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85638A - 가구용 힌지 - Google Patents

가구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638A
KR20030085638A KR1020020023514A KR20020023514A KR20030085638A KR 20030085638 A KR20030085638 A KR 20030085638A KR 1020020023514 A KR1020020023514 A KR 1020020023514A KR 20020023514 A KR20020023514 A KR 20020023514A KR 20030085638 A KR20030085638 A KR 20030085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inge
frame
pin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봉갑
Original Assignee
유피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피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피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5638A/ko
Publication of KR2003008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638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even parallel pins and four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부품 사이의 틈새 또는 공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구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마운팅플레이트(MP)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프레임(110); 하단부가, 프레임의 중간 상부와 핀(Pa)연결되는 프헤임커버(120); 후단상부가 상기 프레임커버와 핀(Pc)연결되는 바디(130); 하단부가 프레임의 전단부와 핀(Pb)연결되고, 중간부분에는 바디와 핀(Pe)연결되는 링크(140);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바디의 전단부가 핀(Pd)연결되는 힌지컵(160); 그리고 상단부가 링크의 상단부와 핀(Pf)연결되고, 하단부는 힌지컵의 전방부분에 핀(Pg)연결되는 헤드커버(150)를 포함하는 힌지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에 의한 힌지의 동작시, 상기 프레임커버(120) 및 링크(140)는 각각 핀(Pa,Pb)를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바디(130)는 상기 프레임커버(120) 및 링크(140)에 의하여 좌우측으로 원호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바디(130)가 도어(D) 및 가구(F)의 내측면과 최고 이격된 경우, 상기 바디(130)의 양측 저면(134)이 프레임(110)의 상면(112)과 동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방을 연장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용 힌지{Hing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의 개폐과정에서 힌지를 구성하는 각 부품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그 사이에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구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일반적인 가구용 힌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은 가구용 힌지는 통상 6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그 개폐각도는 약 165도 정도의 개폐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인 가구용 힌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는, 가구의 측벽(F)과 도어(D)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D)를 개폐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힌지는, 가구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마운팅플레이트(MP)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핀연결되는 프레임커버(20), 상기 프레임커버(20)와 핀연결되는 바디(30), 상기 바디(30) 및 프레임(10)에 핀연결되는 링크(40), 상기 링크(40)와 핀연결되는 헤드커버(50), 그리고 상기 헤드커버(50) 및 링크(40)에 연결되고 도어(D)에 고정되는 힌지컵(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마운팅플레이트(MP)는 가구(F)의 내측벽에 복수개의 체결볼트(Ba)를 이용하여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은 체결볼트(Bb)를 이용하여 상기 마운팅플레이트(MP)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중간부분의 상부에는, 프레임커버(20)의 하단부가 핀(Pa)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이하 핀연결이라고 칭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전단부에는 링크(40)의 하단부가 핀(Pb)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30)의 후단상부와, 상기 프레임커버(20)의 상단부는 핀(Pc)연결되어 있다. 상기 바디(30)의 선단부는, 힌지컵(60)의 후단부에 핀(Pd)연결되어 있고, 바디(30)의 중간부분에는 링크(40)의 중간부분이 핀(Pe)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40)의 후단부는, 프레임(10)의 선단부와 핀(Pb)연결되어 있고, 링크의 선단부는 헤드커버(50)의 상단부와 핀(Pf) 연결되어 있다. 상기 헤드커버(50)의 하단부는 힌지컵(60)의 선단부와 핀(Pg)연결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면서 일반적인 힌지의 개폐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는, 도어(D)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D)를 열게 되면, 도 2b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도 2b는 실제로 도어(D)가 약 90도 정도 열린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D)가 열리게 되면, 도어에 고정된 힌지컵(60)의 반시계방향회동에 따라서, 프레임커버(20) 및 링크(40)는 각각의 연결핀(Pa,Pb)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및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헤드커버(50)는 반시계방향으로 열리는 도어(D)를 따라서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링크(40)는, 하단부의 핀(Pb)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프레임커버(20) 및 링크(40)의 반시계방향 회동에 따라서, 바디(30)는 핀(Pc 및 Pd)를 통하여 지지되면서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바디(3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바디(30)는 좌우방향으로 원호형운동을 하게 된다.
도어(D)가 완전히 열리게 되면,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때 헤드커버(50)의 내측에 성형되어 있는 오목홈(52)가, 핀(Pd)에 접촉하게 되면서, 열림각도가 규제되는데, 상기와 같은 부품을 가지는 힌지는 통상 165도 내외의 열림각도를 가지고 열리게 된다.
그리고 도어(D)가 닫히는 경우에는, 도 2c에서 도 2a의 순으로 동작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어(D)가 완전히 닫히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헤드커버(50) 내부에는, 원통상의 베어링(54)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베어링(54)은 스프링(56)에 의하여 좌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힌지컵(60)에는 캠부재(62)가 내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캠부재(62)의 외측면에는 상기 베어링(54)이 스프링(56)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지지되고 있다. 도어(D)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베어링(54)이 캠부재(62)의 일측면에 걸리게 되면서, 도어(D)가 탄성적으로 닫히게 되어 그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힌지에 있어서, 최근에는 힌지의 구성부품에 의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즉, 상기 링크(40)와 헤드커버(50) 사이에서 성형되는 공간(A), 그리고 상기 바디(30)와 링크(40)의 교차부분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B), 그리고 바디(30)와 프레임(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C)이 안전사고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A,B,C)에 손가락이 들어가게 되거나, 가구의 내부에 보관중인 옷의 일부가 끼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의 신체의 손상 또는 보관중인 의류의 손상 등이 일어날 수 있게 되는 단점이 지적된다.
상기와 같은 공간을 살펴보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가장 크게 형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도어가 약 90도 내외로 열린 상태에서, 상기 공간(A,B,C)이 가장 크게 형성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가장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바디(30)와 링크(4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B)은, 사람의 손가락이 쉽게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안전사고의 우려가 아주 높아진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도 2a에서 도 2c로 가는 과정, 즉 닫힌 도어(D)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절대로 발생할 수 없고, 열린상태의 도어(D)가 닫히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2c의 상태에서, 도 2b, 그리고 도 2a로 가는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은, 실질적으로 상술한 공간(A,B,C)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공간(A,B,C)을 없애기 위하여 별도의 부재를 힌지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하는 것은, 별도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고, 힌지의 조립공정 및 장착공정을 복잡하게 하기 때문에, 생산성 및 취급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단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힌지의 개폐동작시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체적인 구성의 변경을 통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생산성 및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를 구성하는 일부의 부품을 변경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고 있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종래의 부품과의 충분한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가구용 힌지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가구용 힌지가 열리는 과정을 보인 예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구용 힌지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가구용 힌지가 열리는 과정을 보인 예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프레임120 ..... 프레임커버
130 ..... 바디132 .... 벤딩부
134 ..... 저면140 ..... 링크
146 ..... 스토퍼150 ..... 헤드커버
160 .... 힌지컵162 ..... 격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구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마운팅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프레임; 하단부가, 프레임의 중간 상부와 핀(Pa)연결되는 프헤임커버; 후단상부가 상기 프레임커버와 핀(Pc)연결되는 바디; 하단부가 프레임의 전단부와 핀(Pb)연결되고, 중간부분에는 바디와 핀(Pe)연결되는 링크;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바디의 전단부가 핀(Pd)연결되는 힌지컵; 그리고 상단부가 링크의 상단부와 핀(Pf)연결되고, 하단부는 힌지컵의 전방부분에 핀(Pg)연결되는 헤드커버를 포함하는 힌지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에 의한 힌지의 동작시, 상기 프레임커버 및 링크는 각각 핀(Pa,Pb)를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프레임커버 및 링크에 의하여 좌우측으로 원호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바디가 도어 및 가구의 내측면과 최고 이격된 경우, 상기 바디의 양측 저면이 프레임의 상면과 동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방을 연장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의 저면은 직선형태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링크의 저면은 직선형태로 성형되고, 그 중간부분에는 부분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분가 연장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링크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 성형된 스토퍼이 성형되어 있어서, 도어가 최대로 열리면 상기 바디의 상부 일측이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열림이 규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링크는, 바디의 양측면의 내측에서 핀(Pe)연결되어 동작하고, 상기 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링크가 동작하는 부분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는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헤드커버가 연결되는 힌지컵에는, 상기 헤드커버의 양측면에서 상부로 연장 성형된 격벽을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의 동작중에 힌지를 구성하는 구성부품, 예를 들면 프레임, 프레임커버, 바디, 링크, 헤드커버, 그리고 힌지컵 사이에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힌지의 구성부품 내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핀 등과 같이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힌지는, 가구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마운팅플레이트(MP)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핀연결되는 프레임커버(120), 상기 프레임커버(120)와 핀연결되는 바디(130), 상기 바디(130) 및 프레임(110)에 핀연결되는 링크(140), 상기 링크(140)와 핀연결되는 헤드커버(150), 그리고 상기 헤드커버(150) 및 링크(140)에 연결되고 도어(D)에 고정되는 힌지컵(1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종래와 같이, 마운팅플레이트(MP)는 가구(F)의 내측벽에 복수개의 체결볼트(Ba)를 이용하여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은, 예를 들면 체결볼트(Bb)를 이용하여 상기 마운팅플레이트(MP)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직접 마운팅플레이트(MP)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그 내측에 설치되는 별도의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마운팅플레이트(MP)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의 중간부분의 상부에는, 프레임커버(120)의 하단부가 핀(Pa)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이하 핀연결이라고 칭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전단부(도면상의 좌측)에는 링크(140)의 하단부가 핀(Pb)연결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커버(120)의 상단부는, 핀(Pc)연결을 통하여 바디(130)의 후단상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바디(130)의 좌측단부(전방단부)는 ㄱ자형의 벤딩부(132)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선단부는 힌지컵(160) 내부의 우측부분과 핀(Pd)연결되어 있다. 상기 바디(130)의 중간부분은 링크(140)의 중간부분과 핀(Pe)연결되어 있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바디(130)의 저면(134)은, 프레임(110)의 상면(112)과 동등하거나 그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바디(130)의 양측 저면(134)은, 도 4a 내지 도 4c의 어떠한 상태에서도,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112)과 거의 동등한 높이 또는 그 이하의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하방으로 더욱 연장성형되어 있다.
상기 바디(130)는 프레임커버(120)의 상단부 및 링크(140)의 중간부분에 각각 핀(PPc,Pe)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커버(120) 및 링크(140)는, 도어의 열림동작에 따라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그 중심점은 핀(Pa,Pb)이다. 따라서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상기 바디(130)는, 핀(Pa,Pb)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프레임커버(120) 및 링크(140)에 의하여, 전방(도면상의 좌측)으로 원호원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D)가 열리는 방향에 있어서는, 도어(D)가 대략적으로 70도 내지 90도 정도의 개폐각도에서, 상기 바디(130)는 최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30)의 양측 저면(134)은, 바디(130)가 도면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는 순간은 실질적으로는 저면(134)이 도어(D) 또는 가구(F)의 내측면에서 가장 이격되는 순간이고, 이 때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112)와 거의 동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방으로 연장성형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저면(134)과상면(112)와 동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면, 실질적으로 도어의 개폐과정 전체에서, 상기 저면(134)은 상면(112)에서 이격될 수 없어서, 실질적으로 그 사이에는 공간의 형성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바디(130)의 저면(134)이, 도어(D) 및 가구(F)의 내측면에서 가장 많이 이격될 때, 프레임(110)의 상면(112)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거나, 그 이하의 높이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공간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바디(130)의 양측 저면(134)을 하방으로 연장 성형하되, 상기 프레임(110) 상면(112)과 동등 또는 그 이하의 높이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도 2b 및 도 2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과 바디(1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종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도 2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프레임(10)과 바디(30) 사이에서는 공간(C)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130)의 양측 저면(134)을, 프레임(110)의 상면(112)과 동등한 높이 또는 그 이하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방으로 연장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종래의 공간(C)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디(130)의 저면(134)은, 실질적으로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까지 거의 동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전체적으로 하향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바디(30)의 좌측단부와, 링크(40)의 하단부 사이에는 공간(B)이 형성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디(130)의 양측 저면(134)을 전체적으로 동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향 연장 성형하되, 프레임(110)의 상면(112)와 동등한 높이 또는 그 이하의 높이를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종래의 공간(B)가 거의 형성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바디(130)의 좌측단부에 형성되는 벤딩부(132)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벤딩부(132)의 하측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분(133)이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부분(133)은 실질적으로 도어가 닫힌상태(도 4a)에서, 도어의 내측 모서리부분(Da)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벤딩부(132)의 오목부분(133)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바디(130)의 저면(134)과 도어(D)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바디(130)의 양측 저면(134)을, 프레임(110)의 상면(112)와 동등한 높이 또는 그 이하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방으로 연장성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종래의 공간(B) 및 공간(C)를 거의 없앨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디(130)의 중간부분에는, 링크(140)의 중간부분과 핀(Pe)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140)의 후단부(우측단부)는, 프레임(110)의 선단부와 핀(Pb)연결되어 있고, 링크의 선단부(좌측단부)는 헤드커버(150)의 상단부와 핀(Pf)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링크(140)의 양측 저면(142)은, 직선형태를 가지거나,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링크(140)의양측 저면(142)은 직선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간부분에는 원호상으로 연장성형된 볼록부분(144)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링크를 살펴보면, 링크(40)의 저면에는 오목하게 성형되어 있는 오목부분(42)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목부분(42)은, 도어(D)가 완전히 열렸을 때, 도어의 내측모서리부분(Da)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링크(140)의 저면(142)은 거의 직선형태를 가지거나, 선택적으로 종래와는 역으로 원호형으로 볼록하게 성형되는 볼록부분(144)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링크(140)의 양측 저면(142)을 직선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종래의 공간(A)가 거의 없어지게 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저면(142)의 중간부분에 약간 볼록하게 성형되는 볼록부분(144)를 성형함으로써,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공간(A)는 더욱 가려지게 되어, 실질적으로 그 부분을 통하여 사람의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링크(140)의 저면(142)를 직선형태 또는 약간 볼록한 볼록부분(144)를 부분적으로 성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도어(D)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저면(142)이 도어의 내측면모서리부분(Da)에 보다 빨리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링크(140)의 저면(142)을 직선형태 또는 약간 볼록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도어의 열림각도가 종래에 비하여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실제 실험을 수행하여 보면, 도 4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D)의 개폐각도는 대략 140내지 145도 정도의 개폐각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는 종래의 개폐각도 165도에 비해서는 줄어드는 것이지만, 그 대신에 종래의 공간(A)를 없앨 수 있음과 동시에, 실제 사용시 140도 내외의 개폐각도라면 사용상 불편함은 거의 느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힌지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장치는 다음과 같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힌지가 열려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링크(140)의 저면(142)의 일측부분이 도어(D)의 내측모서리부분(Da)에 접촉할 우려가 있는데, 링크(140)가 도어(D)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가구의 손상을 일으키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 개폐각도와는 상이한 본 발명 힌지의 개폐각도를 규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링크(140)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 성형되는 스토퍼(146)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46)는, 예를 들면 링크의 양측면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이를 외측으로 프레스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링크(140)를 성형할 때, 양측면을 외측으로 프레스하여 일부분이 돌출 되도록 구성하거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이를 외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스토퍼(146)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크(140)는, 바디(13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조립되는데, 상기 링크(140)의 스토퍼(146)는 상기 바디(130)의 일측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를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도 4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같이, 도어(D)가 열리게 되면, 상기 링크(1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바디(130)는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바디(130)의 상면의 일측(138)이, 상기 링크(140)의 스토퍼(146)의 저면에 접촉하게 되고, 도 4c는 이렇게 상기 바디(130)의 상면 일측(138)이 상기 스토퍼(146)의 저면에 접촉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되면, 도어(D)는 완전하게 열린 상태로 되어, 그 이상 열리지 않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크(140)의 저면(142)의 거의 하부측[핀(Pb)에 거의 인접한 저면]에는 오목한 도피부(135)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도피부(135)는 도어가 완전히 닫혔을 경우, 힌지컵(160)의 내부에 들어가는 링크(140)의 하부측 단부가 힌지컵과의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핀(Pg)와의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피부(135)는 본 발명의 바디(130)에 의하여 가려지게 되어, 공간이 형성될 우려는 없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링크(140)는, 바디(1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피부(135)는, 바디(130)의 양측면에 의하여 가려지게 되어, 실질적으로 도어의 개폐시 틈새(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140)의 상단부는 핀(Pf)에 의하여 헤드커버(5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헤드커버(50)의 하단부는 힌지컵(60)의 선단부와 핀(Pg)연결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3을 참조하면서, 상기 바디(130)의 상면부분과 힌지컵(160) 부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140)는 바디(130)의 양측면의 내측에서 핀(Pe)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130)의 상면에는, 내측에서 동작하는 링크(140)의 회동 동작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부분이 절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바디(130)의 상면 일부가 개구된 부분(32)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구된 부분(32)을 통하여 손가락 등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30)의 상면의 일부를 절개한 다음, 절개부(139)를 하방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벤딩시키고 있다. 상기 절개부(139)를 벤딩시키는 것은, 링크(140)의 상면이 동작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와 동시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32)로 성형하지 않고, 절개부(139)로 성형한 다음 하방으로 벤딩시키는 것은 개구부에 의한 구멍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바디(130)의 일부를 절개부(139)로 형성함으로써, 바디(130)의 상면에 구멍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안전사고라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힌지가 가구에 장착되면, 상기 절개부(139)는 사용자의 바로 정면에서 눈에 띠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을 상술한 바와 같이 절개부(139)로 성형하고 이를 링크(140)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성형함으로써, 사용자의 바로 전방에 어떠한 구멍도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힌지컵(60) 부분을 살펴보면, 헤드커버(50)와힌지컵(60)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D)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D)에도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컵(160)에서, 헤드커버(150)의 양측에는 상부로 직립한 격벽(16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격벽(162)는, 다이캐스팅으로 만들어지는 상기 힌지컵(160)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격벽(162)을 힌지컵의 상면에 성형하게 되면, 헤드커버(150)와 힌지컵(16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완전히 막을 수 있게 되어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완전히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힌지의 개폐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는, 도어(D)가 닫힌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D)를 열게 되면, 도 4b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도 4b는 실제로 도어(D)가 약 90도 정도 열린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어(D)가 완전히 열리게 되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되는데, 이는 약 140도 내지 145도 정도의 열림각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4a에서 도어가 열리는 도중을 도시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D)가 열리게 되면, 도어에 고정된 힌지컵(160)의 반시계방향회동에 따라서, 프레임커버(120) 및 링크(140)도 각각의 연결핀(Pa,Pb)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및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헤드커버(150)는 반시계방향으로 열리는 도어(D)를 따라서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커버(120) 및 링크(40)의 반시계방향 회동에 따라서, 바디(30)는 핀(Pc 및 Pd)를 통하여 지지되면서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커버(20)는, 하단부의 핀(Pa)를 중심으로 하여, 상단부의 핀(Pc)를 따라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어(D)가 90도 정도 열린 도 4b를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디(130)의 저면(134)가 프레임(110)의 상면(112)과 거의 일치하는 상태 또는 저면(134)가 상면(112) 보다 약간 낮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바디(130)와 프레임(110) 사이에는 전혀 공간이 형성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30)의 저면(134)과 도어(D)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도 종래의 것에 비하면 현저하게 작은 공간이 되기 때문에, 그 사이로 사람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정도이다.
그리고 링크(140)의 저면(142)를 거의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하거나, 약간 볼록한 볼록부분(144)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링크(140)와 헤드커버(150), 그리고 바디(130) 사이의 공간이 거의 형성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힌지에 있어서 바디(130)와 링크(140), 그리고 헤드커버(150)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거의 없어지거나 극히 좁은 공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안전사고의 우려는 거의 없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어(D)가 계속적으로 열리게 되면, 상기 바디(130)의 상부 일측면(138), 보다 구체적으로는 벤딩부(132)의 상부 일측면(138)이, 링크(140)의 스토퍼(146)의 저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도어(D)는 더 이상 열릴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링크(140)의 하부 일측부분이 도어(D)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간섭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은, 실질적으로 도어(D)가 열리는 과정을 통하여 설명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도어(D)가 닫히는 과정은 그 역순으로 진행되며, 힌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의 상태는 완전히 동일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기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도어 힌지를 구성하는 바디(130), 링크(140), 그리고 헤드커버(150) 등과 같은 각각의 부품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이 거의 없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동작하는 힌지의 내부에 손가락이 끼이게 될 우려가 없게 되고, 더욱이 의류 등과 같은 보관물건이 힌지 내부에 끼이게 될 우려도 거의 없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공간(A,B,C)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힌지의 부품의 형상을 이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별도의 추가 부품이 없이 목적을 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은, 구성부품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제조원가의 상승 및 조립성의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부품과의 호환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바디(130) 및 링크(140)의 구조를 변경하고 있으면서도, 이들과 관련된 타 부품과는 종래의 설계규격을 그대로 만족시키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부품의 호환성이 아주 간편하게 된다. 따라서 기타 종래의 부품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서, 생산설비 구현에 아주 바람직한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가구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마운팅플레이트(MP)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프레임(110); 하단부가, 프레임의 중간 상부와 핀(Pa)연결되는 프헤임커버(120); 후단상부가 상기 프레임커버와 핀(Pc)연결되는 바디(130); 하단부가 프레임의 전단부와 핀(Pb)연결되고, 중간부분에는 바디와 핀(Pe)연결되는 링크(140);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바디의 전단부가 핀(Pd)연결되는 힌지컵(160); 그리고 상단부가 링크의 상단부와 핀(Pf)연결되고, 하단부는 힌지컵의 전방부분에 핀(Pg)연결되는 헤드커버(150)를 포함하는 힌지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에 의한 힌지의 동작시, 상기 프레임커버(120) 및 링크(140)는 각각 핀(Pa,Pb)를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바디(130)는 상기 프레임커버(120) 및 링크(140)에 의하여 좌우측으로 원호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바디(130)가 도어(D) 및 가구(F)의 내측면과 최고 이격된 경우, 상기 바디(130)의 양측 저면(134)이 프레임(110)의 상면(112)과 동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방을 연장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140)의 저면(142)은 직선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140)의 저면(142)은 직선형태로 성형되고, 그 중간부분에는 부분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분(144)가 연장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140)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 성형된 스토퍼(146)이 성형되어 있어서, 도어가 최대로 열리면 상기 바디(130)의 상부 일측(138)이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열림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140)는, 바디(130)의 양측면의 내측에서 핀(Pe)연결되어 동작하고, 상기 바디(130)의 상면에는 상기 링크(140)가 동작하는 부분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139)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는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커버(150)가 연결되는 힌지컵(160)에는, 상기 헤드커버(150)의 양측면에서 상부로 연장 성형된 격벽(16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KR1020020023514A 2002-04-29 2002-04-29 가구용 힌지 Abandoned KR20030085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514A KR20030085638A (ko) 2002-04-29 2002-04-29 가구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514A KR20030085638A (ko) 2002-04-29 2002-04-29 가구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638A true KR20030085638A (ko) 2003-11-07

Family

ID=3238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514A Abandoned KR20030085638A (ko) 2002-04-29 2002-04-29 가구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56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500B1 (ko) * 2005-07-13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용 힌지
KR102000902B1 (ko) 2019-01-10 2019-07-17 김경자 경첩 장치
KR20200077890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다이아벨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114776699A (zh) * 2022-03-31 2022-07-22 北京物智链科技有限公司 双限位平板合页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1271U (ja) * 1983-08-12 1985-04-10 ハインツエ・フエアヴアルツングス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家具用蝶番
US5450655A (en) * 1993-01-28 1995-09-19 Franco Ferrari Hinge with anti-shear device
JP2000104437A (ja) * 1998-09-29 2000-04-11 Sugatsune Ind Co Ltd 安全用遮蔽板体付きヒンジ
KR20000016870U (ko) * 1999-02-09 2000-09-25 곽향숙 옷장용 경첩의 안전커버
KR200242502Y1 (ko) * 2001-05-30 2001-10-29 고현수 힌지장치용 안전커버
KR200269323Y1 (ko) * 2001-12-13 2002-03-21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
KR200269349Y1 (ko) * 2001-12-18 2002-03-21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 보강구조
KR200275876Y1 (ko) * 2002-02-27 2002-05-16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
KR200283696Y1 (ko) * 2002-04-29 2002-07-27 유피아이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의 열림각도 제한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1271U (ja) * 1983-08-12 1985-04-10 ハインツエ・フエアヴアルツングス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家具用蝶番
US5450655A (en) * 1993-01-28 1995-09-19 Franco Ferrari Hinge with anti-shear device
JP2000104437A (ja) * 1998-09-29 2000-04-11 Sugatsune Ind Co Ltd 安全用遮蔽板体付きヒンジ
KR20000016870U (ko) * 1999-02-09 2000-09-25 곽향숙 옷장용 경첩의 안전커버
KR200242502Y1 (ko) * 2001-05-30 2001-10-29 고현수 힌지장치용 안전커버
KR200269323Y1 (ko) * 2001-12-13 2002-03-21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
KR200269349Y1 (ko) * 2001-12-18 2002-03-21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 보강구조
KR200275876Y1 (ko) * 2002-02-27 2002-05-16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
KR200283696Y1 (ko) * 2002-04-29 2002-07-27 유피아이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의 열림각도 제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500B1 (ko) * 2005-07-13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용 힌지
KR20200077890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다이아벨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00902B1 (ko) 2019-01-10 2019-07-17 김경자 경첩 장치
CN114776699A (zh) * 2022-03-31 2022-07-22 北京物智链科技有限公司 双限位平板合页
CN114776699B (zh) * 2022-03-31 2024-05-14 北京物智链科技有限公司 双限位平板合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8145B1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supporting hinges
US5881579A (en) Door boot with varying angle lip seal
CA2270241A1 (en) Articulating hinge covering door stop
US20180100339A1 (en) Furniture hinge comprising a damper
JP2000104437A (ja) 安全用遮蔽板体付きヒンジ
KR20030085638A (ko) 가구용 힌지
JP4217674B2 (ja) 冷蔵庫扉の開閉構造
US5225970A (en) Twist-in mounting for electromechanical component
KR200283696Y1 (ko) 가구용 힌지의 열림각도 제한장치
KR19990039970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힌지 장착장치
KR100863598B1 (ko) 리버서블 냉장고 도어스토퍼 조립체
KR200263466Y1 (ko) 김치 냉장고용 힌지
KR0126195Y1 (ko) 차량 콘솔박스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CN106724867B (zh) 一种开盖结构和电饭煲或电压力锅
KR200298042Y1 (ko) 김치 냉장고의 도어 힌지
KR200149276Y1 (ko) 가구용 힌지
JP4589551B2 (ja) 遊戯機扉のヒンジ機構
KR950006096Y1 (ko) 전자레인지 도어 힌지의 핀삽입 방지구조
KR200265517Y1 (ko) 업다운형 힌지조립체
JP3804479B2 (ja) リミットスイッチ
KR200355237Y1 (ko) 전자레인지용 도어브라켓
KR200269323Y1 (ko) 가구용 힌지
KR200147016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장착구조
KR19980014749U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890005984Y1 (ko) 냉장고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3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