즈를 잡아주기 위한 경통(202, 203)과, 일 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에 상기 경통(202, 203)의 연장부가 끼워지며 상기 경통(202, 203)이 초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통(202, 203)을 고정시키는 본체(201)와, 일정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05)와, 상기 모터(205)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기어(205a)와, 상기 모터기어(205a)와 나사산 결합을 통해 상기 모터(205)의 회전에 따른 상기 모터기어(205a)의 회전운동을 연직 수평운동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연장부재에 상기 경통(102, 103)의 타측 연장부재(102a, 103a)가 삽입되어진 캠기어(202b, 203b)로 구성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의 동작을 간략히 살펴보면,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경통(202)과 제 2경통(203)이 서로 최대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터(205)가 회전하여 상기 모터(205)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기어(205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모터기어(205a)에 나사산 결합되어 있는 캠기어(202b, 203b)는 좌우측에서 점차 중심측으로 이송되어지며 그로 인해 상기 캠기어(202b, 203b)의 연장부제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 1경통(202)과 제 2경통(203)의 연장부재(202a, 203a)는 본체(201)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홈(201a)을 따라 이송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첨부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경통(202)과 제 2경통(203)의 이격 거리가 짧아지게 되며, 이때 상기 제 1경통(202)과 제 2경통(203)내에 안착되어 있는 렌즈(도시하지 않았음)간의 이격거리 역시 짧아지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첨부한 도 9에서와 같이 렌즈간의 이격거리가 최대로 짧은 상태에서 모터(205)가 상술한 경우와 달리 역회전하여 상기 모터(205)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기어(205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모터기어(205a)에 나사산 결합되어 있는 캠기어(202b, 203b)는 중심측에서 점차 좌우측에서 이송되어지며 그로 인해 상기 캠기어(202b, 203b)의 연장부제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 1경통(202)과 제 2경통(203)의 연장부재(202a, 203a)는 본체(201)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홈(201a)을 따라 이송되어 이격거리가 넓어지게 된다.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경통(202)과 제 2경통(203)의 이격 거리가 최대로 벌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제 1경통(202)과 제 2경통(203)내에 안착되어 있는 렌즈(도시하지 않았음)간의 이격거리 역시 벌어지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을 제공하면 박형의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하는 전자지기에서 피사체의 이미지를 줌 인/아웃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다.

Claims (3)

  1. 이미지 캠쳐를 위해 촬상 소자에 이미지를 집속시키기 위한 렌즈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기 위한 제 1, 제 2경통과;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에 상기 제 1, 제 2경통의 연장부가 끼워지며 상기 제 1, 제 2경통이 초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도 상기 제 1, 제 2경통을 고정시키는 하우징과;
    일정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기어; 및
    상기 모터 기어의 회전운동을 연직 수평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 1경통과 제 2경통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이격 거리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 조정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되 일정 각의 대칭을 이루는 호타입의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해당 슬라이드 홈에 상기 제 1, 제 2경통의 타측 연장부재가 삽입되어지는 회전캠판과;
    상기 회전캠판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기어에 기어 결합되어 있어 상기 모터기어의 회전력에 따라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캠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 조정수단은 상기 모터기어와 나사산 결합을 통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른 상기 모터기어의 회전운동을 연직 수평운동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연장부재에 상기 제 1, 제2 경통의 타측 연장부재가 삽입되어진 캠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KR1020020027537A 2002-05-17 2002-05-17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KR20030089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537A KR20030089359A (ko) 2002-05-17 2002-05-17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JP2002374826A JP2003338963A (ja) 2002-05-17 2002-12-25 ズーム機能を有する撮像素子モジュール
US10/330,601 US6710936B2 (en) 2002-05-17 2002-12-26 Image sensor module with zooming function
CN02151712A CN1459646A (zh) 2002-05-17 2002-12-31 具有变焦距功能的图像传感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537A KR20030089359A (ko) 2002-05-17 2002-05-17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359A true KR20030089359A (ko) 2003-11-21

Family

ID=2941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537A KR20030089359A (ko) 2002-05-17 2002-05-17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10936B2 (ko)
JP (1) JP2003338963A (ko)
KR (1) KR20030089359A (ko)
CN (1) CN14596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2905B2 (en) * 2003-12-05 2007-04-10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tor providing vibration and camera adjustment functionality
CN100501480C (zh) * 2004-07-05 2009-06-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码相机镜头模组及其组装方法
EP1628123A1 (en) * 2004-08-17 2006-02-22 Dialog Semiconductor GmbH Testing of miniaturized cameras with electronic and/or optical zoom functions
EP1648181A1 (en) 2004-10-12 2006-04-19 Dialog Semiconductor GmbH A multiple frame grabber
TWI268052B (en) * 2005-02-23 2006-12-01 Benq Corp Transceiv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ransceiving direction
KR101086414B1 (ko) * 2005-05-20 201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포커싱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자동포커싱 방법
US9583141B2 (en) 2005-07-01 2017-02-28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Implementing audio substitution options in media works
US9426387B2 (en) 2005-07-01 2016-08-23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Image anonymization
US20080086380A1 (en) * 2005-07-01 2008-04-10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Alteration of promotional content in media works
CN2842900Y (zh) * 2005-09-07 2006-11-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外接式相机的便携电子装置
CN101034194A (zh) * 2006-03-10 2007-09-1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码相机用镜头模组
JP2007259164A (ja) * 2006-03-24 2007-10-04 Fujifilm Corp カメラシステム
KR100900486B1 (ko) * 2006-09-04 2009-06-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상 장치용 광학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US20170048431A1 (en) * 2015-08-11 2017-02-16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Variable optical zoom lens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of integr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3039A (ja) * 1988-03-24 1989-09-27 Canon Inc ズームカメラ
KR910009551Y1 (ko) * 1989-11-15 1991-12-13 박영만 풍 선
JPH0736096A (ja) * 1993-07-16 1995-02-07 Nikon Corp 沈胴式ズームカメラ
JPH07199284A (ja) * 1993-12-28 1995-08-04 Canon Inc ズームファインダー装置
JPH07294973A (ja) * 1994-04-28 1995-11-10 Nikon Corp カメラ
JPH10161001A (ja) * 1996-11-29 1998-06-19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を有するカメラ
JPH10232429A (ja) * 1997-05-21 1998-09-02 Nitto Kogaku Kk ファインダーレンズ光学系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23714C2 (de) * 1987-07-13 1999-11-04 Olympus Optical Co Vorrichtung zum stufenlosen Verstellen der Brennweite eines Zoomobjektivs
GB2210704B (en) * 1987-10-02 1991-11-06 Olympus Optical Co Zoom mechanism for zoom lenses
CA1331429C (en) * 1988-06-03 1994-08-16 Hiroshi Nomura Zoom lens barrel and camera incorporating such barrel
JP3066541B2 (ja) * 1991-01-18 2000-07-17 株式会社リコー 2群構造のズームレンズ装置
US5196963A (en) * 1991-03-18 1993-03-23 Fuji Photo Film Co., Ltd. Zoom lens device
US5815325A (en) * 1996-10-31 1998-09-29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assembly with drive linkage for a movable lens element
US6389231B1 (en) * 1999-06-23 2002-05-14 Fuji Photo Optical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lens guiding mechanism, and optical instrument
KR100325181B1 (ko) * 1999-10-02 2002-02-21 이중구 줌 카메라의 경통 조립체
JP3530952B2 (ja) * 2000-12-19 2004-05-24 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TW573129B (en) * 2001-11-16 2004-01-21 Ind Tech Res Inst Adjustable lens set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3039A (ja) * 1988-03-24 1989-09-27 Canon Inc ズームカメラ
KR910009551Y1 (ko) * 1989-11-15 1991-12-13 박영만 풍 선
JPH0736096A (ja) * 1993-07-16 1995-02-07 Nikon Corp 沈胴式ズームカメラ
JPH07199284A (ja) * 1993-12-28 1995-08-04 Canon Inc ズームファインダー装置
JPH07294973A (ja) * 1994-04-28 1995-11-10 Nikon Corp カメラ
JPH10161001A (ja) * 1996-11-29 1998-06-19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を有するカメラ
JPH10232429A (ja) * 1997-05-21 1998-09-02 Nitto Kogaku Kk ファインダーレンズ光学系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38963A (ja) 2003-11-28
US20030214727A1 (en) 2003-11-20
CN1459646A (zh) 2003-12-03
US6710936B2 (en) 2004-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8867B2 (ja) 回転型カメラレンズハウジングを備える携帯用端末機
US769271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JP2008191423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撮像装置
US20070077049A1 (en) Digital camera module
KR20030089359A (ko)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JP2006350353A (ja) 携帯端末のカメラレンズアセンブリ
KR100593177B1 (ko) 광학 줌 기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카메라 모듈
US20060125950A1 (en) Digital camera module with a focusing assembly
CN114666429B (zh) 摄像头模组、潜望式摄像头模组及电子装置
KR20050113905A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
JP200731016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4211973B2 (ja) カメラ付携帯端末装置
JP2007311978A (ja) カメラ回転止め構造を有する携帯電話機
JP3839749B2 (ja) 携帯電話機
JP2005148197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KR100790369B1 (ko)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의 렌즈 배리어 개폐장치, 모바일기기용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KR100497466B1 (ko)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JP200731017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731017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731016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KR20210040488A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KR20050008011A (ko)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JP2005257851A (ja) 光学ユニット、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JP200731016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5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2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